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770A -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770A
KR20190012770A KR1020170096269A KR20170096269A KR20190012770A KR 20190012770 A KR20190012770 A KR 20190012770A KR 1020170096269 A KR1020170096269 A KR 1020170096269A KR 20170096269 A KR20170096269 A KR 20170096269A KR 20190012770 A KR20190012770 A KR 2019001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ain body
grill
pai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스텍
Priority to KR102017009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770A/ko
Publication of KR2019001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휴대나 보관을 위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며, 육류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된 기름을 쉽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의 화력 조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화염 등에 의해 육류 구이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구마와 같은 다른 구이물을 육류 구이물과 별도로 타지 않게 익혀서 함께 먹을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사방으로 일정 높이의 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접철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 저부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부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숯통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 또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숯통에 채워진 숯불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숯통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어 내부로 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구이실이 구비되고, 구이물이 수용되어 상기 숯불에 의해 구이물을 익힐 수 있도록 상기 구이실의 밀폐공간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상기 구이실의 출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이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of Portable Type}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휴대나 보관을 위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며, 육류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된 기름을 쉽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의 화력 조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화염 등에 의해 육류 구이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구마와 같은 다른 구이물을 육류 구이물과 별도로 타지 않게 익혀서 함께 먹을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레저산업의 발달로 주말이나 휴가를 즐길 때 복잡한 도심을 떠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산이나 바다 등으로 여행을 가게 되고, 그 여행지에서 식사를 위해 직접 숯불 바비큐 등의 요리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야외로 여행하기 위해 휴대용으로 제조된 숯불 구이기는 종래에도 많이 개발되었다.
야외에서 숯불 바베큐를 즐기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상의 바베큐 구이기는 반원통형의 몸통 위에 석쇠를 올리고 몸통 내부에 숯불을 넣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에도 휴대가 용이하도록 비교적 소형 사이즈의 바베큐 구이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화력의 세기에 따라 또는 고기의 종류나 취향에 따라 고기를 알맞게 굽기 위하여 석쇠의 높이를 조절해주어야 했었는데, 이러한 석쇠의 높이조절은 별도의 기구 없이 돌멩이나 나무 등의 임기응변식 받침구를 사용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도중 고기를 올려놓은 석쇠가 떨어지는 등의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별도의 테이블을 바베큐 구이기의 근처에 두고 이 테이블에 식재료를 올려서 취식하여야 했었으므로 별도의 테이블을 함께 준비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1851호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대형 사이즈이면서 작은 부피로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별도의 식탁 없이 절첩판을 펼쳐 식탁 대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숯불재치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절한 세기의 불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된 몸통(1)과; 상기 몸통(1)의 내부에 설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숯불재치대(2)와; 상기 몸통(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고기가 올려지는 석쇠(3)와; 상기 몸통(1)의 좌,우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4)와; 상기 몸통(1)의 전,후측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절첩판(5)과; 상기 절첩판(5)을 수평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휴대시 소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숯불재치대(2)의 높낮이를 소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상기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 장치들은 숯불 바베큐 구이시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그대로 숯불로 바로 떨어지게 되어 연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고기 기름에 의해 화력이 세지면서 화염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숯불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석쇠를 들어낸 후 몸통 내부의 숯불재치대(2)의 높이를 조절해야만 하므로 잘못하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상기 절첩판(5)이 힌지 방식으로 회동되며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6)에 의해 중량을 버티도록 되어 있어 내구성이 약한 문제로 절첩판(5)이 접혀지게 되는 경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불조절이나 사용 후 보관을 위해 상기 숯불재치대(2)와, 지지대(4)와 같은 구성을 조작하는 방법과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번거럽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베큐 구이시 육류와 같은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가 직화 방식으로 익혀지도록 하거나 열기를 이용한 간접열에 의해 익혀지도록 함으로써 구이대상물을 기호에 따라 익힐 수 있는 것은 물론, 숯불에 구이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베큐 구이 도중에 숯불통을 측면 방향으로 바로 꺼낼 수 있고, 숯불통 내부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숯불의 화력 조절이 매우 용이하며, 구이 작업 도중에 숯불을 추가로 채우거나 빼는 작업 등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조립이 쉽고 간편하면서도 세척이 필요한 부분이 쉽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세척작업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구마와 같은 별도의 구이물을 육류 구이물과 함께 또는 따로 익혀 먹을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뛰어난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사방으로 일정 높이의 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접철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 저부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부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숯통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 또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숯통에 채워진 숯불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숯통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어 내부로 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구이실이 구비되고, 구이물이 수용되어 상기 숯불에 의해 구이물을 익힐 수 있도록 상기 구이실의 밀폐공간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상기 구이실의 