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51U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51U
KR20140002851U KR2020120010096U KR20120010096U KR20140002851U KR 20140002851 U KR20140002851 U KR 20140002851U KR 2020120010096 U KR2020120010096 U KR 2020120010096U KR 20120010096 U KR20120010096 U KR 20120010096U KR 20140002851 U KR20140002851 U KR 20140002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cable
tray
upper c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51U/ko
Publication of KR20140002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이나 통신선 등으로 이용되는 케이블의 설치 작업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피고정체에 고정된 하부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에서 각도,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트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하여 선박용 발전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상부의 터미널 박스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용이 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 작업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이나 통신선 등으로 이용되는 케이블의 설치 작업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선되며, 이러한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용 발전기(MAIN GENERATOR ENGINE) 및 이와 유사한 장치(SIMILAR EQUIP'T)(100)상부의 터미널 박스(terminal box)(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케이블의 구부림 반경)를 가지도록 절곡부(111)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케이블 트레이(112)를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110)가 피고정체(120)에 고정(FIXING)형으로 제작이 되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110)를 수직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110)의 후면과 피고정체(120)사이에 스테이(Stay)(11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110)는 피고정체(120)에 고정형으로 제작되다 보니 터미널 박스(terminal box)(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을 고려한 상부 케이블 트레이(112)의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110)는 선박용 발전기(100) 상부의 터미널 박스(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의 위치가 케이블 트레이(110)의 상부에 절곡부(111)에 의해 형성된 상부 케이블 트레이(112)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케이블 트레이(110)가 피고정체(1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 박스(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이 케이블 트레이(110)의 상부 케이블 트레이(112)에서 떨러지거나 케이블(103)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대주되었다.
이렇게, 터미널 박스(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이 케이블 트레이(110)의 상부 케이블 트레이(112)보다 낮아서 떨러지거나 또는 케이블(103)보다 높아서 휘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피고정체(12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11)의 위치를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에 맞도록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0-0010500호(2010년 10월 26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등에 대시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케이블 트레이(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한 쌍의 사이드 레일(201)과 가로 지지대(202)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드 레일(201)의 끝단에는 상하로 결합구(20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200)는 싸이드 레일(201)의 양 끝단에 상하로 설치된 결합구(20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200)의 가로 지지대(202)에서 떨러지거나 케이블(103)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0-0010500호(2010년 10월 26일자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선박용 발전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상부의 터미널 박스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용이 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 작업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미널 박스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구부림 반경에 대하여 현장 조정이 용이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케이블 트레이의 상하조절 및 경사진 방향으로 조절이 용이할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하부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스테이를 간소화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블 트레이와 상부 케이블 트레이의 각도조절은 하부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상부 케이블 트레이의 각도,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와 상부 케이블 트레이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각각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의 체결부재는 제 1체결구가 형성된 제 1체결부재와, 제 2체결구가 형성된 제 2체결 부재와, 상기 제 1체결구와 상기 제 2체결구를 관통하여 제 1체결부재와 제 2체결부재를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는 횡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의 고정수단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체결부재에는 좌우이동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제 2체결부재의 간격은 제 1체결부재의 두께보다 넓고 그 사이에 간격조절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회전가능하게 하여 선박용 발전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상부의 터미널 박스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용이 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 작업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미널 박스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구부림 반경에 대하여 현장 조정이 용이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부 케이블 트레이를 각도,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하부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스테이를 간소화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수단를 나타낸 정면도
도 5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는 종래기술에 따른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수단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수단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고정체(120)에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와, 이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상부에서 각도,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30)에 의해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블 트레이(11)를 지지하도록 스테이(13)로 피고정체(120)에 고정함과 아울러 하부 케이블(11)의 싸이드 레일(14)에 고정되어 있어 케이블 트레이(10)를 지지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조절부(30)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와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싸이드 레일(14)(15)이 접하는 부분에 서로 대응되게 조절수단(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길이는 300mm~400mm으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수단(40)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와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체결부재(50)와 제2체결부재(60)가 고정수단(70)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40)의 각각의 체결부재(41), (42)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상단에 제 1결합구(51)가 형성된 제 1결합부재(52)와,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하단에 제 2결합구(61)가 형성된 제 2결합부재(62)와, 상기 제 1결합구(51)와 상기 제 2 결합구(52)를 관통하여 제 1결합부재(52)와 제 2결합부재(62)를 결합하는 고정수단(70)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은(70)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체결구(51), 제 2체결구(61)는 횡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하여 하부 케이블 트레이(11) 및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제 1결합부재(52)의 간격(w)은 이 제 1결합부재(52)의 간격(w)내로 끼워지는 제 2결합부재(62)의 두께(t)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간격유지구(80)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하여 좌우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좌우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선박용 발전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100) 상부의 터미널 박스(101)로 케이블(103)이 인입되어 설치되고, 그 타측은 케이블 트레이(10)에 의해서 지지된다. 여기서 터미널 박스(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과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사이에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 때문에 얼라인(align)이 맞지 않을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 때, 본 고안은 상기 얼라인을 맞추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10)의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상부 조절부(30)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케이블 트레이(12)를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에 맞추어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부 케이블 트레이(12)를 케이블(103)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제 1체결부재(50)에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제 2체결부재(60)가 끼워져 볼트(71)와 너트(72)로 하여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너트(72)를 풀게 되면 하부 케이블 트레이(11) 상부의 조절부(30)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부 케이블 트레이(12)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30)를 중심으로 상하 화살표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터미널 박스(101)로 인입되는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에 맞게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조정이 이루어진 후 고정수단(70)인 너트(72)를 잠그게 되면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 박스(101)에 인입되는 케이블(103)의 구부림 반경에 맞추어 상부 케이블 트레이(12)를 회전시켜 밀착되도록 조정하여도 케이블(103)에 밀착되지 않을 경우 즉,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에서 케이블(103)이 떨어져 있거나 너무 밀착되어 케이블(103)이 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수단(40)의 제 1결합부재(52)와 제 2결합부재(62)의 제 1결합구(51)과 제 2결합구(61)가 횡방향길이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상부 케이블 트레이(12)를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에서 조절수단(40)을 중심으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제 1결합부재(52)의 간격(w)을 제 2결합부재(62)의 두께(t)보다 넓게 구성하여 상부 케이블 트레이(12)를 제 1결합부재(52)의 간격(w)내에서 좌우로 이동시켜서 간격유지구(80)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케이블(103)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 케이블 트레이
11 : 하부 케이블 트레이 12 : 상부 케이블 트레이
13 : 스테이 14, 15 : 싸이드 레일
30 : 조절부 40 : 조절수단
41 : 체결부재
51 : 제 1결합구 52 : 제 1결합부재
42 : 체결부재
61 : 제 2결합구 62 : 제 2결합부재
70 : 고정수단 80 : 간격유지구

