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655A -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655A
KR20140001655A KR1020120069944A KR20120069944A KR20140001655A KR 20140001655 A KR20140001655 A KR 20140001655A KR 1020120069944 A KR1020120069944 A KR 1020120069944A KR 20120069944 A KR20120069944 A KR 20120069944A KR 20140001655 A KR20140001655 A KR 2014000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stop position
vehicle
rai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655A/ko
Publication of KR2014000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스크린 도어; 스크린 도어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 차량의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차위치인식모듈; 및 정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스크린 도어를 위치시키도록 레일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Screen door device for p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적합하도록 도어를 개폐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도어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승강장 위에 선로와 격리되는 고정벽(스크린)과 가동문을 설치해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 안전장치이다.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멈추어 서면 전동차 문과 함께 열려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객의 안전 확보와 함께 전동차로 인한 소음, 먼지, 강풍 등을 줄이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 장치의 설치로 얻게 되는 장점은 승객의 추락 및 전동차와의 접촉 방지, 역무원 인력의 절감, 전동차의 무인 운전 가능, 승객의 유동성 향상 및 고속통과 운전 가능, 차량 강풍방지와 방음/방진 효과를 통한 승강장의 쾌적성 유지, 전동차 화재시 방연효과, 역 환기탑 및 기계실의 축소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동차가 정위치를 초과하고나 미달하여 정차하는 경우, 전동차를 재운전하여 승강장 정위치에 정차하도록 하거나, 그대로 승강장의 가동문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승하차 속도가 지연되고, 승강장의 가동문과 전동차 문과의 어긋남으로 인해 오히려 승강장에서 다른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적합하도록 스크린 도어를 개폐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도어;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 차량의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차위치인식모듈; 및 상기 정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크린 도어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레일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차 위치가 정위치에서 임계값 이상 벗어난 경우에만 상기 레일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도어보다 큰 폭을 갖는 스크린 도어; 차량의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차위치인식모듈; 및 상기 정차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차 위치가 정위치에서 임계값 이상 벗어난 경우, 상기 정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크린 도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레일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차위치인식모듈은 상기 차량에 부착된 복수개의 전자태그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정차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적합하도록 스크린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차량의 문과 스크린 도어의 어긋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정차 위치에 대응되도록 도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승강장 도어 장치 및 그 구동을 예시한 도면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정차 위치에 상응하도록 도어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 및 그 구동을 예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부착된 차량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범위에 적응적인 스크린 도어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도시한 테이블.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정차 위치에 대응되도록 도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승강장 도어 장치 및 그 구동을 예시한 도면들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정차 위치에 상응하도록 도어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 및 그 구동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스크린 도어(100)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1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도어(12)가 승강장의 정위치를 벗어나게끔 차량(10)이 정차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레일(110)을 구동하여 스크린 도어(100)가 차량도어(12)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위치를 벗어나도록 차량(10)이 정차한 경우에도 스크린 도어(100)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차량(10) 자체가 다시 이동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 도어(300)의 좌우 폭이 차량도어(1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도어(12)가 승강장의 정위치(200)를 벗어나는 위치에 차량(10)이 정차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차량도어(12)에 대응되는 크기로 열리도록 스크린 도어(300)의 좌우 열림 정도를 다르게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는 차량(10)이 정위치를 벗어나도록 정차하게 되면, 벗어난 만큼을 스크린 도어(300)의 좌우 열림으로 보상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실시예는 각 방식에 따라 단독 구현될 수도 있으나, 다른 예에 따르면 두 가지 방식이 모두 하나의 스크린 도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정차 위치의 오차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도어(300)의 열림 정도로 그 오차를 보상하고, 오차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레일(110)을 이용하여 스크린 도어(300)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켜 오차를 보상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3에 따른 각 방식이 모두 적용된 스크린 도어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부착된 차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정차위치인식모듈(510), 스크린 도어(300), 레일(110), 구동모듈(530) 및 제어모듈(550)을 포함한다.
정차위치인식모듈(510)은 차량(10)의 정차 위치에 따른 정위치와의 오차를 산출할 수 있도록, 차량(10)의 정차 위치를 측정한다.
일례에 따르면, 정차위치인식모듈(510)은 적외선센서와 같은 거리측정센서로 구현되어 차량(10)이 진입하거나 다음역으로 나가는 좌측 및 우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장에 진입한 차량(10)의 정면 또는 후면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정위치와의 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정차위치인식모듈(51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와 같은 전자태그 리더기로 구현되어, 차량(10)의 측면 일측에 부착된 복수개의 RFID 태그와 같은 전자태그(600)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함으로써, 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예들은 각 실시예일뿐이며, 정차위치인식모듈(510)로서 차량(1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모듈(53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크린 도어(300)의 개폐를 위한 도어구동모듈과 레일(110)의 구동을 위한 레일구동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모듈(550)은 상기한 구동모듈(53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정차위치인식모듈(510)에 의해 측정된 차량(10)의 위치에 따른 정위치와의 오차값에 따라 스크린 도어(300)의 열림 정도 또는 레일(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모듈(550)은 상기한 오차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스크린 도어(300) 및 레일(110)을 구동을 제어한다. 쉬운 예로 임계값이하의 오차값을 갖도록 차량(10)이 정차된 경우엔, 제어모듈(550)은 정상모드로서 인식하여 레일(110)을 구동시키지 않고, 스크린 도어(300)도 정상적으로 열리도록 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임계값이 복수개 설정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르게 스크린 도어(300) 및 레일(110)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범위에 적응적인 스크린 도어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차값이 제1임계값 미만인 경우엔 레일(110)이 움직이지 않고 스크린도어의 열림도 차량도어(12)의 크기에 맞게 열리는 정상모드로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임계값 이상 제2임계값 미만인 경우엔 스크린 도어(300)의 좌우 열림 정도가 오차값에 상응하도록 제어되는 제1제어모드로서 처리되고, 제2임계값 이상 제3임계값 미만인 경우 레일(110)의 움직임만이 오차값에 상응하도록 제어되는 제2제어모드로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임계값 이상인 경우, 스크린 도어(300)의 좌우 열림 정도와 함께 레일(110)에 의해 스크린 도어(300)의 위치도 제어되는 제3제어모드로서 처리된다. 쉬운 예로 제3임계값은 레일(110) 또는 스크린 도어(300) 중 어느 하나만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그 오차를 보상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차위치의 오차범위에 따라 적응적으로 스크린 도어(300)의 열림정도 또는 레일(1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자원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보다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12 : 차량도어
100, 300 : 스크린 도어 110 : 레일
510 : 정차위치인식모듈 530 : 구동모듈
550 : 제어모듈