출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이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상호 포개지며 덮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한 한 쌍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받침대는,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각각의 지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함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걸림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본체부의 저부 다른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기름받이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단부와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루는 안착턱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주기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어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어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숯통과 상기 기름받이통이 상기 본체부의 저부로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 개구가 막히고, 상기 그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 전체를 막을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그릴판은, 상기 다수개의 산 부분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천공된 화염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그릴판은, 상기 본체부 상부에서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상기 구이물에서 배출된 기름이 상기 기름받이통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골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 기름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숯통은, 길이방향의 양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저부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철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양단부에 고정된 연결브라켓과, 양측의 상기 연결브라켓 상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의 상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가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저면과 둔각 이상의 각도로 펼쳐져 상호간에 최대한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바베큐 구이시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아 구이물이 숯불에 의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호에 따라 육류를 직화 방식 또는 간접열에 의해 익혀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숯불의 화력 조절이 용이하고, 구이 작업 도중 숯불을 추가로 채우거나 빼는 작업 등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조립이 쉽고 간편하면서도 세척이 필요한 부분이 쉽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세척작업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는 고구마와 같은 별도의 구이물을 육류 구이물과 함께 또는 따로 익혀 먹을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가 사용을 위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다리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그릴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가 사용을 위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다리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의 그릴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1)는,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본체부(10)와, 다리부(20)와, 숯통(30)과, 그릴부(40)와, 한 쌍의 받침대(50) 및 기름받이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후술되는 상기 숯통(30) 및 상기 기름받이통(60)이 저부로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20)를 통해 일정 높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상기 그릴부(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본체부(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사방으로 일정 높이의 틀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0)는 상기 본체부(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리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 저부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는 각각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하나의 수평프레임(21a,22a)으로 연결되어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를 통해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이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는 접철고정수단(23)에 의해 상기 본체부(10) 저부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철고정수단(23)은 연결브라켓(23a)과, 힌지축(23b)과, 스토퍼(23c) 및 거치봉(2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브라켓(23a)은 사각형의 판형 부재로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하나씩 고정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브라켓(23a)이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3b)은 상기 본체부(10)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연결브라켓(23a)에 양단부가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 각각은 상단부 양측이 상기 힌지축(23b) 상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의 저부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23c)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 각각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상기 본체부(10)의 저부로 최대한 펼쳐진 경우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3c)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상기 본체부(10)의 수평한 저면과 둔각 이상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23b) 각각의 하방 외측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지면에 세워지는 과정에서 실수로 접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봉(23d)은 상기 스토퍼(23c)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상호간에 최대한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 사이에 거치된다.
이에 상기 거치봉(23d)은 일정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의 양측에 ‘ㄱ’자 형상으로 꺾인 안착판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의 수평프레임(21a,22a) 상에 상기 안착판이 안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1,2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숯통(30)은 상기 본체부(10)의 저부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숯통(30)은 상기 본체부(10)의 저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과 중앙에 길게 이어지는 단턱에 걸림 지지되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에 상기 숯통(30)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서랍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숯통(30)에는 숯이 채워질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숯통(30)을 파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숯통(30)은 길이방향의 양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유통공(30a)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숯불의 화력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1)는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숯통(30)에 채워진 숯불에 의해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구이실(11)이 구비되고, 상기 구이실(11)에 구이물이 수용되게 인출될 수 있는 구이틀(12)이 구비된다.
