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377U - 벤트 커버 - Google Patents

벤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377U
KR20140004377U KR2020130000251U KR20130000251U KR20140004377U KR 20140004377 U KR20140004377 U KR 20140004377U KR 2020130000251 U KR2020130000251 U KR 2020130000251U KR 20130000251 U KR20130000251 U KR 20130000251U KR 20140004377 U KR20140004377 U KR 201400043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elastic
packing member
sealing groove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362Y1 (ko
Inventor
임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36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루버 벤트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리크를 방지할 수 있는 벤트 커버가 소개된다.
이 벤트 커버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밀폐홈부가 연장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와, 루버 벤트 사이의 실링을 위해 밀폐홈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와, 패킹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유닛과, 탄성 지지유닛을 밀폐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트 커버{VENT COVER}
본 발명은 루버 벤트에 관한 것으로, 루버 벤트와의 긴밀한 밀착을 통해 리크를 방지할 수 있는 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신선한 공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해야 한다. 하지만 선박의 공조기는 주로 해상에서 사용되므로 공기 중에 상당한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를 공조장치에 흡입하기 위해서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수분리용 필터가 필요하고, 흡기덕트의 입구에는 해수 및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루버 벤트와, 이 루버 벤트를 개폐하기 위한 벤트 커버가 설치된다. 이때, 벤트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루버 벤트의 리크(LEAK)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 패드가 마련되고, 이들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에는 아이 볼트 및 버터플라이 너트와 같은 복수의 고정 장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가 고정 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고무 패드가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에서 균일하게 면접촉되지 않게 되면,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에서 리크(LEAK)가 발생되어 해수 및 빗물 유입뿐만 아니라 거주구의 가스 및 오염 공기 등이 카고 홀드(Cargo hold)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고 홀드 내의 화물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기온 변화에 의한 열화가 선박의 외부에 노출된 고무 패드에서 발생되면, 열화가 발생된 고무 패드를 벤트 커버에서 제거하고 그 자리에 신규 고무 패드를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기존의 고무 패드를 흔적없이 제거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교체 작업 시간이 오래 시간 소요될 수 있다. 기존 고무 패드의 잔여물이 남아 있는 위치에 신규 고무 패드를 부착하게 되면, 신규 고무 패드가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를 균일하게 밀폐시키지 못하므로, 커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에 리크가 발생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12-0057815 (2012.06.07.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루버 벤트와의 긴밀한 밀착을 통해 리크를 방지할 수 있고 교체 작업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벤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루버 벤트를 개폐하는 벤트 커버로서, 가장자리부를 따라 밀폐홈부가 연장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루버 벤트 사이의 실링을 위해 상기 밀폐홈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 상기 밀폐홈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유닛; 및 상기 탄성 지지유닛을 상기 밀폐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밀폐홈부에 안착되는 포켓 하우징; 상기 패킹부재가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 하우징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포켓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탄성 지지유닛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볼트; 상기 탄성 지지유닛이 상기 밀폐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지지볼트가 커버 플레이트에 관통되도록 상기 지지볼트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부; 및 상기 지지볼트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포켓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심라인에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일방향 절곡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일방향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타방향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방향 절곡부는 상기 일방향 절곡부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 1 타방향 절곡부; 및 상기 일방향 절곡부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 2 타방향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패킹부재를 루버 벤트에 균일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루버 벤트와 벤트 커버 사이에 리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패킹부재가 탄성 지지유닛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므로, 패킹부재의 교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탄성 지지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탄성 지지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탄성 지지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100)는, 선박의 흡기덕트 입구에 설치된 루버 벤트(2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루버 벤트(2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닫힘시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벤트 커버(100)는 커버 플레이트(110), 패킹부재(120), 탄성 지지유닛(130) 및 고정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0)는 통상의 힌지브라켓(112)을 통해 루버 벤트(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에는 벤트 커버(100)의 록킹장치, 예를 들어, 아이 볼트(211)에 체결되는 클립(1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의 고정홀부(142)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홀부(142)는 후술하는 지지볼트(141)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으로, 고정홀부(142)에 삽입된 지지볼트(141)의 단부는 고정너트(143)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에는 벤트 커버(100)의 닫힘시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밀폐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홈부(111)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 