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781A -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781A
KR20160054781A KR1020140154218A KR20140154218A KR20160054781A KR 20160054781 A KR20160054781 A KR 20160054781A KR 1020140154218 A KR1020140154218 A KR 1020140154218A KR 20140154218 A KR20140154218 A KR 20140154218A KR 20160054781 A KR20160054781 A KR 2016005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tray
plate portion
cabl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428B1 (ko
Inventor
남기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4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구조용 형강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의 배선량에 따라 트레이의 폭 방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며 케이블의 배선방향에 따라 트레이를 적절하게 절곡할 수 있게 하여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다수로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 상기 인접한 저판부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저판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이탈을 차단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벤딩용 트레이,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Cable Tray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용 형강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트레이의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게 하며 케이블의 배선방향에 따라 트레이를 적절하게 절곡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의 공급이나 각종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이 다발의 형태로 배설되는 바, 이러한 케이블의 설치는 미관의 저하나 통행자와의 간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천장이나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이루어지고, 특히 배선 위치의 한정을 위해 케이블은 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배선된다.
또한, 고층 구조물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용 형강(H-Beam; 10)에 대해 서포트 부재(20)를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30)가 지지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메인 지지부(22)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위가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의 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22)에 대해 서브 지지부(24)가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30)의 저면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부재(20)는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을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서포트 부재(20)를 매개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30)를 지지하는 작업에서는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상기 메인 지지부(22)의 상단부위를 매번 용접해야 하므로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층 구조물의 경우 대부분 고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 케이블 트레이(30)의 경우 그 폭이 획일적인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폭이 넓은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30)를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저해하게 된다.
또한, 종래 케이블이 곡선 구간의 절곡 배선부위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벤딩용 트레이(40)를 사용해야 하는 데, 종래 벤딩용 트레이(40)는 저판부(42)와 측판부(44)를 갖춘 구조로서 상기 저판부(42)의 경사각도가 대략 90도 정도로 설정된 사양밖에 없으므로 다양한 경사각도의 절곡 배선부위에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벤딩용 트레이(50)의 측판부(54) 중 일부 구간에 걸쳐 소재를 절단하여 절개부(54a)를 형성한 다음, 저판부(52)를 적정의 각도로 절곡시켜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54a)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저판부(52)의 절곡부위(52a)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원활한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절곡되는 소재의 외관도 크게 저하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용 형강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의 배선량에 따라 트레이의 폭 방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며 케이블의 배선방향에 따라 트레이를 적절하게 절곡할 수 있게 하여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는 벤딩용 트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 상기 착탈 조절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안착 지지하는 서브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착탈 조절부는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겹쳐지는 한 쌍의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트레이는 상호 겹쳐지는 저판부, 상기 저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저판부의 일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판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접철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트레이의 저판부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벤딩용 트레이는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 상기 다수의 저판부 중에서 인접한 저판부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저판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는 접철시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경사지게 잘려나간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면착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평판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세팅 조절핀은 상기 측판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요홈부에 끼워지는 대경부, 상기 대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의 배면에서 스프링을 구속하는 배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 상기 다수의 저판부 중에서 인접한 저판부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저판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이탈을 차단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벤딩용 트레이,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 상기 착탈 조절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안착 지지하는 서브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착탈 조절부는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겹쳐지는 한 