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777A - 변속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777A
KR20140001777A KR1020130074364A KR20130074364A KR20140001777A KR 20140001777 A KR20140001777 A KR 20140001777A KR 1020130074364 A KR1020130074364 A KR 1020130074364A KR 20130074364 A KR20130074364 A KR 20130074364A KR 20140001777 A KR20140001777 A KR 2014000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rating
switch
bia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016B1 (ko
Inventor
게이스케 기노
사토시 유키시타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16H2059/0247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with lever or paddle behind steering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46Control lever on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변속 레버 장치는, 조종간의 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표면을 갖는 확인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향 변속과 하향 변속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윙 가능하게 제공되며,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작동 레버;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상기 작동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 레버를 바이어싱 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부; 및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확인 돌기와 스위치는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에 대향하는 케이스의 부분들에 각각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변속 레버 장치 {Shift lever device}
본 발명은 운전자가 조향 휠(steering wheel)을 잡은 상태에서 기어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패들 시프트(paddle shift)로서 사용되는 변속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6698호(특허문헌 1)는 패들 시프트로서 사용되는 변속 레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변속 레버 장치(101)는 조종간(steering column)에 배치된다. 상기 변속 레버 장치(101)는 한 쌍의 작동부들을 포함한다. 작동부들은 조향 휠의 후방(즉, 자동차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조종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정렬된다. 작동부들 중 하나는 상향 변속(upshift)을 위해 동작되며, 작동부들 중 다른 하나는 하향 변속(downshift)을 위해 동작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 장치(101)는 조종간에 부착된 케이스(102), 및 조향 휠의 전방과 후방으로 스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레버(10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레버(130)와 케이스(102) 사이에는 바이어스 장치(108)와 확인 기구(checking mechanism)(104)이 배치되어 있다. 바이어스 장치(108)는 작동부 쪽으로부터 대기 위치 쪽을 향해 작동 레버(103)를 바이어싱한다. 확인 기구(104)는 운전자가 작동 레버(103)를 조작할 때 작동 레버(103)를 통해 운전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한다. 스위치(105)는 작동 레버(103)의 측면 상에 놓인다. 커넥터(106)는 케이스(102)의 측면 상에 놓인다. 특허문헌 1의 개시에서, 확인 기구(104), 스위치(105), 커넥터(106) 및 바이어스 장치(108)는 롤핀(roll pin)(107)의 축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위의 구성에서, 변속 레버 장치(101)는 운전자의 작동 레버(103)의 스윙 동작에 의해 스위치(105)를 온 또는 오프시키며, 따라서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다. 변속기(transmission)의 상향 변속 및 하향 변속은 출력 전기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 롤핀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부품들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 장착될 때, 조향 휠의 방사 방향으로의 변속 레버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 휠의 방사 방향으로의 변속 레버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작시에 운전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조향 휠의 후방에 위치하는 조종간에 고정되어 있으며, 조종간의 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표면을 갖는 확인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향 변속과 하향 변속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스윙 가능하게 제공되며,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작동 레버;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상기 작동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 레버를 바이어싱 하도록 구성된,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된 바이어스부;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를 향해 스윙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 및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로 스윙할 때 상기 확인 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확인 돌기 상으로 상기 바이어스부가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작동 레버에 클릭감을 주도록 구성된 확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확인 돌기와 스위치는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에 대향하는 케이스의 부분들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확인 돌기와 스위치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변속 레버 장치이다.
상기 바이어스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은 상기 지지 샤프트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부의 일단은 상기 작동 레버의 스윙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부의 타단은 상기 확인 돌기를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돌기는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삽입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의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판 부분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 부분과 바이어스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 상기 스위치 작동부가 작동 윈도우 내에서 스윙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하는 작동 윈도우; 및 상기 작동 윈도우의 개구 가장자리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 레버 장치는 상기 스위치 작동부와 바이어스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 부분의 일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 부분으로부터 상기 확인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는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 레버 장치는 판 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판 부분의 종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내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 휠의 방사 방향으로의 변속 레버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작시에 운전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작동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IV-V 라인을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IV-V 라인을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작동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작동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작동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XIII-XIII 라인을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작동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XIV-XIV 라인을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XIII-XIII 라인을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XIV-XIV 라인을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1A)는 운전자가 조향 휠을 잡고 있는 동안 기어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패들 시프트로서 사용된다. 변속 레버 장치(1A)는 조종간(92)에 고정된 케이스(2); 상기 케이스(2)에 스윙 가능하게(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레버(3); 상기 작동 레버(3)가 동작될 때 운전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는 확인 기구; 및 작동 레버(3)가 동작될 때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5)를 포함한다.
