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465B1 -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 Google Patents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465B1
KR101764465B1 KR1020140058222A KR20140058222A KR101764465B1 KR 101764465 B1 KR101764465 B1 KR 101764465B1 KR 1020140058222 A KR1020140058222 A KR 1020140058222A KR 20140058222 A KR20140058222 A KR 20140058222A KR 101764465 B1 KR101764465 B1 KR 10176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indow frame
finishing cap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506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5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4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의 레일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과 직접 접촉함으로 인한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의 레일상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번거로움 없이 창틀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은,
합성수지로 되고, 전면 및 후면에 전후로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돌출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 상단의 레일턱과 나란히 이어지는 수직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finishing cap for installing rail of window frame }
본 발명은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의 창틀 내측면과 금속재의 레일 단부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금속재 레일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과 직접 접촉함으로 인한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의 레일상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번거로움 없이 창틀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 구조물의 내외부에는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이 마련된다.
이때, 창문은 내측에 유리판이 결합되는 창짝과, 창짝을 지지하는 창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창틀 내에서 창짝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창짝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창문 즉, 미서기 창문의 경우 창짝의 슬라이드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개실용신안 제20-1985-0006763호(공개일 1985. 09. 13)에 개시된 바와 같은 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레일은 창틀과 동일 재질로 될 수 있으나, 레일과 창틀이 동일 재질로 되는 경우 구름성이 저하되어 창틀상에서의 창짝 슬라이드가 원활치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바, 최근 창문의 경우 레일이 창틀과 다른 재질로 별도 제작되어 창틀에 결합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창문에서 창틀(100') 및 창짝(200')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레일(300')은 금속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금속으로 되는 레일(300')의 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창틀(100') 및 창짝(200')이 합성수지로 되고, 레일(300')이 금속으로 되며, 레일(300')의 단부가 창틀(10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는 경우 레일(300') 설치과정에서 레일(300')의 단부가 창틀(100')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자칫 창틀(100')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창틀에 설치되는 레일에는 창틀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레일이 금속으로 되는 경우 레일의 재질 특성상 레일상의 배수구 형성에 곤란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금속재의 레일이 합성수지재의 창틀과 접촉함으로 인한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상의 배수구 형성에 따르는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합성수지재의 창틀에 금속재의 레일이 설치될 때 금속재의 레일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 내측면에 접촉함에 따라 창틀이 손상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레일상에 배수를 위한 통공을 형성할 때 레일이 금속재로 됨에 따라 배수구 형성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은,
합성수지로 되고, 전면 및 후면에 전후로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돌출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 상단의 레일턱과 나란히 이어지는 수직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폭 및 높이는 레일턱을 제외한 레일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통공 하단은 몸체의 하단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돌출부는 레일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외면이 레일의 내면에 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돌출부는 각관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돌출부는 상하 또는 좌우 분리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돌출부의 단면 형태는 레일 상단의 레일턱 단면 형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은 몸체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인바, 몸체가 합성수지재의 창틀과 금속재의 레일 단부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금속재의 레일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금속재의 레일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 내측면에 직접 접촉함에 따른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은 몸체 하단부에 전후로 이어지는 통공이 형성된 것인바, 몸체의 통공을 통해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창틀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금속재의 레일에 배수구를 형성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과 레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이 창문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에서의 배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에서 수평돌출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종래 창틀에서의 레일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A)은 몸체(10)와, 수평돌출부(20)와, 수직돌출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합성수지로 되는 것으로, 전면 및 후면에 전후로 연통하는 통공(11)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의 폭 및 높이는 레일턱(310)을 제외한 레일(300)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폭 및 높이가 레일턱(310)을 제외한 레일(300)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함으로써 몸체(10)가 레일(300)에 결합되더라도 레일(300)이 연장되어 보일 뿐 몸체(10)로 인한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통공(11) 하단은 몸체(10)의 하단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통공(11) 하단이 몸체(10)의 하단에 인접함으로써 통공(11)으로의 물 유입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므로 창틀(100)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가 저수위에서도 통공(11)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10)에서 통공(11)은 몸체(10) 전후로 물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되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며, 그 예로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평돌출부(20)는 몸체(10)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300)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평돌출부(20)는 레일(10)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외면이 레일(300)의 내면에 밀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돌출부(20)가 레일(300)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외면이 레일(300)의 내면에 밀접함으로써 수평돌출부(20)와 레일(300)의 결합이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평돌출부(20)는 각관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돌출부(20)가 각관 형태로 됨으로써 수평돌출부(20)의 외면이 레일(300)의 내면과 접하게 되면 레일(300)상에서 수평돌출부(20) 및 이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레일(300)상의 몸체(10) 정위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평돌출부(20)는 상하 분리형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분리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돌출부(20)가 상하 또는 좌우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됨으로써 수평돌출부(20) 각각의 외면이 레일(300)의 내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수평돌출부(20)와 레일(300)의 결합이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 수평돌출부(20)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수평돌출부(20)에 의해 레일(300)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돌출부(30)는 몸체(10)의 상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300) 상단의 레일턱(310)과 나란히 이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돌출부(30)의 단면 형태는 레일(300) 상단의 레일턱(310) 단면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돌출부(30)의 단면 형태가 레일(30) 상단의 레일턱(310) 단면 형태와 동일함으로써 수직돌출부(30)가 레일턱(310)을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레일(300)상에서 슬라이드 되는 창짝(200)이 수직돌출부(30)에 이르더라도 슬라이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A)을 이용한 레일(300)의 설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돌출부(20)의 선단을 레일(300)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몸체(10)와 레일(20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돌출부(20)는 각관 형태로 되는 것이면서 레일(300)의 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그 외면이 레일(300)의 내면에 밀접하는 것인바, 레일(300)상에서 수평돌출부(20) 및 이와 연결된 몸체(10)의 회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평돌출부(20)와 레일(300)이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몸체(10)가 레일(300)에 바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몸체(10)의 폭 및 높이는 레일턱(310)을 제외한 레일(300)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것인바, 몸체(10)가 레일(300)에 결합되더라도 레일(300)이 연장되어 보일 뿐 몸체(10)로 인한 이질감이 최소화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몸체(10)와 결합한 레일(300)이 창틀(100) 바닥에 고정될 때 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과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10)가 창틀(100)과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몸체(10)에 의해 레일(300) 단부가 창틀(100)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금속재의 레일(300)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100)과 접촉함으로 인한 창틀(1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창틀(100)과 레일(300) 사이에 몸체(10)가 위치하는 경우 몸체(10)의 간섭으로 인하여 창짝(200)의 슬라이드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몸체(10) 상단에는 레일(300) 상단의 레일턱(310)과 나란히 이어지면서 그 단면 형태가 레일(300) 상단의 레일턱(310) 단면 형태와 동일한 수직돌출부(30)가 마련되어 있는바, 수직돌출부(30)가 레일턱(310)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창틀(100)과 레일(300) 사이에 몸체(10)가 위치하는 것과 무관하게 창짝(200)의 슬라이드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A)은 창틀(100)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몸체(10)는 전면 및 후면에 전후로 연통하는 통공(11)이 형성된 것인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가 몸체(10)의 통공(11)을 통해 유동하여 창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금속재의 레일(300)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수고로움 없이도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A)은, 몸체(10)가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고, 몸체(10) 하단부에 전후로 이어지는 통공(11)이 형성된 것인바, 몸체(10)가 합성수지재의 창틀(100)과 금속재의 레일(300) 단부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금속재의 레일(300)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몸체(10)의 통공(11)을 통해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창틀(100) 내부 측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결로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금속재의 레일(300) 단부가 합성수지재의 창틀(100) 내측면에 직접 접촉함에 따른 창틀(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의 레일(300)에 배수구를 형성함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몸체 11 : 통공
20 : 수평돌출부 30 : 수직돌출부
100, 100' : 창틀 200, 200' : 창짝
300. 300' : 레일 310 : 레일턱
A : 마감캡

