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69U - 보행기 - Google Patents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69U
KR20140001569U KR2020130002892U KR20130002892U KR20140001569U KR 20140001569 U KR20140001569 U KR 20140001569U KR 2020130002892 U KR2020130002892 U KR 2020130002892U KR 20130002892 U KR20130002892 U KR 20130002892U KR 20140001569 U KR20140001569 U KR 201400015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ame
bases
pivot
wal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576Y1 (ko
Inventor
퉁-치아오 우
Original Assignee
티시브이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시브이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티시브이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01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보행기는 차체; 및 적어도 하나의 차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바퀴는 상기 차체의 저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바퀴는 두 개의 휠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에는 각각 중심공이 구비된 환형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피봇기둥이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두 휠 베이스의 연장부가 마주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가 상호 접합되어 굴림 공간을 형성하며, 바퀴 및 다수의 굴림 부품이 상기 굴림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은 모두 회전가능하게 상기 두 휠 베이스의 다수의 피봇기둥에 피봇팅 되고 또한 각각 상기 바퀴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Description

보행기 {WALKER}
본 고안은 유아 학습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를 보조하여 걸음마 연습을 하는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중화민국 공고 제M397932호에 공개된 “다기능 보행기” 특허에서 제시하는 보행기(9)로서, 상기 종래의 보행기(9)는 프레임(91)의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91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91)의 타단에는 두 개의 돌출 연장부(912)가 구비되며, 앞바퀴(92)가 중심축(921)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91)의 두 돌출 연장부(912) 사이에 피봇팅 되며, 두 개의 아크형 판(93)이 각각 일단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91)의 일측에 결합되고, 뒷바퀴(94)가 중심축(941)을 통하여 상기 두 아크형 판(93)의 타단에 피봇팅 되며, 상기 두 아크형 판(93)의 중간에는 안장(95)이 조립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걸음마를 타는 아기가 안장(95)에 앉아 손으로 상기 핸들(911)을 잡고 두 발로 땅을 딛고 밀어 상기 앞바퀴(92) 및 뒷바퀴(94)를 회전시켜 보행기(9)를 전진시킨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보행기(9)의 앞바퀴(92) 및 뒷바퀴(94)를 자세히 관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바퀴(92)를 예로 들면, 상기 앞바퀴(92)에는 휠 프레임(922) 및 타이어(923)가 포함되고, 상기 타이어(923)가 상기 휠 프레임(922)의 외주면에 씌워지며, 상기 휠 프레임(922)의 중심 위치에 허브(924)가 구비되고, 상기 허브(92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지 리브(925)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921)은 상기 휠 프레임(922)의 허브(924)를 관통하여 앞바퀴(92)를 상기 프레임(91)에 피봇팅 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앞바퀴(92)가 회전할 때, 만일 기타 물건(예를 들면, 장난감, 나무 가지 또는 사용자 또는 타인의 팔 다리)가 상기 휠 프레임(922)의 다수의 지지 리브(925)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앞바퀴(92)가 걸리어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종래의 보행기(9)가 쉽게 전복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 원인으로 인하여 종래의 보행기는 개선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바퀴가 중공 상태여서 기타 물건이 끼워져서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보행기는 차체; 및 적어도 하나의 차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바퀴는 상기 차체의 저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바퀴는 두 개의 휠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에는 각각 중심공이 구비된 환형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공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피봇기둥이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두 휠 베이스의 연장부가 마주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가 상호 접합되어 굴림 공간을 형성하며, 바퀴 및 다수의 굴림 부품이 상기 굴림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은 모두 회전가능하게 상기 두 휠 베이스의 다수의 피봇기둥에 피봇팅 되고 또한 각각 상기 바퀴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에는 휠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휠 프레임은 천공되어 각각 상기 두 휠 베이스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휠 프레임에는 리미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미트부 및 상기 휠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는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 내주면 중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각 상기 굴림 부품에는 연결축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축의 두 단부는 각각 접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두 접합부의 서로 대응하는 외측 단부에는 각각 피봇부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두 휠 베이스의 두 상대 피봇기둥에 피봇팅 되며, 상기 두 접합부는 상기 휠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합되고,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두 접합부 사이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쿠션 패드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두 휠 베이스에는 각각 맞춤부가 구비되고, 상기 맞춤부는 상기 환형 프레임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맞춤부의 연장방향은 상기 연장부가 상기 환형 프레임에 대해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는 상기 맞춤부에 의하여 상호 접합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봇기둥 중의 두 개는 상기 연장부에 대한 저부 위치에 설치되며; 또한 나머지 피붓기둥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 분포된다.
