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017A -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017A
KR20130143017A KR1020137007218A KR20137007218A KR20130143017A KR 20130143017 A KR20130143017 A KR 20130143017A KR 1020137007218 A KR1020137007218 A KR 1020137007218A KR 20137007218 A KR20137007218 A KR 20137007218A KR 20130143017 A KR20130143017 A KR 2013014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valve
discharg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357B1 (ko
Inventor
베사 노르드만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13014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7/00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 F02B47/02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the substances being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42Variabl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69Controlling the valves to perform a Miller-Atkins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73Multiple actuations of a valve within an engin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02M25/025Adding water
    • F02M25/03Adding water into the cylinder or the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01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i.e. wherein the residual exhaust gases are trapped in the cylinder or pushed back from the intake or the exhaust manifol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32Mill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12Multiple heat exchangers arranged in parallel or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13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with exhaust-driven pump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using internal EG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연 기관 (10) 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내연 기관 (10) 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1), 상기 실린더 (1)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2), 흡입 채널 (3), 배출 채널 (4), 적어도 하나의 흡입 밸브 (5)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밸브 (6) 를 포함한다. 피스톤 (2) 이 흡입 행정 동안 하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흡입 밸브 (5) 를 폐쇄한다. 흡입 밸브 (5) 를 폐쇄한 후에, 배출 가스를 실린더 (1) 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배출 밸브 (6) 를 재개방한다. 배출 밸브 (6) 를 폐쇄하기 전에, 물은 배출 채널 (4) 내로 주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 기관 (10)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METHOD FOR REDUCING EMISS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연 기관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및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1 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및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배출 기준이 유해한 산화 질소 (NOx), 일산화탄소 (CO), 휘발성 탄화수소 (HC), 입자상 물질 (PM) 및 내연 기관의 기타 배출물에 대한 더욱더 엄격한 요건들을 설정하므로, 기관 제조자는 이러한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동시에, 기관의 연료 효율은 이산화탄소 (CO2) 방출을 줄이고 기관의 경제적인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NOx 배출은 연소 챔버 내의 온도를 줄임으로써 줄여질 수 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변경된 흡입 폐쇄 공정을 활용하는 이른바 Miller 사이클을 적용하는 것이다. Miller 사이클은 두 개의 버전이 있다: 제 1 버전에는, 흡입 밸브가 하사점 이후에만 폐쇄되는데, 이는 압축 행정의 일부가 압축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더 높은 열효율과 더 낮은 노킹 (knocking) 경향을 달성하기 위한 불꽃 점화 기관에서 사용된다. Miller 사이클의 제 2 버전에 있어서, 흡입 밸브의 조기 폐쇄가 활용된다.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흡입 밸브가 폐쇄되면, 실린더 내의 압력과 온도는 압축 행정의 종료시에 더 낮아질 것이다. Miller 사이클의 이러한 버전은 압축 점화 기관에서 종종 사용된다. 흡입 밸브의 조기 폐쇄 때문에 실린더 내의 더 적은 양의 공기는 적합한 과급비에 의해 통상적으로 보상된다.
내연 기관의 NOx 배출을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은, 배출 가스의 일부가 원래의 실린더로 유도되는 배출 가스 환원 장치 (EGR) 를 사용하는 것이다. 재순환된 배출 가스의 열용량이 공기의 열용량보다 더 크기 때문에, 연소에 의해 방출되는 동일한 양의 에너지가 EGR 을 구비하는 기관에서는 더 낮은 온도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실린더 내의 더 낮은 산소 질량 및 연소 속도의 감소는 더 낮은 온도 증가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EGR 시스템은 내부 EGR 시스템이거나 외부 EGR 시스템일 수 있다. 외부 EGR 시스템에서 배출 가스는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흡입 매니폴드로 재순환되는 반면에, 내부 EGR 시스템에서 배출 가스는 실린더 내에 트래핑되거나 (trapped),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연소 챔버로의 역류가 활용된다. EGR 시스템의 효과는 재순환된 배출 가스를 냉각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외부 EGR 시스템의 단점은 불순물이 도로 실린더 내로 도입되기 전에 배출 가스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중유 (heavy fuel oil; HFO) 를 사용할 때의 경우이다. 불순물들이 재순환된 배출 가스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면, 재순환은 중간 냉각기, 과급기 및 엔진의 다른 부품들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한편, 배출 가스 정화 장치는 더 복잡해진 EGR 시스템의 원인이 된다.