쌍의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트레이는 상호 겹쳐지는 저판부, 상기 저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저판부의 일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판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접철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트레이의 저판부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면착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평판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세팅 조절핀은 상기 측판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요홈부에 끼워지는 대경부, 상기 대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의 배면에서 스프링을 구속하는 배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케이블 트레이의 고정 지지를 위해 구조용 형강에 설치되는 서포트 부재의 착탈 구조를 단순화시켜 서포트 부재의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성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되는 케이블의 양에 따라 트레이의 저판부에 대한 폭 방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레이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트레이의 측판부에 힌지구조의 다단식 접철 구조의 덮개부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의 내부 공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효과는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공정에서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하지 않은 기간 중에 낙하물에 의해 트레이가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 적용시 경제적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배선방향에 따라 트레이의 설치각도를 적절하게 절곡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산업현장에서 단일의 벤딩용 트레이만으로도 다양한 각도로 배선되는 케이블의 방향에 맞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을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위에 적용되는 트레이의 변형적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 부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폭 방향 크기를 조절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b)는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에서 덮개부를 포함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덮개부의 전개 전/후의 상태를 각각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딩용 트레이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로서, 설치각도의 조정 전/후의 상태를 각각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 부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배선용 케이블(미도시)을 지지를 위해 구조용 형강(10)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100), 및 상기 서포트 부재(10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부재(100)는 상기 구조용 형강(10)에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110), 상기 착탈 조절부(110)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부(112), 및 상기 메인 지지부(112)에 대해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를 안착 지지하는 서브 지지부(11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착탈 조절부(110)는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10a), 상기 플랜지(110a)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결합되는 자성체(110b), 및 상기 플랜지(110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상기 플랜지(110a)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포트 부재(100)는 상기 착탈 조절부(110)의 플랜지(110a)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된 자성체(110b)를 매개로 상기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때의 고정 지지력은 상기 플랜지(110a)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상기 체결볼트(110c)를 상기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긴밀하게 체결시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서포트 부재(100)는 고층 구조물과 같은 고공의 작업 장소에서 상기 구조용 형강(10)에 대해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성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폭 방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폭 방향 크기를 조절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는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겹쳐지는 한 쌍의 트레이(210, 220)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트레이(210, 220)는 상호 겹쳐지는 저판부(212, 222), 상기 저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저판부 사이의 상호 겹쳐진 부위를 고정시키는 굴곡부(212a, 222a), 및 상기 저판부의 일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이탈을 차단하는 측판부(214, 2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두 종류의 트레이(210, 220)는 상호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로 각각 구분하고, 그에 따른 세부 구성도 동일하게 구분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 종류의 트레이(210, 220)는 상호 명확한 구분을 위해 제1트레이(210)와 제2트레이(220)로 각각 분리하여 기재하고, 그에 따른 세부 구성도 동일하게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에 대한 폭 방향 크기의 조절은 상기 제1저판부(212)를 상기 제2저판부(222)의 위에 포개 놓은 위치를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저판부(212)와 상기 제2저판부(222) 사이의 상대 위치는 상기 제1굴곡부(212a)와 상기 제2굴곡부(222a)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의 제1저판부(212)와 제2저판부(222)는 최종 작업단계에서 각각 상기 서포트 부재(100)의 서브 지지부(114)에 대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트레이의 폭방향 크기는 조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는 배선되는 케이블의 양에 따라 한 쌍의 트레이의 저판부(212, 222)에 대한 상대 위치의 조절을 통해 폭 방향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는 배선되는 케이블의 양과 상관없이 단일의 트레이만으로도 다양한 경우에 대처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범용적 활용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작업 도중 케이블의 배선량과 무관하게 트레이의 교체없이 작업을 지속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각 트레이(210, 220)에 구비된 덮개부(216, 226)를 매개로 케이블의 저장공간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도 6의 (a), (b)는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에서 덮개부를 포함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덮개부의 전개 전/후의 상태를 각각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b)를 참조로 하면, 상기 제1트레이(210)는 제1측판부(214)에 대해 