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93U -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 Google Patents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93U
KR20140003193U KR2020120010708U KR20120010708U KR20140003193U KR 20140003193 U KR20140003193 U KR 20140003193U KR 2020120010708 U KR2020120010708 U KR 2020120010708U KR 20120010708 U KR20120010708 U KR 20120010708U KR 20140003193 U KR20140003193 U KR 201400031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gger
water
air
cell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김호단
이영교
오두택
송철웅
박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93U/ko
Publication of KR20140003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셀, 물이 잘 흐를 수 있게 경사진 제1경사부, 슬러거를 한쪽으로 모을 수 있게 경사진 제2경사부, 유수 배출구, 슬러거배출구, 슬러거포집박스, 물 공급부, 공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절단작업시 발생되는 슬러거가 정반의 셀 내에 누적되어 응고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발생되는 슬러거를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외부에서 포집함으로써, 사람이 일일이 제거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생산력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SLAG REMOVE EXHAUST SURFACE PLATE}
본 고안은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작업 시 생성되는 슬러거가 셀 내부에 응고되지 않도록 하며 셀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작 된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작업 시 철용융물인 슬러거가 생성된다. 이 슬러거로 인해 용착, 강판 적치시 발생하는 충격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절단장비의 정반이 손상되고, 절단 정반의 손상이 심해질수록 작업환경이 악화되어 제품의 정도와 절단면 품질 등이 나빠지고 결국 절단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정반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5836호는 절단 정반에 부착된 포타블 스라거(Portable 슬러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 몸체가 대차 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와 그 전단에 횡으로 설치된 셀간 이동 로울러와, 몸체 전단 부에 있는 메인 모타의 감속기어에 편 심축으로 설치된 상,하 치핑 전달 축과, 이 상.하 치핑 전달축(에 연결된 두 개의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연결된 샤프트 가이드축 및 이 샤프트 가이드축에 설치된 " L" 형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슬러거 제거 작업 능률 향상, 작업 중 발생되는 허리 부상 예방, 절단 정반 내구연한 연장으로 원가 절감, 절단 정도 율 향상 및 이에 따른 절단 뒷면 엔시 절단 흠 부착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슬러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하거나, 사람이 직접 해머나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응고된 슬러거를 제거 해야만 했는데, 이는 시간낭비도 심하며, 제거하는 동안에 절단장비를 사용할 수 없어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바닥에 모인 슬러거를 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굴삭기나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5836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절단작업 시 발생되는 슬러거가 정반 셀(CELL)내에 응고되지 않도록 하여 슬러거를 제거할 시에 발생하는 시간적 손해(즉, 슬러거를 제거하는 동안 걸리는 시간), 생산적 손해(즉, 슬러거를 제거하는 동안 절단장비의 사용불가)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적으로 슬러거를 제거할 수 있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셀의 바닥면에 물이 잘 흐를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 공급부, 상기 제1경사부 하부에 형성되며, 슬러거를 상기 셀의 바닥면의 한쪽으로 모을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경사부, 상기 제2경사부의 상단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셀 밖으로 배출하는 유수 배출구, 상기 제2경사부 하단부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인 슬러거를 상기 셀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슬러거배출구 및 상기 슬러거배출구가 형성된 면의 외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러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거를 모으는 슬러거포집박스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경사부는 하부가 상기 슬러거배출구 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수 배출구는 상기 슬러거가 상기 유수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그물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거포집박스는 상기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의 측면과 접하는 면의 상부에 갈고리형태의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공급부는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기 위한 물 펌프, 상기 물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 배관, 상기 물 배관을 통해 물을 상기 셀 내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물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압축된 공기를 상기 셀 내로 배출시켜 상기 슬러거를 상기 제2경사부의 하단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부는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배관, 상기 공기 배관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상기 셀 내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상기 슬러거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재를 걸도록 하는 고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경사부를 지원함으로써, 떨어지는 슬러거가 경사부에 안착되지 않고 굴러 떨어져 슬러거를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슬러거를 셀의 바닥면의 한쪽으로 모을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경사부를 지원함으로써, 제1경사부를 통하여 떨어지는 슬러거를 한쪽으로 모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유수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물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내에 차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슬러거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의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거를 모아서 처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슬러거포집박스를 형성함으로써, 슬러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거를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의 외부에서 모아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물 공급부를 지원함으로써, 떨어지는 슬러거가 물에 의해 바로 응고되어 상기 경사부에 달라 붙지 않아 기존의 수동으로 슬러거를 제거할 시에 발생하던 시간적, 생산적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100)은 다수개의 셀로 이루어진 정반(110), 제1경사부(120), 물 공급부(121), 제2경사부(130), 유수 배출구(140), 슬러거배출구(150) 및 슬러거포집박스(170)를 포함한다.
정반(110)은 절단 작업 시 생성되는 슬러거가 떨어져 모아지는 부분이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수개의 셀로 구성되며, 정반(110)은 고온의 슬러거가 떨어지는 부분이므로 재질은 열에 강한 재질(예를 들어 텅스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경사부(120)로 인해 흘러 내리는 슬러거가 더 조밀하게 모일 수 있도록 중간에 칸막이를 설치할 수 도 있다.
