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200A -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 Google Patents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200A
KR20130027200A KR1020110090646A KR20110090646A KR20130027200A KR 20130027200 A KR20130027200 A KR 20130027200A KR 1020110090646 A KR1020110090646 A KR 1020110090646A KR 20110090646 A KR20110090646 A KR 20110090646A KR 20130027200 A KR20130027200 A KR 20130027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d space
engine room
heavy oil
tank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200A/ko
Publication of KR2013002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작동과 연계된 설비가 탑재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 및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와 엔진룸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되고 따라서 상기 보이드 구역에 시공되는 의장품의 절감 및 도료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낮추어 선박의 건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이로부터 선박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VOID SPACE COMMON STRUCTURE OF ENGINE ROOM}
본 발명은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을 건조하는데 있어,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연료유 이중 보호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체의 외판과 엔진룸 사이에 형성된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공동구역으로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키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선,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의 각종 선박에서는 추진 연료로서 액체연료인 벙커C유 등의 중유(Heavy Fuel Oil)를 사용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중유 등을 연소시킬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요구는 범세계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중유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추진장치에 대한 규제 역시 강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의 규정(EU Directive 2005/33/EC)에 의하여 유럽연합 지역에서 기항 및 항해하는 선박들은 극저 유황 연료유(Marine Gas Oil; MGO)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 지역에서 기항 및 항해하는 선박들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탱크가 엔진룸 구역에 마련된다.
이렇게, 선박의 엔진룸 구역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탱크는 엔진룸의 구조 배치 상 불가피 하게 중유 벙커 탱크와 접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중유 벙커 탱크에 저장된 중유는 기화점이 극저 유황 연료유에 비해 높기 때문에 연료 공급 시스템에 중유가 공급되기 전에 일정 온도 이상으로 승온시킨 상태에서 공급되도록 상기 중유 벙커 탱크의 내부에 가열장치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중유의 승온에 따라 불필요하게 극저 유황 연료유가 승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극저 유황 연료유가 저장되는 탱크와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는 열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가 형성된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룸 보이드 스페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엔진룸(100)은 일반적으로 선미와 가깝게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100)의 내부에는 선박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엔진 및 상기 엔진의 작동과 관련된 다수의 설비들이 탑재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엔진룸(100)에는 엔진에 공급되는 중유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저장수단은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120)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1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유 벙커 탱크(120)와 연료 탱크(110)는 보이드 스페이스(130)에 의해 분리되어 중유를 일정 온도이상 승온시키기 위해 가열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극저 유황 연료유가 승온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엔진룸(100)에 마련되는 연료 탱크(110)와 중유 벙커 탱크(120)의 배치는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엔진룸(100)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는 선체의 외판(140)과 가깝게 배치된다.
이렇게, 상기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가 선체의 외판(140)과 가깝게 배치될 때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의 규정에 따른 연료유 이중 보호(FUEL OIL TANK PROTECTION)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와 선체의 외판(140)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SIDE VOID SPACE)(1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10)와 중유 벙커 탱크(120) 사이를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키는 보이드 스페이스(130)는 사실상 작업자가 자주 접근하는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시에만 작업자가 보이드 스페이스(130)로 들어갈 수 있게 엔진룸(100)의 다른 공간과 구별되게 차단벽(16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160)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맨홀(162)이 형성되며, 이외에도 전송용 레벨 게이지(CONTENT TYPE LEVEL GAUGE), 드레인 라인, 환기 파이프 등의 의장품들이 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이드 스페이스(130)가 연료 탱크(110)와 중유 벙커 탱크(12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료유 이중 보호 의무에 따른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와 차단벽(160)에 의해 독립된 구역으로 차폐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많은 수의 의장품이 설치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설치 공수가 증가하여 채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10)와 중유 벙커 탱크(120) 사이에 형성된 보이드 스페이스(130)의 접근을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 차단벽(160)에 통행용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를 엔진룸(100)으로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이드 스페이스(130)가 엔진룸(100)으로 편성되면 보이드 스페이스(130)의 벽면이 엔진룸(100)에 시공된 도료와 동일한 사양으로 도장되어야 하고 화재예방을 위한 화재방지설비 및 화재진압용 배관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선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 및 공간 활용구조 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보이드 스페이스를 엔진룸으로 편성하는데 따른 비용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을 건조하는데 있어,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연료유 이중 보호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체의 외판과 엔진룸 사이에 형성된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공동구역으로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키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작동과 연계된 설비가 탑재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 및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와 엔진룸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된 보이드 스페이스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는 상기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에 시공된 의장품으로 추가 없이 대체 및 도료와 동일하게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에 의하면,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되고 따라서 상기 보이드 구역에 시공되는 의장품 및 도료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낮추어 선박의 건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이로부터 선박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룸 보이드 스페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는 크게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작동과 연계된 설비가 탑재되는 엔진룸(100)과, 상기 엔진룸(100)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10) 및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120)와, 상기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130) 및 상기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와 선체의 외판(140)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를 단일화하여 의장품의 절감 및 보이드 스페이스(130) 벽면에 페인팅되는 도료를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하여 선박의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엔진룸(100) 사이에 차단벽(1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와 연결되어 하나의 공동 구역으로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유럽연합 지역에서 기항 및 항해하는 선박들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탱크(110) 및 유럽연합 지역을 벗어난 해역을 항해할 때 사용하는 중유를 저장한 중유 벙커 탱크(120)가 엔진룸(100) 구역에 마련된다.
이렇게, 선박의 엔진룸(100) 구역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탱크(110)는 엔진룸(100)의 구조 배치 상 불가피 하게 중유 벙커 탱크(120)와 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중유 벙커 탱크(120)와 연료 탱크(110) 사이에는 열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보이드 스페이스(130)가 형성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하나의 공동 구역으로 형성됨으로써, 보이드 스페이스(130)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되고 따라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에 시공되는 의장품 및 도료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낮추어 선박의 건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중유 벙커 탱크(120)와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10)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130)가 상기 연료 탱크(110) 및 중유 벙커 탱크(120)와 선체의 외판(140)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와 연결되어 하나의 공동 구역으로 형성되기 위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엔진룸(100) 사이에 차단벽(160)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엔진룸을 통해 직접 보이드 스페이스(130)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될 때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연접하는 부분에 개구(170)를 형성하여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공간적으로 하나의 공동 구역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연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개구(170)에는 경우에 따라서 작업자가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가 공간적으로 하나의 공동 구역으로 형성되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에 시공되는 의장품 내지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30)의 벽면에 시공되는 도료가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150)에 시공되는 의장품의 절감 및 도료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될 수 있어 선박의 건조에 따른 채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엔진룸 110 : 연료 탱크
120 : 중유 벙커 탱크 130 : 보이드 스페이스
140 : 선체의 외판 150 :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
160 : 차단벽 162 : 맨홀
170 : 개구

