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676A -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676A
KR20130140676A KR1020137010007A KR20137010007A KR20130140676A KR 20130140676 A KR20130140676 A KR 20130140676A KR 1020137010007 A KR1020137010007 A KR 1020137010007A KR 20137010007 A KR20137010007 A KR 20137010007A KR 20130140676 A KR20130140676 A KR 20130140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errule
fiber connector
stop r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977B1 (ko
Inventor
이사오 야마우치
야스히로 햐쿠타케
사토시 가노
Original Assignee
아다만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만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다만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02B6/3624Fibre head, e.g. fibre probe ter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1Ferrule rotatable with respect to plug body, e.g. for setting rotational position ; Fixation of ferrules after rot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세경(細徑)의 배관에 삽입 관통 가능하며, 배관 내를 원활하게 삽입 관통할 수 있는 광섬유를 유지하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한다.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동축 상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섬유 구멍을 가지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기단 측에 배치되는 멈춤링과, 상기 페룰과 상기 멈춤링 사이에 배치된 부세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광섬유 커넥터는 광섬유와 동축 상에 접합되는 하우징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커버 부재는 고정 부재에 의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멈춤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OPTICAL FIBER CONNECTOR COMPONENT AND OPTICAL FIBER CONNECTOR PROVIDED WITH OPTICAL FIBER CONNECTOR COMPONENT}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광통신 기술은, 전기 통신에 비하여, 통신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고,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광통신 기술의 이러한 특징점이 주목을 받고 있고, 새롭게 건축하는 건축물에 있어서는, 건축 시에 광섬유를 부설(敷設)할 수 있도록 미리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또한 기존의 건축물에 광섬유를 부설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광섬유를 배선하는 방법으로서는, 언더 카페트 배선(under carpet wiring), 노출 배선, 은폐 배선 등의 각종 배선 방법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광섬유를 배선해도 경관을 유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 특히 은폐 배선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은폐 배선은, 바닥 아래나 천장, 건축물의 측벽 등에, 건축물의 건축 시에 미리 배관을 설치하여 두고 이 설치된 배관 내에 광섬유를 통과시키는 배선 방법이다. 기존의 건축물에 광섬유를 부설하는 경우에는, 벽내 등에 배관을 매설할 수 없으므로, 광섬유를 배선하기 전에, 건축물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소 등에 배관을 미리 설치하고, 이 배관 내에 광섬유를 통과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광섬유 커넥터가 선단(先端)에 장착된 광섬유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광섬유 커넥터는, 어댑터에 접속할 때나 그 어댑터와의 접속을 해제할 때 사용하는 래치 등의 각종 부재가 형성된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어, 배관 내에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킬 때 걸리기 쉽고, 광섬유가 단선될 우려, 및 광섬유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광섬유의 단선이나 광섬유 커넥터의 파손이 발생하면, 배관 내에 삽입한 광섬유를 끌어당겨 원래대로 되돌리고, 새롭게 광섬유의 접속 또는 광섬유 커넥터의 교환을 행한 후에 다시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켜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매우 나빴다.
또한, 배관은, 건축물의 구조나 처리 즉 부설의 방법에 따라, 굴곡되거나, 곡선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광섬유 커넥터는, 배관이 이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걸리기 쉽고, 상기한 광섬유의 단선, 또는 광섬유 커넥터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웠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종래부터 여러 가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광 커넥터는, 배관 내에서 쉽게 걸리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 캡(cap)을 광 커넥터에 장착하여, 광섬유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며, 광섬유를 배관 내에 원활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어, 광섬유의 단선 또는 광 커넥터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복재의 표면에 특수한 가공을 하여, 광섬유와 배관의 내주면과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하여, 배관 내를 삽입 관통하기 쉽게 한 광섬유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광섬유는 배관 내에 삽입 관통된 후, 광섬유에 광 커넥터를 장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광섬유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방법으로서,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 공기 등의 가스를 배관 내에 공급하면서 배관 내에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법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광섬유를 배관 내에 쉽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어, 광섬유의 단선 또는 광 커넥터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WO2008/036994호
최근에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보다 유효한 이용에 따라, 배관의 설치 가능한 스페이스가 감소 경향이 있는 한편, 광섬유를 부설하는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새롭게 건설되는 건축물의 벽내 등에는, 더욱 직경이 가는(세경, 細徑) 배관을 매설해 둘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축물을 단기간에 건설하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광섬유를 배관 내에 효율적으로 삽입 관통시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더욱 세경의 배관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광섬유를 부설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특히 중요한 포인트가 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 커넥터를 미리 장착하여 배관 내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던 종래의 광섬유는, 최소한 광섬유 커넥터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內徑)을 가지는 배관을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배관의 세경화(細徑化)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의 경우에는, 그 광 커넥터에 캡을 장착하므로, 광 커넥터 부분이 더욱 대형화되어 버려, 캡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한층 큰 내경(內徑)의 배관을 설치하여야 했다.