케이스(2)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박스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케이스(2)는 조종간(92)에 고정된 고정부(21); 작동 레버(3)를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측 피봇부(22); 및 삽입구(23)와 작동 윈도우(24)로서 기능하는 2개의 개구들을 포함한다. 3개의 고정부(21)들이 케이스(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볼트(95)들과 같은 고정 부재(도 6 참조) 및 고정부(21)들을 사용하여 조종간(92)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케이스측 피봇부(22)는 삽입구(2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평행판들 내에 형성된다. 이들 판들은 삽입구(23)의 가장자리에 역시 형성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25)에 대해 수직하다. 케이스측 피봇부(22)의 각각의 판에는 관통홀(22a)이 제공된다. 케이스측 피봇부(22)의 관통홀(22a)과 작동 레버(3)의 레버측 피봇부(31) 내에 지지 샤프트(7)가 단단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구(23)는 케이스(2)의 한쪽 단부면에서 케이스(2)의 종축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삽입구(23)는 케이스(2)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해 있다. 작동 레버(3)가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2)의 외부로부터 케이스(2)의 내부로 판 부분(32)과 바이어스부(8)(이 둘은 나중에 설명한다)가 삽입되어 있다. 작동 윈도우(24)는 케이스(2)의 종축 방향으로 케이스(2)의 표면에 개방되어 있다. 작동 윈도우(24)는 스위치 작동부(33)(후술한다)가 작동 윈두우(24) 내에서 스윙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작동 윈도우(24)의 개구 가장자리 또는 그의 부근에는 한 쌍의 핀(24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핀(24a)들은 스위치(5)에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5)를 지지하기 위하여 케이스(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변속 레버 장치(1A)가 조종간(92)에 부착될 때, 작동 레버(3)의 베이스단 쪽은 조종간(92) 상의 케이스(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며, 작동 레버(3)의 끝단 쪽은 조향 휠(91)의 후방(즉, 자동차를 기준으로 전방측)을 향해 연장된다. 작동 레버(3)는 그의 끝단 쪽에 있는 작동부(34)를 포함한다. 작동부(34)는 조향 휠(91)의 형태에 대응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작동 레버(3)는 그의 베이스단 쪽에 있는 레버측 피봇부(31)를 포함한다. 레버측 피봇부(31)는 케이스측 피봇부(22)와의 협력으로 작동 레버(3)를 스윙 가능하게 한다. 레버측 피봇부(31)에는 지지 샤프트(7)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 샤프트(7)는 케이스(2)에 대해 지지된다. 작동 레버(3)는 작동부(34) 측 상의 레버측 피봇부(31)의 부근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부(35)를 포함한다. 스프링 수용부(35)는 지지 샤프트(7)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홈(오목부) 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35)에는 바이어스부(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부(8)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이어스부(8)의 종축 방향은 지지 샤프트(7)에 대해 수직하다. 바이어스부(8)의 단부는 작동 레버(3)의 스윙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작동 레버(3)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어스부(8)의 베이스단에는 결속홀(engagement hole)(81)이 제공된다. 상기 결속홀(81)은 바이어스부(8)의 평평한 표면들을 관통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관통홀로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 수용부(35) 내에는 결속 돌기(engagement projection)(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 돌기(35a)는 스프링 수용부(35)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결속 돌기(35a)가 결속홀(81)과 결합됨으로써, 바이어스부(8)가 스프링 수용부(35)에 고정된다. 바이어스부(8)의 끝단에는 확인부(check portion)(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인부(42)는 (후술할) 확인 돌기(check projection)(41)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작동 레버(3)의 레버측 피봇부(31)와 스프링 수용부(35) 사이에는 판 부분(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 부분(32)은 평평한 판으로 형성된 모양을 갖는다. 판 부분(32)은 바이어스부(8)의 종축 방향을 따라 바이어스부(8)의 평평한 표면들과 평행하게 작동 레버(3)로부터 연장된다. 스위치 작동부(33)는 판 부분(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부(33)는 반구형 돔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한다. 