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00A - 커넥터 단자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00A
KR20140003600A KR20137027368A KR20137027368A KR20140003600A KR 20140003600 A KR20140003600 A KR 20140003600A KR 20137027368 A KR20137027368 A KR 20137027368A KR 20137027368 A KR20137027368 A KR 20137027368A KR 20140003600 A KR20140003600 A KR 2014000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terminal
connector terminal
lan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카즈 나가사카
타쿠미 나카기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하우징(3)의 단자 수용실(5)에 수용되고, 단자 수용실(5) 내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걸음 랜스(7)와 걸어맞추어지는 커넥터 단자로서, 단자 수용실(5)의 개구(9)측에 배치되어 통 형상으로 설치된 접속부(11)와, 접속부 (11)에 설치되고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돌출부(13)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구(15)와, 피걸어맞춤구(15)에 설치되고, 접속부(11)가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맞닿아,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되고, 단자 수용실 내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걸음 랜스와 걸어맞추어지는 커넥터 단자로서, 단자 수용실로서의 캐버티의 개구측에 배치되고 통 형상으로 설치된 접속부와, 접속부에 설치되어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로서의 걸음부가 삽입되어 걸음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음부가 설치된 피걸어맞춤구로서의 걸음 구멍을 구비한 커넥터 단자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커넥터 단자에서는, 접속부의 외면에 캐버티의 내벽에 설치된 삽입통과 홈을 통하여 커넥터 단자의 삽입 동작을 안내하는 스태빌라이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음 랜스의 걸음부는 접속부의 피걸음부를 거의 전체폭에 걸쳐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걸음부보다 후방이고 또한 걸음부와 폭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에는, 삽입통과 홈과 연통하여 스태빌라이저의 돌입을 허용하는 이스케이프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5-259363호 공보(JP 2005-259363 A)
(발명의 개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의 걸음 랜스의 걸음부가 커넥터 단자의 접속부의 피걸음부를 거의 전체폭에 걸쳐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등, 비교적 걸음 랜스의 주위에 스페이스가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렇지만, 커넥터 하우징의 소형화를 진행시키는 경우, 걸음 랜스의 주위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거나, 혹은 걸음 랜스 자체가 소형화되는 등, 걸음 랜스에 의한 커넥터 단자의 유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걸음 랜스에 의한 유지력을 향상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되고, 단자 수용실 내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걸음 랜스와 걸어맞추어지는 커넥터 단자로서, 단자 수용실의 개구측에 배치되고 통 형상으로 설치된 접속부와, 접속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돌출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구와, 상기 피걸어맞춤구에 설치되고, 접속부가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맞닿아져, 걸어맞춤 돌출부가 상기 피걸어맞춤구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는, 피걸어맞춤구에 접속부가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맞닿아져, 걸어맞춤 돌출부가 피걸어맞춤구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에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걸어맞춤 돌출부와 피걸어맞춤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지 않아, 걸음 랜스에 의한 커넥터 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의 걸음 랜스에 커넥터 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넥터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걸음 랜스에 의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규제부가 피걸어맞춤구의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형성되고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파고드는 예각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커넥터 단자에서는 규제부가 피걸어맞춤구의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형성되고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파고드는 예각부를 가지므로, 커넥터 단자에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예각부가 걸어맞춤 돌출부에 의해 파 들어가져, 걸어맞춤 돌출부와 피걸어맞춤구와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규제부가 통 형상의 접속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설치된 돌출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커넥터 단자에서는 규제부가 통 형상의 접속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된 돌출부를 가지므로,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가 피걸어맞춤구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돌출부가 위치되어 걸어맞춤 돌출부에 맞닿아, 걸어맞춤 돌출부와 피걸어맞춤구와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 측면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걸음 랜스에 의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암형 커넥터 단자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b)의 B-B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수형 커넥터 단자일 때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3(c)는 도 3(b)의 C-C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c)의 D-D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했을 때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주요부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도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5를 사용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1)는 커넥터 하우징(3)의 단자 수용실(5)에 수용되고, 단자 수용실(5) 내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걸음 랜스(7)와 걸어맞추어진다.