Claims (6)

  1. 피고정체(120)에 고정된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상부에서 각도,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각도, 길이 및 높이 조절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11)로부터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각도,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0)는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에서 상부 케이블 트레이(12)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조절수단(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은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체결부재(41)는 제 1결합구(51)가 형성된 제 1결합부재(52)를 구비되고,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체결부재(42)는 제 2결합구(61)가 형성된 제 2결합부재(62)로 구비하여, 상기 제 1결합구(51)와 상기 제 2결합구(61)를 관통하여 제 1결합부재(52)와 제 2결합부재(62)를 결합하는 고정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구(51), 제 2결합구(61)는 횡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블 트레이(11)의 제 1결합부재(52)의 간격(w)은 제 2결합부재(62)의 두께(t)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간격유지구(80)에 의해 지지하여 상부 케이블 트레이(12)의 좌우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0120010096U 2012-11-06 2012-11-06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2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96U KR20140002851U (ko) 2012-11-06 2012-11-06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96U KR20140002851U (ko) 2012-11-06 2012-11-06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51U true KR20140002851U (ko) 2014-05-14

Family

ID=524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96U KR20140002851U (ko) 2012-11-06 2012-11-06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5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6390B2 (en) Overhead-mounted cable and busway support system
CN104060745B (zh) 钢结构转换层三维可调卡件
CN204785107U (zh) 管道支架
KR20160054781A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20140008933A (ko) 배관 얼라인 장치
KR101247783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간격유지장치
KR20140002851U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CN204254033U (zh) 一种船用水管吊架结构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CN104014899B (zh) 磁力切割机升降导行装置
KR20120022139A (ko) 케이블 트레이
CN105350691A (zh) 幕墙侧挂装置
JP6896338B2 (ja) 盤内機器取付構造
JP5052283B2 (ja) 隧道内のき電線支持装置
KR20170126620A (ko) 조립식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177848B1 (ko) 앵글 서포트의 볼팅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가 구비된 선박
CN202103393U (zh) 高压电缆三相固定装置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KR200476065Y1 (ko) 케이블 트레이용 트레이
KR200478392Y1 (ko) 케이블 지지 구조체
CN212080353U (zh) 一种可多方位调节型抗震支架
KR200357224Y1 (ko) 트롤리바 고정구
KR200472145Y1 (ko)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CN203933501U (zh) 光伏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