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563U -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563U
KR20140004563U KR2020130000671U KR20130000671U KR20140004563U KR 20140004563 U KR20140004563 U KR 20140004563U KR 2020130000671 U KR2020130000671 U KR 2020130000671U KR 20130000671 U KR20130000671 U KR 20130000671U KR 20140004563 U KR20140004563 U KR 201400045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low
pedestal
h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563U/ko
Publication of KR20140004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고정 받침부; 상기 제1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1 유동 받침대와, 상기 제2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2 유동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유동 받침부; 일측단부가 상기 제1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2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고정시키는 높낮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는, 칼라 플레이트를 받쳐주는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 고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 및 높낮이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1명의 작업자가 칼라 플레이트를 종부재 및 횡부재의 취부 위치에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공수 절감, 생산성 향상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A device for installing a collar plate}
본 고안은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가공공장에서 시작되는 강재전처리작업, 강재절단, 성형작업으로 철판을 잘라서 선체 일부의 모양에 맞도록 접고 굽혀 설계 도면과 같이 만들고, 조립공장에서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과정을 거쳐 블록 단위로 만들고, 블럭단위들을 선대나 도크에서 탑재 및 조립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선박 건조 과정 중에서, 강재로 구성된 대형 구조물을 가공,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각종 강재를 절단하고 용접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이러한 강재를 사용하여, 육상 작업장에서 일정 크기로 제작된 개별 블록들을 도크(Dock) 내로 운반한 후, 각 블록 간의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
선체를 조립하는 공법 중에서, 슬롯 공법을 사용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경우는, 주판에 종부재를 붙이고, 횡부재를 주판에 부착하고, 칼라 플레이트를 붙여 최종 용접을 실시하여 슬롯을 메우고 있다.
그런데, 칼라 플레이트의 대형화로 2인 1조로 칼라 플레이트 취부작업을 하고 있어, 과다 공수 발생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용접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품질 결함이 많이 발생되며, 취부위치에 정확히 정렬하기가 어려워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1명의 작업자가 칼라 플레이트를 취부위치에 정확히 정렬시켜 칼라 플레이트를 취부할 수 있게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고정 받침부; 상기 제1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1 유동 받침대와, 상기 제2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2 유동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유동 받침부; 일측단부가 상기 제1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2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고정시키는 높낮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는, 칼라 플레이트를 받쳐주는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 고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 및 높낮이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1명의 작업자가 칼라 플레이트를 종부재 및 횡부재의 취부 위치에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공수 절감, 생산성 향상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고정 받침부(120), 유동 받침부(130), 높낮이 조절부(140), 높낮이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후술할 고정 받침부(120), 후술할 유동 받침부(130),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1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기본 틀로서, 사각 패널, 사각 막대 또는 원형 막대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받침부(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고 일측평면을 고정하여 칼라 플레이트(50)가 종부재(20)와 횡부재(30)의 취부위치 즉, 횡부재(30)에 형성되는 슬롯(40)을 메울 수 있는 위치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고정 받침부(120)는, 제1 고정 받침대(121a), 제2 고정 받침대(1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부재(20)와 횡부재(30)는 주판(10) 상에 수직되게 조립되며, 횡부재(30)에 종부재(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40)이 형성된다. 칼라 플레이트(50)는 종부재(20)와 횡부재(30)를 주판(10)에 조립한 후에 슬롯(40)을 메우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이 칼라 플레이트(50)를 사용하여 슬롯(50)을 메우는 공법을 슬롯 공법이라고 한다.
제1 고정 받침대(121a)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할 있도록,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절곡된 수직부로 구분되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평부는,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는 부분으로 고정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평부의 높이는, 선체 조립 공정에서 칼라 플레이트(50)의 취부위치가 가장 낮은 높이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는, 후술할 유동 받침부(130)에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이 받쳐질 때,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고정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의 높이는, 후술할 유동 받침부(130)를 상승했을 때,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평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선체 조립 공정에서 칼라 플레이트(50)의 취부위치가 가장 높은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에는 후술할 유동 받침부(13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22a)은,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까지 관통되며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받침대(121b)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할 있도록, 제1 고정 받침대(121a)와 마찬가지로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절곡된 수직부로 구분되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고정 받침대(121b)는, 설치되는 위치가 제1 고정 받침대(121a)와 다를 뿐,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제1 고정 받침대(121a)와 동일하여 제2 고정 받침대(121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제1 고정 받침대(121a)와 구별하기 위하여, 제2 고정 받침대(121b)의 구성 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를 다르게 표시하였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22b"는 제2 가이드 홈이다.
