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69B1 -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569B1
KR101140569B1 KR1020110127676A KR20110127676A KR101140569B1 KR 101140569 B1 KR101140569 B1 KR 101140569B1 KR 1020110127676 A KR1020110127676 A KR 1020110127676A KR 20110127676 A KR20110127676 A KR 20110127676A KR 101140569 B1 KR101140569 B1 KR 10114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ndrail
lower cap
flang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국
Original Assignee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2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좌우측 벽면간의 거리보다 짧게 제작하더라도 별도의 추가가공 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동시에 무두볼트에 의해 난간 핸드레일의 좌우 길이방향 유격을 조절하여 핸드레일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분할된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에 핸드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2)가 삽입되는 플랜지삽입홈(31)(41)을 형성하고, 핸드레일(20)의 단부가 끼워지는 레일지지부(32)(42)를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각각 형성하며, 하부캡(30)의 내측판(34)에 건축물의 벽면(10)에 고정되는 앵커삽입구멍(34a)(34b)을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전면(35)(45)과 후면(36)(46)에 상하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7a)(37b)과 위치결정핀(47a)(47b)을 각각 형성하며,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구멍(24)(26)에 결합되는 무두볼트(50)(52)의 선단에 걸리는 걸림홈(34g)(44g)을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판(34)(44)에 각각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무두볼트(50)(52) 진입을 위한 관통구멍(33k)(43k)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을 좌우측 벽면간의 거리보다 짧게 제작하더라도 별도의 추가가공 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동시에 무두볼트에 의해 핸드레일의 좌우 길이방향 유격을 조절하여 핸드레일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시공되는 난간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상측에서 수직을 이루면서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난간동자와, 난간동자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핸드레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특히 난간을 구성하는 핸드레일은 하중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양단을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래에는 이를 위해 핸드레일의 양단에 얇은 철판을 용접한 다음 그 철판에 구멍을 천공하고 벽면에는 앵커를 박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여 철판을 벽면에 대고 앵커나 스크류를 박아서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핸드레일 고정구조는 공장에서 핸드레일이 짧게 제작되거나 벽면의 거리가 시공오차에 의해 핸드레일보다 길어지는 경우 핸드레일에 철판을 다시 용접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어 공기를 연장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드레일의 길이가 벽면의 거리보다 짧게 제작되더라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로 분할된 하부캡과 상부캡의 내측에 핸드레일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삽입되는 플랜지삽입홈을 형성하고, 핸드레일의 단부가 끼워지는 레일지지부를 하부캡과 상부캡의 외측판에 각각 형성하며, 하부캡의 내측판에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삽입구멍을 형성하고, 하부캡과 상부캡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과 위치결정핀을 각각 형성하며,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무두볼트의 선단에 걸리는 걸림홈을 하부캡과 상부캡의 내측판에 각각 형성하고, 하부캡과 상부캡의 외측판에 무두볼트 진입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길이가 좌우측의 벽면간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플랜지의 나사구멍에 결합되어 있는 무두볼트의 돌출거리를 조정하게 되면, 핸드레일에 추가적인 가공 없이 핸드레일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레일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는 하부캡과 상부캡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보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에 핸드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2)가 삽입되는 플랜지삽입홈(31)(41)을 형성하고, 핸드레일(20)의 단부가 끼워지는 레일지지부(32)(42)를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플랜지삽입홈(31)(41)의 폭은 플랜지(2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며, 차후에 무두볼트(50)(52)를 이용해서 플랜지(22)가 플랜지삽입홈(31)(41)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캡(30)의 내측판(34)에 건축물의 벽면(10)에 고정되는 앵커삽입구멍(34a)(34b)을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전면(35)(45)과 후면(36)(46)에 상하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7a)(37b)과 위치결정핀(47a)(47b)을 각각 형성한다.
또,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구멍(24)(26)에 결합되는 무두볼트(50)(52)의 선단에 걸리는 걸림홈(34g)(44g)을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판(34)(44)에 각각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무두볼트(50)(52) 진입을 위한 관통구멍(33k)(43k)을 형성한다.
여기서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구멍(24)(26) 주위를 좀 더 두툼하게 반원형의 형태로 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무두볼트(50)(52)는 예를 들어서 육각홈붙이 무두렌치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무두볼트(50)(52)의 선단과 걸림홈(34g)(44g)은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무두볼트(50)(52)가 걸림홈(34g)(44g)에 보다 강력하게 걸리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은 핸드레일(20)의 양쪽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양쪽이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만을 도시하였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하부캡(30)을 벽면(10)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0)의 양단을 건축물의 벽면(10)에 고정하는 시공과정은 먼저 앵커(12)가 삽입될 구멍위치를 벽면(10)에 표시한 다음 해머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벽면(10)에 구멍(도시 않됨)을 천공한 다음 벽면(10)에 천공된 구멍의 중심과 하부캡(30)의 내측판(34)에 형성된 앵커삽입구멍(34a)(34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앵커삽입구멍(34a)(34b)으로 앵커(12)를 삽입하게 되면, 하부캡(30)이 벽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부캡(30)은 핸드레일(20)이 설치될 좌우측 벽면(10)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핸드레일(20)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22)를 하부캡(30)에 삽입하게 되면, 핸드레일(20)의 단부가 하부캡(30)의 외측판(33)에 형성된 레일지지부(32)로 삽입되어 핸드레일(20)의 양단이 하부캡(30)에 걸려서 임시로 고정된다.
이후 상부캡(40)을 이용 플랜지(22)의 상측을 덮으면서 하부캡(30)에 결합하게 되면, 상부캡(4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핀(47a)(47b)이 하부캡(3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37a)(37b)으로 삽입되면서 상부캡(40)이 하부캡(30)에 결합된다.
이때 위치결정핀(47a)(47b)과 끼움홈(37a)(37b)은 상부캡(40)이 하부캡(30)으로부터 전후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부캡(40)과 하부캡(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캡(40)과 하부캡(30)의 외측판(33)(4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33k)(43k)을 통해 무두볼트(50)(52)를 삽입하여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구멍(24)(26)에 결합하게 되면, 무두볼트(50)(52)가 나사구멍(24)(26)을 통해 플랜지(22)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무두볼트(50)(52)를 더 조이게 되면, 무두볼트(50)(52)의 선단이 상부캡(40)과 하부캡(30)의 내측판(34)(4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4g)(44g)에 걸리게 된다.
이때 하측과 상측에 위치된 2개의 무두볼트(50)(52)가 각각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판(34)(44)에 형성된 걸림홈(34g)(44g)에 걸려 있기 때문에 플랜지(22)와 상부캡(40)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통상 핸드레일(20)의 길이를 좌우측 벽면(10)의 거리보다 약간 짧게 제작하는 경우 무두볼트(50)(52)를 조여서 걸림홈(34g)(44g)에 밀착시키게 되면, 핸드레일(20)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10 : 벽면 12 : 앵커
20 : 핸드레일 22 : 플랜지
24,26 : 나사구멍 30 : 하부캡
40 : 상부캡 31,41 : 플랜지삽입홈
32,42 : 레일지지부 33,43 : 외측판
33k,43k : 관통구멍 34,44 : 내측판
34a,34b : 앵커삽입구멍 34g,44g : 걸림홈
35,45 : 전면 36,46 : 후면
37a,37b : 끼움홈 47a,47b : 위치결정핀
50,52 : 무두볼트