스위치 작동부(33)는 확인 돌기(41)에 인접하는 스위치(5)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작동 레버(3)는 스위치 작동부(33)와 바이어스부(8) 사이에 위치하는 판 부분(32)의 일부에 배치된 스토퍼(stopper)(36)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6)는 판 부분(32)으로부터 확인 돌기(41)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확인 기구(check mechanism)(4)는 바이어스부(8) 내에 형성된 확인부(42)와 케이스(2)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확인 돌기(41)를 포함한다. 확인 돌기(41)는 바이어스부(8)에 대향하는 케이스(2)의 일부 내에 제공된다. 상기 확인 돌기(41)는 케이스(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 표면이 바이어스부(8)의 종축 방향을 향해 울퉁불퉁하게 만든다. 바꾸어 말하자면, 확인 돌기(41)는 조종간(92)의 축(93)의 연장 방향(즉, 조종간(92)의 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스위치(5)는 전자 회로를 접속시키거나 차단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5)로서 마이크로 스위치가 사용된다. 마이크로 스위치는 ON 동작이 수행될 때에만 전자 회로의 도전 조건을 제공하도록 서로 접촉하는 컨택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스위치(5)는, 상기 스위치(5)의 스위치 레버(51)가 작동 레버(3)의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하도록 핀(24a)들에 의해 케이스(2)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5)는 그의 스위치 레버(51)가 스위치 작동부(33)에 대향하도록 정렬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51)는 상기 스위치 레버(51)의 종축 방향이 조종간(92)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5)는 평평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이 조종간(92)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스위치(5)와 확인 돌기(41)는 지지 샤프트(7)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이들은 지지 샤프트(7)의 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확인 돌기(41)의 만곡된 표면은 조종간(92)의 축 방향에 대해 만곡되어 있다. 각각의 핀(24a)의 끝단에는 푸시 너트(push nut)(52)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스위치(5)가 케이스(2)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조립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바이어스부(8)의 베이스단이 스프링 수용부(35) 내에 삽입되어 결속홀(81)을 결속 돌기(35a)와 결합시키며, 그럼으로써 바이어스부(8)가 작동 레버(3)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스위치(5)가 핀(24a)들에 설치되고, 푸시 너트(52)들이 핀(24a)들의 끝단들에 부착되어 스위치(5)를 케이스(2)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작동 레버(3)의 판 부분(32)과 바이어스부(8)가 케이스(2)의 삽입구(23) 내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케이스측 피봇부(22)의 관통홀(22a)들과 상기 관통홀(22a)들 사이에 위치하는 레버측 피봇부(31)의 관통홀 내로 지지 샤프트(7)가 삽입되며, 그럼으로써 작동 레버(3)가 케이스(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레버(3)가 케이스(2)에 설치될 때, 확인부(42)는 바이어스부(8)에 의해 확인 돌기(41)를 향해 지속적으로 바이어싱된다. 또한, 판 부분(32)은 상기 바이어스부(8)의 바이어싱으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어스부(8)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2)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작동 레버(3)가 바이어싱되어 대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작동 레버(3)가 대기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스윙하는 동안, 바이어스부(8)의 확인부(42)는 케이스(2)의 확인 돌기(41) 위로 미끄러지며, 스위치 작동부(33)가 스위치(5)를 턴온시킨다. 이러한 동작에서, 바이어스부(8)의 구부러짐의 정도는 확인 돌기(41)의 모양(즉, 만곡된 표면)에 따라 변화하며, 생성된 복원력은 운전자에게 클릭감(clicking feeling)을 제공한다. 스위치(5)가 이미 턴온된 후에 작동 레버(3)가 추가적으로 동작할 때, 스토퍼(36)의 끝단이 확인 돌기(41)와 접촉하여 스위치(5)를 보호한다. 운전자가 작동 레버(3)의 동작을 위한 힘을 뺄 때, 작동 레버(3)는 바이어스부(8)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판 부분(32)은 케이스(2)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작동 레버(3)가 대기 위치로 바이어싱된 채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부(8)와 스위치 작동부(33)는 지지 샤프트(7)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부품들은, 종래의 변속 레버 장치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지지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자동차 내에 설치되었을 때, 조향 휠의 방사 방향으로 변속 레버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부(8), 지지 샤프트(7), 케이스(2), 및 스위치(5)는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변속 레버 장치(1A)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변속 레버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어스부(8)로서 판 스프링이 사용된다. 