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193U -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193U
KR20140004193U KR2020130010402U KR20130010402U KR20140004193U KR 20140004193 U KR20140004193 U KR 20140004193U KR 2020130010402 U KR2020130010402 U KR 2020130010402U KR 20130010402 U KR20130010402 U KR 20130010402U KR 20140004193 U KR20140004193 U KR 201400041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ody
screen
holes
vehicle
sun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90Y1 (ko
Inventor
폴 린
후앙-젠 왕
Original Assignee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마카오토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04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당김 바아(3)는 차량의 선루프 아래에서 차양 장치(7)의 스크린(71)의 일 단부에 부착되도록 적합화된다. 당김 바아(3)는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포함한다. 상부 스트립 동체(31)는 스크린(71)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다. 하부 스트립 동체(32)는 스크린(71)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다.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는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 통로(30)를 협동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Pull bar and a sunshad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차양 장치의 당김 바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루프 아래에서 차양 장치의 스크린의 일 단부에 부착되기 위한 당김 바아에 관한 것이다.
선루프가 제공된 차량에 대하여, 차양 장치는 일반적으로 선루프가 개방되었을 때 차량에 태양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선루프 아래에 장착된다. 통상적인 차양 장치는 일반적으로, 권취 메카니즘, 선루프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부들상에 각각 장착되도록 적합화되는 2 개의 안내 레일들, 권취 메카니즘에 후퇴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내 레일들에 움직일 수 있게 각각 배치된 2 개의 측방향 측부들을 가진 스크린(screen) 및, 스크린의 자유 단부상에 장착된 당김 바아(pull bar)를 포함한다. 스크린이 권취 메카니즘으로부터 이탈되게 연장된 이후에, 스크린은 선루프의 개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차양 장치는 사용시에 일부 단점을 가진다. 선루프의 개방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는 불완전하게 감싸인 공간이다. 차량 도어를 폐쇄시킬 때, 차량 내부의 공기는 선루프를 통해 외부로 유동하도록 추진된다. 차량 도어의 개방시에, 차량 외부의 공기는 선루프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동하도록 유인된다. 스크린은 선루프 개방시의 공기 투과성보다 작은 공기 투과성(air permeability)을 가지기 때문에, 선루프를 통하여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공기가 유동하면서 스크린이 선루프를 두드릴 때 소음이 발생된다. 더욱이,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에, 공기가 개방된 차량 윈도우를 통하여 차량 안으로 유동하고 선루프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 선루프를 두드리는 스크린에 의하여 소음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단점들을 경감시킬 수 있는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구비한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당김 바아는 차양 장치의 스크린의 일 단부에 부착되도록 적합화되고, 상부 스트립 동체 및 하부 스트립 동체를 포함한다.
상부 스트립 동체는 스크린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다.
하부 스트립 동체는 스크린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다.
상부 스트립 동체 및 하부 스트립 동체는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부 스트립 동체 및 하부 스트립 동체를 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 통로를 협동하여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양 장치는 차량의 선루프 아래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되고, 스크린 및 상기 언급된 당김 바아를 포함한다. 스크린은 선루프 아래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에 기인하여 스크린이 흔들리거나 선루프를 두드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따라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당김 바아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3 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 유동 통로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인 후방 단면도이다.
도 5 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 유동 통로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 유동 통로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양 장치(7)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차량(미도시)의 선루프(미도시) 아래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된다. 차양 장치(7)는 선루프(sunroof) 아래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된 스크린(71) 및, 스크린(71)의 일 단부에 부착된 당김 바아(pull bar, 3)를 구비한다. 