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92Y1 - 케이블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392Y1 KR200478392Y1 KR2020140001039U KR20140001039U KR200478392Y1 KR 200478392 Y1 KR200478392 Y1 KR 200478392Y1 KR 2020140001039 U KR2020140001039 U KR 2020140001039U KR 20140001039 U KR20140001039 U KR 20140001039U KR 200478392 Y1 KR200478392 Y1 KR 2004783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able
- cable tray
- support
- connect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서포트;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일 부분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케이블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선박, 해양 플랜트와 같은 구조물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구조물의 천장,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설된다. 특히, 선박은 항해 시 롤링이나 피칭 등으로 인해 흔들리게 되므로 케이블을 선체에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이용하여 배설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금속 등으로 제작되는 부재로서, 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 케이블 트레이가 구조물에 설치된 트레이 서포트(tray support)에 직접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케이블의 배설 위치가 바뀌어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트레이 서포트를 케이블 트레이의 변경된 배치에 맞춰 구조물에 다시 설치하거나, 또 다른 트레이 서포트를 구조물에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케이블 배설 위치 변경 시 트레이 서포트를 재설치하거나 추가설치하지 않고도 케이블 트레이를 재배치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케이블 배설 작업 시 구조물에 설치된 트레이 서포트의 위치나 배향에 제약받지 않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서포트;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일 부분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서포트 중 적어도 하나는 천공형(perforate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양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양측에 클램프가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홀을 통과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타 부분에 나사 기둥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 기둥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서포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케이블 트레이 및 제 2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일 부분이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연결 플레이트;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의 타측과 상기 제 2 케이블 트레이의 타측은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에 트레이 서포트를 재설치하거나 추가설치하지 않고도 케이블 트레이를 재배치할 수 있어 케이블 배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변경된 배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가 트레이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예시적인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변경된 배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가 트레이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예시적인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본 고안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고안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 112, 113)는 케이블의 배설 위치에 따라 트레이 서포트(121, 122, 123, 124, 125, 12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서포트(121, 122, 123, 124, 125, 126)는 케이블의 배선 경로 및 그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11, 112, 113)의 배치를 고려하여 구조물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 112, 113) 및 상기 트레이 서포트(121, 122, 123, 124, 125, 126) 중 적어도 하나는 천공형(perforated)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 112, 113)는 클램프(140)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 서포트(121, 122, 123, 124, 125, 126)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140)는 케이블 트레이(111, 112, 113)의 측부를 구속한 채 트레이 서포트(121, 122, 123, 124, 125, 126)의 홀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홀드-다운 클램프(hold-down clam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최초 계획된 케이블 배설과 달리 추후 케이블 배선 경로가 바뀌어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와 트레이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두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트레이 재배치 시, 트레이 서포트의 위치나 배향을 바꾸지 않고도 손쉽게 케이블 배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변경된 배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는 케이블 트레이(112)가 제거되고, 케이블 트레이(111)와 케이블 트레이(112)가 케이블 트레이(114)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케이블 트레이(114)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존에 설치된 트레이 서포트(124)의 배향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에 수직하게 재설치하거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에 수직한 배향을 갖는 새로운 트레이 서포트를 구조물에 추가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130)를 개재시켜,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일 부분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에 고정시키고, 타 부분을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30)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몸체(1301)와, 상기 몸체(1301)의 좌우측 양단에 형성된 홀(1302)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301)의 하부에는 나사 기둥(130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 또는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재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 또는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의 재질과 상이한 경우,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케이블 트레이 또는 트레이 서포트 사이에는 부식 방지용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01)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몸체(1301)에서 홀(1302)이 형성된 좌우측 양단이 클램프를 통해 케이블 트레이(114)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몸체(1301)에서 상기 나사 기둥(1303)이 마련된 하부가 트레이 서포트(12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30)가 트레이 서포트(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상기 나사 기둥(1303)이 트레이 서포트(124)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너트(미도시)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114)는, 트레이 서포트(124)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에 수직하게 배향되지 않더라도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 사이에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가 개재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일 부분(즉, 몸체(1301)의 좌우측 양 단부)은 클램프(14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 간의 결합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14)의 양측에 클램프(140)가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140)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홀(1302)을 통과하는 볼트와 그에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에 