커넥터 단자(1)는 접속부(11)와, 피걸어맞춤구(15)를 구비한다. 접속부(11)는 단자 수용실(5)의 개구(9)측에 배치되고, 통 형상으로 설치된다. 피걸어맞춤구(15)는 접속부(11)에 설치되고,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가 삽입되고, 걸어맞춤 돌출부(13)에 걸어맞추어진다.
피걸어맞춤구(15)에는 접속부(11)가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맞닿아,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7)가 설치된다.
규제부(17)는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파고드는 예각부(19)를 갖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 단자(1a)와 수형 커넥터 단자(1b) 중 암형 커넥터 단자(1a)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암형 커넥터 단자(1a)를 커넥터 단자(1)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3)은 단자 수용실(5)과,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와, 걸음 랜스(7)를 구비한다. 단자 수용실(5)은 커넥터 하우징(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삽입구(25)측으로부터 커넥터 단자(1)가 삽입되고, 개구(9)측에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측이 배치된다. 단자 수용실(5)에 커넥터 단자(1)를 수용한 커넥터 하우징(3)을 상대 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끼워맞춤으로써, 개구(9)측의 접속부 삽입구(27)로부터 상대 단자가 되는 수형 커넥터 단자(1b)의 탭(51)(도 3 참조)이 삽입 통과되고,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와 상대 단자가 접속된다. 단자 수용실(5)에 수용된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측은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는 단자 수용실(5)의 양 측벽(29, 31)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단자 수용실(5)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개구(9)측으로부터 걸음 랜스(7)를 향하여 단자 수용실(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는 단자 수용실(5) 내에 커넥터 단자(1)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측의 폭 방향 양측의 하면을 지지한다.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보다도 삽입구(25)측에는 걸음 랜스(7)가 설치되어 있다.
걸음 랜스(7)는 하면(33)과 단자 수용실(5)의 내벽면(35) 사이에 형성된 가요 공간(37)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음 랜스(7)에는 걸어맞춤 돌출부(13)가 설치된다. 걸어맞춤 돌출부(13)에는 휨 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랜스 걸음면(39)이 형성된다. 삽입구(25)측으로부터 단자 수용실(5) 내에 커넥터 단자(1)가 수용되었을 때, 경사면(41)이 커넥터 단자(1)의 선단부와 맞닿음으로써, 걸음 랜스(7)가 하방으로 휘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커넥터 단자(1)를 개구(9)측을 향하여 삽입하고,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측이 한 쌍의 단자 지지부(21, 23)에 의해 지지되었을 때, 걸음 랜스(7)가 상방으로 복원된다. 이 때, 걸어맞춤 돌출부(13)가 커넥터 단자(1)의 피걸어맞춤구(15)에 삽입되어, 커넥터 단자(1)의 단자 수용실(5)로부터의 누락이 방지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암형 커넥터 단자(1a)와 수형 커넥터 단자(1b)를 갖는다. 암형 커넥터 단자(1a)와 수형 커넥터 단자(1b)의 각각은 전선 고정부(43)와 접속부(11)와 피걸어맞춤구(15)를 구비한다. 전선 고정부(43)는 피복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심선이 도통하여 압착되는 심선 고정부(45)와, 피복 전선의 피복부를 압착하여 피복 전선을 고정하는 피복 고정부(47)를 갖는다. 전선 고정부(43)에 피복 전선이 고정됨으로써, 피복전선에 접속된 전자부품(도시하지 않음) 등과 커넥터 단자(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부(11)는 사각 형상의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암형 커넥터 단자(1a)의 접속부(11)는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49)을 갖는다. 수형 커넥터 단자(1b)의 접속부(11)는 커넥터 하우징(3)의 접속부 삽입구(27)에 삽입 가능한 탭(51)을 갖는다. 암형 커넥터 단자(1a)의 접속부(11) 내에 수형 커넥터 단자(1b)의 탭(51)을 삽입시킴으로써, 탭(51)에 스프링(49)이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그 결과, 암형 커넥터 단자(1a)와 수형 커넥터 단자(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부(11)에는 커넥터 단자(1)를 단자 수용실(5) 내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랜스 홀로 이루어지는 피걸어맞춤구(15)가 설치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암형 커넥터 단자(1a)를 커넥터 단자(1)로서 피걸어맞춤구(15)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수형 커넥터 단자(1b)를 커넥터 단자(1)로 한 경우에도 수형 커넥터 단자(1b)의 피걸어맞춤구(15)는 암형 커넥터 단자(1a)와 동일하게 기능하고, 얻어지는 효과는 동일하다.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구(15)는 접속부(11)의 벽부(53)에 접속부(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가 삽입되고, 커넥터 단자(1)에 삽입구(25)측을 향하여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가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랜스 걸음면(39)에 맞닿아, 커넥터 단자(1)의 단자 수용실(5)로부터의 누락을 방지한다.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에는 규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17)는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랜스 걸음면(39)에 맞닿아지는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형성된 예각부(19)를 갖는다. 커넥터 단자(1)의 접속부(11)가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예각부(19)가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랜스 걸음면(39)에 파고들어간다. 예각부(19)가 랜스 걸음면(39)에 파고들어감으로써,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결과,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의 걸어맞춤 해제가 방지된다.