또한, 피복재에 특수한 가공을 한 광섬유를 그대로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방법에서는, 광섬유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작업을 실시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부설 장소에서의 조립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매우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 공기 등의 가스를 배관 내에 공급하면서, 배관 내에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종래의 방법에서도, 특히 굴곡되거나, 곡선 형태로 설치된 배관 내에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에는, 광섬유 커넥터의 걸림의 문제, 광섬유 커넥터의 걸림에 기인하는 광섬유의 단선 또는 광섬유 커넥터의 파손의 문제, 및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야 하는 것에 의한 작업 효율의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더욱 가는 직경의 배관 내를 더욱 순조롭고 효율적으로 삽입 관통키는 것이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가지고, 조립 시의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1)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섬유 구멍 및 플랜지부(flange portion)를 가지는 페룰(ferrule);
상기 페룰의 기단(基端) 측에 배치되는 멈춤링(stop ring); 및
상기 페룰의 플랜지부와 멈춤링 사이에 배치된 페룰을 누름 가압(押壓)하는 부세(付勢)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2) 상기 페룰, 멈춤링 및 부세 수단은 이들의 축선을 정합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3) 페룰은, 페룰 본체와, 상기 페룰 본체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페룰 본체를 유지하는 페룰 유지 기구로 이루어지고, 페룰 본체는 그 축심에 섬유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페룰 유지 기구는 상기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유지부보다 큰 직경(대경, 大徑)으로 형성되고, 또한 페룰 본체의 기단 측 단부(端部)는 플랜지부에 장착되고,
부세 수단 및 멈춤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外徑)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4) 선단에 향해 점차로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taper shaped)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을 더 포함하고, 이 캡이 페룰의 선단에 장착 가능한,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5)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구멍을 길이 방향 중앙부에 포함하고, 또한 멈춤링의 기단 측에 장착하는 부츠(boots)를 더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6) 멈춤링은, 섬유 삽입 관통 구멍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가지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7) 멈춤링의 테두리부의 기단 측에는 유입 기체가 닿는 바람 받이부를 설치하고, 페룰 본체의 기단 측 단부에는 광섬유 심선(心線)의 단부를 페룰 본체의 섬유 구멍으로 안내하는 깔때기형의 오목부를 형성한 제6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
을 요지로 한다.