유동 받침부(130)는, 고정 받침부(120)의 내측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14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고 일측평면을 고정하여 칼라 플레이트(50)가 종부재(20)와 횡부재(30)의 취부위치 즉, 횡부재(30)에 형성되는 슬롯(40)을 메울 수 있는 위치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유동 받침부(130)는, 제1 유동 받침대(131a), 제2 유동 받침대(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유동 받침대(131a)는,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할 있도록, 높이가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평부의 높이보다 높고, 폭이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평부의 폭보다 좁은 "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동 받침대(131a)는, 칼라 플레이트(50)의 취부위치가 제1 고정 받침대(121a)로 정렬할 수 없는 높이일 때,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제1 고정 받침대(121a)에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이 받쳐질 때,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평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유동 받침대(131a)의 높이를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높이보다 높게하며, 제1 유동 받침대(131a)의 폭을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폭보다 좁게한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제1 고정 받침대(121a)와 제1 유동 받침대(131a)는 계단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1 유동 받침대(131a)는, 외측부가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내측부에 접촉되며, 내측부에 후술할 제2 유동 받침대(131b)와 연결되는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외측부에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22a)에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봉(132a)이 구비되어, 상하 이동으로 칼라 플레이트(50)를 취부위치에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가이드 봉(132a)은, 제1 고정 받침대(121a)의 수직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22a)에 삽입되어, 제1 유동 받침대(131a)가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140)에 의해 상하 운동할 때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제2 유동 받침대(131b)는, 제2 고정 받침대(121b)의 내측에 설치되어, 취부위치가 높아 제2 고정 받침대(121b)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칼라 플레이트(50)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할 있도록, 제1 유동 받침대(131a)와 마찬가지로 "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동 받침대(131b)는, 설치되는 위치가 제1 유동 받침대(131a)와 다를 뿐,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제1 유동 받침대(131a)와 동일하여 제2 유동 받침대(131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제1 유동 받침대(131a)와 구별하기 위하여, 제2 유동 받침대(131b)의 구성 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를 다르게 표시하였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32b"는 제2 가이드 봉이다.
높낮이 조절부(140)는, 슬롯(40)을 메우기 위해 종부재(20) 및 횡부재(30)에 부착되는 칼라 플레이트(50)의 다양한 취부 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131a, 131b)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연결봉(141),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142a, 14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봉(141)은, 막대 형상으로, 일측단부가 제1 유동 받침대(131a)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제2 유동 받침대(131b)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며, 일측부 및 타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142a, 142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41)은, 후술할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142a, 142b)의 상하 운동시 그 힘을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131a, 131b)에 전달하여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131a, 131b)가 상하로 이동되게 한다.
제1 높낮이 조절봉(142a)은, 막대 형상으로, 연결봉(141)의 일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높낮이 고정부(150)의 제1 지지대(151a)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1 삽입공(152a)에 삽입되어 후술할 제1 가압부재(154a)에 의해 후술할 제1 지지대(151a)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높낮이 조절봉(142b)은, 막대 형상으로, 연결봉(141)의 타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높낮이 고정부(150)의 제1 지지대(151b)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1 삽입공(152b)에 삽입되어 후술할 제1 가압부재(154b)에 의해 후술할 제1 지지대(151b)에 고정될 수 있다.
