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45Y1 -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 Google Patents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45Y1
KR200472145Y1 KR2020120011939U KR20120011939U KR200472145Y1 KR 200472145 Y1 KR200472145 Y1 KR 200472145Y1 KR 2020120011939 U KR2020120011939 U KR 2020120011939U KR 20120011939 U KR20120011939 U KR 20120011939U KR 200472145 Y1 KR200472145 Y1 KR 200472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rrier
angle adjusting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강우
Original Assignee
(주)한국로제보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로제보플라 filed Critical (주)한국로제보플라
Priority to KR2020120011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8Supports; Devices for carr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캐리어에 지지 고정되는 길이가 긴 튜브의 자체 하중 및, 상기 튜브의 단부에 결합 설치된 조작판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튜브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 등의 조작판넬이 고정된 튜브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튜브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인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탭홀에는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튜브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가 볼트 체결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carrier having preventing structure for deflection of tube}
본 고안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캐리어에 지지 고정되는 길이가 긴 튜브의 자체 하중 및, 상기 튜브의 단부에 결합 설치된 조작판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튜브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carrier)는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 등에 구비되어 장비의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판넬을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장비의 외부에 조작판넬 설치 시 사용되는 부재이다.
상기의 캐리어는 도 1에서와 같이, 벽체나 지지패널(이하, '지지부재'라 함) 중 어느 한 곳의 지지부재(4)에 상기의 캐리어(1)를 결합하고, 상기의 캐리어(1)에 길이가 긴 튜브(2)를 고정 결합한 후 상기 튜브(2)의 단부에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에 구비된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판넬(3)을 결합 즉, 상기 튜브(2)를 이용하여 상기의 캐리어(1)에 조작판넬(3)을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장비의 외부에서 조작판넬(3)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와 상기 조작판넬(3) 사이에는 하나의 튜브(2)를 구비하거나 또는, 엘보우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튜브(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캐리어(1)에 조작판넬(3)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의 면상에 길이가 긴 튜브의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복수 개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에 튜브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길이가 긴 튜브의 자체 하중 및, 상기 튜브의 단부에 결합 설치된 제품 즉, 조작판넬의 무게에 의해 상기의 튜브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기 캐리어 측에서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처지는 현상 즉, 상기 튜브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인장하중 값이 커짐에 따라 튜브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가 처짐으로 인해 캐리어와 튜브 간의 상부 측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튜브에 결합된 조작판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함은 물론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측의 튜브 및 고정볼트 등이 손상 및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튜브가 결합되는 측의 캐리어에 삽입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캐리어의 삽입홈부로 튜브의 단부를 삽입 결합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에 튜브를 유동됨없이 손쉽고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어에 각도조절탭홀과 상기 각도조절탭홀에 나사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각도조절볼트로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측에 위치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을 밀어주면서 상기의 튜브를 일정 각도 즉, 캐리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튜브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튜브의 처짐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 등의 조작판넬이 고정된 튜브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튜브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인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탭홀에는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튜브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가 볼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 등의 조작판넬이 고정된 튜브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튜브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 전면에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과 접촉되는 삽입홈부의 내측면 하부인 결합부재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탭홀에는 상기 삽입홈부로 삽입 결합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튜브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가 볼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튜브가 결합되는 측의 캐리어에 삽입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의 삽입홈부에 상기 튜브의 단부가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캐리어에 튜브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캐리어에 튜브를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의 일면부 하부 측인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 하부 또는 결합부재에 형성된 삽입홈부의 하부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도조절탭홀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과 접촉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을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의 각도조절탭홀에서 각도조절볼트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볼트의 단부가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측에 위치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을 밀면서 상기 캐리어의 반대쪽인 튜브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즉, 상기 캐리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튜브 전체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함으로 상기 캐리어에 결합된 튜브의 처짐현상을 방지 및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어에 튜브가 결합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에서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로 후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에 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에서 튜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 등에 구비되어 장비의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판넬(3)을 외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튜브(2)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외부에 조작판넬(3)을 설치함을 물론 내부에 전선이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 캐리어(carrier)(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1)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벽체나 지지패널(이하, '지지부재'라 함)(4)에 결합 고정되는 부분인 고정부재(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면에는 조작판넬(3)이 결합되는 길이가 긴 튜브(2)가 결합되는 부분인 결합부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0)와 결합부재(20) 사이에는 상기 캐리어(1)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후면커버(30)가 착탈가능하게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에는 상기 캐리어(1)를 지지부재(4)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상기 캐리어(1)에 튜브(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튜브(2)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2a)과 일치됨은 물론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결합공(21)은 상기 캐리어(1)의 삽입홈부(40) 내측면에 상기 튜브(2)의 단부를 밀착된 상태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2)의 외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부재(20)의 전면 외측부 또는 삽입홈부(40)의 내측 외측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1)에 결합된 튜브(2)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튜브(2)의 처짐 방지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의 캐리어(1)에 형성된 결합부재(20)의 전면에는 상기 튜브(2)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부(40)의 내주면은 튜브(2)의 외주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2)가 상기 캐리어(10의 좌, 우측으로 유동되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홈부(40)의 양측면과 튜브(2)의 양측면은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1)의 상, 하부 측으로 상기 튜브(2)가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부(40)의 상, 하면과 상기 튜브(2)의 상, 하면은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1)의 결합부재(20)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각도조절탭홀(50)은 후술할 각도조절볼트(60)가 튜브(2)의 일단면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튜브(2)의 일단면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부(40)의 내측면 하부인 상기 결합부재(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탭홀(50)에는 상기 캐리어(1)의 결합부재(20) 전면에 형서된 삽입홈부(40)로 삽입 결합되는 튜브(2)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됨은 물론 상기 캐리어(1)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캐리어(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튜브(2) 전체가 일정 각도(α)로 경사 즉, 캐리어(1)의 반대쪽인 튜브(2)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튜브(2)의 일단면 하부를 밀어주기 위한 각도조절볼트(60)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볼트(60)의 외주면에는 튜브(2)의 경사진 각도(α)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탭홀(50)을 따라 각도조절볼트(60)가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도조절탭홀(50)에 각도조절볼트(60)가 볼트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볼트(60)는 도면에서와 같이 육각렌치볼트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캐리어(1)의 고정부재(10)를 지지부재(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각 체결공(11)으로 볼트를 각각 삽입 체결하여 상기 지지부재(4)에 캐리어(1)를 결합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캐리어(1)의 결합부재(20) 전면에 형성된 삽입홈부(40)으로 상기 길이가 긴 튜브(2)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의 단부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재(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공(21)과 상기 튜브(2)의 단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2a)이 일치하게 되며, 상기 일치한 각 결합공(21)과 구멍(2a)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의 삽입홈부(40)에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튜브(2)가 결합되므로 상기의 튜브(2)는 캐리어(1)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튜브(2)의 단부 즉, 캐리어(1)의 반대측인 튜브(2)의 타단부에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에 구비된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판넬(3)을 결합하거나 또는, 엘보우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튜브(2)를 서로 연결 설치한 후 최종 튜브(2)에 조작판넬(3)을 결합하여 상기 조작판넬(3)을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장비의 외부에서 조작판넬(3)을 조작한다.
이때, 상기 길이가 긴 튜브(2)의 자체 하중이나 상기 조작판넬(3)의 무게에 의해 상기 캐리어(1)에서 튜브(2)가 처지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20)의 삽입홈부(40) 내측면 하부에 형성된 각도조절탭홀(50)에 볼트 체결된 각도조절볼트(60)를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조절볼트(60)는 각도조절탭홀(50) 내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하는 각도조절볼트(60)의 단부가 튜브(2)의 일단면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2)의 하부를 밀어줌에 따라 즉, 상기 각도조절볼트(60)가 이동되면서 상기 튜브(2)의 하부를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밀어주므로 도 4에서와 같은 상태의 튜브(2)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인 상기 캐리어(1)의 반대쪽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의 튜브(2) 전체가 일정 각도(α)로 기울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볼트(60)로 튜브(2)를 밀어주면서 상기 튜브(2) 전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튜브(2)를 일정 각도(α)로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튜브(2)는 자체 하중 및 상기 튜브(2)에 결합된 조작판넬(3)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캐리어(1)에 튜브(2)를 손쉽고 용이하면서도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도조절탭홀(50)과 각도조절볼트(60)로 상기 캐리어(1)에 결합된 튜브(2) 전체를 일정 각도(α)로 기울어지게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튜브(2)의 처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튜브(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고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캐리어 2: 튜브
3: 조작판넬 4: 지지부재
10: 고정부재 11: 체결공
20: 결합부재 21: 결합공
30: 후면커버 40: 삽입홈부
50: 각도조절탭홀 60: 각도조절볼트