본 고안의 보행기에 따르면,
차바퀴의 휠 베이스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또한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를 차바퀴의 굴림 공간에 설치하였으며, 다수의 굴림 부품을 통하여 상기 바퀴의 내주면과 접합하도록 하면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보행기의 차바퀴를 중공의 형식으로 구현되도록 하였으므로,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 다른 물건이 걸리어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행기가 전복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보행기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앞바퀴의 입체 분해도.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저부”는 상기 부품이 사용 상태일 때 상대적으로 지면과 가까운 단부를 의미하며, 도면에서 예로 들면 각 도면 중의 “아래”이다.
본 고안에서의 “꼭대기부”는 상기 부품이 사용 상태일 때 상대적으로 지면과 먼 단부를 의미하며, 도면에서 예로 들면 각 도면 중의 “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기는 차체(1) 및 적어도 하나의 차바퀴(2a, 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바퀴(2a, 2b)는 상기 차체(1)의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1)를 이동시킨다.
주목하여야 할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중공 형태의 차바퀴(2a, 2b)(추후 상세하게 설명됨)이고, 상기 차바퀴(2a, 2b)의 수량을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차체(1)는 선택된 차바퀴(2a, 2b) 수량에 따라 구조를 변화시켜 1-바퀴 보행기, 2-바퀴 보행기 및 3-바퀴 보행기등 다양한 형태의 보행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이 쉽게 고안해낼 수 있는 것이므로, 아래에는 2-바퀴 형식의 보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행기는 2-바퀴 형식이므로 상기 차바퀴(2a, 2b)의 수량은 두 개이고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앞바퀴(2a)와 뒷바퀴(2b)로 명명한다.
상기 차체(1)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긴 기둥 모양이고, 상기 차체(1)의 일단의 꼭대기부, 저부에는 각각 핸들(11) 및 앞바퀴(2a)가 연결되며, 상기 차체(1)의 타단의 저부에는 상기 뒷바퀴(2b)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1)의 상기 뒷바퀴(2b)와 인접된 꼭대기부에는 안장부(12)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안장부(12)에 앉아 핸들부(11)를 잡고 보행 시 상기 보행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2a)에는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는 마주하고 접합되어 공동으로 하나의 굴림 공간(23)을 형성하며; 바퀴(24)는 상기 굴림 공간(23)에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굴림 부품(25)의 지지 및 회전을 통하여 상기 바퀴(24)를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에 대해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휠 베이스(21)에는 중심공(212)이 구비된 환형 프레임(21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212)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 프레임(211)의 일측으로 연장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213)는 링형 기둥 모양이고, 다수의 피봇기둥(214)이 상기 연장부(213)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피봇기둥을 상기 연장부(213)에 대해 저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고, 나머지 피붓기둥(214)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연장부(213)의 외주면에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도4참조). 상기 제1 휠 베이스(21)에는 한쌍의 맞춤부(215)가 구비되고, 상기 맞춤부(215)는 상기 환형 프레임(211)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맞춤부(215)는 상기 환형 프레임(211)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은 상기 연장부(213)의 상기 환형 프레임(211)에 대한 연장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휠 베이스(21)에는 다수의 포지셔닝부(216)가 구비되어 다수의 록킹 부품(3)(예를 들면, 나사)으로 록킹하도록 한다.