또한, 제2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8)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연결 고정되는 커버 부재와, 이들 하우징 및 커버 부재의 연결체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
(9) 커버 부재에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멈춤링은 테두리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노치부(notch portion)를 포함하고 또한 노치부의 양측에 한 쌍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커버 부재의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고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는 멈춤링의 오목부에 끼워 장착하고, 고정 부재의 전면(前面)은 부세 수단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커버 부재와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연결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제8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및
(10)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페룰, 부세 수단 및 멈춤링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 및 커버 부재의 어느 쪽의 관통 구멍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9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11) 커버 부재 및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멈춤링이 고정 부재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그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성하는 페룰, 멈춤링, 및 부세 수단이 하우징 및 커버 부재의 어느 쪽의 외형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페룰, 멈춤링 및 부세 수단을 광섬유에 장착하여 배관 내를 삽입 관통시키므로, 세경의 배관에도 효율적으로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부세 수단 및 멈춤링이 페룰 유지 기구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외경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섬유가 배관내를 삽입 관통될 때, 광섬유 커넥터 부품과 배관과의 걸림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더욱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선단을 향해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캡이 장착되므로, 광섬유가 배관 내를 삽입 관통할 때, 더욱더 광섬유 커넥터 부품과 배관과의 걸림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더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쉽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멈춤링의 기단 측에 부츠를 구비하였으므로,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기단 측에서의 배관과 광섬유 커넥터 부품과의 걸림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더욱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쉽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은, 테두리부가 멈춤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 내에 공급된 가스에 의한 힘을 쉽게 받을 있어,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쉽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하우징과 커버 부재를 연결 고정하여, 이들 하우징과 커버 부재의 연결체의 내부에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배치 고정하고, 커버 부재와 멈춤링을 고정 부재로 연결 고정하고 있으므로,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켜, 대향 단부로부터 인출한 후에, 커버 부재 및 하우징을 그 광섬유 커넥터 부품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세경의 배관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광섬유를 부설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인 광섬유의 부설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광섬유 커넥터의 캡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광섬유 커넥터의 캡을 제외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광섬유에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섬유에 관하여 "선단", "기단", "상", "하", "좌", "우"는, 도 1에 나타낸 방향을 말한다.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후술하는 커버 부재(32) 및 하우징(33)과 함께 제2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31)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페룰(2), 부세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3), 멈춤링(4) 및 부츠(5)로 구성되어 있다. 페룰(2), 코일 스프링(3), 멈춤링(4) 및 부츠(5)는 축심을 정합하고, 각각의 기단 측에서부터 광섬유(6)를 차례로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광섬유(6)는 광섬유 심선(6a)과, 그 광섬유 심선(6a)의 주위에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피복재(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의 광섬유(6)는 광섬유 심선(6a)이 피복재(6b)로부터 노출이 되어 있는 상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통상은, 광섬유 심선(6a)이 피복재(6b)에 덮인 상태이며, 코일 스프링(3), 멈춤링(4) 및 부츠(5) 속을 삽입 관통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광섬유(6)에는,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페룰(2)은, 광섬유(6)를 기단 측으로부터 삽입 관통시켜, 그 광섬유(6)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2)은, 페룰 본체(7)와 페룰 유지 기구(8)로 구성되어 있다. 페룰 본체(7)는, 선단이 첨예한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지르코니아 등의 각종 세라믹스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 본체(7)는, 광섬유 심선(6a)이 삽입 관통 가능한 섬유 구멍(9)을 가지고 있다. 섬유 구멍(9)은 광섬유 심선(6a)을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기 위한 구멍으로, 그 광섬유 심선(6a)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된 광섬유 심선(6a)을 접착제로 고착시킬 수 있는 직경 및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섬유 구멍(9)의 기단 측은, 단부를 향해 구멍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형, 즉 깔때기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 심선(6a)이 섬유 구멍(9)에 삽입되기 쉬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페룰 유지 기구(8)는 페룰 본체(7)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 유지 기구(8)는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유지부(10)와, 유지부(10)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페룰 유지 기구(8)는, 광섬유(6)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의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과, 페룰 본체(7)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의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과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은 플랜지부(11) 내에서 연결되어 통하고 있고, 중심축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 및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은, 섬유 구멍(9)과도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의 내경은,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소경, 小徑)으로 형성되고, 또한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에 삽입되는 페룰 본체(7)의 기단 측의 깔때기형 개구부에 대응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의 내경은, 페룰 본체(7)의 기단 측에 형성된 깔때기형의 개구부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의 내부를 삽입 관통되는 광섬유 심선(6a)이 이 깔때기형의 개구부로부터 원활하게 섬유 구멍(9)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10)는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 내에 삽입 관통되는 광섬유(6)를 접착제로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으면 되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플랜지부(11)는, 페룰 유지 기구(8)에 있어서 유지부(10)의 선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유지부(10)의 외경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플랜지부(11)는 정면에서 본 경우의 형상이 육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1)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후술하는 광섬유 커넥터(31)의 하우징(33)이 장착되었을 때, 페룰(2)의 위치 결정 및 광섬유 심선(6a)의 축심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하우징(33)에도, 플랜지부(11)가 끼워맞춤 가능한 육각 형상의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1)에는, 선단 측에 테이퍼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하우징(33)의 제2 관통 구멍(42)에 형성된 테이퍼 받이부(43)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11a)에는 노치(notch)(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5)는, 광섬유 심선(6a)의 축심을 조정할 때 사용하는 지그(jig)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11)의 내부에 형성한 소경의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이 개구되는 대경의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의 기단 측 단부의 내측 둘레에 숄더부(shoulder portion)(46)가 형성되어 있고, 페룰 본체(7)의 기단 측 단부가 플랜지(8)의 페룰 본체 삽입 구멍(13)에 삽입되는 동시에 이 숄더부(46)와 맞닿아, 유지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로부터 유지부(10)에 이어지는 부분에는 단차부(段差部)(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16)는 코일 스프링(3)의 선단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16)로부터 유지부(10)에 걸쳐 연속하는 곳에는, 코일 스프링(3)을 구성하는 금속선의 반경과 같은 반경의 R(radius)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페룰 유지 기구(8)는, 페룰 본체(7)를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된 광섬유(6)를 접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금속 재료 이외의 것으로 형성해도 된다.
