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85U -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085U
KR20140004085U KR2020120012156U KR20120012156U KR20140004085U KR 20140004085 U KR20140004085 U KR 20140004085U KR 2020120012156 U KR2020120012156 U KR 2020120012156U KR 20120012156 U KR20120012156 U KR 20120012156U KR 20140004085 U KR20140004085 U KR 20140004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fastening
insertion hole
fastening pip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331Y1 (ko
Inventor
남종현
박은정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3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폼패드 고정부 및 상기 폼패드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폼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Detachable doortrim hammer for side impact tes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의 측면 충돌시험과 관련하여 간이 시험대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도어트림 충격 부하자 및 그 제작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의 어려움을 개선시킨 탈부착식 충격 부하자 및 그 제작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트림은 상기 차량에 체결하기 전에 충격 테스트를 통해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측면의 충돌 및 충격에 대한 안정성 검사를 하게 된다.
이때, 충돌시험은 실제 주행환경과 동일/유사하도록 만들고, 전방 충돌시험 또는 측면 충돌시험 등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 및 충돌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상기 시험들을 진행해왔다.
따라서, 상기 시험들을 진행하는 경우, 각 시험에 부합할 수 있도록 알맞은 형태의 부하자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자 베이스의 일측에는 충격 부하자를 더 구비하여 도어트림의 충격 및 충돌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부하자 베이스 및 충격 부하자는 볼트 또는 용접으로 체결되었고, 차종에 따라 철판 및 고무재질의 폼 패드를 충격 부하자 전면부에 테이핑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 도어트림 충돌 시험에 대한 시험차량이 변경되거나, 상기 충돌 시험의 각도 및 위치를 변경시킬 경우 부하자 베이스를 변경하거나, 기존에 부착되어 있던 충격 부하자 전면에 부착되는 폼 패드를 떼어내고 새로운 폼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부하자 베이스 및 폼패드를 체결시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 플런저를 구비하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며, 폼패드 삽입홀 및 폼패드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폼패드를 부착할 수 있는 충돌 시험용 부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출격 부하자에 있어서, 체결관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체결관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체결관이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슨 폼패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폼패드 고정부 및 상기 폼패드 체결돌기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면에 폼패드 삽입홀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관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측에 제 1 플런저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관의 내측에는 제 2 플런저 삽입홀을 구비하여 스프링 플런저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패드는 차량의 종류 및 시험 방법에 따라 크기 및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스프링 플런저를 구비하여 베이스부와 폼패드 고정부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폼패드의 일측에 폼패드 삽입홀을 구비하고, 폼패드 고정부의 일측에 폼패드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폼패드를 별도의 테이핑 없이 폼패드 고정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 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결합 전 사시도, 및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결합 후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는 체결관 수용부(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0), 체결관 수용부(11)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체결관(21)이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폼패드 체결돌기(23)가 형성되는 폼패드 고정부(20) 및 상기 폼패드 체결돌기(23)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면에 폼패드 삽입홀(31)을 구비하는 폼패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도어트림 충돌 시험장치의 충격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는 후술할 체결관(21)과 결합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의 내측에 체결관 수용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사각형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1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베이스부(10)를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부(10)의 재질은 도어트림 충돌시험의 강도를 버틸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0)는 철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 는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관 수용부(11)는 베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며, 후술할 체결관(21)보다 지름이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관 수용부(11)는 복수개의 제 1 플런저 삽입홀(12)이 구비되어 후술할 스프링 플런저(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체결관 수용부(11)는 원형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체결관 수용부(11)를 원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제 1 플런저 삽입홀(12)은 체결관 수용부(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런저 삽입홀(12)의 크기는 스프링 플런저(40)의 크기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 플런저(4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폼패드 고정부(20)는 베이스부(10) 및 폼패드(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폼패드 고정부(20)는 베이스(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면에 체결관(21)이 형성되며, 타면에 폼패드(30)와 결합하도록 복수개의 폼패드 체결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폼패드 고정부(20)는 사각형으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패드 고정부(20)는 도어트림의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각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트림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도어트림에 맞는 폼패드 고정부(2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관(21)은 폼패드 고정부(20)의 내측에 기둥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폼패드 고정부(20)의 형태는 체결관 수용부(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관 수용부(11)의 형상이 삼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일 경우, 체결관(21)은 이에 맞추어 삼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체결관(21)을 원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체결관(21)은 체결관 수용부(11)의 종단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관(21)을 터널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관 수용부(11)에 삽입하게 되면, 체결관(21)은 체결관 수용부(1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관(21)의 일측에는 제 2 플런저 삽입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플런저 삽입홀(22)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 1 플런저 삽입홀(12)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플런저 삽입홀(22)는 체결관(21)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 플런저(40)와 체결할 수 있도록 제 2 플런저 삽입홀(22)의 내측을 나사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플런저 삽입홀(22)의 개수는 체결관 수용부(11)에 형성된 제 1 플런저 삽입홀(12)의 개수와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플런저(40)는 제 2 플런저 삽입홀(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플런저(40)의 외측에는 나사선을 구비하여 제 2 플런저 삽입홀(22)에 나사결합 하도록 할 수 있다.
폼패드 체결돌기(23)는 폼패드 고정부(20)의 타면에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폼패드 체결돌기(23)는 후술할 폼패드 삽입홈(31)에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하드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폼패드 체결돌기(23)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패드 체결 돌기(23)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원형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폼패드(30)는 도어트림에 직접적으로 충돌 시험을 한다는 점에서, 시험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패드(30)는 철판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험의 종류에 따라 알맞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폼패드(30)는 폼패드 고정부(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폼패드(30) 일면에 폼패드 삽입 홀(31)을 구비할 수 있다.
폼패드 삽입홀(31)은 폼패드(3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폼패드 삽입홀(31)의 크기는 폼패드 고정부(20)에 구비되는 폼패드 체결돌기(23)의 크기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폼패드(30) 하부에 구비되는 폼패드 삽입 홀(31)은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폼패드 체결돌기(23)에 폼패드 삽입홀(31)을 삽입하면 탄성에 의해 폼패드 삽입홀(31)의 크기는 소정정도 벌어지게 되어 폼패드 체결돌기(23)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결합 전 사시도 이고,
도 3a 및 도 3b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 시험용 충격 부하자의결합 후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부하자의 체결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10) 내측에 구비되는 체결관 수용부(11)에 폼패드 고정부(20) 일면에 구비되는 체결관(21)을 삽입한다.
이때, 체결관(21)에 구비되는 제 2 플런저 삽입홀(22)에는 스프링 플런저(40)를 나사결합하여 제 2 플런저 삽입홀(22)과 스프링 플런저(40)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관 수용부(11)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체결관(21)보다 소정정도 볼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스프링 플런저(40)는 측면에서 가압되는 경우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체결관(21)과 동일한 높이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관 수용부(11)에 의해 스프링 플런저(40)는 측면에서 외압을 받게 되고, 스프링 플런저(40)는 체결관(21)과 동일한 높이로 가변한다.
이후, 제 1 플런저 삽입홀(12)과 스프링 플런저(40)가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스프링플런저(40)의 일측이 스프링에 의해 다시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용접이 필요없이 베이스(10) 및 폼패드 고정부(20)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폼패드 고정부(20)의 타면에 형성되는 폼패드 체결돌기(23)에 폼패드 삽입홀(31)을 체결하도록 한다. 이때, 폼패드 체결돌기(23)는 폼패드와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드한 재질로 구비되어 있으며, 폼패드 삽입홀(31)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폼패드, 체결돌기(23)의 크기보다 소정정도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폼패드 삽입홀(31)을 폼패드 체결돌기(23)의 위치에 맞추고 난 뒤, 가압하게 되면, 탄성이 큰 폼패드 삽입홀(31)은 소정정도 벌어지게 되어 폼패드 체결돌기(23)에 삽입된다.
따라서, 폼패드(30)는 별도의 테이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폼패드 체결돌기(23)에 시험용도에 알맞은 폼패드(30)를 부착하여 시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충돌이 진행되어 소모된 폼패드(30)의 유지 및 보수를 간단히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베이스
11: 체결관 수용부
12: 제 1 플런저 삽입홀
20: 폼패드 고정부
21: 체결관
22: 제 2 플런저 삽입홀
23: 폼패드 체결돌기
30: 폼패드
31: 폼패드 삽입홀
40: 스프링 플런저