상기 제2 휠 베이스(22)는 상기 제1 휠 베이스(21)와 대략 대칭되므로, 상기 제2 휠 베이스(22)는 상기 제1 휠 베이스(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휠 베이스(22)에는 중심공(222)이 구비된 환형 프레임(22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222)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 프레임(221)의 일측으로 연장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223)는 링형 기둥 모양이고, 다수의 피봇기둥(224)이 상기 연장부(223)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다수의 피봇기둥(214)과 마주하며; 상기 제2 휠 베이스(22)에는 맞춤부(225) 및 다수의 포지셔닝부(226)가 구비되고, 상기 맞춤부(225)는 상기 환형 프레임(22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환형 프레임(221)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은 상기 연장부(223)의 상기 환형 프레임(221)에 대한 연장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다수의 포지셔닝부(226)는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다수의 포지셔닝부(216)와 마주하여 다수의 록킹 부품(3)으로 하여금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바퀴(24)에는 휠 프레임(241)이 포함되고, 상기 휠 프레임(241)은 중공의 환형 기둥 모양이고 천공(242)이 구비되어 상기 천공(242)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연장부(213) 및 상기 제2 휠 베이스(22)의 연장부(223)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휠 프레임(241)에는 리미트부(243)가 구비되어 상기 바퀴(24)의 굴림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바퀴(24)가 상기 굴림 공간(23) 중의 기본 위치에서 구를수 있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243)는 돌출링이며, 상기 휠 프레임(241) 내주면 중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휠 프레임(241)의 외주면에는 쿠션 패드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상기 쿠션 패드(244)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면, 고무)로 제작되어 상기 보행기 주행 시의 진동을 흡수하여 보행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쿠션 패드(244)의 표면에 무늬를 구비하여 바퀴(24)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행기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굴림 부품(25)에는 연결축(251)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축(251)의 두 단부는 각각 접합부(252)에 연결되며, 상기 두 접합부(252)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축(251)에 대하여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두 접합부(252)의 서로 대응하는 외측 단부에는 각각 피봇부(253)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피봇기둥(214) 및 상기 제2 휠 베이스(22)의 피봇 기둥(224)에 피봇팅 되어 상기 굴림 부품(25)을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상기 제2 휠 베이스(2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휠 프레임(241)의 리미트부(243) 및 상기 휠 프레임(241)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는 상기 연장부(213, 223)가 마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맞춤부(215, 225)에 의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가 접합될 때,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 사이에는 공동으로 상기 굴림 공간(2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다수의 피봇기둥(214)은 각각 상기 제2 휠 베이스(22)의 다수의 피봇기둥(224)과 마주하고, 또한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다수의 포지셔닝부(216)는 각각 상기 제2 휠 베이스(22)의 다수의 포지셔닝부(226)와 마주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퀴(24)는 상기 천공(242)에 의하여 각각 상기 제1 휠 베이스(21)의 연장부(213)와 상기 제2 휠 베이스(22)의 연장부(223)를 연결시켜 상기 굴림 공간(23) 중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25)은 각각 대응되는 피봇기둥(214, 224)에 피봇팅되고, 또한 상기 두 접합부(252)가 상기 휠 프레임(241) 내주면에 접합하고, 상기 휠 프레임(241)의 리미트부(243)가 상기 두 접합부(25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퀴(24)로 하여금 상기 굴림 공간(23) 중의 기본 위치에 유지되면서 회전하게 하고, 회전 시 편심 현상이 일어나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또는 제2 휠 베이스(22)와 마찰이 되는 것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써 상기 바퀴(24)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고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또는 제2 휠 베이스(2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행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킨다.