코일 스프링(3)은, 페룰(2) 즉 페룰 유지 기구(8)의 플랜지부(11)의 단차부(16)와 멈춤링(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은, 내부에 페룰 유지 기구(8)의 유지부(10)와, 그 유지부(10)의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에 삽입 관통된 광섬유(6)가 삽입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3)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멈춤링(4)은 페룰(2) 및 코일 스프링(3)의 기단 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재이며, 스테인리스 등의 각종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멈춤링(4)은 선단 측에 테두리부(17)가 형성되고, 테두리부(17)보다 기단 측에 받이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테두리부(17)와 받이부(18)의 사이에는, 외경이 이들 테두리부(17) 및 받이부(18)의 외경보다 소경이 되도록 형성된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멈춤링(4)에는, 광섬유(6)가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섬유 삽입 관통 구멍(2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7)는, 본 발명의 바람 받이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며, 섬유 삽입 관통 구멍(20)의 바깥쪽을 향해, 플랜지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7)의 후단 측에는 바람 받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 받이부(21)는,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 그 배관 내에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에 의한 힘을 받는 면이다.
받이부(18)는 부츠(5)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받이 부분이며, 테두리부(17)의 후방(즉 기단 측)에 섬유 삽입 관통 구멍(20)의 바깥쪽(즉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플랜지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18)는 오목부(19)를 통하여 테두리부(17)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받이부(18)의 외경은 테두리부(17)의 외경과 동일하여도 되고, 플랜지부(11)의 외경 이하의 범위 내에서 상이해도 되지만,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의 배관과 광섬유 부품(1)과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받이부(18)의 외경은 테두리부(17)의 외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이부(18)의 외경은, 장착된 부츠(5)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받이부(18)의 외경은 부츠(5)의 외경과 상이해도 된다. 또한,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의 배관과 광섬유 부품(1)과의 걸림을 더욱 해소시키는 관점에서, 받이부(18)의 외경은, 플랜지부(11)의 외경 이하로서, 부츠(5)의 외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멈춤링(4)에는, 받이부(18)의 기단 측에 부츠 장착부(2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부츠 장착부(22)는 멈춤링(4)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부츠(5)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부츠 장착부(22)의 외주면이 부츠(5)에 의해 덮이게 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츠 장착부(22)의 외경은, 부츠(5)의 내경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부츠 장착부(22)에 눌러 끼워 장착한 부츠(5)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츠(5)의 빠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부츠 장착부(22)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그물눈 모양의 널링(knurling)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2)의 플랜지부(11)의 외경 h1, 코일 스프링(3)의 외경 h2 및 멈춤링(4)의 테두리부(17)의 외경 h3은, 후술하는 하우징(33)의 외형 치수 d1 및 커버 부재(32)의 외형 치수 d2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의 외경 h2 및 멈춤링의 테두리부(17)의 외경 h3은,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각각 걸리게 하기 위한 플랜지부(11)의 외경 h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스프링(3) 및 멈춤링(4)을 상기한 크기로 함으로써,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이 배관 내에서 걸림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우려를 대폭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테두리부(17)의 외경 h3은, 플랜지부(11)의 외경 h1 이하이면, 코일 스프링(3)의 외경 h2보다 대경이어도 된다. 또한, 테두리부(17)의 외경 h3은,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걸 수 있으면, 코일 스프링(3)의 외경 h2와 동일해도 되고, 소경이어도 된다. 또한, 테두리부(17)의 외경 h3과 받이부(18)의 외경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단,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힘을 받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테두리부(17)의 외경 h3은 받이부(18)의 외경보다 대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츠(5)는, 멈춤링(4)의 기단 측에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6)가 과도하게 굴곡되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관 내에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킬 때, 멈춤링(4)이 노출되어 배관 내에 닿아,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부츠(5)는 수지 등으로 성형된 부재이며, 기단 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외경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츠(5)에는, 멈춤링(4)의 부츠 장착부(22)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부츠 장착부(22)에 장착할 때 누름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츠(5)의 선단측의 외경은, 멈춤링(4)의 받이부(1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23)은 수지 등의 재료로 성형된 부재이며, 기단 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점차로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캡(23)은, 페룰 본체(7)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광섬유(6)를 배관의 내부에 삽입 관통시킬 때는 페룰 본체(7)에 장착하고, 다른 광섬유(6)와 접속할 때는 분리하여 사용된다.
