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92B1 -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92B1
KR101839092B1 KR1020160122009A KR20160122009A KR101839092B1 KR 101839092 B1 KR101839092 B1 KR 101839092B1 KR 1020160122009 A KR1020160122009 A KR 1020160122009A KR 20160122009 A KR20160122009 A KR 20160122009A KR 101839092 B1 KR101839092 B1 KR 10183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unit
impaired person
visito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6012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021/065Aids for the handicapped in underst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영상통화가 가능한 의사소통 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P 기반의 단말기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문자, 수화 등의 의사소통 기능을 탑재하여 청각장애로 소리를 듣지 못하고 언어가 불가능한 사람이 건청인과 상호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과 음성을 통신하는 멀티미디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와 연결되어 각 상황에 맞는 수화 영상과 음원을 저장, 전송하는 미디어 플레이부; 가 구성되며;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메뉴; 및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문자메시지 선택, 전송메뉴; 가 구비되고,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음원 및 영상 재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Communication calling device for hearing-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음성, 영상통화가 가능한 의사소통 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P 기반의 단말기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문자, 수화 등의 의사소통 기능을 탑재하여 청각장애로 소리를 듣지 못하고 언어가 불가능한 사람이 건청인과 상호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폰, 비디오폰은 건청인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어 지지만,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음성으로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비디오폰으로 영상통화할 경우 수화가 불가능한 건청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예는 무인 주차장의 인터폰 호출기, 현금인출기(ATM) 비상전화, 고속도로 비상전화, 건물 또는 공원 등의 비상벨 등도 모두 해당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폰에서도 일반인과 청각장애인 간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인터폰의 주요 구성요소는 마이크, 리시버, 증폭기, 전원공급장치, 조절장치 및 통신회로 등으로 상황에 따라 UTP 케이블, 2선식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영상 인터폰의 경우는 음성전달 뿐만 아니라 영상전달이 가능하지만 상호 상대방의 영상만으로 청각장애자와 일반인 간의 의사소통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영상전송 방식은 VoiP 방식의 H.263, H.264 코덱을 통한 디지털 영상전송, 아날로그 비디오(Analog Video) 영상전송 등의 방식이 있다.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활동과 의사소통 해소를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현장에서 응용, 활용할 수 있어 청각장애인의 편의와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다.
그리고, 비상시 긴급호출, 영상호출을 통한 민원용, 산업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인이 사용할 때는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각장애인이 사용할 때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도록 하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KR 특허 1255577 (2013.04.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청각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는 음성 위주의 인터폰 호출기의 한계와 근거리 내의 1:1 아날로그 영상전송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네트워크의 환경 내에서 청각장애인이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며, 청각장애인이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이 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과 음성을 통신하는 멀티미디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와 연결되어 각 상황에 맞는 수화 영상과 음원을 저장, 전송하는 미디어 플레이부; 가 구성되며;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메뉴; 및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문자메시지 선택, 전송메뉴; 가 구비되고,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음원 및 영상 재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수화영상 선택, 전송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음원 및 영상 재생부는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전송된 수화영상을 청각장애인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청각장애인 방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방문자 호출시 자동발신 지정번호로 동시 발신되고, 청각 장애인 수신 단말기에 호출신호를 진동 및 상황별 램프 점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원격지의 통역사 서버를 통해 방문자와 3자 통화를 연결하는 통역사 호출메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기존의 비디오폰과 영상전화기의 기능을 더한 청각장애인 맞춤형으로 개발되어 청각장애인 가정과 관련 기관에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고, 일반인이 청각장애인 가정에 방문할 때 실시간 영상, 문자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소통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영상전화기와 완벽히 호환되어 집 내에 사용중인 영상전화기로 연결이 가능하고, 모바일 스마트폰의 앱과도 영상통화되어 외부 활동 중에도 방문자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셋째, 스마트 영상 솔루션을 기반으로 청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조합하여 다양한 편의기능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고, 기존의 수화를 통한 의사전달 비디오폰의 기능을 응용하고 방문알림기능을 추가하여 청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지체장애인 등 기타 장애인의 생활편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영상호출기능을 적용하여 방문자 확인 및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장애인을 포함한 소외계층의 안전을 확보하고, 청각장애인 가정에 기 설치된 도어폰을 대체하며 별도의 방문자 확인용 호출버튼을 통한 경광등 기능을 하여 방문 호출 시스템으로의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
다섯째, 장애인, 노약자, 독거노인의 긴급 상황 대처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관제통신시스템에 적용하여 주차관제, 보안, 방송시스템 등 일반 산업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부(100) 및 미디어 플레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멀티미디어부(100)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과 음성을 통신하고, 미디어 플레이부(200)는 상기 멀티미디어부(100)와 연결되어 각 상황에 맞는 수화 영상과 음원을 저장, 전송한다.
