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02Y1 -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02Y1
KR200493602Y1 KR2020190004763U KR20190004763U KR200493602Y1 KR 200493602 Y1 KR200493602 Y1 KR 200493602Y1 KR 2020190004763 U KR2020190004763 U KR 2020190004763U KR 20190004763 U KR20190004763 U KR 20190004763U KR 200493602 Y1 KR200493602 Y1 KR 200493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locking
locking pie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를 필터링하여 청정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헤파 필터를 공기 청정실 내에 밀착 고정시키고 공기 청정실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폐되고, 측면에 필터 교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필터 교체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슬릿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 및 힌지 회전을 통해 상기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걸림편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잠금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편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걸림편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필터를 압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IR PURITY APPARATUS}
본 고안은 공기 청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청정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헤파 필터를 공기 청정실 내에 밀착 고정시키고 공기 청정실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 장치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팬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 및 배기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통상의 공기 청정 장치는 필터식과 전기 집진식으로 구분되며, 필터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하게 되고, 전기 집진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전기장에 의해 집진기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필터링 장치로는 헤파 필터, 미듐 필터, 카본 필터, 전기 집진식 필터 등이 있으며 재질의 품질 차이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재질의 소재로 냄새를 제거하며 또한 전극판에 DC(Direct Current) 전류를 흘려주면 전극판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공기 청정실 내부에 설치될 때 단순히 공기 청정실의 내부에 안착된 후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데, 이때 필터의 외측 부분과 공기 청정실 내측 부분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공기 청정실의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공기를 필터링할 때 공기 청정실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필터링되지 못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실과 필터 사이의 이격 공간을 없앨 수 있는 밀폐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894398호는 압력용기 내에 미세 먼지 제거 장치와 항온 항습 장치, 공기 살균 장치, 산소 공급 장치 등을 장착하고 공기 압력 증대 장치를 이용하여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장비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4398호(2009.04.14 등록)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공기를 필터링하여 청정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헤파 필터를 공기 청정실 내에 밀착 고정시키고 공기 청정실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 청정실 내부에 필터를 안착시킨 후 전후 좌우를 압박하여 공기 청정실과 필터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여 공기 필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상부가 개폐되고, 측면에 필터 교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필터 교체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슬릿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 및 힌지 회전을 통해 상기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걸림편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잠금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편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걸림편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필터를 압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걸림편과 상기 밀폐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인근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조임 부재를 통해 상기 밀폐 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밀폐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가 걸리는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고리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고리부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고리부를 상기 걸림부에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편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슬릿 이동하는 밀폐 이동부 및 상기 밀폐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필터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압박하는 밀폐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공기를 필터링하여 청정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헤파 필터를 공기 청정실 내에 밀착 고정시키고 공기 청정실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공기 청정실 내부에 필터를 안착시킨 후 전후 좌우를 압박하여 공기 청정실과 필터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여 공기 필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우측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좌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상부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이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우측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좌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상부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잠금 유닛이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0)는 하우징(110), 필터(120), 잠금 유닛(130), 및 밀폐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공기 청정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미생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어 청정된 공기를 유출입 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일방향에 형성되거나 양방향에 모두 형성되어 각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 부분이 힌지 결합(H)으로 형성되어 힌지 결합(H)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상부가 개폐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측면에 필터 교체구(미도시)가 형성되어 필터(120)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하우징(110)에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통로 부분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측면에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제1 관통공(111)을 통해 외측에 배치되는 걸림편(131)과 내측에 배치되는 밀폐 플레이트(140)가 결합되고, 제1 관통공(111)에서 결합편(131)이 슬릿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관통공(11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잠금 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 관통공(111)의 인근에 제2 관통공(112)이 복수로 형성되고, 제2 관통공(112)을 관통하는 조임 부재(150)를 통해 밀폐 플레이트(140)가 고정될 수 있다. 조임 부재(15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밀폐 플레이트(140)의 밀폐 이동부(141)와 연결되고, 조임 정도에 따라 밀폐 이동부(141)를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조임 부재(150)는 결합편(131)이 슬릿 이동하면 제2 관통공(112)에서 함께 슬릿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통공(112)은 4개로 구성되고, 조임 부재(150)는 제2 관통공(112)에 각각 배치되도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12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필터 교체구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어 통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 필터(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나, 통상적으로 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120)는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로 형성되어, 의약품, 식품 생산시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유입 공기의 청정화를 목적으로 하거나 재조합 DNA(Deoxyribonucleic Acid) 실험 등을 하는 실험실에서 외부로 유해한 미생물이 방출되지 않도록 배출구에 설치되어 안전 유지를 목적으로 할 수 있다.