(광섬유 커넥터(31)의 구성)
다음에, 제2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31)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광섬유 커넥터(31)는 상기한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인 페룰(2), 코일 스프링(3), 멈춤링(4) 및 부츠(5)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광섬유 커넥터(31)는 커버 부재(32), 하우징(33) 및 고정 부재(34)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32) 및 하우징(33)은, 각각의 기단 측으로부터,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장착한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구멍을 갖고 있고, 이들 커버 부재(32) 및 하우징(33)은 함께 연결 고정됨으로써 연결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 부재(34)는 커버 부재(32)와 멈춤링(4)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부재(32)는 하우징(33)에 삽입하여 연결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재이며, 각종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커버 부재(32)는 하우징(33)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5)와, 삽입부(35)의 기단 측 단부의 벽부에 형성된 고정부(36)를 가진다. 또한, 커버 부재(32)에는, 페룰 유지 기구(8)의 플랜지부(11)가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멈춤링이 삽입 관통되는 제1 관통 구멍(37)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35)는, 하우징(33)의 후술하는 삽입 구멍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 측벽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쐐기 형태의 돌출편(38)이 형성되어 있다. 멈춤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6)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은, 커버 부재(32)의 기단 측 단부의 벽부와 제1 관통 구멍(37)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축선을 정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정 부재(34)가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 내를 삽입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은 고정 부재(34)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커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34)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형상은 임의로 변경해도 된다. 그리고, 하우징(33)과 커버 부재(32)를 연결시켜 형성된 연결체의 내부에는, 멈춤링(4), 코일 스프링(3) 및 플랜지부(11)와 유지부(10)로 이루어지는 페룰 유지 기구(8)가 배치된다.
고정 부재(34)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며, 커버 부재(32)에 형성된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판 두께 및 판 폭을 가진다. 고정 부재(34)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노치된 노치부(40)가 설치되어, 노치부(40)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다리부(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부(41a, 41b)는, 고정 부재(34)를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 내에 끼워넣었을 때, 멈춤링(4)에 형성된 오목부(19)의 외주 측에 위치하고, 다리부(41a, 41b)의 전면(前面)이 테두리부(17)의 후면(後面)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하우징(33)은, 광섬유 커넥터 부품(1) 중 코일 스프링(3)의 선단 측 부분, 페룰의 유지구(8)의 전단부 및 페룰(2)의 주위를 덮도록 위치하는 부재이며, 각종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3)을 형성하는 재료는 커버 부재(32)와 같은 것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하우징(33)은,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과 기단의 사이를 제2 관통 구멍(42)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통 구멍(42)의 중간부에는, 소경의 테이퍼 받이부(43)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받이부(43)는, 기단에서 선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페룰 유지 기구(8)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테이퍼부(11a)와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받이부(43)의 선단 측 및 기단 측의 양단부 사이에는, 그 테이퍼 받이부(43) 및 플랜지부(11)보다 대경의 페룰 유지 기구 삽입 구멍(4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페룰 유지 기구 삽입 구멍(47)과 제2 관통 구멍(42) 양측은 서로 연결되어 통하고, 제2 관통 구멍(42)의, 기단에서 선단까지가 축심을 정합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페룰 유지 기구(8)는, 플랜지부(11)의 테이퍼부(11a)와 테이퍼 받이부(43)가 맞닿는 것에 의해 선단측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하우징(33)은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커버 부재(32)를 장착했을 때 그 커버 부재(32)의 돌출편(38)이 위치하는 장소와 대응하는 부분에 결합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구멍(44)은 