Claims (1)

  1. 상하로 분할된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에 핸드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2)가 삽입되는 플랜지삽입홈(31)(41)을 형성하고, 핸드레일(20)의 단부가 끼워지는 레일지지부(32)(42)를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각각 형성하며, 하부캡(30)의 내측판(34)에 건축물의 벽면(10)에 고정되는 앵커삽입구멍(34a)(34b)을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전면(35)(45)과 후면(36)(46)에 상하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37a)(37b)과 위치결정핀(47a)(47b)을 각각 형성하며,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구멍(24)(26)에 결합되는 무두볼트(50)(52)의 선단에 걸리는 걸림홈(34g)(44g)을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내측판(34)(44)에 각각 형성하고, 하부캡(30)과 상부캡(40)의 외측판(33)(43)에 무두볼트(50)(52) 진입을 위한 관통구멍(33k)(43k)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KR1020110127676A 2011-12-01 2011-12-01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KR10114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76A KR101140569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76A KR101140569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569B1 true KR101140569B1 (ko) 2012-05-02

Family

ID=4627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76A KR101140569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18B1 (ko) 2013-09-16 2014-02-20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KR101422826B1 (ko) * 2013-03-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고정구
KR101448956B1 (ko) 2014-06-03 2014-10-13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372A (ja) 2002-12-12 2004-07-08 Tomato:Kk 手摺りのフランジカバー
JP2006348521A (ja) 2005-06-14 2006-12-28 Yahata Neji:Kk 手摺の取付け金具
KR200437153Y1 (ko) 2006-12-05 2007-11-07 주식회사 윈스틸 난간의 신축이음 구조
KR20090030936A (ko) * 2007-09-21 2009-03-25 김동수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372A (ja) 2002-12-12 2004-07-08 Tomato:Kk 手摺りのフランジカバー
JP2006348521A (ja) 2005-06-14 2006-12-28 Yahata Neji:Kk 手摺の取付け金具
KR200437153Y1 (ko) 2006-12-05 2007-11-07 주식회사 윈스틸 난간의 신축이음 구조
KR20090030936A (ko) * 2007-09-21 2009-03-25 김동수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826B1 (ko) * 2013-03-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고정구
KR101364518B1 (ko) 2013-09-16 2014-02-20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KR101448956B1 (ko) 2014-06-03 2014-10-13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08148A1 (en) Railing support post with threaded receivers
US9683372B2 (en) Stair systems and wall assemblies comprising same
US9512573B2 (en) Bridge tie fastener system
US9435128B2 (en) Overlap arrangement of at least two decking planks
KR101140569B1 (ko)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구조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US20150240478A1 (en) Anchor rail arrangement
JP200908402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敷居装置
US20170362785A1 (en) Bridge tie fastener system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JP2016014236A (ja) 吊足場
KR20090057825A (ko)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JP2022150069A (ja) エレベータの手摺装置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1128035B1 (ko) 스틸난간대용 동자하부캡 구조
JP5812750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およびその三方枠固定装置
JP2017141542A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JP6792338B2 (ja) 木質構造材補強構造
KR20200066163A (ko) 건물 외벽시공장치
US3641722A (en) Fastening device for mounting a frame in a wall opening
JP6406577B2 (ja) 治具
KR200473553Y1 (ko) 안전난간 체결구
JP6719944B2 (ja) 支柱受け床下地構造および支持部材
JP5270950B2 (ja) 階段、階段用の踏板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