필터(120)는 잠금 유닛(130)에 의해 제1 관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는 밀폐 플레이트(140)로부터 압박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로 밀폐되고,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제2 관통공(112)을 관통하는 조임 부재(150)에 의해 밀폐 플레이트(140)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밀폐될 수 있다.
잠금 유닛(130)은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밀폐 플레이트(14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함에 따라 밀폐 플레이트(140)가 필터(120)를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유닛(130)은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슬릿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131) 및 힌지 회전을 통해 걸림편(131)에 걸림 고정되어 걸림편(131)의 슬릿 위치를 고정하는 걸림고리(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편(131)은 제1 관통공(111)에서 결합 부재(C1)를 통해 밀폐 플레이트(140)의 밀폐 이동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편(131)은 결합 부재(C1)를 통해 밀폐 플레이트(140)와 연결되는 연결부(131-1) 및 연결부(131-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고리(132)가 걸리는 걸림부(1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편(131)은 제1 관통공(111)의 길이에 따라 슬릿 이동 거리가 가변될 수 있고, 걸림고리(132)의 고리부(132-2)가 걸림부(131-2)에 걸리게 되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고리(132)는 결합 부재(C2)를 통해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32-1), 걸림부(131-2)에 걸리는 고리 형태의 고리부(132-2) 및 사용자에 의해 고정부(132-1)로부터 회전하여 고리부(132-2)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고리부(132-2)를 걸림부(131-2)에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회전부(13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부(132-2)는 걸림부(131-2)에 의해 잠금되는 경우(도 3c) 하우징(110)의 제1 관통공(111)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 플레이트(1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하우징(110) 내에서 필터(120)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고리부(132-2)는 걸림부(131-2)에 의해 자유로울 때, 즉 잠금 해제되는 경우(도 3b) 하우징(110)의 제1 관통공(111)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 플레이트(140)와 하우징(110)의 내부 사이에 필터(120)가 수용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잠금 유닛(130)은 경첩에 해당하는 매미고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종래 매미고리의 결합편(131)과 결합고리(132)가 고정형으로 형성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 결합편(131)이 이동형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으로 인해 하우징(110) 내에서 필터(120)를 압박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밀폐 플레이트(14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결합 부재(C1)를 통해 걸림편(131)에 연결되고, 조임 부재(150)에 의해 하우징(11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밀폐 플레이트(140)는 걸림고리(132)에 의해 걸림편(131)의 위치가 고정되면 필터(120)를 압박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 플레이트(14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결합 부재(C1)를 통해 걸림편(131)에 연결되고, 걸림고리(132)에 의해 걸림편(131)의 위치가 고정되면 필터(120)를 압박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 플레이트(140)는 걸림편(13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밀폐 이동부(141)와 밀폐 이동부(141)에 연결되어 필터(120)를 압박하는 밀폐 압박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 이동부(141)는 걸림편(13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고, 걸림편(131)에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슬릿 이동할 수 있다. 밀폐 이동부(141)는 일면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수평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수평 이동하고, 타면이 절곡 형성되어 밀폐 압박부(142)와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이동부(141)는 일면에서 걸림편(131)과 연결되는 동시에 조임 부재(150)와 연결되어 조임 부재(150)의 조임 정도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밀폐 압박부(142)는 복수의 밀폐 이동부(141)와 연결되고, 필터(120)의 크기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 이동부(141)의 이동에 따라 필터(120)를 하우징 내에서 압박할 수 있다. 밀폐 압박부(142)는 필터(120)의 테두리 부분에만 밀착되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간섭 없이 필터(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폐 압박부(142)는 필터(120)를 압박하는 일면에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필터(120)와의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기 청정 장치
110: 하우징
120: 필터
130: 잠금 유닛
131: 걸림편
132: 걸림고리
140: 밀폐 플레이트
141: 밀폐 이동부
142: 밀폐 압박부
150: 조임 부재

Claims (4)

