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872U -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872U
KR20140000872U KR2020120006729U KR20120006729U KR20140000872U KR 20140000872 U KR20140000872 U KR 20140000872U KR 2020120006729 U KR2020120006729 U KR 2020120006729U KR 20120006729 U KR20120006729 U KR 20120006729U KR 20140000872 U KR20140000872 U KR 20140000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ron plate
tank
ship
buff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길승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872U/ko
Publication of KR2014000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격벽과 격벽 사이 또는 탱크와 탱크 사이의 완충공간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상기 완충 공간에는 양단부가 폐쇄되고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을 설치되고,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은 적어도 2겹 이상 다수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겹을 이루는 철판의 사이 사이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의 내부 철판과 철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데드 스페이스에는 공기를 포함하거나 진공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코퍼댐을 설치하지 않고도 다중 철판 구조물에 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퍼댐 설치로 인한 유지보수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중 철판 구조물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슬롭 탱크와 대각선으로 만나는 엔진 룸 보이드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사양의 장비 선택이 가능하여 선박건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Buffer Zone in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저 선박에서 연료유 탱크와 윤활유 탱크 사이, 연료유 탱크와 청수 탱크 사이 등 완충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 위치에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철판 구조물이 코퍼댐 또는 빗댐판(Diagonal Plat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내부는 선저 외판, 선측 외판, 갑판 등으로 둘러싸이고, 사용 목적에 따라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 여객과 승무원을 위한 공간, 밸러스트용 물(ballast water)나 연료유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 주 기관을 위치하기 위한 공간 등으로 적절히 나누어진다.
이때, 갑판 아래의 선박 내부를 길이 또는 나비 방향으로 칸막이하는 구조를 격벽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격벽은 방향에 따라 종 격벽, 횡 격벽 등으로 분류되고, 위치에 따라 선수 격벽, 선미 격벽, 기관실 격벽, 중심선 격벽, 창내 격벽 등으로 나누어지며, 수밀 여부에 따라 수밀 격벽, 비 수밀 격벽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격벽과 격벽 사이에 칸막이 격벽 구획을 구비하여 완충 공간을 만들어 주거나, 이중 저 선박에서 연료유 탱크와 윤활유 탱크 사이, 연료유 탱크와 청수 탱크 사이, 윤활유 탱크와 청수 탱크 사이 등에는 기름이나 물, 가스등이 한쪽 구획에서 다른 쪽 구획으로 직접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코퍼댐(Cofferdam)을 설치하게 된다.
탱크선의 경우 슬롭 탱크(Slop Tank)와 대각선으로 만나는 엔진 룸 보이드(E/R Void)를 세이프티 존(Safety Zone)으로 정의하기 위해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다이애거널 플레이트(빗댐판: diagonal plate)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의 성질에 따라서는 서로 인접해서는 안 되는 탱크들이 많이 있는데, 예를 들어 그리이스 선적에 있어 청수 탱크(F.W.TK)와 선미 탱크(A.P.TK)는 가능한 분리되어야 함에 따라 이러한 규정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완충 공간에 추가 코퍼댐 또는 빗댐판을 설치하거나, 상기 규정에 맞는 높은 사양의 장비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추가 코퍼댐이나 빗댐판을 구비함에 따라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어 선박의 건조 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특히 코퍼댐 설치의 경우 유지 관리하는데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없음.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 저 선박에서 연료유 탱크와 윤활유 탱크 사이, 연료유 탱크와 청수 탱크 사이 등 완충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 위치에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철판 구조물이 코퍼댐 또는 빗댐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중 철판 구조물이 슬롭 탱크와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각종 탱크 또는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설치되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엔진 룸 보이드 또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 아래 제안된 것으로, 선박의 격벽과 격벽 사이 또는 탱크와 탱크 사이의 완충공간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상기 완충 공간에는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은 슬롭 탱크와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각종 탱크 또는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설치되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엔진 룸 보이드 또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완충공간에 설치되는 다중 철판 구조물은 적어도 2겹 이상 다수의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각 겹을 이루는 철판의 사이 사이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데드 스페이스는 공기를 포함하거나 진공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코퍼댐을 설치하지 않고도 다중 철판 구조물에 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퍼댐 설치로 인한 유지보수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중 철판 구조물이 슬롭 탱크와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각종 탱크 또는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설치되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엔진 룸 보이드 또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설비를 낮은 사양의 장비로 선택이 가능하여 선박건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적용된 다중 철판 구조물의 구성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2겹 철판 구조물이고, (b)는 3겹 철판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탱크와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슬롭 탱크와 엔진 룸 보이드 또는 각종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화물창과 선수부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적용된 다중 철판 구조물의 구성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2겹 철판 구조물이고, (b)는 3겹 철판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박의 격벽과 격벽 사이 또는 탱크와 탱크 사이의 완충공간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상기 완충 공간에는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11)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이 설치된다.
상기 완충공간에 설치되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적어도 2겹 이상 다수 겹의 철판(12)으로 이루어지며, 각 겹을 이루는 철판(12)의 사이 사이에는 데드 스페이스(11)가 구비되는데, 상기 데드 스페이스(11)는 공기를 포함하거나 진공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 스페이스(11)를 진공 상태로 하고 이 데드 스페이스(11)에 전기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적용하면 보온수단이 필요한 공간, 예를 들어 LNG 탱크와 이와 접하는 다른 탱크 사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탱크와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선박의 격벽과 격벽 사이 또는 연료유 탱크와 윤활유 탱크 사이, 벙커링(Bunkering) 탱크(20)와 청수 탱크(30) 사이, 윤활유 탱크와 청수 탱크 사이 등에 설치되어 연료유, 윤활유, 청수 등의 상호 침입을 막기 위한 코퍼댐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슬롭 탱크와 엔진 룸 보이드 또는 각종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슬롭 탱크(Slop Tank)(40)와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각종 탱크 또는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설치되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빗댐판: diagonal plate)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엔진 룸 보이드(50) 또는 각종 보이드 스페이스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 구역에 설치되는 설비는 낮은 사양의 장비 선택이 가능하여 선박건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를 화물창과 선수부 탱크 사이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설치 전, (b)는 설치 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화물창(60)과 선수부 탱크(7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선수 보이드(80)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 구역에 설치되는 설비들을 낮은 사양의 장비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코퍼댐을 설치하지 않고도 다중 철판 구조물에 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퍼댐 설치로 인한 유지보수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중 철판 구조물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슬롭 탱크와 대각선으로 만나는 엔진 룸 보이드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사양의 장비 선택이 가능하여 선박건조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다중 철판 구조물의 철판과 철판 사이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공기를 포함하거나 진공형식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상기 데드 스페이스를 진공 상태로 하고 이 데드 스페이스에 열선 등의 가열수단을 적용하면 LNG 탱크와 이와 접하는 다른 탱크 사이의 보온 수단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다중 철판 구조물 11: 데드 스페이스
20: 벙커링 탱크 30: 청수 탱크
40: 슬롭 탱크 50: 엔진 룸 보이드
60: 화물창 70: 선수부 탱크
80: 선수 보이드