JP 11223137 A 는 Miller 사이클 기관용 흡입 및 배출 밸브 제어기를 개시한다. 상기 발명은, 석션 (suction) 밸브가 폐쇄되어 연소 챔버 내의 압력이 낮아진 후에 흡입 행정 동안 내부 EGR 용 배출 밸브를 일시적으로 개방함으로써 NOx 방출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부 EGR 에 비교하여, 이러한 종류의 내부 EGR 의 단점은, 재순환된 배출 가스가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최고의 가능한 NOx 감소 효과는 달성되지 않는다.
또한 NOx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은 물의 주입이다. 물은 연소 챔버 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연소 챔버로 또는 흡입 매니폴드로 직접 주입될 수 있고, 따라서 NOx 방출을 줄일 수 있다. JP 9144606 A 는, NOx 방출이 외부 EGR 에 의해 감소되고 연소 챔버로 물의 주입이 유도되는 내연 기관을 개시한다. 유도 물 주입의 단점은 연소를 방해하여, 보다 열악한 열소비율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 기관의 NOx 방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낮은 NOx 방출과 우수한 연료 효율을 갖는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징적인 구성은 청구항 1 의 특징부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의 특징적인 구성은 청구항 11 의 특징부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내연 기관의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이 실린더 내로 흡기를 도입시키기 위해 실린더에 연결되는 흡입 채널, 이 실린더의 밖으로 배출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실린더에 연결되는 배출 채널, 흡입 채널과 실린더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밸브 및 배출 채널과 실린더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밸브를 포함하고, 흡입 밸브는, 실린더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흡입 행정 동안 제 1 의 미리 정해진 크랭크각으로 폐쇄된다. 흡입 밸브를 폐쇄한 후에, 배출 밸브는 배출 채널로부터 실린더 내로 배출 가스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 2 의 미리 정해진 크랭크각으로 재개방된다. 배출 밸브는 배출 가스가 실린더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기 전에, 물이 배출 채널 내로 주입된다.
내부 EGR 이 배출 채널로의 물의 주입과 Miller 사이클과 결합되면, 매우 낮은 NOx 방출이 우수한 연료 효율과 함께 달성될 수 있다. Miller 사이클의 사용은 최대 실린더 온도를 줄일 수 있는 반면에, 재순환된 배출 가스는 전체 사이클 동안 온도를 더 낮게 유지하게 한다. 주입된 물은 실린더 내에서 증발하고 또한 온도를 감소시킨다. 배출 채널로의 주입 때문에, 물은 흡기 및 배출 가스와 함께 잘 혼합되고, 연소를 방해하지 않는다. 심지어 NOx 방출을 위한 IMO Tier Ⅲ 요건들은 선택적인 촉매 환원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주입된 물은 또한 배출 밸브를 깨끗하게 유지시킨다. 외부 EGR 을 구비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이 방법은 덜 복잡하고 배출 가스 내의 불순물의 문제를 방지한다. 이 방법은 심지어 HFO 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관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이 실린더 내에 흡기를 도입시키기 위해 실린더에 연결된 흡입 채널, 이 실린더의 밖으로 배출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실린더에 연결되는 배출 채널, 흡입 채널과 실린더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밸브, 배출 채널과 실린더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밸브, 및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흡입 밸브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흡입 행정 동안 제 1 의 미리 정해진 클랭크각으로 폐쇄되도록 배치되고, 배출 밸브는 흡입 밸브가 배출 가스를 배출 채널로부터 실린더로 유동시키기 위해 폐쇄된 후에 제 2 의 미리 정해진 클랭크각으로 재개방되도록 배치된다. 기관은 배출 채널로 물을 주입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내연 기관의 방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물의 주입은 배출 밸브가 재개방되기 전에 개시된다. 배출 채널로의 조기의 물의 주입으로, 배출 밸브가 EGR 을 위해 재개방되는 경우 물은 배출 가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고 따라서 더 나은 혼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물의 주입은 하사점 이전에 170 ~ 10 도로 개시된다. 개시각은 기관의 하중 및 회전 속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하중이 더 커지면 더 조기의 물의 주입 타이밍이 실린더 내에 충분한 양의 물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10 ~ 170 도의 크랭크각에서 물의 주입의 지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15 ~ 60 도의 크랭크각에서 물의 주입이 지속된다. 기관의 하중 및 회전 속도에 따라 물의 주입의 지속이 다양해질 수 있다. 기관 속도 및/또는 하중이 높아지면, 더 긴 물의 주입의 지속이 실린더에서 충분한 양의 물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연료에 대한 주입된 물의 질량비는 0.7 ~ 2.0 이다. 기관의 하중이 더 커지면, 더 많은 양의 물이 실린더 내로 주입될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은 종속 청구항에 주어진다.