Claims (3)

  1. 체결관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체결관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체결관이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폼패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폼패드 고정부; 및
    상기 폼패드 체결돌기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면에 폼패드 삽입홀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측에 제 1 플런저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의 내측에 제 2 플런저 삽입홀을 구비하여 스프링 플런저와 나사결합하는 자동차 도어트림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KR2020120012156U 2012-12-24 2012-12-24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KR200474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56U KR200474331Y1 (ko) 2012-12-24 2012-12-24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56U KR200474331Y1 (ko) 2012-12-24 2012-12-24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85U true KR20140004085U (ko) 2014-07-04
KR200474331Y1 KR200474331Y1 (ko) 2014-09-15

Family

ID=5200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156U KR200474331Y1 (ko) 2012-12-24 2012-12-24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383A (zh) * 2019-05-13 2019-08-20 湖南省普瑞达内装材料有限公司 一种Poron泡棉用抗冲击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220Y1 (ko) * 2015-01-22 2016-08-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820B1 (ko) * 1995-08-21 1998-12-01 전성원 차량의 측면 충돌 시험장치
KR20050108753A (ko) * 2004-05-13 2005-11-17 한일이화주식회사 측면 충돌 시험용 부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383A (zh) * 2019-05-13 2019-08-20 湖南省普瑞达内装材料有限公司 一种Poron泡棉用抗冲击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31Y1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9472B2 (ja) 防振装置
WO2012073680A1 (ja) 衝撃吸収部材
EP2698558A1 (en) Impact absorption member
JP2007132044A (ja) 構造物用弾性支承体
US20160200271A1 (en) Bumper assemblies for vehicles
KR20140004085U (ko)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KR101696237B1 (ko) 펑크 수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펑크 수리 방법
US20120128413A1 (en) Vehicle securing structure
JP2001048054A (ja) 車体のフレーム構造
US10059295B2 (en)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near seat belt anchor bolt
KR101797532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CN104655431A (zh) 模拟汽车副车架脱落试验中使用的安装夹具及其模拟试验方法
US11285801B2 (en) Isolation flange
CN105740550A (zh) 安全带固定点强度分析中紧固连接件的仿真方法
CN209961433U (zh) 振动工装
CN204061676U (zh) 用于机动车辆的轴承
JP2013141936A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US20230202567A1 (en) Hollow Chamber Support Assembly For A Vehicle
KR101783357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JP2010144908A (ja) クリップ、衝撃吸収材、衝撃吸収材成形用金型及び衝撃吸収材取付構造
KR102253810B1 (ko) 차량용 헤드라이닝 검사구
KR101895271B1 (ko) 차량용 시트 커버의 제조 지그
KR20110108630A (ko) 차량용 사이드 실 유닛
KR102667353B1 (ko) 자동차 충돌 시험장치
KR20200134414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강성 보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