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826B1 - 핸드레일 고정구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826B1
KR101422826B1 KR1020130023776A KR20130023776A KR101422826B1 KR 101422826 B1 KR101422826 B1 KR 101422826B1 KR 1020130023776 A KR1020130023776 A KR 1020130023776A KR 20130023776 A KR20130023776 A KR 20130023776A KR 101422826 B1 KR101422826 B1 KR 10142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support
bar
plat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희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Abstract

핸드레일 고정구가 제공된다. 핸드레일 고정구는, 제1 판재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제2 판재를 필릿(Fillet) 용접하여 제조한 선체에 핸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있어서, 제1 판재에 밀착되며 제1 판재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판재에 밀착되는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트바, 및 제2 지지부에 결합되어 핸드레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되, 서포트바는 핸드레일의 하부를 지지하고 걸림바는 핸드레일의 상부를 지지하여, 핸드레일은 서포트바와 걸림바 사이에서 제1 판재에 평행하게 지지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고정구{Handrai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선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을 설치 용이하게 적절히 정렬하여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간단한 구조의 핸드레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측부, 측단부 또는 각종 계단부 등의 가장자리에는 다양한 형태의 핸드레일(Handrail) 즉, 난간이 설치된다. 핸드레일은 선박에 탑승한 승객이나 승무원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선박 내부에 비치된 물품 등 각종 장비들의 이탈을 최종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선박은 하나 이상의 선체블록을 건조하는 블록 건조작업을 통해 제작되며, 각 선체블록의 건조 작업시 적정위치에 핸드레일을 설치, 조립하는 작업이 병행될 수 있다. 핸드레일은 금속재의 강판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접합된 선체블록의 측단부나 블록 외주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용접 결합되는데, 결합이 문제없이 공고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핸드레일을 설치위치에 적절히 고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257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을 임시 고정하는 고정 지그(Jig)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기존 핸드레일 고정 지그는 대개 핸드레일의 정렬방향이 수직방향으로 한정되며, 따라서, 블록 건조 작업시 선체블록의 정렬 상태가 변화된 경우, 핸드레일을 설치 용이하게 적절히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 지그는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지지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부피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며, 핸드레일을 설치위치에 알맞게 조정하기 위해 유압식 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등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25793호, (1998.08.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며, 핸드레일을 설치 용이하게 적절히 정렬하여 효과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간단한 구조의 핸드레일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는, 제1 판재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제2 판재를 필릿(Fillet) 용접하여 제조한 선체에 핸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재에 밀착되며 상기 제1 판재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판재에 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트바;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핸드레일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걸림바 사이에서 상기 제1 판재에 평행하게 지지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판재의 타측면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1 판재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자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지지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나란히 연장된 복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핸드레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는 핸드레일을 설치 용이하게 적절히 고정할 수 있으며,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위치 역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크기 않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드레일 고정구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핸드레일 구정구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드레일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핸드레일 고정구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상의 '선체블록' 은 선박 완성 전 선체가 블록형태로 건조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선체 및 선체블록은 모두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부분인 본 명세서 상의 제1 판재 와 제2 판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선체' 와 '선체블록' 은 이와 같이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제1 판재 및 제2 판재를 포함하는 한 서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재' 및 '제2 판재'는 선체 또는 선체블록의 내 외벽을 이루는 재료로서, 선체 또는 선체블록은 제1 판재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제2 판재를 필릿(Fillet) 