제1경사부(120)는 다수개의 셀로 이루어진 정반(110)의 바닥면을 물이 잘 흐를 수 있는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30도 이상)를 가지는 경사면(120-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한다.
만약, 경사면(120-1)에 슬러거가 떨어지게 되면, 평면이 아닌 경사면(120-1)에 의해 마찰력을 잃은 슬러거는 경사면(120-1)의 하부로 굴러 떨어져 경사면(120-1)의 하부에 위치한 제2경사부(121)에 모이게 할 수 있다.
물 공급부(121)는 외부에서 물을 끌어 올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물 펌프(121-1), 물 펌프(121-1)에서 끌어 올려진 물을 각 셀에 공급할 수 있는 물 배관(121-2) 및 물 배관(121-2)에 의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물 분사노즐(121-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 펌프(121-1)는 정반(110) 외부에 있는 물을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정반(110)의 크기가 커지면 분사해야 할 물의 양도 많아져야 하므로 물 펌프(121-1)는 대량의 물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물 펌프(121-1)는 계속해서 물을 끌어 올려야 하므로, 적어도 한 개의 이상의 물 펌프(121-1)를 가동하여 물을 끌어 올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 배관(121-2)은 제1경사부(12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배관이 정방(110)을 나누는 칸막이를 관통하여 이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물 배관(121-2)은 물 펌프(121-1)를 통해 끌어 올려진 물을 각각의 셀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물 배관(121-2)의 재질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하고 튼튼한 재질(예를 들어, PVC:Polyviny Chloride)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물 배관(121-2)은 제1경사부(120)에 일정하게 물을 분사해 줄 수 있는 물 분사노즐(1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 분사노즐(121-3)은 물 배관(121-2)에 의해 운반된 물을 각 셀에 일정하게 뿌려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물 배관(121-2)의 각 셀마다,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 분사노즐(121-3)은 강한 수압을 일정하게 뿌려 주기 위해 수압에 강한 재질(예를 들어, 황동)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을 뿌려 주는 방향은 제1경사부(120)의 경사면(120-1)을 따라 경사면(120-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제2경사부(130)는 제1경사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경사부(120)로 인해 굴러 떨어지는 물과 슬러거는 제2경사부(130)에 형성된 각도에 의해 제2경사부(130)의 하부로 굴러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경사부(130)는 제1경사부(120)에 의해 굴러 떨어지는 슬러거를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40도 이상)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수 배출구(140)는 제2경사부(130)의 상단면 하부에 형성되며, 제2경사부(130)를 통해 떨어지는 물을 셀(110)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제2경사부(130)를 통해 떨어지는 물은 작업자가 절단작업을 계속 할수록 제2경사부(130)의 하부에 계속해서 차게 된다. 이때, 셀(110)의 측면에 설치된 유수 배출구(140)를 통해 해당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수 배출구(140)는 슬러거가 유수 배출구(140)로 배출되지 않도록 유수 배출구(140)의 상단부에 그물망(140-1)을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물망(140-1)은 미세한 크기의 슬러거도 거를 수 있을 정도로 촘촘하게 형성된다.
슬러거배출구(150)는 제2경사부(130)의 하단부 벽면에 형성되며, 제2경사부(130)를 통해 떨어지는 슬러거를 셀(110) 밖으로 배출할 수 잇는 통로역할을 하며, 제2경사부(130)를 통해 떨어지는 슬러거가 걸리지 않도록 크기를 크게 형성한다.
슬러거포집박스(170)는 슬러거배출구(150)가 형성된 면의 외부면 하단부에 형성되며, 슬러거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거를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슬러거포집박스(17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슬러거포집박스(170)의 측면은 유수 배출구(140)가 형성된 면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러거포집박스(170)는 슬러거배출구(150)가 형성된 면의 측면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슬러거포집박스(170)의 측면에는 갈고리형태의 걸림부재(171)가 형성되고, 슬러거배출구(150)가 형성된 면의 상부에는 해당 걸림부재(171)가 걸릴 수 있는 고리(172)가 형성되어, 슬러거포집박스(170)의 걸림부재(171)를 해당 고리(172)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러거 제거 정반(100)은 슬러거를 더 효과적으로 모으기 위해 물공급부(121)에 추가적으로 공기 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60)는 공기를 압축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161), 공기 압축기(161)에 의해 압축된 공기 배관(162), 공기 배관(162)에 의해 운반된 공기를 각 셀에 뿌려 줄 수 있는 공기 분사노즐(16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 작업 시 가벼운 슬러거가 튀게 되는데, 이때 공기 공급부(160)에서 정반(110)의 각 셀 하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게 되고, 공기 공급부(160)에서 배출된 공기로 인해, 가벼운 슬러거는 사방으로 날리지 않고 셀 하단의 제2경사부(130)의 하부로 모이게 된다.
