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547U - 숯불구이용 로스타 - Google Patents

숯불구이용 로스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547U
KR20140000547U KR2020120006144U KR20120006144U KR20140000547U KR 20140000547 U KR20140000547 U KR 20140000547U KR 2020120006144 U KR2020120006144 U KR 2020120006144U KR 20120006144 U KR20120006144 U KR 20120006144U KR 20140000547 U KR20140000547 U KR 201400005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oil
main body
leg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원규
윤건호
Original Assignee
나원규
윤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원규, 윤건호 filed Critical 나원규
Priority to KR2020120006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547U/ko
Publication of KR20140000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구이용 로스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석쇠와 숯불통을 지지하는 본체와,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트레이 및 기름회수통과,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숯불 위로 고기 기름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기나 불꽃이 일어날 우려가 적고, 나아가 다리부의 높이 조절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리부를 완전히 포개어 접을 수 있어서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숯불구이용 로스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구이용 로스타{Charcoal roaster}
본 고안은 숯불구이용 로스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석쇠와 숯불통을 지지하는 본체와,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트레이 및 기름회수통과,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되, 숯불 위로 고기 기름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기나 불꽃이 일어날 우려가 적고, 나아가 다리부의 높이 조절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리부를 완전히 포개어 접을 수 있어서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숯불구이용 로스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 수준의 증가와 함께 야외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외에서 편리하게 육류를 구울 수 있는 숯불 구이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94387호(등록일자; 2005년 08월 21일) 및 특허등록 제10-0777675호(등록일자; 2007년 11월 13일)에는 육류를 굽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테이블이나 식탁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가 소개되어 있고,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1121212호(등록일자; 2012년 02월 21일)에는 본체 내부에 구이통이 설치되고, 본체 상부에는 상기 구이통을 덮을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구이통을 회전시키면서 부피가 큰 육류도 골고루 빠르게 익힐 수 있는 숯불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숯불 위로 고기 기름이 떨어질 경우 그 기름이 타면서 연기나 불꽃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일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들이 부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를 좌식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94387호(등록일자; 2005년 08월 21일) 특허등록 제10-0777675호(등록일자; 2007년 11월 13일) 특허등록 제10-1121212호(등록일자; 2012년 02월 21일)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숯불 위로 고기 기름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기나 불꽃이 일어날 우려가 적고, 나아가 다리부의 높이 조절은 물론, 상기 다리부를 완전히 포개어 접을 수도 있어서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숯불구이용 로스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서, 용기 측벽의 상단에 서로 대향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바닥면에는 제1 기름배출공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름배출공과 연결되는 제2 기름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름트레이와; 상기 걸림턱에 걸쳐지는 걸림돌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된 숯불저장부를 가지며, 상기 숯불저장부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기름낙하부가 형성되어 있는 숯불통과; 양측이 상기 걸림턱 위에 거치되어 상기 숯불통 위로 배치되며, 각 선재가 양쪽 걸림턱에서 기름낙하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석쇠와; 상기 본체 저면에 상기 제1 기름배출공과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기름회수통과; 상기 본체 저면에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숯불 위로 고기 기름이 떨어지지 않으며, 특히 육류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이 본체 외부에서 회수 및 저장 때문에 조리 과정에서 연기나 불꽃이 일어날 우려가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다리를 이용하여 숯불구이기 전체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세움다리 전체를 접어서 좌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보관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의 A-A'선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의 세움다리가 서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는 도 1과 같이, 본체(10)와 기름트레이(20), 숯불통(30), 석쇠(40), 기름회수통(50) 및 다리부(6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서, 