제1힌지부(218)를 매개로 제1덮개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제2트레이(220)는 제2측판부(224)에 대해 제2힌지부(228)를 매개로 제2덮개부(22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덮개부(216, 226)는 한 쌍의 트레이(210, 220)의 저판부(212, 222)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덮개부(216, 226)는 각각의 힌지부(218, 228)에 전개 사용시 접힘각을 제한할 수 있는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도 6의 (b)에서와 같이 완전하게 전개되어 저판부(212, 222)의 상부 공간을 완전하게 덮을 경우, 아래로 처지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는 한 쌍의 트레이(210, 220)의 측판부(214, 224)에 대해 각각 힌지부(218, 228)를 매개로 전개 가능한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진 한 쌍의 덮개부(216, 226)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210, 220)의 내부 공간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배설되는 케이블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0)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각 트레이(210, 220)만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케이블을 포설하지 않은 기간 중에 상기 덮개부(216, 226)를 전개하지 않더라도 낙하물에 의해 트레이(210, 220)가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시 경제적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는 벤딩용 트레이(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딩용 트레이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로서, 설치각도의 조정 전/후의 상태를 각각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는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다수로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310), 상기 다수의 저판부(310) 중에서 인접한 저판부(310)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12), 및 상기 저판부(310)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이탈을 차단하는 측판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에는 접철시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소재가 경사지게 잘려나간 절개부(3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320)에 고정되는 고정핀(500),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32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400)는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 중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에 걸쳐 면착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평판부(410), 상기 평판부(41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5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슬롯부(420), 및 상기 평판부(410)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세팅 조절핀(600)과의 결합을 통해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요홈부(43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팅 조절핀(600)은 상기 측판부(320)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요홈부(430)에 끼워지는 대경부(610), 상기 대경부(6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430)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소경부(620), 및 상기 소경부(6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320)의 배면에서 스프링(640)을 구속하는 배면 플랜지(63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는 케이블의 배선방향에 따라 트레이의 설치각도를 적절하게 절곡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산업현장에서 단일의 벤딩용 트레이(300)만으로도 다양한 각도로 배선되는 케이블의 방향에 맞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의 범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작업은 상기 세팅 조절핀(600)을 상기 측판부(320)로부터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조작을 통해 상기 요홈부(430)로부터 상기 세팅 조절핀(600)의 소경부(620)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한 다음, 상기 세팅 조절핀(600)에 가해졌던 조작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6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세팅 조절핀(600)의 대경부(610)가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요홈부(430) 내로 다시 진입하게 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400)에 의한 상기 세팅 조절핀(600)의 위치는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 중에 상기 고정핀(500)은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평판부(410)에 형성된 슬롯부(420)의 내부에서 그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벤딩용 트레이(300)에 대한 설치각도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접한 측판부(320) 사이의 설치각도를 세팅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구조용 형강 12-하부 플랜지
100-서포트 부재 110-착탈 조절부
110a-플랜지 110b-자성체
110c-체결볼트 112-메인 지지부
114-서브 지지부
200-케이블 트레이 210-제1트레이
212-제1저판부 212a-제1굴곡부
214-제1측판부 216-제1덮개부
218-제1힌지부
220-제2트레이 222-제2저판부
222a-제2굴곡부 224-제2측판부
226-제2덮개부 228-제2힌지부
300-벤딩용 트레이 310-저판부
312-힌지부 320-측판부
322-절개부
400-각도 조절부 410-평판부
420-슬롯부 430-요홈부
500-고정핀 600-세팅 조절핀
610-대경부 620-소경부
630-배면 플랜지 640-스프링

Claims (19)

  1.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는 벤딩용 트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
    상기 착탈 조절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안착 지지하는 서브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탈 조절부는,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겹쳐지는 한 쌍의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트레이는 상호 겹쳐지는 저판부;
    상기 저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저판부의 일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접철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트레이의 저판부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용 트레이는,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
    상기 다수의 저판부 중에서 인접한 저판부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저판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는 접철시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경사지게 잘려나간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면착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평판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세팅 조절핀은,
    상기 측판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요홈부에 끼워지는 대경부;