용접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핸드레일은 이러한 선체의 제1 판재 및 제2 판재 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1)는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제1 지지부(100)로부터 돌출되는 서포트바(300), 제2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걸림바(400)를 포함하며,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가 선체 또는 선체블록의 서로 수직하게 접합된 두 판재(본 명세서 상의 제1 판재 및 제2 판재)에 각각 밀착되고, 선체 또는 선체블록에 용접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핸드레일이 걸림바(400)와 서포트바(300) 사이에 삽입되어 서포트바(300)는 하부에서, 걸림바(400)는 상부에서 상기 핸드레일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되면, 핸드레일(도 3 및 도 4의 A 참조)은 제1 지지부(100)가 밀착된 판재, 예를 들어 제1 판재(도 3 및 도 4의 B1 참조)와 평행하게 지지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1)는 핸드레일(A)을 수직방향으로 정렬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건조시 선체 또는 선체블록의 정렬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판재(B1)가 놓인 수평방향으로 핸드레일(A)을 설치 용이하게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1)는 종래 사용되던 고정 지그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봉 형상이 아닌,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가 굴절 연결된 컴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핸드레일 고정구(1)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복잡한 장비 없이도 서포트바(300) 및 걸림바(40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핸드레일(A)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특징을 갖는 핸드레일 고정구(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지지부(100)는 전술한 제1 판재(도 3 및 도 4의 B1 참조)에 밀착되며, 제1 판재(B1)의 끝단부에 고정된다. 제1 지지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방형, 블록형상, 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판재(B1)와 밀착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00)를 제1 판재(B1)의 끝단부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지지부(100) 일 측에 고정부(110)가 형성된다. 고정부(110)는 제1 지지부(100)의 일 측으로 연장되며, 제1 지지부(100)와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부(100)가 밀착되는 제1 판재(B1)의 일측면이 아닌, 반대편 타측면으로 굴절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고정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제1 판재(B1)의 끝단부가 제1 지지부(100)와 고정부(1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에는 고정부(110)를 관통하여 제1 지지부(100)를 향해 고정볼트(111)가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볼트(111)가 고정부(110)와 제1 지지부(100) 사이에 삽입된 제1 판재(B1)를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서포트바(300)는 제1 지지부(100)로부터 돌출된다. 서포트바(300)는 제1 지지부(10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핸드레일(A)이 안착되는 안착부(310) 및 안착부(310)로부터 제1 지지부(100)를 향해 연장되는 조절바(320)를 포함한다. 특히 조절바(320)는,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해 제1 지지부(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 조절바(320)를 회전시켜 안착부(310)와 제1 지지부(100)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안착부(310)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바(320)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넓이로 확장된 것일 수 있으며, 안착부(310)의 넓이는 대상 핸드레일(A)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 안착부(310)가 원판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안착부(310)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안착부(310)는 핸드레일(A)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바(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조절바(320) 위에 고정너트(322)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고정너트(32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20)의 양 측에 접하여 조절바(320) 및 서포트바(3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너트(322)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판재(도 3 및 도 4의 B2 참조)에 밀착된다. 제2 지지부(200) 역시 방형, 블록형상 등 제2 판재(B2)와 밀착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지부(2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나란히 연장된 평행플레이트(210, 2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각의 평행플레이트(210, 22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평행플레이트(210, 220) 사이에 핸드레일(A)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00)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관통홀(230)이 형성된다. 관통홀(230)은 걸림바(400)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230) 각각의 위치는 핸드레일(A)의 고정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관통홀(230)에 걸림바(400)가 삽입되고, 다시 걸림바(400)와 서포트바(300) 사이에 핸드레일(A)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핸드레일(A)의 고정위치가 지정되는 것이다. 관통홀(230)이 복수이므로, 핸드레일(A)의 고정위치는 각각의 관통홀(230)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관통홀(2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또한, 관통홀(230)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제2 지지부(200)의 길이 역시 그에 대응하여 증가할 수 있다.