Claims (5)

  1. 선박의 격벽과 격벽 사이 또는 탱크와 탱크 사이의 완충공간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상기 완충 공간에는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11)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슬롭 탱크(40)와 서로 대각선으로 만나는 각종 탱크 또는 엔진 룸 보이드 코너에 설치되어 다이애거널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엔진 룸 보이드 또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세이프티 존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에 설치되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은 적어도 2겹 이상 다수의 철판(12)으로 이루어지며, 각 겹을 이루는 철판(12)의 사이 사이에는 데드 스페이스(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에 설치되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의 내부 철판(12)과 철판(12)의 사이에 구비되는 데드 스페이스(11)는 공기를 포함하거나 진공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에 설치되는 다중 철판 구조물(10)의 내부 철판(12)과 철판(12)의 사이에 구비되는 데드 스페이스(11)는 진공상태로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KR2020120006729U 2012-07-27 2012-07-27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KR20140000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29U KR20140000872U (ko) 2012-07-27 2012-07-27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29U KR20140000872U (ko) 2012-07-27 2012-07-27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72U true KR20140000872U (ko) 2014-02-07

Family

ID=5244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29U KR20140000872U (ko) 2012-07-27 2012-07-27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8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99A3 (ko) * 2016-03-18 2018-08-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이드 스페이스를 구비한 선박 화물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99A3 (ko) * 2016-03-18 2018-08-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이드 스페이스를 구비한 선박 화물창
US10994808B2 (en) 2016-03-18 2021-05-04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Vessel cargo hold having void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3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JP5596084B2 (ja) 船舶
KR20180012304A (ko) 선박
US20140041566A1 (en) Complete integral tank double-hull cargo containment system vessel in maritime service
CN109863080B (zh) 液化气运输船
JP6471171B2 (ja) コールドボックス装置およびコールドボックスシステム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KR102397722B1 (ko) Lng 연료 추진선박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KR20140000872U (ko)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JP6041940B2 (ja) 船舶
JP2014223913A (ja) 船舶
JP6917159B2 (ja) 船舶
JP4242357B2 (ja) 上甲板裏の燃料タンク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JP6692207B2 (ja) 船舶
WO2014013584A1 (ja) 船舶
US9045194B2 (en) Retrofitting a conventional containment vessel into a complete integral tank double-hull cargo containment vessel
JP5148834B2 (ja) オープンバルカー型貨物船
KR20120014633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100082456A (ko) 액상 화물의 슬로싱이 억제되는 운반선
KR10260538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CN110546062B (zh) 船舶
WO2023199859A1 (ja) 船舶
KR20130027200A (ko)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