  1. 상부가 개폐되고, 측면에 필터 교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필터 교체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슬릿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림편 및 힌지 회전을 통해 상기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걸림편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잠금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편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걸림편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필터를 압박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걸림편과 상기 밀폐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인근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조임 부재를 통해 상기 밀폐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공기 청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밀폐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가 걸리는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고리는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고리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고리부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고리부를 상기 걸림부에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청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편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슬릿 이동하는 밀폐 이동부 및 상기 밀폐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필터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압박하는 밀폐 압박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2020190004763U 2019-11-26 2019-11-26 공기 청정 장치 KR200493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63U KR200493602Y1 (ko) 2019-11-26 2019-11-26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63U KR200493602Y1 (ko) 2019-11-26 2019-11-26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02Y1 true KR200493602Y1 (ko) 2021-04-30

Family

ID=7573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63U KR200493602Y1 (ko) 2019-11-26 2019-11-26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0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368A (ko) * 2005-05-20 2006-11-24 (주) 휴니웰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100845957B1 (ko) * 2007-03-27 2008-07-11 메가티엔에스 주식회사 집진기
KR100894398B1 (ko) 2006-07-07 2009-04-20 김영용 밀폐형공기청정기
KR20140004377U (ko) * 2013-01-11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벤트 커버
KR101856600B1 (ko) * 2017-10-30 2018-05-1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천장형 환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368A (ko) * 2005-05-20 2006-11-24 (주) 휴니웰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100894398B1 (ko) 2006-07-07 2009-04-20 김영용 밀폐형공기청정기
KR100845957B1 (ko) * 2007-03-27 2008-07-11 메가티엔에스 주식회사 집진기
KR20140004377U (ko) * 2013-01-11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벤트 커버
KR101856600B1 (ko) * 2017-10-30 2018-05-1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천장형 환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6115C (en) Dual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105964076B (zh) 具有平衡密封的空气过滤器
JP5222137B2 (ja) 流動層装置
US20030041572A1 (en) Incubator having combined HEPA and VOC filter
TWI661860B (zh) 空氣過濾器外殼、使用空氣過濾器外殼及將面板類型空氣過濾器安裝在空氣過濾器外殼中之方法
US10870074B2 (en) Multi-component holding assembly for multi-panel air filter
US9248386B2 (en) Leaf filter system and replaceable filter leaf apparatus
KR20120081805A (ko) 분리적용이 가능한 케미컬 필터
KR20200109348A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JP3774784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フィルタ交換用補助装置
KR200493602Y1 (ko) 공기 청정 장치
US20240082769A1 (en) Cartridges for Vertically Oriented Dust Collectors
BR112019000186B1 (pt) Elemento de filtro para uso com aberturas de folha tubular e método de montar uma pluralidade de elementos de filtro
KR102382831B1 (ko) 레이저 가공용 탈취 집진기
US11130086B2 (en) No ramp lift rails for vertically oriented dust collector cartridges
JPH10337431A (ja) 粒子状濾過材層を有するバグフィルタ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7303831B2 (ja) 密閉部を有するフィルター装置
KR102542353B1 (ko) 탈착형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공기질 개선장치
KR102024657B1 (ko) 덕트레스 크린 흄후드
JPH04156910A (ja) フィルタ副組立体
CN211177665U (zh) 具有隔离结构的无尘洁净烘箱
CN210964384U (zh) 一种可更换过滤材料的空气净化器
CN219083317U (zh) 具有深层灭菌净化效果的新风净化器
CN214719245U (zh) 一种焊烟净化器
CN215085712U (zh) 一种3d打印机用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