상기 구이실(11)은 상기 본체부(10) 내부에서 상기 숯통(30)이 설치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데, 상기 구이실(11)은 상기 숯통(30)의 상부로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숯통(30)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상기 숯통(3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구이실(11)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로 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상기 구이틀(12)이 인출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구이틀(12)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구이실(11) 내부로 길게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 봉형 프레임 다수개가 호 형상의 틀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육류 구이물과 별도로 고구마, 감자, 소시지, 조개 등 일정 부피를 갖는 구이물들을 타지 않게 익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이틀(12)은 길이방향의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수직한 밀폐판(12a)이 상기 출입구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로 놓인 구이물을 상기 구이실(11)에 밀폐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이실(11)을 상기 숯통(30)에 인접하게 배치시켜 가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타지 않게 구이물을 익힐 수 있으며, 상기 구이틀(12)이 상기 구이실(11)의 밀폐공간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어 상기 그릴부(40)로 놓이는 구이물과 다른 구이물을 함께 다른 방법으로 익힐 수 있으며, 상기 그릴부(40)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또는 별도로 익혀먹을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상기 그릴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안착되어 상기 숯통(30)에 채워진 숯불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1)는 상기 그릴부(40)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 전체를 막을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 전체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한 쌍의 그릴판(41,42)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를 막을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직사각형의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은 양측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 또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될 수 있는데, 상기 그릴판(41,42)의 폭 방향의 어느 일측이 낮게 안착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는 상단부와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루는 안착턱(13)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턱(13)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보다 소정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서 단턱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내주면을 따라 일부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10)의 내주면을 따라 일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 각각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산(41a,42a)과 골(41b,42b)이 주기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어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턱(13)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은 상기 산(41a,42a) 부분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천공된 화염통과공(41c,42c)이 형성된다.
본 발명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1)의 경우 상기 그릴판(41,42)의 표면으로 산(41a,42a)과 골(41b,42b)이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그릴판(41,42) 저부가 막힌 경우 상기 산(41a,42a) 부분으로 열기나 화염이 집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릴판(41,42) 상부로 볼록한 부분의 산(41a,42a) 부분으로 상기 화염통과공(41c,42c)이 길게 천공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 내부에서 숯불에 의한 화염과 열기가 상기 화염통과공(41c,42c)을 통해 상기 그릴판(41,42)의 상부까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숯불을 통한 바베큐 구이를 하는 과정에서 상기 숯통(30)에 채워진 숯불의 화력을 적절하게 조절한 경우 즉, 화력을 바람직한 세기로 높이거나 낮추어 상기 그릴판(41,42)의 저부로 전달되는 간접열과 함께 상기 화염통과공(41c,42c)을 통해 구이물에 화염이 직접 전달되도록 할 수 있어 기호에 따라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혀 숯 향이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펼쳐짐으로써 상부로 음식물 등이 담긴 용기나 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는 상기 다리부(20)와 함께 상기 본체부(10)부로부터 접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받침대(51) 및 제2 받침대(52)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 받침대(51) 및 제2 받침대(52)는 각각 상기 본체부(10)의 크기와 대응하는 길이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연결부가 각각 마련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받침대(51) 및 제2 받침대(52)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상단부 즉, 상기 힌지연결부를 중심축으로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상호 포개지며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1)는 상기 다리부(20) 및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가 모두 펼쳐지게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바베큐 구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를 통해 익혀진 구이물과 컵, 용기 등 다른 용품을 비치할 수 있는 식판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식사를 위해 구이물을 다른 장소로 이동할 필요 없이 그 자리에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 즉, 상기 한 쌍의 제1 받침대(51) 및 제2 받침대(52)는 사용을 위해 상기 본체부(10) 상단부에서 펼쳐진 경우 상기 본체부(10)의 외측 단부에 걸림 지지될 수 있는 지지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판이 한 쌍의 제1측 지지판(51a,51b) 및 한 쌍의 제2측 지지판(52a,5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측 지지판(51a,51b)과 상기 한 쌍의 제2측 지지판(52a,52b)은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 각각의 저부를 견고하게 받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삼각형상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저면에 위치되게 힌지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는 방향 즉,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는 내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 지지판(51a,51b) 및 상기 제2측 지지판(52a,52b)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의 수평한 저면과 대략 90도 방향을 이루는 각도로 접철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측 지지판(51a,51b) 및 상기 제2측 지지판(52a,52b)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간편하게 펼쳐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받침대(50)가 상기 제1측 지지판(51a,51b) 및 상기 제2측 지지판(52a,52b)과 함께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간편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통(60)은 상기 본체부(10)의 저부 일측 즉, 상기 숯통(30)이 설치된 방향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숯통(3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기름받이통(60)은 상기 숯통(3)과 같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60)은 상기 숯통(3)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의 저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과 중앙에 길게 이어지는 단턱에 걸림 지지되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숯통(30)과 상기 기름받이통(60)이 상기 본체부(10)의 저부로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개구가 막히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상기 숯통(30)에 채워진 숯불에 의한 열기가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갇혀 상기 구이실(11)과 상기 그릴판(41,42)으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는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이 막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본체부(10) 내부에서의 가열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 내부에서의 온도 