용기 측벽의 상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통기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바닥면에는 제1 기름배출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테두리 부분이 직사각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직사각형 구조의 양쪽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기름트레이(20)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름배출공(13)과 연결되는 제2 기름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트레이(20)는 본체(10) 바닥면에 일체로 부착될 수도 있으나,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불통(30)은 상기 걸림턱(11)에 걸쳐지는 걸림돌부(31)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된 숯불저장부(32)를 가지며, 상기 숯불저장부(31)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기름낙하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숯불통(30)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숯불통과 마찬가지로 금속 망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망체의 바닥면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숯불저장부(32) 사이에 기름낙하부(33)가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숯불저장부(32)에만 양측으로 나뉘어 숯불(K)을 담아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름낙하부(33)는 숯불(K)을 담지 않는 공간으로서 장차 육류를 구울 때 석쇠(40)에서 떨어지는 고기 기름을 그대로 밑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으로 석쇠(40)는 양측이 상기 걸림턱(11) 위에 거치되어 상기 숯불통(30) 위로 배치되며, 도 2와 같이 각 선재(41)가 양쪽 걸림턱(11)에서 기름낙하부(33)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육류를 구울 때 육류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이 그대로 숯불(K) 위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선재(41)를 타고 석쇠(40) 중앙으로 모인 다음, 밑으로 떨어질 때는 상기 기름낙하부(33)를 통과하여 상기 기름트레이(20) 위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석쇠(40)를 구성하는 각 선재(41)의 상면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기름안내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회수통(50)은 본체(10) 저면에 상기 제1 기름배출공(13)과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름회수통(50)은 통상적인 서랍형(도시하지 않음)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자석(51)을 설치하고, 이 자석(51)에다 상기 기름회수통(50)을 탈착 가능하게 부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제1 기름배출공(13)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이 바로 기름회수통(50)으로 떨어져 수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리부(60)는 본체(10) 저면에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도 3과 같이 다리부(60)를 접으면, 사용자들이 본 고안의 육류구이기 주변에 둘러앉아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다리부(60)를 펴면, 사용자들이 둘러서서 본 고안의 육류구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60)는 본체(10)의 저면에 사방으로 부착된 4개의 브라켓(61)과, 힌지축(62)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61)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세움다리(63)로 이루어지되, 도 3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양쪽 브라켓(61) 중 어느 한쪽의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이 타측의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 보다 상기 세움다리(63)의 굵기 만큼 더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양쪽 세움다리(63)가 서로 나란히 포개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의 경우, 브라켓(6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이 좌측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 보다 상기 세움다리(63)의 굵기 만큼 더 높게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좌우측 세움다리(63)를 서로 겹쳐서 접으면, 좌측 세움다리(63) 위에 우측 세움다리(63)가 나란히 포개어지기 때문에 양쪽 세움다리(63)를 안정적으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움다리(63)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힌지축(62)에 설치된 고정다리(63a)와, 상기 고정다리(63a)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다리(63b)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다리(63b)는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육류구이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공지의 고정수단, 예컨대 높이조절너트(64)을 이용하여 2 ~ 4단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용 로스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와 같이, 본체(10)와 기름트레이(20), 숯불통(30), 석쇠(40) 및 기름회수통(50)을 설치하고, 상기 숯불통(30)의 양쪽 숯불저장부(32)에는 숯불(K)을 채운다. 이때, 상기 숯불통(30)의 기름낙하부(33)에는 숯불(K)이 채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어 상기 석쇠(40) 위에 육류를 올리면, 숯불(K)의 열기에 의해서 육류가 익고, 상기 육류에서 흘러나온 고기 기름은 숯불(K) 위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석쇠(40)의 각 선재(41)를 타고 중앙으로 흘러내린 다음, 상기 기름낙하부(33)를 통과하여 상기 기름트레이(20) 위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름트레이(20)에 모인 고기 기름은 도 2와 같이 제2 기름배출공(21)과 제1 기름배출공(13)을 통해 본체(10) 저면에 설치된 기름회수통(50) 속으로 수거된다. 이때, 상기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에는 적당량의 물을 채워서 본체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일부 고기 기름에 의해서 연기나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숯불구이용 로스타는 숯불(K)의 화력이 양쪽 숯불저장부(32)로 분산되어 있고, 중앙의 기름낙하부(33) 상단에는 상대적으로 화력이 약하기 때문에 양쪽 숯불저장부(32) 상단에서 육류를 빨리 익힌 다음, 다 익은 육류는 중앙의 기름낙하부(33) 상단에 배치하여 육류가 타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10; 본체 11; 걸림턱