당김 바아(3)는 선루프의 개구(미도시)를 덮기 위한 스크린(71)을 당기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당김 바아(3)는 스크린(71)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는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스크린(71)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는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스트립 동체(31,32)들은 상부 및 하부 스트립 동체(31,32)들을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 통로(30)를 협동하여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차량의 내외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스럽게는, 하부 스트립 동체(32)에 파지용 돌출부(321)가 제공되며, 파지용 돌출부는 당김 바아(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스트립 동체(32)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공기 유동 통로(30)는 상부 스트립 동체(31)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구멍(301)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구멍(303)을 구비한다. 바람직스럽게는, 공기 유동 통로(30)가 상부 및 하부 스트립 동체(31,32)들의 대향되게 인접한 표면들 사이에 소통 공간(305)을 더 포함한다. 소통 공간(305)은 상부 및 하부 구멍(301,303)들과 상호 소통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유동 통로(30)는 상부 스트립 동체(31)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부 구멍(301),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 구멍(303) 및, 상부 및 하부 스트립 동체(31,32)들의 대향되게 인접한 표면들 사이에 형성된 소통 공간(305)을 포함한다. 소통 공간(305)은 상부 및 하부 구멍(301,303)들과 상호 소통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구멍(301)들은 하부 구멍(303)들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부 구멍(301)들은 당김 바아(3)의 상부-저부 방향에서 하부 구멍(303)들과 간접적으로 소통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상부 스트립 동체(31)의 길이 방향에서 연장된 상부 구멍(301)들의 2 개의 이격된 상부 열들이 있으며, 상부 열들중 하나의 상부 구멍(301)들 각각은 상부 열들중 다른 하나의 상부 구멍(301)들중 대응하는 하나와 정렬된다. 상부 열들 각각에 대하여, 상부 구멍(301)들은 상부 스트립 동체(31)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상부 구멍(301)들 각각은 상부 스트립 동체(31)에 대하여 직각인 선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구멍(303)들의 2 개의 이격된 하부 열들이 있으며, 하부 열들중 하나의 하부 구멍(303)들 각각은 하부 열들중 다른 하나의 하부 구멍(303)들중 대응하는 하나와 정렬된다. 하부 열들 각각에 대하여, 하부 구멍(303)들은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하부 구멍(303)들 각각은 하부 스트립 동체(32)에 대하여 직각인 선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구멍(301)들 각각은 소통 공간(305)과 소통하고 아래로 향하는 저부 개방 단부(302)를 가진다. 하부 구멍(303)들 각각은 소통 공간(305)과 소통하면서 위로 향하는 상부 개방 단부(304)를 가진다. 상부 구멍(301)들의 저부 개방 단부(302)들은 하부 구멍(303)들의 상부 개방 단부(304)들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통 공간(305)은 상부 스트립 동체(31)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만입된다. 실제 구현예에서, 소통 공간(305)은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만입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상부 스트립 동체(31)의 저부 표면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상부 표면은 소통 공간(305)을 협동하여 형성하기 위한 상응하는 만입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당김 바아(3)의 구조적인 설계에 의하여, 선루프가 개방 상태에 있고 차양 장치(7)의 스크린(71)이 연장되어 있을 때, 공기 유동 통로(30)는 공기가 선루프를 통하여 차량의 안과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량 도어(미도시)의 개방/폐쇄시에, 공기는 당김 바아(3)의 공기 유동 통로(30)를 통해 유동하도록 지향됨으로써 스크린(71)이 흔들리고 선루프를 두드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된다. 더욱이, 차량의 움직임 동안에, 공기 유동 통로(30)는 개방된 차량 윈도우로부터 차량 안으로 흐르는 공기가 차량 밖으로 배출되도록 지향시킬 수 있어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선루프상에서 스크린(72)이 흔들리고 두드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구멍(301,303)들은 각각 경사지고, 공기 유동 통로(30)를 통한 태양광의 차단을 위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측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차단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상부 구멍(301)들의 저부 개방 단부(302)들이 하부 구멍(303)들의 상부 개방 단부(304)들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는 한, 오직 상부 구멍(301)들이 상부 스트립 동체(31)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또는 오직 하부 구멍(303)들이 하부 스트립 동체(32)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욱이, 소통 공간(305)은 상부 및 하부 구멍(301,303)들과의 상호 소통을 위한 주요 공간이며, 그에 의해서 상부 구멍(301)과 하부 구멍(303) 사이의 공기 유량이 증가된다. 그러나, 실제 구현예에서, 소통 공간(305)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부 및 하부 구멍(301,303)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소통될 수 있어서, 공기는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71)에 대한 공기 유동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크린(71)이 흔들리고 선루프를 두드리는 것을 방지한다.
요약하면, 당김 바아(3)의 구조적인 설계에 의하여, 공기 유동 통로(30)는 차량 도어의 개방/폐쇄시에 또는 차량의 윈도우가 개방된 상태로 움직이는 동안에 공기가 차량의 안과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허용한다. 따라서, 스크린(71)은 공기 유동에 의해 영향을 덜 받으며, 스크린(71)의 흔들림은 감소된다.