도 1a ~ 도 1d 는 본 발명에 따라 내연 기관의 배출 및 흡입 행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2 단계 과급 (turbocharging) 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실린더 (1), 실린더 (1)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2), 흡입 채널 (3), 배출 채널 (4), 흡입 밸브 (5), 배출 밸브 (6) 및 물 주입 노즐 (7) 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 (10) 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흡기는 종래의 방식으로 실린더 (1) 와 접속 상태에 있는 흡입 채널 (3) 을 통해 실런더 (1) 내로 도입된다. 흡입 채널 (3) 은 실린더 헤드 내에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고, 흡입 채널의 일부는 별개의 덕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가스는 실린더 (1) 와 접속 상태에 있는 배출 채널 (4) 을 통해 실린더 (1) 의 밖으로 안내된다. 배출 채널 (4) 은 실린더 헤드 내에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고, 배출 채널의 일부는 별개의 덕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 (10) 은 흡입 밸브 (5) 와 배출 밸브 (6) 를 개폐하는 수단 (8, 9) 을 포함한다. 예컨대, 밸브들을 개폐시키는 수단 (8, 9) 은 직접 또는 레버 기구나 일부 다른 장치를 통해 가스 교환 밸브 (5, 6) 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하나의 실린더 (1) 만을 도시하지만, 내연 기관 (10) 은 V 형 구성으로 또는 일부 다른 구성으로 인라인 (inline) 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합당한 개수의 실린더들 (1)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교환 밸브들 (5, 6) 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실린더 (1) 에 두 개의 흡입 밸브 (5) 와 두 개의 배출 밸브 (6) 가 있을 수 있다. 내연 기관 (10) 은 바람직하게는 4 행정 기관이지만, 또한 6 행정 사이클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과급 압축 점화 내연 기관과 접속 상태에서 사용되지만, 또한 자연 흡기 기관 (naturally aspirated engine) 및/또는 불꽃 점화 기관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 에는, 내연 기관 (10) 이 네 개의 실린더들 (1) 을 포함하는 일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내연 기관 (10) 의 흡기는 저압 과급기 (11) 와 고압 과급기 (12) 로 과급된다. 또한, 과급 시스템은 두 개의 차지 (charge) 공기 냉각기들 (13, 14) 을 포함한다.
도 1a 는 거의 배출 행정의 종료시의 상황을 도시하고, 여기서 피스톤 (2) 은 상사점에 접근하고 배출 밸브 (6) 는 여전히 개방되어 배출 가스를 배출 채널 (4) 내로 유동시킨다. 또한, 흡입 밸브 (5) 는 소기를 강화하기 위해 막 개방되었다.
도 1b 에서, 피스톤 (2) 은 상사점을 지났고 배출 밸브 (6) 는 막 폐쇄된 반면, 흡입 밸브 (5) 는 개방되고 실린더 (1) 는 신선한 공기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실린더 (1) 내의 압력은 밸브 포트의 흐름 저항으로 인해 흡입 채널 (3) 에서의 압력보다 약간 더 낮다.