12; 통기공 13, 21; 기름배출공
20; 기름트레이 30; 숯불통
31; 걸림돌부 32; 숫불저장부
33; 기름낙하부 40; 석쇠
41; 선재(線材) 42; 기름안내홈
50; 기름회수통 51; 자석
60; 다리부 61; 브라켓
62; 힌지축 63; 세움다리
63a; 고정다리 63b; 확장다리
64; 높이조절너트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서, 용기 측벽의 상단에 서로 대향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통기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바닥면에는 제1 기름배출공(13)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름배출공(13)과 연결되는 제2 기름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 기름트레이(20)와;
    상기 걸림턱(11)에 걸쳐지는 걸림돌부(31)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된 숯불저장부(32)를 가지며, 상기 숯불저장부(31)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기름낙하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숯불통(30)과;
    양측이 상기 걸림턱(11) 위에 거치되어 상기 숯불통(30) 위로 배치되며, 각 선재(41)가 양쪽 걸림턱(11)에서 기름낙하부(33)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석쇠(40)와;
    상기 본체(10) 저면에 상기 제1 기름배출공(13)과 연결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기름회수통(50)과;
    상기 본체(10) 저면에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리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용 로스타.
  2. 제1항에 있어서, 각 선재(41)의 상면에는 기름안내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용 로스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60)는 본체(10)의 저면에 사방으로 부착된 4개의 브라켓(61)과, 상기 브라켓(61)에 각각 설치된 힌지축(62)에 의해서 접철되는 4개의 세움다리(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움다리는 서로 대향하는 양쪽 브라켓(61) 중 어느 한쪽의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이 타측의 브라켓(61)에 설치된 힌지축(62) 보다 상기 세움다리(63)의 굵기 만큼 더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양쪽 세움다리(63)가 서로 나란히 포개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용 로스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움다리(63)는 상기 힌지축(62)에 설치된 고정다리(63a)와, 상기 고정다리(63a)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다리(63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용 로스타.
KR2020120006144U 2012-07-12 2012-07-12 숯불구이용 로스타 KR201400005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144U KR20140000547U (ko) 2012-07-12 2012-07-12 숯불구이용 로스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144U KR20140000547U (ko) 2012-07-12 2012-07-12 숯불구이용 로스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47U true KR20140000547U (ko) 2014-01-27

Family

ID=5244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144U KR20140000547U (ko) 2012-07-12 2012-07-12 숯불구이용 로스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5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771B1 (ko) * 2015-06-29 2016-07-12 주식회사 꾸버스 숯불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771B1 (ko) * 2015-06-29 2016-07-12 주식회사 꾸버스 숯불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640B2 (en) Portable cooking grill having collapsible and extendable frame
KR20140000548U (ko) 야외용 숯불구이기
KR101155617B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US20120237647A1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KR101304895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KR101212659B1 (ko) 접철식 휴대용 로스터
KR20140120119A (ko) 절첩식 다목적 숯불구이기
KR101680814B1 (ko) 그릴의 높낮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장치
US20100024661A1 (en) Barbecue rack
KR101680257B1 (ko) 훈제 및 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음식물 구이장치
KR20140000547U (ko) 숯불구이용 로스타
KR20100120450A (ko) 숯불 구이판
KR200491379Y1 (ko) 접이식 구이판
CN109330404A (zh) 一种热生电式户外折叠碳无烟烧烤烧烤炉
KR200166423Y1 (ko)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0139955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석쇠조립체
KR200468894Y1 (ko) 바베큐 구이기용 회전구이장치
US20210113017A1 (en) Grill plate capable of preventing soot generation
KR20190012770A (ko)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KR200155315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0433298Y1 (ko) 야외용 로스터의 절첩다리
KR200484092Y1 (ko) 숯불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