체결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타 부분(즉, 몸체(1301)의 하부)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타 부분에는 나사 기둥(1303)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 기둥(1303)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4)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30)의 예시적인 사시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30)는 몸체(1301)가 T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301)의 좌우측 날개부 각각에는 복수의 홀(130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130)는 몸체(1301)의 좌우측 날개부에 형성된 홀(1302)의 개수가 도 3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130)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1302)간 간격은 케이블 트레이(114)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트레이(114)에 대한 규격이 다수의 폭을 정의하는 경우, 상기 몸체(1301)의 좌우측 바깥쪽에 형성된 한 쌍의 홀 간 간격(d1)과, 좌우측 안쪽에 형성된 한 쌍의 홀 간 간격(d2)은 각각 규격에 정의된 케이블 트레이(114)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의 예시적인 상측 및 하측 사시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 구조체는 다수의 연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케이블 트레이를 트레이 서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케이블 트레이(115) 및 제 2 케이블 트레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및 제 2 케이블 트레이(115, 116)를 트레이 서포트(127)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연결 플레이트(131) 및 제 2 연결 플레이트(13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연결 플레이트(131)는 일 부분(즉, 몸체(1301)의 좌우측 양 단부)이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115)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즉, 몸체(1301)의 하부)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127)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 플레이트(132)는 일 부분(즉, 몸체(1301)의 좌우측 양 단부)이 상기 제 2 케이블 트레이(116)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즉, 몸체(1301)의 하부)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127)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플레이트(131, 132)에 결합되지 않은 제 1 케이블 트레이(115)의 타측과 제 2 케이블 트레이(116)의 타측은 상기 트레이 서포트(127)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트레이의 배치 변경으로 복수의 케이블 트레이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 폭이 늘어나더라도, 늘어난 폭에 대응하여 트레이 서포트를 보다 긴 트레이 서포트로 교체할 필요 없이,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131, 132)를 활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트레이 서포트(127)에 케이블 트레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15, 116)와 연결 플레이트(131, 132) 또는 트레이 서포트(127) 간의 결합은 클램프(140), 예컨대 홀드-다운 클램프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11, 112, 113, 114, 115, 116: 케이블 트레이
121, 122, 123, 124, 125, 126, 127: 트레이 서포트
130, 131, 132: 연결 플레이트
140: 클램프
1301: 몸체
1302: 홀
1303: 나사 기둥
121, 122, 123, 124, 125, 126, 127: 트레이 서포트
130, 131, 132: 연결 플레이트
140: 클램프
1301: 몸체
1302: 홀
1303: 나사 기둥
Claims (5)
-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서포트;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서포트 사이에 개재되어, 일 부분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서포트 중 적어도 하나는 천공형(perforated)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양단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양측에 클램프가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홀을 통과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타 부분에 나사 기둥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 기둥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서포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케이블 트레이 및 제 2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일 부분이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연결 플레이트;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 부분이 상기 트레이 서포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의 타측과 상기 제 2 케이블 트레이의 타측은 상기 트레이 서포트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39U KR200478392Y1 (ko) | 2014-02-13 | 2014-02-13 | 케이블 지지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039U KR200478392Y1 (ko) | 2014-02-13 | 2014-02-13 | 케이블 지지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160U KR20150003160U (ko) | 2015-08-21 |
KR200478392Y1 true KR200478392Y1 (ko) | 2015-10-01 |
Family
ID=5433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039U KR200478392Y1 (ko) | 2014-02-13 | 2014-02-13 | 케이블 지지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392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8955B1 (ko) * | 2019-04-10 | 2021-07-16 | 임장호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553Y1 (ko) | 2010-12-11 | 2011-05-11 | 다모아산업주식회사 |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섹션 연결세트 |
-
2014
- 2014-02-13 KR KR2020140001039U patent/KR20047839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553Y1 (ko) | 2010-12-11 | 2011-05-11 | 다모아산업주식회사 |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섹션 연결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160U (ko) | 2015-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95929B2 (en) | Vertical cable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 |
JP6113757B2 (ja) | 自己インデクシングナットプレート | |
KR101291298B1 (ko) | 케이블 트레이 | |
EP3640559B1 (en) | Method for mounting air conditioner air outlet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air outlet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120136012A (ko) | 그레이팅 고정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 |
CN108086485B (zh) | 一种钢结构大型螺栓节点板安装开合装置和安装方法 | |
KR200478392Y1 (ko) | 케이블 지지 구조체 | |
CN204254033U (zh) | 一种船用水管吊架结构 | |
CN210396207U (zh) | 外悬挑网与建筑钢结构的连接部件 | |
US20180313467A1 (en) | Modular Lay System | |
KR20150060071A (ko) | 삽입형 핀 지그 | |
CN203797162U (zh) |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 |
KR20170126620A (ko) | 조립식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CN108867208B (zh) | 滚道装置 | |
CN202189511U (zh) | 平板显示装置后壳和平板显示装置 | |
KR101177848B1 (ko) | 앵글 서포트의 볼팅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가 구비된 선박 | |
KR20100010500U (ko) | 케이블 트레이 연결용 엘보우 트레이 | |
KR20140006367U (ko) | 리프팅 러그 조립체 | |
KR20140041001A (ko) | 격자살 발판용 코밍장치 | |
KR101422826B1 (ko) | 핸드레일 고정구 | |
JP6430876B2 (ja) | 連結部材及びフェンス | |
KR200467320Y1 (ko) | 케이블 배관용 배선 클램프 | |
KR200448211Y1 (ko) |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 |
KR20130000022A (ko) | 사다리 결합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 |
US11325745B1 (en) | Ski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