    상기 대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의 배면에서 스프링을 구속하는 배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1.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절곡 배선부에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분할되는 다수의 저판부, 상기 다수의 저판부 중에서 인접한 저판부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저판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선용 케이블의 이탈을 차단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벤딩용 트레이;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
    상기 착탈 조절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안착 지지하는 서브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착탈 조절부는,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조용 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대해 상기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폭 방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겹쳐지는 한 쌍의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트레이는 상호 겹쳐지는 저판부;
    상기 저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저판부의 일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접철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트레이의 저판부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다단식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벤딩용 트레이 사이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에 고정되는 고정핀; 및
    상기 벤딩용 트레이에 대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팅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인접한 측판부 사이에 면착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평판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세팅 조절핀은,
    상기 측판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요홈부에 끼워지는 대경부;
    상기 대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의 배면에서 스프링을 구속하는 배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140154218A 2014-11-07 2014-11-07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65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18A KR101654428B1 (ko) 2014-11-07 2014-11-07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18A KR101654428B1 (ko) 2014-11-07 2014-11-07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81A true KR20160054781A (ko) 2016-05-17
KR101654428B1 KR101654428B1 (ko) 2016-09-05

Family

ID=5610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18A KR101654428B1 (ko) 2014-11-07 2014-11-07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4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N110277759A (zh) * 2019-08-05 2019-09-24 上海华丽达视听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式过线槽
CN111111071A (zh) * 2020-02-19 2020-05-08 捷达消防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消防水带护桥
CN113619451A (zh) * 2020-09-07 2021-11-09 江苏大盛铁塔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铁接触网双拼h型钢柱
CN114336440A (zh) * 2021-11-18 2022-04-12 南京润杰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多角度弯通桥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721U (ko) * 1985-12-27 1987-07-16
JPH02122512U (ko) * 1989-03-14 1990-10-08
JP2009106033A (ja) *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敷設物支持装置および支持方法
KR20130005495U (ko) * 2012-03-09 2013-09-23 최세형 전시용 전자제품 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721U (ko) * 1985-12-27 1987-07-16
JPH02122512U (ko) * 1989-03-14 1990-10-08
JP2009106033A (ja) *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敷設物支持装置および支持方法
KR20130005495U (ko) * 2012-03-09 2013-09-23 최세형 전시용 전자제품 보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N110277759A (zh) * 2019-08-05 2019-09-24 上海华丽达视听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式过线槽
CN111111071A (zh) * 2020-02-19 2020-05-08 捷达消防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消防水带护桥
CN111111071B (zh) * 2020-02-19 2024-03-22 捷达消防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消防水带护桥
CN113619451A (zh) * 2020-09-07 2021-11-09 江苏大盛铁塔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高铁接触网双拼h型钢柱
CN114336440A (zh) * 2021-11-18 2022-04-12 南京润杰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多角度弯通桥架
CN114336440B (zh) * 2021-11-18 2024-03-19 南京润杰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多角度弯通桥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428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28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CN205118615U (zh) 一种投影屏幕用壁挂支架及投影屏幕
CN104401889B (zh) 附墙架及具有其的施工升降机
KR101876571B1 (ko) 케이블 행거
JP5780548B2 (ja) 産業車両又は建設車両の電装品、電気配線及び油圧配管の固定具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JP2009041338A (ja) 固定具
KR20140003819U (ko)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KR20150000644U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JP2019081516A (ja) 連結吊りボルト及び連結吊りボルト取付機構
KR200476065Y1 (ko) 케이블 트레이용 트레이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JP736343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建物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CN106826758A (zh) 机器人用支架
KR200487995Y1 (ko)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640000B1 (ko)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JP7262972B2 (ja) ベース部材
JP2017039353A (ja) き電線仮支持具
KR20130003647U (ko) 곡면 구조물의 지지수단
JP6527382B2 (ja) クロージャ支持部材
KR200463853Y1 (ko) 착탈식 수직지지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0551U (ko) 경사 벽면 부착용 작업지지대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KR20180013497A (ko) 선박용 프로텍션 바 취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