돌출편(38)과 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외주 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결합 구멍(44)은 돌출편(38)과 결합할 수 있으면 되고,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하우징(33)에는, 상면에 래치(45)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45)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커버의 탈팟에 사용하는 것이며, 도 5에 나타낸 A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3)의 상면에는, 기단 측의 단면에서 선단 측을 향해 끼워맞춤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홈(48)은, 커버 부재(32)가 하우징(33)의 기단 측으로부터 삽입될 때, 하우징(33)이 쉽게 탄성 변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하우징(33)에 삽입된 커버 부재(32)의 선단이 위치하면 곳까지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의 장착 방법 및 광섬유(6)의 배관(100)에의 삽입 관통 방법)
다음에,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의 광섬유(6)에의 장착 방법을 도 6의 (a) 내지 도 6의 (h)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츠(5)를 광섬유(6)에 삽입 관통시킨다(도 6의 (a)). 부츠(5)는, 그 부츠(5)에 형성된 구멍의 기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의 선단을 삽입하고, 선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가 빠져나오는 위치까지 삽입 관통시킨다. 다음에, 멈춤링(4)를 광섬유(6)에 삽입 관통시킨다(도 6의 (b)). 멈춤링(4)은, 섬유 삽입 관통 구멍(20)의 기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의 선단을 삽입하고, 그 멈춤링(4)의 선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가 빠져나오는 위치까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부츠(5)의 구멍에 멈춤링(4)의 부츠 장착부(22)를 압입(壓入)한다. 멈춤링(4)은, 받이부(18)의 후단면이 부츠(5)의 선단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압입된다. 다음에, 코일 스프링(3)을 광섬유(6)에 삽입 관통시킨다(도 6의 (c)). 코일 스프링(3)은, 기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의 선단을 삽입하고, 그 코일 스프링(3)의 선단 측으로부터 광섬유(6)가 빠져나오는 위치까지 삽입 관통시킨다. 다음에, 광섬유(6)의 선단부의 피복재(6b)를 제거하고, 광섬유 심선(6a)을 노출시킨다(도 6의 (d)). 그리고, 페룰(2)에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킨다(도 6의 (e)). 페룰(2)의 섬유 구멍(9) 및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12)에는 미리 접착제가 주입되어 있다. 이 페룰(2)의 유지부(10)의 기단 측으로부터 광섬유 심선(6a)의 선단을 삽입하고, 그 광섬유 심선(6a)의 선단이 페룰 본체(7)의 선단과 거의 동일 평면이 될 때까지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광섬유(6)에 장착된다.
다음에,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장착한 광섬유(6)를 배관(100)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섬유(6)를 배관(100)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에는, 삽입 관통시키기 전에, 먼저 페룰 본체(7)의 선단에 캡(23)을 장착한다(도 6의 (f), 도 6의 (g)). 페룰 본체(7)의 선단에 캡(23)을 장착함으로써, 광섬유(6)를 배관(100)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 페룰 본체(7) 및 광섬유 심선(6a)의 선단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배관(100)의 내면과 페룰 본체(7)와의 걸림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장착한 광섬유(6)를 배관(100) 내에 삽입 관통시킨다(도 6의 (h)). 도 6의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광섬유(6)에 장착한 상태로 배관(100)에 삽입 관통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1) 중 가장 대경이 되는 플랜지부(11)의 직경 h1은, 하우징의 폭 d1과 대비하면 h1<d1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종래처럼 섬유 커넥터 부품에 커버 부재 및 하우징을 장착하고 나서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배관(100)의 내경을 대폭 세경화하여도, 그 배관(100) 내에 광섬유(6)를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의 큰 직경의 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개수의 광섬유(6)를 동시에 삽입 관통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에 배관(100)을 세경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광섬유(6)를 배관(100)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는, 배관(100) 내에,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 공기 등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100) 내에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테두리부(17)의 바람 받이부(21)에 가스가 닿아, 광섬유(6)에 대하여, 광섬유(6)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압축 공기 등의 유체 가스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광섬유(6)는, 더욱 원활하게 배관(100) 내를 삽입 관통하게 된다.