걸림바(400)는 관통홀(230)을 통해 제2 지지부(200)에 결합되어, 핸드레일(A)의 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지지부(200)가 두 개의 평행플레이트(210, 220)로 이루어진 경우, 걸림바(400)는 관통홀(230)에 삽입되어 각각의 평행플레이트(210, 2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바(400)의 적어도 일부가 평행플레이트(210, 22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핸드레일(A) 단부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 걸림바(4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평행플레이트(210, 220)의 개수를 증가시켜 핸드레일 고정구(1)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바(400) 및 전술한 서포트바(300)의 단부에는 각각 헤드부(321, 401)가 형성되어, 걸림바(400) 및 서포트바(300)가 각각 제2 지지부(200) 및 제1 지지부(100)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력부(500)가 결합된다. 자력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의 고정부(110)를 향하는 면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100)와 고정부(110) 사이로 삽입되는 제1 판재(B1)를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레일 고정부(110)를 선체 각 부위에 손쉽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체 또는 선체블록과 핸드레일 고정부(110)와의 부착력 즉, 자력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력부(500)는 제2 지지부(200) 측의 적절한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력부(500)의 형상은 제1 판재(B1) 또는 제2 판재(B2)와 부착이 용이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자력부(500)의 결합위치 역시 전술한 위치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 판재(B1) 또는 제2 판재(B2)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자력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핸드레일 고정구(1)의 작동과정 및 사용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체블록(B)은 제1 판재(B1) 및 제2 판재(B2)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판재(B1)는 핸드레일(A)이 설치되는 선체블록(B)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건조시 다양한 판재들의 결합 및 조립작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놓인 것일 수 있다.
즉, 핸드레일(A)이 설치되는 설치과정에서 제1 판재(B1)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놓여 있으나, 블록 건조작업 및 핸드레일(A)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각각의 선체블록(B)들이 모두 조립되어 선박이 완성되면, 선체블록(B)의 정렬상태가 변화하여 제1 판재(B1)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판재(B2)는 반대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예를들면, 제1 판재(B1)는 선박의 측면부가 되고, 제2 판재(B2)는 선박의 데크(Deck: 갑판)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 고정구(1)는 이러한 선체블록(B)의 정렬상태 변화를 고려하여, 용접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판재(B1)와 평행한 방향으로 핸드레일(A)을 설치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핸드레일 고정구(1)의 제1 지지부(100)는 제1 판재(B1)에 밀착되고, 제2 지지부(200)는 제2 판재(B2)에 밀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가 서로 접합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서로 수직한 각 판재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필릿(Fillet)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가 연결되는 굴절부위에는 이러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라운드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필릿 형성부위에 방해 받지 않고 핸드레일 고정구(1)가 선체블록(B)과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판재(B1)는 끝단부가 제1 지지부(100)와 고정부(110)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111)에 의해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자력부(500) 역시 제1 판재(B1)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제1 판재(B1)와 핸드레일 고정구(1) 사이의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자력부(500)는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볼트(111) 등이 해체된 상태에서도 핸드레일 고정구(1)를 선체블록(B)에 간편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핸드레일(A) 설치 전 핸드레일 고정구(1)를 선체블록(B)에 배치하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력부(50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에 핸드레일 고정구(1)의 부착력이 상승할 수 있으나, 부착 후 선체블록(B)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자력부(500)의 개수 및 자력의 강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가 각각 제1 판재(B1) 및 제2 판재(B2)에 밀착되어 설치된 후, 걸림바(400)와 서포트바(300)사이에 설치대상 핸드레일(A)의 단부를 삽입한다. 핸드레일(A)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인력을 받지만, 하방에서 서포트바(300)가 핸드레일(A)을 받쳐 지지하고, 상방에서는 걸림바(400)가 걸려 서포트바(300)를 중심으로 핸드레일(A)의 끝단부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저지한다. 이로써, 핸드레일(A)은 힘의 평형을 이룬 상태로 핸드레일 고정구(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걸림바(400)의 위치 및 서포트바(300)의 높이 즉, 제1 지지부(100)로부터 안착부(310)까지의 거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걸림바(400)는 복수의 관통홀(230) 중 어디에라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므로, 걸림바(400)가 관통홀(230)에 삽입되는 위치를 도 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100)와 가깝게,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100)로부터 멀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서포트바(300)의 높이 역시 조절바(320)를 회전시켜 안착부(310)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100)와 인접하거나, 혹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지지부(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A)이 평행 이동하여 핸드레일(A)의 고정위치가 조절된다. 핸드레일(A)의 단부가 용접위치에 알맞게 조절되면, 핸드레일(A)의 단부 및 그 주변부를 제2 판재(B2) 또는 제1 판재(B1)에 용접하여 핸드레일(A)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핸드레일 고정구(1)는 걸림바(400) 및 서포트바(30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와 같이 핸드레일(A)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설치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핸드레일 고정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블록(B)의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가 접합된 각 부위에, 핸드레일(A)을 따라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핸드레일 고정구(1) 각각의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는 모두 제1 판재(B1) 또는 제2 판재(B2)와 밀착되고, 걸림바(400)와 서포트바(300) 사이에는 핸드레일(A) 단부가 각각 삽입된다.