Claims (5)

  1. 스크린 도어;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
    차량의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차위치인식모듈; 및
    상기 정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크린 도어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레일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차 위치가 정위치에서 임계값 이상 벗어난 경우에만 상기 레일을 제어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3. 차량의 도어보다 큰 폭을 갖는 스크린 도어;
    차량의 정차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차위치인식모듈; 및
    상기 정차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열림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좌우 움직임을 위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차 위치가 정위치에서 임계값 이상 벗어난 경우, 상기 정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크린 도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레일을 제어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차위치인식모듈은 상기 차량에 부착된 복수개의 전자태그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정차 위치를 인식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0120069944A 2012-06-28 2012-06-28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KR20140001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44A KR20140001655A (ko) 2012-06-28 2012-06-28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44A KR20140001655A (ko) 2012-06-28 2012-06-28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55A true KR20140001655A (ko) 2014-01-07

Family

ID=5013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44A KR20140001655A (ko) 2012-06-28 2012-06-28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6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043A (zh) * 2014-11-03 2015-02-11 武汉麦塔威科技有限公司 基于条码扫描定位的可移动屏幕的交互显示方法及其装置
WO2024058381A1 (ko) * 2022-09-14 2024-03-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043A (zh) * 2014-11-03 2015-02-11 武汉麦塔威科技有限公司 基于条码扫描定位的可移动屏幕的交互显示方法及其装置
WO2024058381A1 (ko) * 2022-09-14 2024-03-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46882A (zh) 一种列车站台自适应伸缩踏板装置
CN104661889A (zh) 用于控制列车站台门的装置及方法
KR101276143B1 (ko) 스크린 도어 수 제어 시스템
CN102099540B (zh) 用于门的驱动系统
WO2023134353A1 (zh) 站台屏蔽门系统及站台屏蔽门联动控制系统
KR20140001655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CN110510487B (zh) 用于电梯系统的区域对象检测系统
KR20170036887A (ko) 복합형 스크린도어
CN203199857U (zh) 用于电梯的电梯门安全设备
CN113619613A (zh) 高铁安全门精确复位以兼容多车型的控制方法
CN210888661U (zh) 一种隐藏式站台安全门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CN107438548B (zh) 用于将机械式缝隙填充器、导引式车辆门及站台屏蔽门联锁的系统和方法
CN107351846B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闸机式安全防护装置
JP5389548B2 (ja) ホーム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871674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CN207078145U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小开度平开式安全防护装置
CN213768524U (zh) 一种站台门电动式侧面挡板
CN107310560B (zh) 一种用于站台门系统的升降式安全防护装置
KR101419890B1 (ko) 가변형 스크린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100936683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연동 스크린도어 제어 장치
CN205602993U (zh) 具有预防轿门意外打开功能的电梯
CN112265554A (zh) 一种站台门电动式侧面挡板
KR102228877B1 (ko)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JP6253353B2 (ja) 可動式ホーム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