따라서, 자동차 내에 설치되었을 때 변속 레버 장치의 방사 방향으로 변속 레버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확인 기구(4)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소형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종간의 측면 상에 변속 레버 장치(1A)를 컴팩트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36)가 스위치 작동부(33)와 바이어스부(8) 사이의 판 부분(32)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36)를 다른 위치들에 배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는 변속 레버 장치를 위한 부품들의 개수를 줄이고 변속 레버 장치를 소형화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5)는 돌출 방식으로 작동 윈도우(24)의 개구 가장자리에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된 핀(24a)들에 의해 케이스(2)에 지지된다. 따라서, 케이스(2)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스위치들 중에서 하나가 스위치(5)로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변속 레버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 윈도우(24)의 개구 가장자리에 제공된 부재들이 스위치(5)를 케이스(2)에 정렬시킨다. 따라서, 핀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부터 핀들을 제외한 어떤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마이크로 스위치가 바뀔 때에도, 케이스(2)의 모양을 변화시키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설계 조건에 더욱 적합하도록 스위치를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도 8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스토퍼(37)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위치와 공간적으로 상이한 작동 레버(3)의 위치에 위치한다. 조절부(regulation portion)(26)가 케이스(2) 내에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격막(rib)(38)이 제공된다. 상기 격막(38)은 제 1 실시예에서 스토퍼(36)가 배치되어 있는 판 부분(32)의 일부로부터 확인 돌기(41)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지면, 상기 립은 스위치 작동부(33)와 바이어스부(8) 사이의 판 부분(32)의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도 8 내지 16에 도시된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7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며, 따라서 그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토퍼(37)는 스위치 작동부(33)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7)는 판 부분(32)의 종축 방향으로 끝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조절부(26)는 케이스(2)의 종축 방향으로 케이스(2)의 반대쪽 끝 표면에서 개방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조절부(26)는 스토퍼(37)가 그 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절부(26)는 대기 위치 쪽(도 9에서 왼쪽)에 있는 대기측 조절부(27)를 포함한다. 조절부(26)는 동작 위치 쪽(도 9에서 오른쪽)에 있는 동작측 조절부(28)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3)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대기측 조절부(27)와 접촉한다. 대신에, 작동 레버(3)는 동작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동작측 조절부(28)와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조립에 있어서, 판 부분(32)과 바이어스부(8)를 케이스(2)의 삽입구(23) 내에 삽입하고 케이스(2)의 끝단 측을 향해 밀어넣는다. 그런 후에, 작동 레버(3)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37)를 조절부(26)의 프레임 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케이스(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작동 레버(3)를 지지하도록 레버측 피봇부(31)와 케이스측 피봇부(22)의 관통홀(22a)들 내에 지지 샤프트(7)를 삽입한다.
작동 레버(3)가 케이스(2)에 부착될 때, 확인부(42)는 바이어스부(8)에 의해 확인 돌기(41)에 대해 바이어싱되며, 판 부분(32)의 끝단에 있는 스토퍼(37)는 바이어스부(8)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2)의 대기측 조절부(27)와 접촉하고, 그럼으로써 작동 레버(3)는 대기 위치에서 바이어싱된 채 유지된다.