그 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2a)에서는,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25)을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의 피봇기둥(214, 224)에 피봇팅 시키고 상기 휠 프레임(241)의 내주면에 접합되록 하여, 상기 바퀴(24)가 상기 제1 휠 베이스(21) 및 제2 휠 베이스(22)와 마찰되면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바퀴(24)의 회전 시, 상기 연장부(213, 223)에 피봇팅된 두 굴림 부품(25)은 공동으로 지면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지지하여 상기 굴림 부품(25) 및 대응되는 피봇기둥(214, 224)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2a)의 각 부품이 상대적으로 고정된 후, 상기 다수의 록킹 부품(3)을 각각 대응되는 포지셔닝부(216, 226)에 삽입하여 상기 제1 휠 베이스(21)과 제2 휠 베이스(22)를 상대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앞바퀴(2a)의 조립을 완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바퀴(2b)의 구조는 상기 앞바퀴(2a)의 구조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차체(1)도 두 개의 맞물리는 케이스로 제조하고 또 각각 상기 뒷바퀴(2b)의 두 휠 베이스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바, 이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본 고안의 보행기는 차바퀴의 휠 베이스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또한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를 차바퀴의 굴림 공간에 설치하였으며, 다수의 굴림 부품을 통하여 상기 바퀴의 내주면과 접합하도록 하면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보행기의 차바퀴를 중공의 형식으로 구현되도록 하였고, 이로써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 다른 물건이 걸리어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기가 전복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차체; 및 적어도 하나의 차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바퀴는 상기 차체의 저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바퀴는 두 개의 휠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에는 각각 중심공이 구비된 환형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의 내주면은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피봇기둥이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두 휠 베이스의 연장부가 마주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가 상호 접합되어 굴림 공간을 형성하며, 바퀴 및 다수의 굴림 부품이 상기 굴림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은 모두 회전가능하게 상기 두 휠 베이스의 다수의 피봇기둥에 피봇팅되고 또한 각각 상기 바퀴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에는 휠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휠 프레임에는 천공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두 휠 베이스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휠 프레임에는 리미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굴림 부품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미트부 및 상기 휠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는 돌출링이고, 상기 휠 프레임 내주면 중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각 굴림 부품에는 연결축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축의 두 단부는 각각 접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두 접합부의 서로 대응하는 외측 단부에는 각각 피봇부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두 휠 베이스의 두 상대 피봇기둥에 피봇팅 되며, 상기 두 접합부는 상기 휠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합되고,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두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쿠션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휠 베이스에는 각각 맞춤부가 구비되고, 상기 맞춤부는 상기 환형 프레임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맞춤부의 연장방향은 상기 연장부가 상기 환형 프레임에 대해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두 휠 베이스는 상기 맞춤부에 의하여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봇기둥 중의 두 개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7. 제6항에 있어서,
    나머지 피붓기둥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연장부의 외주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KR2020130002892U 2012-09-06 2013-04-15 보행기 KR2004725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17210 2012-09-06
TW101217210U TWM445524U (zh) 2012-09-06 2012-09-06 助步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69U true KR20140001569U (ko) 2014-03-14
KR200472576Y1 KR200472576Y1 (ko) 2014-05-07

Family

ID=4809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92U KR200472576Y1 (ko) 2012-09-06 2013-04-15 보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2576Y1 (ko)
HK (1) HK1172774A2 (ko)
TW (1) TWM445524U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4845B2 (ja) 2009-09-24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5582350B2 (ja) 2010-12-21 2014-09-03 ハンマーキャスター株式会社 車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45524U (zh) 2013-01-21
KR200472576Y1 (ko) 2014-05-07
HK1172774A2 (en)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9476B (zh) 轴调式儿童三轮车前轮
US4045096A (en) Spokeless wheel and shroud therefor
US8925937B2 (en) Toddler walker
JP2006224960A (ja) 組立式走行体
TWI610829B (zh) 嬰兒車用腳輪及安裝有該腳輪之嬰兒車
KR200472576Y1 (ko) 보행기
US9533727B2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CN111939010B (zh) 一种临床用康复训练装置
JP3180027U (ja) 歩行車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477183Y1 (ko) 자전거용 페달 및 신발측 부재
KR101566805B1 (ko) 유모차 및 노인 보행 보조기구 바퀴의 완충장치
KR101625014B1 (ko) 보행 타입 바이크
CN109955998B (zh) 空心轮装置及代步工具
CN110588753B (zh) 一种平衡婴儿车
JPH04129888A (ja) ゴムクローラの芯金
KR20180009078A (ko) 4륜 구동 기반의 휠체어용 발판 및 이에 적용되는 에어리스 타이어
JP3180848U (ja) 子供用乗り物
CN211494350U (zh) 由自平衡车牵引的组合式骑行载物车
KR101949307B1 (ko) 접이식 보드 자전거
KR102384481B1 (ko) 유모차 및 유모차에 사용되는 통상 부재
RU2561324C1 (ru) Кольцевой роллер
IT202100005669A1 (it) Veicolo su ruote adattato per mantenersi stabile e kit per adattare appositamente un veicolo su ruote per mantenersi stabile
CN106043550A (zh) 一种儿童玩具车
TWM486332U (zh) 兩用式兒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