KR101105682B1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682B1
KR101105682B1 KR1020090038732A KR20090038732A KR101105682B1 KR 101105682 B1 KR101105682 B1 KR 101105682B1 KR 1020090038732 A KR1020090038732 A KR 1020090038732A KR 20090038732 A KR20090038732 A KR 20090038732A KR 101105682 B1 KR101105682 B1 KR 101105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ption
telephone
text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674A (ko
Inventor
양영란
이미경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양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란 filed Critical 양영란
Priority to KR102009003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6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5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hearing impaire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음 및 수화음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화음 및 수화음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화음을 복호화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를 거친 신호를 음성 신호와 텍스트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텍스트 신호를 자막 처리하는 텍스트 신호 처리부;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자막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메모리, 디코더 및 신호 분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조작 명령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유선전화기에 의한 전화통화에 있어서 음성과 함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노환 등으로 청력이 약한 사람들도 전화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38732
청각, 장애, 자막, 전화기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Telephone providing caption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유선전화기에 의한 전화통화에 있어서 음성과 함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노환 등으로 청력이 약한 사람들도 전화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일반 유선 전화기)는 송수화기를 통해 통화자 자신의 발성음을 송신하고, 상대편으로부터의 수화음을 출력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 즉 청각에 의존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청력이 약한 사람이나 통신환경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를 할 경우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동단말기(휴대폰) 간에 음성을 문자로 서비스하는 기술이 개발되긴 했지만, 이는 이동 교환국에 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와 자막 서버를 설치해야 서비스가 가능하고, 노환으로 청력이 약해진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시력도 떨어져서 이동단말기의 문자를 읽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유선전화기의 통신방식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반 유선전화기에 의한 전화통화에 있어서 음성과 함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노환 등으로 청력이 약한 사람들도 전화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는,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음 및 수화음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화음 및 수화음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화음을 복호화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를 거친 신호를 음성 신호와 텍스트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텍스트 신호를 자막 처리하는 텍스트 신호 처리부;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자막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메모리, 디코더 및 신호 분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조작 명령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는 음성신호를 자막화하는 자막 서버와;
상기 자막 서버에 의해 음성신호를 대응하는 자막으로 번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자막 서버에 의해 변환된 자막을 상기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유선전화기에 의한 전화통화에 있어서 음성과 함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노환 등으로 청력이 약한 사람들도 전화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는 입력부(101), 메모리(102), 디코더(103), 신호분리부(104), 음성신호 처리부(105),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 모니터(107), 제어부(108), 조작부(109)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1)는 송수화기(110)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음 및 수화음을 입력받는다.
상기 메모리(102)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송화음 및 수화음을 저장한다.
상기 디코더(103)는 상기 메모리(102)에 저장된 수화음을 복호화한다.
상기 신호분리부(104)는 상기 디코더(103)를 거친 신호를 음성 신호와 텍스트 신호로 분리한다.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05)는 상기 신호분리부(104)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는 상기 신호분리부(104)에 의해 분리된 텍스트 신호를 자막 처리한다.
모니터(107)는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에 의해 처리된 자막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107)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102), 디코더(103) 및 신호 분리부(104)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109)는 상기 제어부(108)에 조작 명령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는 음성신호를 자막화하는 자막 서버 (106a)와; 그 자막 서버(106a)에 의해 음성신호를 대응하는 자막으로 번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106b)와; 상기 자막 서버(106a)에 의해 변환된 자막을 상기 모니터(107)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재생부 (106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사용자(예컨대, 청각 장애인:여기서 말하는 청각 장애인은 노환으로 귀가 잘 안들리는 정도의 청각 장애인을 의미하며, 완전히 청력을 상실한 말 그대로의 "청각 장애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가 본 발명의 자막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경우, 상기 입력부(101)는 송수화기(110)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음 및 수화음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102)는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송화음 및 수화음을 저장한다. 그리고, 디코더(103)는 상기 메모리(102)에 저장된 수화음을 복호화한다. 이때, 신호분리부(104)는 상기 디코더(103)를 거친 신호를 음성 신호와 텍스트 신호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음성신호 처리부(105)는 상기 신호분리부(104)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는 상기 신호분리부(104)에 의해 분리된 텍스트 신호를 자막 처리한다. 그 결과, 모니터(107)는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에 의해 처리된 자막을 화면에 표시한다. 즉, 텍스트 신호 처리부(106)의 자막 서버(106a)는 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106b)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대응하는 자막으로 번역하고, 자막 서버(106a)에 의해 변환된 자막은 자막재생부(106c)에 의해 상기 모니터(107)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청각 장애인)는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음을 청각을 통해 원활히 인식할 수 없다 하여도 모니터(107) 화면상에 자막으로 표시된 문장 혹은 문구(또는 단어)를 통해 상대방과 비교적 원활히 의사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환경이 열악하여 통화 음질이 나쁘거나 음량이 작아도 음성을 자 막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 진다. 특히, 오지 등에서 조난자가 전화를 했을 경우, 통화품질이 나빠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에 따라 조난자가 위험에 빠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입력부 102...메모리
103...디코더 104...신호분리부
105...음성신호 처리부 106...텍스트 신호 처리부
106a...자막 서버 106b...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
106c...자막 재생부 107...모니터
108...제어부 109...조작부
110...송수화기