도 1c 는 흡입 밸브 (5) 가 하사점 이전에 흡입 행정 동안 어떻게 폐쇄되는지를 도시한다. 흡입 밸브 (5) 및 배출 밸브 (6) 모두는 폐쇄되고, 피스톤 (2) 은 여전히 하사점을 향해 하향 이동하기 때문에, 실린더 (1) 내의 압력은 떨어지기 시작한다. 흡입 밸브 (5) 의 조기 폐쇄는 압축비가 팽창비보다 더 작고 실린더 온도가 압축의 종료시에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최적 타이밍은 엔진 구성, 차지 압력, 기관 부하 및 속도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존한다. 흡입 밸브 (5) 가 더욱 조기에 폐쇄되면, 실린더 온도와 NOx 방출이 더욱 감소된다. 하지만, 흡입 밸브 (5) 의 조기 폐쇄가 더 높은 차지 압력에 의해 보상되지 않는다면, 흡입 밸브 (5) 의 조기 폐쇄는 더 낮은 기관 출력을 또한 의미한다. 흡입 밸브 (5) 를 폐쇄하기 위한 가장 늦은 가능한 타이밍은 흡입 및 배출 압력에 의존한다. 흡입 밸브 (5) 는 배출 가스가 배출 채널 (4) 로부터 실린더 (1)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출 압력 하에서 실린더 압력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조기에 폐쇄되어야 한다. 흡입 밸브 (1) 는 통상적으로 하사점 이전에 100 ~ 30 도의 크랭크각에서 폐쇄되지만, 또한 더 일찍 또는 더 늦게 폐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d 에서, 피스톤 (2) 은 하사점에 접근하고 배출 밸브 (6) 는 개방되었다. 배출 밸브 (6) 가 개방되는 크랭크각은 많은 다른 요인들에 의존한다. 실린더 (1) 내의 압력은 배출 밸브 (6) 가 개방될 때 배출 채널 (4) 내의 압력보다 더 낮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배출 가스가 실린더 (1) 내로 유동하지 않게 한다. 배출 밸브 개방의 최적 타이밍은 원하는 양의 재순환된 배출 가스, 실린더 압력, 배출 압력 및 밸브 구성과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존한다. 배출 밸브 (6) 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의 크랭크각의 범위는 유사한 요인들에 의존한다. 통상적으로, 배출 밸브 (6) 는 하사점 이전에 90 ~ 10 도에서 개방되고, 10 ~ 90 도의 크랭크각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일부 경우에, 하사점 이후에 배출 밸브 (6) 가 개방될 수도 있다.
배출 밸브 (6) 가 개방되는 경우, 실린더 (1) 내의 압력은 배출 채널 (4) 내의 압력보다 더 낮아야 한다. 배출 채널 (4) 과 실린더 (1) 사이의 압력차 때문에, 배출 가스는 실린더 (1) 내로 유동한다. 이러한 재순환된 배출 가스가 공기보다 더 큰 열 용량을 가지므로, 특정량의 연료의 연소는 배출 가스의 순환이 없을 때보다 더 적은 온도 증가를 초래할 것이다. 배출 밸브 (6) 는 심지어 압축 행정의 시작 동안에도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흡입 밸브 (5) 가 흡입 행정 동안 예컨대 하사점 이전에 50 ~ 90 도의 크랭크각에서 매우 조기에 폐쇄된다면, 실린더 (1) 내의 압력은 피스톤 (2) 이 하사점을 통과한 후에 비교적 긴 시간동안 배출 채널 (4) 내의 압력보다 더 낮을 것이다. 따라서, 배출 가스는, 배출 밸브 (6) 가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면, 압축 행정의 시작시에 배출 채널 (4) 로부터 실린더 (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배출 밸브 (6) 가 다시 폐쇄되기 전에, 물은 물 주입 노즐 (7) 을 통해 배출 채널 (4) 내로 주입된다. 이 노즐 (7) 은 배출 가스의 정상 (normal) 유동 방향으로 배출 밸브 (6) 로부터 하류에 위치된다. 노즐 (7) 은 배출 밸브 (6) 부근에 있고, 실린더 (1) 를 향한다. 도 2 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 (15) 및 물을 노즐 (7) 까지 운반하기 위한 운반 덕트 (16) 및 펌프 (17) 를 도시한다. 배출 밸브 (6) 가 개방되기 전에 이미 물의 주입은 개시될 수 있다. 이로써 더 긴 주입 지속기간의 사용이 가능하다. 물의 주입을 위한 개시 크랭크각은 배출 밸브 (6) 가 개폐되는 크랭크각에 의존한다. 또한, 엔진 부하 및 속도 및 물 주입 노즐 (7) 의 유형은, 물이 주입되는 크랭크각의 범위와 주입을 개시하기 위한 최적 크랭크각에 영향을 미친다. 주입 노즐 (7) 의 용량이 낮다면, 더 긴 주입 지속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높은 엔진 부하는 더 낮은 엔진 부하보다 더 긴 주입 지속기간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물 주입은 하사점 이전에 170 ~ 10 도에서 개시된다. 물이 배출 채널 (4) 내로 주입되는 크랭크각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10 ~ 170 도, 바람직하게는 15 ~ 60 도이다. 연료에 대한 주입된 물의 질량비는 통상적으로 0.7 ~ 2.0 이다. 물의 주입은 전적으로 흡입 행정 동안 일어날 필요가 없으나, 압축 행정의 시작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또한 배출 밸브 (6) 는 하사점 위에서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주입된 물은 배출 가스와 함께 배출 밸브 (6) 를 지나 실린더 (1) 내로 유동하고, 배출 가스와 혼합된다. 물이 증발함에 따라, 재순환된 배출 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고, 실린더 온도를 더 낮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주입된 물은 탄소 침전으로부터 배출 밸브 (6) 를 깨끗이 유지한다. 물이 배출 채널 (4) 내로 주입되고 연료의 주입과 동시에 흡입 채널 (3) 이나 실린더 (1) 내로 직접 주입되지 않으므로, 물은 신선한 공기 및 재순환된 배출 가스와 효과적으로 혼합되고 연소를 방해하지 않는다.