Claims (3)

  1.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에 구비된 조작판넬이 고정된 튜브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튜브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인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탭홀에는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튜브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가 볼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 전면에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의 내주면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3. 반도체 장비나 LCD장비 및, 자동화 설비에 구비된 조작판넬이 고정된 튜브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튜브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결합부재 전면에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일단면 하부 측과 접촉되는 삽입홈부의 내측면 하부인 결합부재에는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각도조절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탭홀에는 상기 삽입홈부로 삽입 결합되는 튜브의 일단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튜브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밀어주는 각도조절볼트가 볼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KR2020120011939U 2012-12-18 2012-12-18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KR200472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39U KR200472145Y1 (ko) 2012-12-18 2012-12-18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39U KR200472145Y1 (ko) 2012-12-18 2012-12-18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45Y1 true KR200472145Y1 (ko) 2014-04-07

Family

ID=5148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39U KR200472145Y1 (ko) 2012-12-18 2012-12-18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24Y1 (ko) 2004-12-28 2005-03-18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사이드 바
KR200392147Y1 (ko) 2005-05-04 2005-08-19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유리 거치대
KR100844084B1 (ko) 2006-12-12 2008-07-04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24Y1 (ko) 2004-12-28 2005-03-18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사이드 바
KR200392147Y1 (ko) 2005-05-04 2005-08-19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유리 거치대
KR100844084B1 (ko) 2006-12-12 2008-07-04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122B2 (en) Luminaire junction box housing
US9166390B2 (en) Overhead-mounted cable and busway support system
KR101416598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CN104828498A (zh) 一种输送装置
KR101209242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지지장치
KR200472145Y1 (ko)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캐리어
KR101631689B1 (ko) 복합 앵커 시스템
MX2011010747A (es) Canal de medios para un dispositivo de laboratorio.
KR101641832B1 (ko) 조명 설치용 지지장치
CN107623255B (zh) 一种电气梁安装结构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101025532B1 (ko)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US201301393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able and conduit
KR10089128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CN104466827A (zh) 一种适用于电缆桥架的电缆定位装置
CN104565552A (zh) 管路件支架组件和空调器
KR20180017394A (ko) 튜브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커리어
KR102057458B1 (ko) 천장루버 상향식 조명 레일 시스템
CN204689001U (zh) 一种输送装置
CN104132259B (zh) 灯具
CN110829310B (zh) 一种隔墙可调底盒结构及安装方法
KR20150065027A (ko) 수평형 천막 설치장치
KR20170057557A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용이한 클린룸용 천장프레임
KR20130009900A (ko) 선박의 조명장치
KR101466054B1 (ko) 사이드 조정관 설치용 가조립 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