여기에서, 피걸어맞춤구(15)의 랜스 걸음면(39)에 맞닿아지는 가장자리부가 무가공, 혹은 모따기 정도의 가공인 것과 같은 평형한 형상인 경우, 커넥터 단자(1)에 삽입구(25)측을 향하여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에서는 수평방향, 혹은 상방향(접속부(11)의 내부 방향)의 각도를 가지고 전단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예각부(19)는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에서 하면측의 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의 개시에 의해 예각부(19)가 랜스 걸음면(39)에 파고들어가,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보다 깊은 부분에 예각부(19)를 파고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 예각부(19)에 의해,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랜스 걸음면(39)의 전단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전단 강도를 향상, 즉 걸음 랜스(7)에 의한 커넥터 단자(1)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와 커넥터 단자(1)의 피걸어맞춤구(15)의 걸어맞춤 해제는, 우선, 도 5(b)에 도시하는 예각부(19)가 걸어맞춤 돌출부(13)에 파고들어간 상태로부터 커넥터 단자(1)를 개구(9)측으로 이동시켜, 도 5 (a)에 도시하는 예각부(19)의 걸어맞춤 돌출부(13)로의 파고듦을 해제한 상태가 되게 한다. 다음에 커넥터 하우징(3)의 개구(9)측에 설치된 지그 삽입구(55)로부터 해제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걸음 랜스(7)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그 해제부(57)에 해제 지그를 맞닿게 하여 걸음 랜스(7)를 하방으로 휘게 한다. 이 걸음 랜스(7)의 하방으로의 휨에 의해,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단자 수용실(5)로부터 커넥터 단자(1)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단자(1)에서는, 피걸어맞춤구(15)에 접속부(11)가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맞닿아,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단자(1)에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지 않아, 걸음 랜스(7)에 의한 커넥터 단자(1)의 유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3)의 걸음 랜스(7)에 커넥터 단자(1)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넥터 하우징(3)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걸음 랜스(7)에 의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제부(17)는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파고들어가는 예각부(19)를 갖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 단자(1)에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예각부(19)가 걸어맞춤 돌출부(13)에 의해 파고 들어가져,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와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을 사용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101)에서는, 규제부(103)는 통 형상의 접속부(11)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설치된 돌출부(105)를 갖는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기호를 기재하여 설명을 생략하지만,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성 및 기능 설명은 제 1 실시형태를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생략하지만, 얻어지는 효과는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103)는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랜스 걸음면(39)에 맞닿아지는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가 통 형상의 접속부(11)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된 돌출부(105)를 갖는다. 돌출부(105)의 돌출 방향은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의 피걸어맞춤구(15)에 대한 삽입 해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의 가장자리 사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101)에 삽입구(25)측을 향하여 단자 수용실(5)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수평 방향, 혹은 상방향(접속부(11)의 내부 방향)의 각도를 가지고 전단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105)는 접속부(11)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단의 개시에 의해 돌출부(105)의 선단이 랜스 걸음면(39)에 파고들어가, 걸어맞춤 돌출부(13)의 보다 깊은 부분에 돌출부(105)의 선단을 파고들어가게 할 수 있다. 돌출부(105)에 의해 걸음 랜스(7)에 의한 커넥터 단자(101)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단자(101)에서는, 규제부(103)가 통 형상의 접속부(11)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된 돌출부(105)를 가지므로, 걸음 랜스(7)의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피걸어맞춤구(15)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돌출부(105)가 위치되어 걸어맞춤 돌출부(13)에 맞닿아, 걸어맞춤 돌출부(13)와 피걸어맞춤구(15)와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는, 규제부의 돌출부의 선단이 평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돌출부의 선단을 예각으로 형성하여 예각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 단자에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돌출부의 선단의 예각부가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의해 파고 들어가져, 걸음 랜스에 의한 커넥터 단자의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 수용실 내에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걸음 랜스와 걸어맞추어지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단자 수용실의 개구측에 배치되고 통 형상으로 설치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구와,