Claims (7)

  1. 합성수지로 되고, 전면 및 후면에 전후로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돌출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 상단의 레일턱과 나란히 이어지는 수직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 및 높이는 레일턱을 제외한 레일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통공 하단은 몸체의 하단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돌출부는 레일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외면이 레일의 내면에 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돌출부는 각관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돌출부는 상하 또는 좌우 분리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출부의 단면 형태는 레일 상단의 레일턱 단면 형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KR1020140058222A 2014-05-15 2014-05-15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KR10176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22A KR101764465B1 (ko) 2014-05-15 2014-05-15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22A KR101764465B1 (ko) 2014-05-15 2014-05-15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06A KR20150131506A (ko) 2015-11-25
KR101764465B1 true KR101764465B1 (ko) 2017-08-02

Family

ID=5484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222A KR101764465B1 (ko) 2014-05-15 2014-05-15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22A (ko) 2018-12-14 2020-06-24 함동진 내창용 창틀 외면 마감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18Y1 (ko) 2003-12-30 2004-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창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18Y1 (ko) 2003-12-30 2004-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이중구조 연결재의 분리형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06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2054031B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060553B1 (ko)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
JP6062746B2 (ja) 車両ドアのベルトラインモール
CN111546864A (zh) 车辆推拉窗及其车窗玻璃滑轨
KR101764465B1 (ko) 창틀의 레일 설치용 마감캡
KR20170131103A (ko) 창호 프레임 구조
CN208578448U (zh) 一种防积灰易清洁下轨道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1351053B1 (ko) 창호용 고무가스켓 가이드구조
JP2016141274A (ja) 非固定式ルーフのシール構造
CN210101288U (zh) 一种汽车天窗导轨
TWM458448U (zh) 鋁門窗下軌防水結構
CN204571694U (zh) 防漏水推拉门窗下滑型材
KR20130081892A (ko)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CN205531979U (zh) 新型排水结构铝合金门窗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CN212422775U (zh) 车辆推拉窗及其车窗玻璃滑轨
CN209637607U (zh) 一种带有错位排水孔的铝合金推拉门窗
CN204024342U (zh) 一种用于塑钢门窗的推拉框
CN217681245U (zh) 一种门窗中梃的排水结构
CN211081522U (zh) 一种隐藏排水式折叠门
CN107905679A (zh) 一种带有隐形排水孔的推拉门窗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