Claims (2)

  1.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음 및 수화음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화음 및 수화음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화음을 복호화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를 거친 신호를 음성 신호와 텍스트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텍스트 신호를 자막 처리하는 텍스트 신호 처리부;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자막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메모리, 디코더 및 신호 분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조작 명령을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 신호 처리부는, 음성신호를 자막화하는 자막 서버, 상기 자막 서버에 의해 음성신호를 대응하는 자막으로 번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막번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자막 서버에 의해 변환된 자막을 상기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2. 삭제
KR1020090038732A 2009-05-01 2009-05-01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KR10110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32A KR101105682B1 (ko) 2009-05-01 2009-05-01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32A KR101105682B1 (ko) 2009-05-01 2009-05-01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74A KR20100119674A (ko) 2010-11-10
KR101105682B1 true KR101105682B1 (ko) 2012-01-19

Family

ID=4340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32A KR101105682B1 (ko) 2009-05-01 2009-05-01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54B1 (ko) * 2012-06-27 2014-06-27 주식회사 미라넷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51Y1 (ko) * 2001-03-21 2001-10-08 (주)배달정보통신 청각 장애인용 전화기
KR20020034151A (ko) * 1999-07-08 2002-05-08 콰아메 다코 보호 조끼
KR100397692B1 (ko) 2000-12-29 2003-09-13 (주)씨앤에스텔레콤 청각 장애인이 사용가능한 화상을 이용한 전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151A (ko) * 1999-07-08 2002-05-08 콰아메 다코 보호 조끼
KR100397692B1 (ko) 2000-12-29 2003-09-13 (주)씨앤에스텔레콤 청각 장애인이 사용가능한 화상을 이용한 전화기
KR200234151Y1 (ko) * 2001-03-21 2001-10-08 (주)배달정보통신 청각 장애인용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74A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7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caption device with a mobile device
US7633516B2 (en)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911154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11201957B2 (en) Text assisted telephony 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apparatus
US10601980B1 (en) Cap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ion impaired
KR20080036703A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화상 통화 송수신방법
KR20100026701A (ko) 수화 번역기 및 그 방법
EP1718045A1 (en) Method for setting main langu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105682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GB2382742A (en) Portable phone with video answerphone message function
US20230247131A1 (en) Presentation of communications
US20160203818A1 (en) Wireless cap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9237224B2 (en) Text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voice communication
KR2015002575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양방향 번역 방법
KR101400754B1 (ko)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KR20010107877A (ko) 음성인식을 통한 쓰리디 애니메이션 수화표현 시스템
JP6064209B2 (ja) 通話システム及び通話中継方法
KR1007352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JP2015018079A (ja) 字幕音声生成装置
JP2002027039A (ja) 通信通訳システム
US9807216B2 (en) Phone device
JP2020119043A (ja) 音声翻訳システムおよび音声翻訳方法
JP2007184728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334015B1 (ko)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JP2008278327A (ja) 音声通信装置及び音声通信装置の周波数特性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