유지가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 상부에서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구이물에서 배출된 기름이 상기 기름받이통(60)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골(41b,42b)이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 기름배출홈(41d,42d)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름배출홈(41d,42d)은 상기 그릴판(41,42)의 폭 방향의 말단부 즉, 상기 골(41b,42b)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가 내측을 향하여 움푹하게 유선형으로 절단 가공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판(41,42)은 폭 방향의 양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봉(41e,42e)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한 쌍의 지지봉(41e,42e)은 상기 기름배출홈(41d,42d)과 일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 또는 안착턱(13)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그릴판(41,42)은 상기 기름받이통(60) 부분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에 상기 그릴판(41,42)의 폭 방향 일측에 마련된 상기 지지봉(41e,42e)이 상기 본체부(10)의 기름받이통(60) 상부로 위치되는 상기 안착턱(13)에 지지되고, 폭 방향의 다른 일측에 마련된 상기 지지봉(41e,42e) 부분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에 간편하게 걸쳐지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판(41,4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지지봉(41e,42e)이 상기 안착턱(13)에 안착된 경우 상기 그릴판(41,42)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부(10) 내주면에 상기 그릴판(41,4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구이물의 구이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릴판(41,42)을 통해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숯통(30) 내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숯통(30)의 상방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구이 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기름이 숯불에 낙하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이나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아 구이물을 타지 않고 맛있게 익힐 수 있는 매우 훌륭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부 11 구이실
12 구이틀 12a 밀폐판
13 안착턱 20 다리부
21,22 한 쌍의 다리부재 23 접철고정수단
23a 연결브라켓 23b 힌지축
23c 스토퍼 23d 거치봉
30 숯통 30a 공기유통구
40 그릴부 41,42 그릴판
41c,42c 기름배출홈 41d,42d 지지봉
50 한 쌍의 받침대 51 제1 받침대
52 제2 받침대 51a,51b 제1측 지지판
52a,52b 제2측 지지판 60 기름받이통

Claims (7)

  1.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사방으로 일정 높이의 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접철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 저부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부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숯통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 또는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숯통에 채워진 숯불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서 상기 숯통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어 내부로 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구이실이 구비되고, 구이물이 수용되어 상기 숯불에 의해 구이물을 익힐 수 있도록 상기 구이실의 밀폐공간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상기 구이실의 출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이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상호 포개지며 덮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한 한 쌍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받침대는,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각각의 지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함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걸림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과 함께 상기 본체부의 상부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저부 다른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기름받이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단부와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루는 안착턱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주기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어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어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숯통과 상기 기름받이통이 상기 본체부의 저부로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 개구가 막히고,
    상기 그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 전체를 막을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그릴판은, 상기 산 부분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천공된 화염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판은, 상기 본체부 상부에서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상기 구이물에서 배출된 기름이 상기 기름받이통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골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 기름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길이방향의 양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저부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철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양단부에 고정된 연결브라켓과, 양측의 상기 연결브라켓 상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의 상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진 경우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각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가 상기 본체부의 수평한 저면과 둔각 이상의 각도로 펼쳐져 상호간에 최대한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KR1020170096269A 2017-07-28 2017-07-28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KR20190012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69A KR20190012770A (ko) 2017-07-28 2017-07-28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69A KR20190012770A (ko) 2017-07-28 2017-07-28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70A true KR20190012770A (ko) 2019-02-11

Family

ID=6537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69A KR20190012770A (ko) 2017-07-28 2017-07-28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98Y1 (ko) *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98Y1 (ko) *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705B2 (en) Vertical food smoker/cooker
US5404795A (en) Barbeque grill
US5460159A (en) Multi smoke cooker
RU2628896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открытом воздухе
US2902026A (en) Portable barbecue pits
US8490614B1 (en) Residential flame broiler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KR101155617B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US20050121018A1 (en) Combination barbeque grill, smoker and fireplace
JP2018529502A (ja) モジュール式バーベキュ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KR101859875B1 (ko) 레저용 바비큐 구이장치
US6230700B1 (en) Charcoal grill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KR20130118638A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US3302555A (en) Charcoal brazier
KR20110017690A (ko) 레저용 꼬치 구이기
EP2416685B1 (en) Solid fuel outdoor cooking device
KR20190012770A (ko)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1680257B1 (ko) 훈제 및 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음식물 구이장치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102024014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2251392B1 (ko) 기름의 튐 방지 기능을 강화한 기능성 석쇠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