높낮이 고정부(150)는, 높낮이 조절부(140)를 삽입 고정하여 유동 받침부(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부(140)에 의해 유동 받침부(130)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칼라 플레이트(50)를 종부재(20) 및 횡부재(30)의 취부 라인에 정확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지지대(151a, 151b), 제1 및 제2 삽입공(152a, 152b), 제1 및 제2 체결공(153a, 153b), 제1 및 제2 가압부재(154a, 1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51a)는, 제1 삽입공(152a)이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로서,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 상의 일측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단부의 제1 삽입공(152a)을 통해 제1 높낮이 조절봉(142a)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제2 지지대(151b)는, 제2 삽입공(152b)이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로서,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 상의 타측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단부의 제2 삽입공(152b)을 통해 제2 높낮이 조절봉(142b)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제1 및 제2 지지대(151a, 151b) 각각의 상부 외측에는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142a, 142b)을 후술할 제1 및 제2 가압부재(154a, 154b)로 고정시키기 위한 후술할 제1 및 제2 체결공(153a, 15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공(153a)은, 제1 지지대(151a)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너트형으로 제1 삽입공(152a)과 연통될 수 있으며, 제1 삽입공(152a)에 삽입되는 제1 높낮이 조절봉(142a)을 후술할 제1 가압부재(154a)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제2 체결공(153b)은, 제2 지지대(151b)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너트형으로 제2 삽입공(152b)과 연통될 수 있으며, 제2 삽입공(152b)에 삽입되는 제2 높낮이 조절봉(142b)을 후술할 제2 가압부재(154b)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가압부재(154a)는, 너트형의 제1 체결공(153a)에 대응되도록 볼트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공(153a)에 제1 가압부재(154a)를 삽입하여 제1 높낮이 조절봉(142a)을 조일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볼트형의 제1 가압부재(154a)의 머리 부분을 절곡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부재(154a)는 제1 체결공(153a)에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나사산 부분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손잡이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154b)는, 너트형의 제2 체결공(153b)에 대응되도록 볼트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공(153b)에 제2 가압부재(154b)를 삽입하여 제2 높낮이 조절봉(142b)을 조일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볼트형의 제2 가압부재(154b)의 머리 부분을 절곡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부재(154b)는 제2 체결공(153b)에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나사산 부분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손잡이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체를 조립하는 공법 중에서, 슬롯 공법을 사용하여 선체를 조립하는 경우는, 주판(10)에 종부재(20) 및 횡부재(30)를 조립하고, 횡부재(30)에 형성된 슬롯(40)을 메우기 위한 칼라 플레이트(50)가 준비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칼라 플레이트(50)를 종부재(20) 및 횡부재(30)에 부착하기 위해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100)를 주판(20) 상에 설치한다. 이때, 칼라 플레이트(50)가 취부될 종부재(20) 및 횡부재(30)의 취부라인이 고정 받침부(120)에 의해 정렬시킬 수 없는 높이인 경우, 취부라인에 대응되는 높이가 되도록 높낮이 조절부(140)를 이용하여 유동 받침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고, 높낮이 고정부(150)로 높낮이 조절부(14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100)가 준비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칼라 플레이트(50)를 고정 받침부(120) 또는 유동 받침부(130)에 수용 고정시키고,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100)를 종부재(20) 및 슬롯(40)이 형성된 횡부재(30) 쪽으로 밀어 칼라 플레이트(50)가 종부재(20) 및 횡부재(30)의 취부 라인에 접촉되도록 하여 취부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칼라 플레이트(50)를 수용하는 고정 받침부(120) 뿐만 아니라, 높낮이를 조절 고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140) 및 높낮이 고정부(150)가 구비되는 유동 받침부(130)를 구성함으로써, 취부라인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1명의 작업자가 칼라 플레이트(50)를 종부재(20) 및 횡부재(30)의 취부 위치에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공수 절감, 생산성 향상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칼라 플레이트의 대형화로 2인 1조로 칼라 플레이트 취부작업을 하고 있어, 과다 공수 발생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용접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품질 결함이 많이 발생되며, 취부위치에 정확히 정렬하기가 어려워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주판 20: 종부재
30: 횡부재 40: 슬롯
50: 칼라 플레이트 100: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20: 고정 받침부
121a, 121b: 제1 및 제2 고정 받침대 122a, 122b: 제1 및 제2 가이드 홈