핸드레일 고정구(1)의 개수는 설치대상 핸드레일(A)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핸드레일 고정구(1)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걸림바(400)와 서포트바(3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핸드레일(A) 전체의 설치위치 역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레일 고정구(1)를 핸드레일(A) 설치작업이 필요한 작업부위에 설치하고 복수의 핸드레일 고정구(1)가 요부에서 핸드레일(A)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핸드레일(A) 전체가 선체블록(B)을 따라서 설치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핸드레일 고정구 100: 제1 지지부
110: 고정부 111: 고정볼트
120: 연장부 200: 제2 지지부
210, 220: 평행플레이트 230: 관통홀
300: 서포트바 310: 안착부
320: 조절바 321, 401: 헤드부
322: 고정너트 400: 걸림바
500: 자력부
A: 핸드레일 B: 선체블록
B1: 제1 판재 B2: 제2 판재

Claims (6)

  1. 제1 판재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제2 판재를 필릿(Fillet) 용접하여 제조한 선체에 핸드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재에 밀착되며 상기 제1 판재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방형, 블록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판재에 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서포트바;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핸드레일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걸림바 사이에서 상기 제1 판재에 평행하게 지지되는 핸드레일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판재의 타측면으로 굴절되어 상기 제1 판재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자력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핸드레일 고정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나란히 연장된 복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핸드레일 고정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핸드레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바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고정구.
KR1020130023776A 2013-03-06 2013-03-06 핸드레일 고정구 KR10142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76A KR101422826B1 (ko) 2013-03-06 2013-03-06 핸드레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76A KR101422826B1 (ko) 2013-03-06 2013-03-06 핸드레일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826B1 true KR101422826B1 (ko) 2014-07-24

Family

ID=5174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76A KR101422826B1 (ko) 2013-03-06 2013-03-06 핸드레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8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69B1 (ko) * 2011-12-01 2012-05-02 (주)관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69B1 (ko) * 2011-12-01 2012-05-02 (주)관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44B1 (ko) 데크 확장형 난간고정장치
KR101686480B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5957239A (en) Deck-retaining clamp assembly
JP3751708B2 (ja) 養生足場板支持用組立体
US11781282B2 (en) Locking t-bolts, post sleeves, post sleeves with shear connec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422826B1 (ko) 핸드레일 고정구
CN210396207U (zh) 外悬挑网与建筑钢结构的连接部件
CN110805293A (zh) 安全绳固定装置
US8366068B2 (en) Bracing structure, fastener and method for bracing a support structure having props for ceiling formworks
KR101340231B1 (ko) 파이프 연결 지그
KR101390990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KR200478392Y1 (ko) 케이블 지지 구조체
KR101792752B1 (ko) 잭업 레그 결합용 보조장치
CN202391077U (zh) 大面积弹性木地板龙骨固定卡具
JP2566470Y2 (ja) 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装置
KR20140002928U (ko) 빔클램프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JP4611707B2 (ja) 浴室ユニットの支持構造
CN219471594U (zh) 一种杯口基础钢柱水平定位调节装置
CN113686669B (zh) 一种预埋连接件锚固性能拉拔检测器及其施工方法
CN219840201U (zh) 一种适用于快速装配的钢结构框架
CN209969930U (zh) 一种箱型构件焊接定位辅助装置
KR101933972B1 (ko) 서포트 장치
CN115838124A (zh) 自锁式可调节滑动起吊装置及起吊方法
JP2006009384A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装置および角締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