Claims (13)

  1.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은:
    -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1),
    - 상기 실린더 (1)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2),
    - 상기 실린더 (1) 내에 흡기 (intake air) 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1) 에 연결되는 흡입 채널 (3),
    - 배출 가스를 상기 실린더 (1) 밖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1) 에 연결되는 배출 채널 (4),
    - 상기 흡입 채널 (3) 과 상기 실린더 (1)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밸브 (5), 및
    - 상기 배출 채널 (4) 과 상기 실린더 (1)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밸브 (6) 를 포함하고,
    - 상기 왕복 피스톤 (2) 이 흡입 행정 동안 하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실린더 (1)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의 미리 결정된 크랭크각에서 상기 흡입 밸브 (5) 를 폐쇄하고,
    - 상기 흡입 밸브 (5) 를 폐쇄한 후, 배출 가스를 상기 배출 채널 (4) 로부터 상기 실린더 (1) 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제 2 의 미리 결정된 크랭크각에서 상기 배출 밸브 (6) 를 재개방하며,
    상기 배출 가스가 상기 실린더 (1)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 밸브 (6) 를 폐쇄하기 전에, 물을 상기 배출 채널 (4) 내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6) 를 재개방하기 전에, 물의 주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사점 이전에 170 ~ 10 도의 크랭크각에서 상기 물의 주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 170 도의 크랭크각에서 상기 물의 주입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15 ~ 60 도에서 상기 물의 주입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에 대한 주입된 물의 질량비가 0.7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6) 는 20 ~ 90 도의 크랭크각 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6) 는 하사점 전에 90 ~ 10 도에서 재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 (5) 는 하사점 전에 100 ~ 30 도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는 과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11. -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1),
    - 상기 실린더 (1) 내에 배치된 왕복 피스톤 (2),
    - 상기 실린더 (1) 내에 흡기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1) 에 연결되는 흡입 채널 (3),
    - 배출 가스를 상기 실린더 (1) 밖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1) 에 연결되는 배출 채널 (4),
    - 상기 흡입 채널 (3) 과 상기 실린더 (1)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밸브 (5),
    - 상기 배출 채널 (4) 과 상기 실린더 (1)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밸브 (6), 및
    - 상기 흡입 밸브 (5) 와 상기 배출 밸브 (6) 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들 (8, 9) 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 (10) 으로서,
    상기 피스톤 (2) 이 하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흡입 밸브 (5) 는 흡입 행정 동안 제 1 의 미리 결정된 크랭크각에서 폐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입 밸브 (5) 가 배출 가스를 상기 배출 채널 (4) 로부터 상기 실린더 (1) 내로 유동시키기 위해 폐쇄된 후에, 상기 배출 밸브 (6) 는 제 2 의 미리 결정된 크랭크각에서 재개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연 기관 (10) 은 상기 배출 채널 (4)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채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배출 밸브 (6) 부근에서 상기 배출 밸브 (6) 로부터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 (1) 를 향하는 노즐 (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 (10) 은 상기 흡기를 과급하기 위한 수단들 (11, 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10).