공기 압축기(161)는 밀폐한 용기 속에 공기를 압축하여 높은 공압으로 저장하였다가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며, 정반(110)의 크기가 커지면 분사해야 할 공기의 양도 많아져야 하므로, 공기 압축기(161)는 대량의 공기를 모을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압축기(161)는 계속해서 공기를 압축시켜야 하므로, 적어도 한 개의 이상의 공기 압축기(161)를 가동하여 공기를 압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배관(162)은 공기 압축기(161)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각 셀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관(162)은 제1경사부(120)의 상단에 있는 물 공급부(12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배관이 상기 정방(110)을 나누는 칸막이를 관통하여 이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관(162)은 높은 공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재질은 금속재(예를 들어 아연도금강관, 스테인리스관, 동관 등)의 재질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관(162)은 제2경사부(130)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하게 공기를 분사해 주기 위한 공기 분사노즐(16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공기 분사노즐(163)은 공기 배관(162)에 의해 운반된 공기를 각 셀에 일정하게 뿌려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공기 배관(162)의 각 셀마다,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 분사노즐(163)은 강한 공압을 일정하게 뿌려 주기 위해 공압에 강한 재질(예를 들어, 황동,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를 뿌려 주는 방향은 제1경사부(120)의 경사면(120-1)을 따라 경사면(120-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노즐(163)은 공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압력조절기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110 : 다수개의 셀로 이루어진 정반
120 : 제1경사부
120-1 : 경사면
121 : 물 공급부
121-1 : 물 펌프
121-2 : 물 배관
121-3 : 물 분사노즐
130 : 제2경사부
140 : 유수 배출구
140-1 : 그물망
150 : 슬러거배출구
160 : 공기 공급부
161 : 공기 압축기
162 : 공기 배관
163 : 공기 분사노즐
170 : 슬러거포집박스
171 : 걸림부재
172 : 고리

Claims (8)

  1. 다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에 있어서,
    상기 셀의 바닥면에 물이 잘 흐를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의 상단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 공급부;
    상기 제1경사부 하부에 형성되며, 슬러거를 상기 셀의 바닥면의 한쪽으로 모을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경사부;
    상기 제2경사부의 상단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셀 밖으로 배출하는 유수 배출구;
    상기 제2경사부 하단부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인 슬러거를 상기 셀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슬러거배출구;
    상기 슬러거배출구가 형성된 면의 외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러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거를 모으는 슬러거포집박스를 포함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는
    하부가 상기 슬러거배출구 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배출구는
    상기 슬러거가 상기 유수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그물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거포집박스는
    상기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의 측면과 접하는 면의 상부에 갈고리형태의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기 위한 물 펌프;
    상기 물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 배관;
    상기 물 배관을 통해 운반된 물을 상기 셀 내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물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6. 제1항에 있어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셀 내로 배출시켜 상기 슬러거를 상기 제2경사부의 하단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배관;
    상기 공기 배관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상기 셀 내에 배출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은
    상기 슬러거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재를 걸도록 하는 고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KR2020120010708U 2012-11-21 2012-11-21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KR201400031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8U KR20140003193U (ko) 2012-11-21 2012-11-21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8U KR20140003193U (ko) 2012-11-21 2012-11-21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93U true KR20140003193U (ko) 2014-05-29

Family

ID=5244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708U KR20140003193U (ko) 2012-11-21 2012-11-21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78624A (zh) 一种齿轮加工机床用集污装置
CN110103151B (zh) 一种高压水射流喷砂除鳞清理金属板材的清理系统及方法
CN107415111A (zh) 橡胶输送冷却机
CN206643339U (zh) 一种汽车零件生产中的冷却装置
CN104084411A (zh) 一种矿山除尘装置
CN208661251U (zh) 一种建筑工地用垃圾粉碎机
KR20140046338A (ko)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KR20140003193U (ko)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KR102106314B1 (ko) 교량의 친환경 습식 절단 방법
KR20140003470U (ko) 절단기와 연동되는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CN110142130B (zh) 基于水力和风力的废钢破碎机除尘及除杂质装置
CN214053922U (zh) 一种用于分离切削废料的带锯床
KR200301068Y1 (ko) 롤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40005346U (ko) 유수 순환식 슬러거 제거 배출정반
CN212888567U (zh) 热固性粉末涂料片材成型破碎装置
CN209901822U (zh) 一种泡沫铝废料清洗装置
KR101557954B1 (ko)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CN211331191U (zh) 一种螺母冷镦机的送料装置、螺母冷镦机
KR20120001229A (ko) 분진 처리장치
CN106694835A (zh) 冲渣溜槽装置
CN214809412U (zh) 一种建筑材料加工除尘设备
KR20140001432U (ko) 슬러거 제거 정반
CN217344063U (zh) 一种激光切割机废料分拣车
CN219358836U (zh) 一种缠绕垫钢带分切机用废料收集机构
CN217069790U (zh) 一种钢结构生产用除尘除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