띠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밀폐홈부(111)에는 패킹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패킹부재(120)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밀폐홈부(111)에 삽입되어, 벤트 커버(100)의 닫힘시 루버 벤트(200)와 벤트 커버(1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부재, 예를 들어, 고무패드와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킹부재(120)는 정사각 띠 형태의 고무패드로 구성되지만, 이 패킹부재(120)의 형태는 밀폐홈부(111)의 형상에 상응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밀폐홈부(111)가 직사각의 띠 홈 형태로 형성되거나 원형의 고리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패킹부재(120)는 밀폐홈부(111)의 형태에 대응되는 직사각 띠 형태로 구성되거나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패킹부재(120)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밀폐홈부(111)에 탄성 지지유닛(130)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탄성 지지유닛(130)은 밀폐홈부(111) 내에 장착되어 패킹부재(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패킹부재(120)를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지지유닛(130)은 포켓 하우징(131), 지지 플레이트(132) 및 탄성 스프링(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켓 하우징(131)은 일방이 개방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지지 플레이트(132)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루버 벤트(200)가 벤트 커버(100)에 의해 닫히는 경우,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는 벤트 커버(100)의 패킹부재(12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패킹부재(120)는 포켓 하우징(131)의 측벽을 따라 포켓 하우징(13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 스프링(133)은 패킹부재(1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패킹부재(120)를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32)는 포켓 하우징(131)의 내,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 구조로, 해당 일면에 패킹부재(120)가 부착되고, 해당 타면에 탄성 스프링(133)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133)은 루버 벤트(200)가 벤트 커버(100)에 의해 닫히는 경우, 패킹부재(12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벤트 커버(100)의 패킹부재(120)를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탄성 스프링(133)은 일단이 포켓 하우징(131)에 연결되고 탄성 스프링(133)의 타단이 지지 플레이트(132)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133)은 포켓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32)는 복수의 탄성 스프링(133)에 의해 지지되므로,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탄성력이 패킹부재(120)에 전달될 수 있다.
고정수단(140)은 탄성 지지유닛(130)을 밀폐홈부(111)에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볼트(141), 고정홀부(142) 및 고정너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볼트(141)는 탄성 지지유닛(13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볼트 구조이고, 해당 기단이 탄성 지지유닛(130)의 포켓 하우징(131)에 고정되며, 해당 선단이 지지 플레이트(132)의 고정홀부(142)를 관통한 후 고정너트(14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부(142)는 탄성 지지유닛(130)이 밀폐홈부(111)에 결합될 때, 커버 플레이트(110)의 지지볼트(141)에 대응되는 위치인 커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143)는 고정홀부(142)를 관통한 지지볼트(141)의 선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탄성 지지유닛(130)을 커버 플레이트(11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140)은 지지볼트(141)와 고정너트(143) 간의 나사 결합을 통해 탄성 지지유닛(130)을 지지 플레이트(132)에 고정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탄성 지지유닛(130)을 지지 플레이트(132)의 밀폐홈부(111)에 착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140)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커버 플레이트(110) 및 포켓 하우징(13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통상의 나사볼트가 고정수단(14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탄성 지지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벤트 커버(100)에서, 탄성 스프링(133)은 절곡부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스프링(133)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예컨대, 커버 플레이트(110), 패킹부재(120) 및 고정수단(14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커버 플레이트(110), 패킹부재(120) 및 고정수단(1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지지유닛(130) 중에서 포켓 하우징(131) 및 지지 플레이트(132)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포켓 하우징(131) 및 지지 플레이트(132)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탄성 스프링(133)은 전체적으로 "W"자 형태로 구성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탄성 스프링(133)은 포켓 하우징(131)을 지지하는 일방향 절곡부(133a)와, 지지 플레이트(132)를 지지하는 타방향 절곡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방향 절곡부(133a)는 포켓 하우징(131)의 길이방향 중심라인에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방향 절곡부(133a)는 라운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방향 절곡부(133b)는 일방향 절곡부(133a)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플레이트(132)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 1 타방향 절곡부(133ba)와, 일방향 절곡부(133a)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플레이트(132)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 2 타방향 절곡부(133b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방향 절곡부(133b)는 라운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벤트 커버(100)의 닫힘에 의해,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가 벤트 커버(100)의 패킹부재(120)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 스프링(133)의 절곡부에서는 패킹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패킹부재(120)에 제공하므로, 패킹부재(120)를 루버 벤트(200)의 가장자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패킹부재를 루버 벤트에 균일하게 밀착시키므로, 루버 벤트와 벤크 커버 사이에 리크를 방지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패킹부재의 손쉬운 착탈이 가능하므로, 패킹부재의 교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벤트 커버 110 :커버 플레이트
111 :밀폐홈부 120 :패킹부재
130 :탄성 지지유닛 131 :포켓 하우징
132 :지지 플레이트 133 :탄성 스프링
133a :일방향 절곡부 133b :타방향 절곡부
133ba :제 1 타방향 절곡부 133bb :제 2 타방향 절곡부
140 :고정수단 141 :지지볼트
142 :고정홀부 143 :고정너트