KR1020137007218A 2010-08-26 2011-07-07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 KR101973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05886A FI123520B (fi) 2010-08-26 2010-08-26 Menetelmä polttomoottorin päästöjen vähentämiseksi ja polttomoottori
FI20105886 2010-08-26
PCT/FI2011/050641 WO2012025662A1 (en) 2010-08-26 2011-07-07 Method for reducing emiss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17A true KR20130143017A (ko) 2013-12-30
KR101973357B1 KR101973357B1 (ko) 2019-04-29

Family

ID=4266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218A KR101973357B1 (ko) 2010-08-26 2011-07-07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09315B1 (ko)
KR (1) KR101973357B1 (ko)
CN (1) CN103080507B (ko)
FI (1) FI123520B (ko)
WO (1) WO2012025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2762B2 (ja) 2012-08-21 2015-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
US8960133B2 (en) 2013-01-23 2015-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quid injection for scavenging
CN105840357A (zh) * 2016-05-06 2016-08-10 哈尔滨工程大学 柴油机自净化egr装置
CN109973258A (zh) * 2017-12-28 2019-07-0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Egr系统及包括egr系统的内燃机
US11047341B2 (en) 2018-11-13 2021-06-29 Caterpillar Inc. Prechamber fluid inj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922A (ja) * 2002-01-07 2003-07-18 Kawasaki Heavy Ind Ltd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方法および排気再循環装置
JP2005315234A (ja) * 2004-04-30 2005-11-1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545084A (ja) * 2005-07-01 2008-12-11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ピストン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2009168039A (ja) * 2001-04-06 200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臨界水噴射型内燃機関およびそ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73422A (fr) * 1923-02-01 1924-06-23 Perfectionnements dans les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DE2638651A1 (de) * 1976-08-27 1978-03-02 Franc Lopic Explosionsmotor mit einer drehbaren nockenwelle
JP3449080B2 (ja) 1995-11-20 2003-09-22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燃料及び水噴射エンジン
DE19751664C1 (de) * 1997-11-21 1999-04-01 Daimler Ben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Dekompressionsventil
JP3879227B2 (ja) 1998-02-06 2007-02-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ミラーサイクルエンジンの吸・排気弁制御装置
JP2004100561A (ja) * 2002-09-09 2004-04-0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4538574B2 (ja) * 2006-05-09 2010-09-08 有限会社Sgg研究所 6行程ガソリンエンジン
JP2008151059A (ja) * 2006-12-19 2008-07-03 Toyota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を備える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08106007A1 (en) * 2007-02-27 2008-09-04 The Scuderi Group, Llc Split-cycle engine with water inj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039A (ja) * 2001-04-06 200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臨界水噴射型内燃機関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3201922A (ja) * 2002-01-07 2003-07-18 Kawasaki Heavy Ind Ltd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方法および排気再循環装置
JP2005315234A (ja) * 2004-04-30 2005-11-1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545084A (ja) * 2005-07-01 2008-12-11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ピストン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3520B (fi) 2013-06-14
FI20105886A0 (fi) 2010-08-26
WO2012025662A1 (en) 2012-03-01
FI20105886A (fi) 2012-02-27
EP2609315B1 (en) 2015-04-01
CN103080507B (zh) 2015-12-02
CN103080507A (zh) 2013-05-01
KR101973357B1 (ko) 2019-04-29
FI20105886L (fi) 2012-02-27
EP2609315A1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5777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17674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50219025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a spark-ignition engine, having at least one inlet valve
WO2008013157A1 (fr) système de recirculation des gaz d'échappement pour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CN104471221B (zh) 用于发动机的方法和系统
KR101973357B1 (ko) 내연 기관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내연 기관
CN110418887B (zh) 内燃机和用于控制这种内燃机的方法
EP2820276B1 (en) Method for op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200482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031874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EP17882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ir flow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047011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9206759B2 (en) VVA control of NOx in a low ΔP area of an engine operating map
CN111051668B (zh) 内燃机和用于控制这种内燃机的方法
JP2010031687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
JP2013083204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4270621A (ja) エンジンの吸気系装置
JP2004176620A (ja) 2サイクル運転可能な頭上弁式多気筒エンジン
JP2010031686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
JP2005299396A (ja) 過給機付き4サイクル多気筒内燃機関
Beatrice et al. Influence of the Air-Path Operating Parameters on the Low Temperature Combustion in a Single-Cylinder Diesel Engine
JP2008031875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19178640A (ja) 圧縮着火式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4270622A (ja) 筒内噴射圧縮着火式エンジン
JP2014092073A (ja) Egr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