작동 레버(3)가 대기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스윙할 때, 확인부(42)는 확인 돌기(41) 위로 미끄러지며, 스위치 작동부(33)는 스위치(5)를 턴온시킨다. 상기 스위치(5)가 이미 턴온된 후에 작동 레버(3)가 추가적으로 동작할 때, 판 부분(32)의 끝단에 있는 스토퍼(37)가 케이스(2)의 동작측 조절부(28)와 접촉하며, 따라서 작동 레버(3)의 스윙 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작동 레버(3)는 동작 위치에서 바이어싱된 채 유지되고, 스위치(5)가 보호된다. 위의 동작에서, 상기 스토퍼(37)는 동작측 조절부(28)와 접촉한다. 그러나, 격막(38)의 끝단은 확인 돌기(41)와 접촉하지 않는다.
운전자가 작동 레버(3)의 동작을 위한 힘을 뺄 때, 작동 레버(3)는 바이어스부(8)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판 부분(32)의 끝단에 있는 스토퍼(37)는 케이스(2)의 대기측 조절부(27)와 접촉하며, 그럼으로써 작동 레버(3)가 대기 위치에서 바이어싱된 채 유지된다. 위의 동작에서, 상기 스토퍼(37)는 대기측 조절부(27)와 접촉한다. 그러나, 판 부분(32)은 케이스(2)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과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스토퍼(37)는 돌출하는 방식으로 판 부분(32)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조절부(26)는 스토퍼(37)가 조절부(26)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37)와 조절부(26)는 지지 샤프트(7)의 방사 방향으로 지지 샤프트(7)로부터 멀리 배열되어 있으며, 작동 레버(3)의 스윙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 레버(3)의 일부가 지지 샤프트(7)로부터 지지 샤프트의 방사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동 레버(3)의 스윙에 수반되는 상기 일부의 이동 거리가 더 길어진다. 이는, 스토퍼와 조절부가 지지 샤프트의 근처에 위치한다면 그들의 크기 공차로 인하여 스위치 작동부(33)의 이동 거리의 변화가 커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작동 레버(3)의 스윙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위치의 정확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나, 지지 샤프트의 방사 방향으로 지지 샤프트(7)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있는 판 부분(32)의 끝단에 스토퍼(37)가 배열되어 있으며, 지지 샤프트(7)의 방사 방향으로 지지 샤프트(7)로부터 먼 위치에 조절부(26)가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레버(3)가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스위치(5)에 지나친 부하를 인가하지 않고 스위치(5)를 안전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동 레버(3)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스위치(5)는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부(26)는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조절부(26)의 형태는 이러한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절부(26)는 스토퍼가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동작과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2.....케이스 3.....작동 레버
5.....스위치 7.....지지 샤프트
8.....바이어스부 21....고정부
22....케이스측 피봇부 23....삽입구
24....작동 윈도우 26....조절부
31....레버측 피봇부 32....판부분
33....스위치 작동부 34....작동부
35....스프링 수용부 36....스토퍼
37....스토퍼 51....스위치 레버
91....조향 휠 92....조종간

Claims (5)

  1. 조향 휠의 후방에 위치하는 조종간에 고정되어 있으며, 조종간의 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표면을 갖는 확인 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향 변속과 하향 변속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스윙 가능하게 제공되며,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작동 레버;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상기 작동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
    동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 레버를 바이어싱 하도록 구성된,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된 바이어스부;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를 향해 스윙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 및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로 스윙할 때 상기 확인 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확인 돌기 상으로 상기 바이어스부가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작동 레버에 클릭감을 주도록 구성된 확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확인 돌기와 스위치는 상기 바이어스부와 스위치 작동부에 대향하는 케이스의 부분들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확인 돌기와 스위치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변속 레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은 상기 지지 샤프트에 수직하고,
    상기 바이어스부의 일단은 상기 작동 레버의 스윙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작동 레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어스부의 타단은 상기 확인 돌기를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돌기는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변속 레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삽입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의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어스부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판 부분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 부분과 바이어스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 상기 스위치 작동부가 스윙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하는 작동 윈도우; 및 상기 작동 윈도우의 개구 가장자리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변속 레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와 바이어스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 부분의 일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 부분으로부터 상기 확인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는 끝단을 포함하는, 변속 레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판 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판 부분의 종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내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작동 레버가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게 되는, 변속 레버 장치.