Claims (3)

  1.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작동과 연계된 설비가 탑재되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에 마련되는 극저 유황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중유를 저장하는 중유 벙커 탱크;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드 스페이스; 및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와 엔진룸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 및 중유 벙커 탱크 사이를 구획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이중벽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연결되어 공동 구역으로 형성된 보이드 스페이스는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와 동일한 사양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는 상기 측면 보이드 스페이스에 시공된 의장품으로 추가 없이 대체 및 도료와 동일하게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KR1020110090646A 2011-09-07 2011-09-07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KR20130027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46A KR20130027200A (ko) 2011-09-07 2011-09-07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646A KR20130027200A (ko) 2011-09-07 2011-09-07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00A true KR20130027200A (ko) 2013-03-15

Family

ID=4817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646A KR20130027200A (ko) 2011-09-07 2011-09-07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7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111A (zh) * 2019-03-29 2019-06-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除硫收集舱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111A (zh) * 2019-03-29 2019-06-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除硫收集舱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2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US11118734B2 (en) Cold-box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aboard ships
KR102017909B1 (ko)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갖는 벌크 캐리어
KR102075978B1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KR102397722B1 (ko) Lng 연료 추진선박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102595978B1 (ko) 벙커링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KR20130027200A (ko)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RU2150404C1 (ru) Судно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CN114379707A (zh) 一种低闪点燃料船舶
KR10260538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70029225A (ko) 유조선에서의 연료유 탱크 설치 구조
KR20210110911A (ko) 벤트 마스트
KR20120035564A (ko) 선박의 연료탱크 배치구조
KR102312884B1 (ko) 연료가스 파이프의 노출형 배관 설비를 갖춘 선박
KR20140025949A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20240025313A (ko)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배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140000872U (ko) 선박의 완충 공간 설치 구조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10106087A (ko) 연료 공급 시스템
CN116279973A (zh) 一种适用于散货船的无管弄货舱
KR20200077837A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20230113179A (ko) 선박
KR20210106246A (ko) 연료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