Claims (6)

  1. 루버 벤트를 개폐하는 벤트 커버로서,
    가장자리부를 따라 밀폐홈부가 연장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루버 벤트 사이의 실링을 위해 상기 밀폐홈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
    상기 밀폐홈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유닛; 및
    상기 탄성 지지유닛을 상기 밀폐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벤트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밀폐홈부에 안착되는 포켓 하우징;
    상기 패킹부재가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 하우징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벤트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포켓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와이어 스프링인 벤트 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탄성 지지유닛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볼트;
    상기 탄성 지지유닛이 상기 밀폐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지지볼트가 커버 플레이트에 관통되도록 상기 지지볼트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부; 및
    상기 지지볼트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벤트 커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포켓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심라인에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일방향 절곡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일방향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타방향 절곡부를 포함하는 벤트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향 절곡부는
    상기 일방향 절곡부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 1 타방향 절곡부; 및
    상기 일방향 절곡부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 2 타방향 절곡부를 포함하는 벤트 커버.
KR2020130000251U 2013-01-11 2013-01-11 벤트 커버 KR200475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51U KR200475362Y1 (ko) 2013-01-11 2013-01-11 벤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51U KR200475362Y1 (ko) 2013-01-11 2013-01-11 벤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77U true KR20140004377U (ko) 2014-07-22
KR200475362Y1 KR200475362Y1 (ko) 2014-11-28

Family

ID=5229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51U KR200475362Y1 (ko) 2013-01-11 2013-01-11 벤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6189A (zh) * 2018-05-21 2018-09-14 江含飞 一种基于物联网的强电远程控制设备
KR102234198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자력을 이용한 에어벤트 밀봉장치
KR200493602Y1 (ko) * 2019-11-26 2021-04-30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15B1 (ko) * 2018-06-28 2019-11-21 (주)성신엔스텍 루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18B1 (ko) * 2004-09-06 2012-03-1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실 바 장치
KR101193899B1 (ko) * 2010-11-29 2012-10-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치 커버의 루버 벤트 자동 잠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6189A (zh) * 2018-05-21 2018-09-14 江含飞 一种基于物联网的强电远程控制设备
KR102234198B1 (ko) * 2019-09-27 2021-03-31 대한민국 자력을 이용한 에어벤트 밀봉장치
KR200493602Y1 (ko) * 2019-11-26 2021-04-30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362Y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62Y1 (ko) 벤트 커버
US9325363B2 (en) Weatherproof bulkhead mount
CN203909720U (zh) 防尘键盘
ATE461829T1 (de) Reifenventilbefestigungselement
RU2014148735A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ъемного фильтра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JP4274919B2 (ja) 空気調和機
US7639508B2 (en) Fastening of a built-in unit on a switchboard and fitting method for fastening a built-in unit
KR20140076399A (ko) 에어클리너
KR200442709Y1 (ko) 제습호스 장착구
KR20120055432A (ko) 벤트 캡 장치
KR20110052856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10428983B2 (en) Exhaust collar and method for flexibly attaching an exhaust funnel for an exhaust hood to a vent pipe and exhaust funnel device
CN111231842A (zh) 检测平台及具有其的智能驾驶车辆
JP2014152911A (ja) 通気構造
KR200483104Y1 (ko) 차량용 에어컨 필터 케이스 유닛
JP2008192750A (ja) 屋外装置の筐体構造
JP2006041865A (ja) 無線機器内部に配置されるマイクロホンの防水構造
RU2004122585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пуска воздуха для пылесоса
CN107013998B (zh) 一种密封结构、壳体及空调设备
KR10234262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CN107339176B (zh) 圆筒形车辆用空气过滤器和车辆用空气滤清器组件
WO2019228460A1 (zh) 支架及具有该支架的洗衣机
KR101426206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JP2014031807A (ja) ボール弁装置
JP2013151214A (ja) 車両用ドアの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