KR1020130074364A 2012-06-28 2013-06-27 변속 레버 장치 KR101446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5646 2012-06-28
JP2012145646 2012-06-28
JP2013038308A JP2014028610A (ja) 2012-06-28 2013-02-28 シフトレバー装置
JPJP-P-2013-038308 201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77A true KR20140001777A (ko) 2014-01-07
KR101446016B1 KR101446016B1 (ko) 2014-09-29

Family

ID=497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364A KR101446016B1 (ko) 2012-06-28 2013-06-27 변속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00404A1 (ko)
JP (1) JP2014028610A (ko)
KR (1) KR101446016B1 (ko)
CN (1) CN103568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8332B (zh) * 2014-08-21 2017-02-08 靖江市维益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手机壳彩绘机用风热装置
DE102016112277A1 (de) * 2016-07-05 2018-01-1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Bedien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CN111828608A (zh) * 2020-06-24 2020-10-27 东南大学 一种拨片换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7947A (en) * 1925-07-28 Switch
US4387279A (en) * 1981-10-19 1983-06-07 Methode Electronics, Inc. Column mounted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JPH0195033U (ko) * 1987-12-15 1989-06-22
US5666855A (en) * 1995-08-23 1997-09-16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Vehicle shifter with mechanically connectable pivot
JP3388164B2 (ja) * 1997-12-26 2003-03-17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自動変速機用コラムシフト装置
JP3486339B2 (ja) * 1998-04-23 2004-01-13 ナイルス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EP1211119B1 (en) * 2000-12-01 2008-01-09 Alps Electric Co., Ltd. Vehicle-mounting steering switch
JP2002166833A (ja) * 2000-12-01 2002-06-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US7762159B2 (en) * 2002-08-28 2010-07-27 Alps Electric Co., Ltd. Steering switch for vehicle
JP4303495B2 (ja) * 2003-03-14 2009-07-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4431352B2 (ja) * 2003-10-02 2010-03-10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操作装置
US7278510B1 (en) * 2004-04-22 2007-10-09 American Supercars And Prototypes, Llc Shifting system for an automobile automatic transmission
FR2886223B1 (fr) * 2005-05-26 2007-07-13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changement de rapport de vitesses pour vehicule, au voisinage du volant
JP2009035099A (ja) * 2007-08-01 2009-02-19 Tokai Rika Co Ltd 車両のシフトレバースイッチ
JP2009041679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Motor Corp アクチュエータ、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替装置、ならびにパーキング装置
JP4624435B2 (ja) * 2008-02-29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速操作部材の組付け方法、操舵ハンドルおよび変速操作部材
US8915342B2 (en) * 2008-04-24 2014-12-23 David Cook Dual stage input lever transmission downshift system
JP5154329B2 (ja) * 2008-08-05 2013-0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位置判断装置及びパドルシフトスイッチ
KR200459979Y1 (ko) * 2009-11-09 2012-04-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패들 스위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016B1 (ko) 2014-09-29
CN103568836A (zh) 2014-02-12
CN103568836B (zh) 2016-03-09
US20140000404A1 (en) 2014-01-02
JP2014028610A (ja)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0742B1 (en)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EP1898435B1 (en) Switch and contact modules therefor
EP1759921B1 (en)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KR101446016B1 (ko) 변속 레버 장치
JP2007073261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WO2011065427A1 (ja) スイッチ
US20090223785A1 (en) Switch device for key operation
JP2007073262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09230972A (ja) スイッチ装置
JP2010282882A (ja) スイッチ装置
US6556786B2 (en) Camera
KR100500086B1 (ko) 스위치장치
WO2020075443A1 (ja) スイッチ
US6903285B2 (en) Steering column switch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2008130497A (ja) スイッチ装置
JP2021072190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JP4528697B2 (ja) スイッチ装置
US6765166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JP2022127193A (ja) レバースイッチ
JP4534850B2 (ja) タンブラ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
KR20040070011A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JP4534851B2 (ja) タンブラ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
JP200518303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