멀티미디어부(100)는 네크워크 접속부(110), 비디오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유저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부(160), 제어부(170), I/O 입출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타 단말기와 연결되고, 비디오 처리부(120) 및 오디오 처리부(130)는 각각 카메라(121)와 마이크(131)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정보와 영상을 출력하고, 유저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150)는 각종 버튼(151)을 통해 신호를 입력받으며, 메모리부(160)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70)는 장치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200)는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메뉴(151) 및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문자메시지 선택, 전송메뉴(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200)는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300)로부터 TTS 엔진에 의해 전송된 TTS(Text to Speech)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음원 및 영상 재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음성처리부(210) 및 상기 디지털 음성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해서 출력하는 음성 증폭 및 출력부(22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단말기(300)는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수화영상 선택, 전송버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및 영상 재생부(240)는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300)로부터 선택, 전송된 수화영상을 청각장애인 방문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200)는 청각장애인 방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3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200)는 방문자 호출시 자동발신 지정번호로 동시 발신되고, 청각 장애인 수신 단말기(300)에 호출신호를 진동 및 상황별 램프 점멸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신 단말기(300)는 원격지의 통역사 서버를 통해 방문자와 3자 통화를 연결하는 통역사 호출메뉴(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청각장애인에게 원격으로 자막이나 수화 영상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메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인터폰 호출 단말기에 2개의 호출 입력 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일반인은 인터폰 호출 스위치 버튼(도면에 미도시)으로 상대방을 호출하고,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버튼(151)을 추가하여 청각장애인이 호출할 경우 수신 단말기(300)에서 상황에 맞는 음원으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청각장애인이 호출할 경우 수신 단말기(300)에서 상황에 맞는 음원으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청각장애인의 호출을 인지한 수신 단말기(300) 측은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의사전달이 어려우므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으로 발신측의 청각장애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문자 메시지 표시, 수화영상 안내표시를 통해 의사를 전달한다.
청각장애인에게 수화로 의사를 안내할 때는 각 현장의 상황에 맞는 수화영상을 미리 제작하여 상황별 안내 수화영상을 실시간으로 선택하여 전송하면 인터폰 호출기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청각장애인이 의사전달을 할 경우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문자메시지를 선택, 전송메뉴(152)에 의해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와 연결할 경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통해 문자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상대방에게 음성으로 전달되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멀티미디어부 151...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메뉴
152...문자메시지 선택, 전송메뉴 200...미디어 플레이부
240...음원 및 영상 재생부 300...수신 단말기
400...이동통신 단말기 221...리시버

Claims (5)

  1.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과 음성을 통신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타 단말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접속부, 각각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 정보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각종 버튼을 통해 신호를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되는 멀티미디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와 연결되어 각 상황에 맞는 수화 영상과 음원을 저장, 전송하는 것으로서,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음성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 음성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해서 출력하는 음성 증폭 및 출력부가 구성되는 미디어 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청각장애인 전용 호출메뉴; 및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문자메시지 선택, 전송메뉴; 가 구비되고,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음원 및 영상 재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황별로 미리 정해진 수화영상 선택, 전송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음원 및 영상 재생부는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전송된 수화영상을 청각장애인 방문자에게 전달하며,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청각장애인 방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TTS 메시지를 청각장애인의 수신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부는 방문자 호출시 자동발신 지정번호로 동시 발신되고,
    청각 장애인 수신 단말기에 호출신호를 진동 및 상황별 램프 점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원격지의 통역사 서버를 통해 방문자와 3자 통화를 연결하는 통역사 호출메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KR1020160122009A 2016-09-23 2016-09-23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KR10183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09A KR101839092B1 (ko) 2016-09-23 2016-09-23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09A KR101839092B1 (ko) 2016-09-23 2016-09-23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92B1 true KR101839092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009A KR101839092B1 (ko) 2016-09-23 2016-09-23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28B1 (ko) 2019-03-14 2020-05-26 윤보경 청각장애인 소리 습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92B1 (ko) * 2011-12-12 2013-06-10 한성기성주식회사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KR101609585B1 (ko) * 2014-11-28 2016-04-06 박지선 청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92B1 (ko) * 2011-12-12 2013-06-10 한성기성주식회사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KR101609585B1 (ko) * 2014-11-28 2016-04-06 박지선 청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28B1 (ko) 2019-03-14 2020-05-26 윤보경 청각장애인 소리 습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9834B1 (ja) テレビ会議装置
US7796024B2 (en) Automated multi-purpose alert system with sensory interrupts
KR101839092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JP2007235220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0074212A (ko) 영상과 음성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비디오 도어폰과 그서비스 방법.
KR101847445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호출기
JP2011055103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778548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인식 및 보청지원이 가능한 회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6198A (ko)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JP2005260359A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JP511796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27027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115436A (ko)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33353A (ko) 도어폰
JP3918753B2 (ja) アナログ伝送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222887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住戸機及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JP686882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ロビーインターホン、親機、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31092A (ja) 無線放送システム、及び無線放送方法
JP3092863U (ja) テレビを用いた呼出し表示装置
KR20190002023A (ko) 장애인을 위한 인터폰 시스템
JPH11168714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512433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における住宅情報盤
JP5650036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217542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