    상기 피걸어맞춤구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단자 수용실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맞닿아지고,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가 상기 피걸어맞춤구로부터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피걸어맞춤구의 가장자리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는 상기 걸음 랜스의 걸어맞춤 돌출부에 파고드는 예각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통 형상의 접속부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KR20137027368A 2011-03-22 2012-03-08 커넥터 단자 KR20140003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2388 2011-03-22
JP2011062388A JP5753416B2 (ja) 2011-03-22 2011-03-22 コネクタ端子
PCT/JP2012/055982 WO2012128058A1 (ja) 2011-03-22 2012-03-08 コネクタ端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00A true KR20140003600A (ko) 2014-01-09

Family

ID=4687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7368A KR20140003600A (ko) 2011-03-22 2012-03-08 커넥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24242A1 (ko)
EP (1) EP2690717A4 (ko)
JP (1) JP5753416B2 (ko)
KR (1) KR20140003600A (ko)
CN (1) CN103444005A (ko)
WO (1) WO2012128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18049682A (ja) * 2016-09-20 2018-03-2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及びコネクタ
CN109378619A (zh) * 2018-10-17 2019-02-2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冲压式焊接端子
JP6943916B2 (ja) * 2019-03-28 2021-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JP7256961B2 (ja) 2019-09-17 2023-04-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405B2 (ja) * 1994-02-16 1999-03-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3415132B1 (ja) * 2002-06-06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2003257532A (ja) * 2002-03-01 2003-09-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369959B1 (en) * 2002-06-06 2007-10-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 disengagement jig and a method
DE602004000496T2 (de) * 2003-01-16 2006-12-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JP4238746B2 (ja) 2004-03-09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07007B2 (ja) * 2005-02-02 2009-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7048584B1 (en) * 2005-06-23 2006-05-2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20060292928A1 (en) * 2005-06-23 2006-12-28 Morello John R Electrical connector
JP2010123554A (ja) * 2008-11-24 2010-06-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4242A1 (en) 2014-01-23
EP2690717A4 (en) 2014-08-13
JP2012199069A (ja) 2012-10-18
WO2012128058A1 (ja) 2012-09-27
EP2690717A1 (en) 2014-01-29
JP5753416B2 (ja) 2015-07-22
CN103444005A (zh)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600A (ko) 커넥터 단자
US8747156B2 (en) Terminal fitting
JP6251500B2 (ja) コネクタ
JP4555223B2 (ja) 接続端子
EP2677606B1 (en) Latching structure for shielded connector
JP4482041B2 (ja) コネクタ対
JP2009048889A (ja) コネクタ
CN110323613B (zh) 连接器及端子零件
JP4457917B2 (ja) コネクタ
EP3402008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JP2016054064A (ja) 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5233908B2 (ja) コネクタ
JP2007141609A (ja) コネクタ
CN111224261B (zh) 连接器
JP201407530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440518Y1 (ko) 커넥터
US9985385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lock arm
JP4768641B2 (ja) 防水コネクタ
KR101062648B1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20130044333A (ko) 단자 피팅
JP2011018543A (ja) コネクタ
US2018036685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571701B1 (ko) 고전압 커넥터
JP2009272155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