130: 유동 받침부 131a, 131b: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
132a, 132b: 제1 및 제2 가이드 봉 140: 높낮이 조절부
141; 연결봉 142a, 142b: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
150: 높낮이 고정부 151a, 151b: 제1 및 제2 지지대
152a, 152b: 제1 및 제2 삽입공 153a, 153b: 제1 및 제2 체결공
154a, 154b: 제1 및 제2 가압부재

Claims (7)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제1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고정 받침부;
    상기 제1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1 유동 받침대와, 상기 제2 고정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봉이 구비되는 제2 유동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플레이트의 일측단면을 받쳐주면서 일측평면을 고정하는 유동 받침부;
    일측단부가 상기 제1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2 유동 받침대의 내측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높낮이 조절봉을 고정시키는 높낮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받침대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절곡된 수직부로 구분되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받침대 각각의 수직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까지 관통되며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동 받침대는,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받침대의 상기 수평부의 높이보다 높고, 폭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받침대의 상기 수평부의 폭보다 좁은 "ㅁ"자 형태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높낮이 조절봉이 삽입되는 제1 삽입공이 구비되는 제1 지지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높낮이 조절봉이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구비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과 연통되는 제1 체결공;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공과 연통되는 제2 체결공;
    상기 제1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높낮이 조절봉을 가압 고정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높낮이 조절봉을 가압 고정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나사산 부분으로부터 절곡되는 손잡이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은 너트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가압부재는 볼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KR2020130000671U 2013-01-25 2013-01-25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KR201400045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71U KR20140004563U (ko) 2013-01-25 2013-01-25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71U KR20140004563U (ko) 2013-01-25 2013-01-25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63U true KR20140004563U (ko) 2014-08-04

Family

ID=5244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71U KR20140004563U (ko) 2013-01-25 2013-01-25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5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159A (zh) * 2019-05-06 2019-08-09 重庆锦森腾建筑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冷却塔构件的安装定位结构
CN110722320A (zh) * 2019-11-14 2020-01-24 陕西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航空发动机点火装置安装支架的焊接工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159A (zh) * 2019-05-06 2019-08-09 重庆锦森腾建筑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冷却塔构件的安装定位结构
CN110722320A (zh) * 2019-11-14 2020-01-24 陕西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航空发动机点火装置安装支架的焊接工装
CN110722320B (zh) * 2019-11-14 2021-11-19 陕西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航空发动机点火装置安装支架的焊接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67774U (zh) 一种电容器引线点焊机
KR20100058765A (ko) 금속배관의 분기배관 접속자리 성형을 위한 가이드 장치
CN201342657Y (zh) 一种连杆与活塞组装装置
CN102528426B (zh) 一种冷却风扇压接装置
KR20140004563U (ko) 칼라 플레이트 취부용 장치
CN104084733A (zh) 工装胎架
CN102398081A (zh) 型材截断弹性定位导向装置
CN205393875U (zh) 前顶内饰安装支架定位工装
CN104236530B (zh) 一种中心对准装置
KR20140121112A (ko) 범퍼 도장용 지그
CN103286501A (zh) 电梯下梁焊接定位装置
CN201247161Y (zh) 车用空调测试用安装支架
CN103801955B (zh) 一种汽车线束制作用工装板及其使用方法
CN104759818A (zh) 一种用于箱体下部腹板无码装配的定位固定装置
CN108637556B (zh) 一种箍筋固定装置及钢筋笼装配机
CN203330612U (zh) 电梯下梁焊接定位装置
CN204675785U (zh) 一种可调式平台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101448968B1 (ko) 온실용 대차 보강 구조물의 대차받침대 자동 조립장치
CN211489228U (zh) 一种冲长圆孔的冲床
CN203448920U (zh) 积放链直轨焊接工装
KR101549131B1 (ko) 판넬 리브 용접용 지그
KR102253810B1 (ko) 차량용 헤드라이닝 검사구
CN102922468A (zh) 动车组空气管路安装用辅助装置及安装方法
CN207402366U (zh) 一种电梯下梁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