본 고안이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및 등가의 구성물 모두를 포함하기 위하여 가장 넓게 해석되는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3. 당김 바아 7. 차양 장치
31. 상부 스트립 장치 32. 하부 스트립 장치
305. 소통 공간

Claims (9)

  1. 차량의 선루프(sunroof) 아래에 있는 차양 장치(7)의 스크린(71)의 일 단부에 부착되도록 적합화된 당김 바아(pull bar, 3)로서,
    스크린(71)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스크린(71)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도록 적합화된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는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 통로(30)를 협동하여 형성하는, 당김 바아(3).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통로(30)는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구멍(301) 및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구멍(303)을 포함하는, 당김 바아(3).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통로(30)는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와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대향하는 인접 표면들 사이에 소통 공간(3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통 공간(305)은 상기 상부 구멍(301) 및 하부 구멍(303)을 상호 소통시키는, 당김 바아(3).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통로(30)는,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부 구멍(301)들,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부 구멍(303)들 및,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하부 스트립 동체(32)의 대향하는 인접 표면들 사이에 형성된 소통 공간(305)을 포함하고,
    상기 소통 공간(305)은 상기 상부 구멍(301) 및 하부 구멍(303)을 상호 소통시키는, 당김 바아(3).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멍(301)들은 상기 하부 구멍(303)들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는, 당김 바아(3).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멍(301)들 각각은, 아래로 향하고 상기 소통 공간(305)과 소통하는 저부 개방 단부(302)를 가지고,
    상기 하부 구멍(303)들 각각은, 위로 향하고 상기 소통 공간(305)과 소통하는 상부 개방 단부(304)를 가지고,
    상기 상부 구멍(301)들의 상기 저부 개방 단부(302)들은 상기 하부 구멍(303)들의 상기 상부 개방 단부(304)들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는, 당김 바아(3).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멍(301)은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에 직각인 선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바아(3).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멍(303)은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3)에 직각인 선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바아(3).
  9. 차량의 선루프 아래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된 차양 장치(7)로서,
    선루프 아래에 위치되도록 적합화된 스크린(71); 및,
    상기 스크린(71)의 일 단부에 부착된 당김 바아(3);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바아(3)는,
    상기 스크린(71)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는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상기 스크린(71)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맞닿는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는 차량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부 스트립 동체(31) 및 상기 하부 스트립 동체(32)를 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 통로(30)를 협동하여 형성하는, 차양 장치(7).
KR2020130010402U 2012-12-28 2013-12-13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KR2004829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25566U TWM455637U (zh) 2012-12-28 2012-12-28 天窗遮陽簾之邊條
TW101225566 201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93U true KR20140004193U (ko) 2014-07-08
KR200482990Y1 KR200482990Y1 (ko) 2017-03-23

Family

ID=4903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02U KR200482990Y1 (ko) 2012-12-28 2013-12-13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6304B2 (ko)
JP (1) JP3189648U (ko)
KR (1) KR200482990Y1 (ko)
CN (1) CN203485719U (ko)
DE (1) DE202013009851U1 (ko)
TW (1) TWM4556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1287A (zh) * 2015-03-17 2015-06-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回收的汽车天窗遮阳帘结构
TWM511963U (zh) * 2015-07-28 2015-11-11 Macauto Ind Co Ltd 遮物簾拉把
CN108128128A (zh) * 2017-12-18 2018-06-08 谢祥宇 车辆维修防尘遮蔽装置
JP7219835B1 (ja) * 2022-03-28 2023-02-08 八千代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200A (en) * 1985-08-02 1988-01-05 Krueger Peter Sliding liner for a sliding roof for automobiles
JP2006264354A (ja) * 2005-03-22 2006-10-05 Honda Motor Co Ltd サンシェー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200A (en) * 1985-08-02 1988-01-05 Krueger Peter Sliding liner for a sliding roof for automobiles
JP2006264354A (ja) * 2005-03-22 2006-10-05 Honda Motor Co Ltd サン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90Y1 (ko) 2017-03-23
TWM455637U (zh) 2013-06-21
JP3189648U (ja) 2014-03-27
US20140183908A1 (en) 2014-07-03
CN203485719U (zh) 2014-03-19
DE202013009851U1 (de) 2014-01-30
US8936304B2 (en)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990Y1 (ko) 당김 바아 및, 당김 바아를 포함하는 차양 장치
CN105121197B (zh) 天窗设备
DE502005008877D1 (de) Windabweiser für ein fahrzeugdach
WO2016143216A1 (ja) フロントガラスの排水構造
KR200462348Y1 (ko)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지게차 캐빈
KR200460972Y1 (ko) 차양막 이탈방지장치
CN104553702A (zh) 天窗导流板的结构
KR100528577B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US6802356B2 (en) Window blind having a restrainable bottom rail
KR101219396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연동형 롤블라인드 장치
CN201818227U (zh) 车辆天窗遮阳卷帘
CN104972872A (zh) 一种汽车天窗拼接可变式遮阳罩
KR100725840B1 (ko) 천막의 구조
CN210425418U (zh) 改进型仿古通风口
JP2014237447A (ja) 自動車用エアー噴射装置
US1371524A (en) Porch-curtain
KR200325685Y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100968831B1 (ko) 선루프 블라인드 홀더
JP6312986B2 (ja) サンルーフ装置
CN211252166U (zh) 一种导向性好的汽车天窗导轨
CN105172537A (zh) 一种汽车天窗拼接可变式遮阳罩
KR20130081892A (ko)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KR101764465B1 (ko)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CN217294691U (zh) 一种汽车车尾防蚊帘
CN218054823U (zh) 车用投影天窗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