(광섬유 커넥터(31)의 조립 방법)
다음에, 광섬유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광섬유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 7의 (a) 내지 도 7의 (e)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버 부재(32)를 광섬유 커넥터 부품(1)에 장착한다(도 7의 (a)). 커버 부재(32)의 제1 관통 구멍(37)의 기단 측으로부터 페룰 본체(7)의 선단을 삽입 관통시키고,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의 위치가 멈춤링(4)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9)의 위치와 일치하면 곳까지 이동된다(도 7의 (b)). 다음에, 고정 부재(34)를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39)에 끼워 장착시켜, 커버 부재(32)와 멈춤링(4)을 연결 고정한다(도 7의 (c)). 다음에, 하우징(33)을 광섬유 커넥터 부품(1)에 장착한다(도 7의 (d)). 하우징(33)의 제2 관통 구멍(42)의 기단 측으로부터 페룰 본체(7)의 선단이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하우징(33)은, 제2 관통 구멍(42)의 기단 측으로부터 커버 부재(32)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35)가 삽입된다. 삽입부(35)는, 돌출편(38)과 결합 구멍(44)이 결합할 때까지 삽입되고, 이들 돌출편(38)과 결합 구멍(44)을 결합시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커넥터(51)가 조립된다(도 7의 (e)).
이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3)과 커버 부재(32)의 연결체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의 길이 방향의 길이 L1은, 코일 스프링(3)의 자연 길이 즉 코일 스프링의 압축 전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33)과 커버 부재(32)의 연결체의 내부에서는, 코일 스프링(3)은 자연 길이보다 짧아지는 축선 방향으로 압축되고, 고정 부재로 고정된 멈춤링(4)에 대하여 항상 페룰(2)를 선단 측을 향해 누르는 방향에 힘을 가하여, 페룰 유지 기구에 장착된 페룰(2)이 항상 선단 측으로 부세(付勢)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때, 페룰 유지 기구(8)의 플랜지부(11)는, 하우징(33) 내에 형성된 육각 형상의 구멍에 끼워 넣어져 있다. 만일, 광섬유(6)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전용의 지그를 사용하여 페룰 유지 기구(8)를 코일 스프링(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눌러 플랜지부(11)와 육각형의 구멍과의 끼워맞춤을 해제한 후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시킨 후에 다시 플랜지부(11)와 육각형의 구멍을 끼워맞춤한다. 이와 같이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전과 회전 후로 광섬유(6)의 심(芯)의 위치를 조정,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페룰(2), 멈춤링(4) 및 부츠(5)를 광섬유(6)에 장착한 상태로 배관 내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으므로, 세경의 배관을 사용해도 확실하게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배관 내에 복수 개의 광섬유(6)를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라도, 세경의 배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내주면, 멈춤링(4)의 테두리부(17) 및 받이부(18)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 치수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멈춤링(4)의 테두리부(17)에 바람 받이부(21)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광섬유(6)를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 그 광섬유(6)가 삽입 관통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스를 공급할 때, 상기 간극에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누름 가압하는 힘을 받아 추진력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은, 배관 내를 원활하게 삽입 관통하기 쉬워져, 그 배관 내에서의 걸림, 또는 이 걸림에 의해 생기는 광섬유(6)의 단선 또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커넥터(31)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배관 내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커버 부재(32) 및 하우징(33)을 조립하므로, 배관 내에서의 커버 부재(32)나 하우징(33)의 파손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광섬유 커넥터(31)의 다른 부품에의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조립: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 0.9㎜, 길이 200m의 광섬유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부츠(5), 멈춤링(4), 및 코일 스프링(3)을 순차적으로 광섬유(6)의 선단으로부터 삽입 관통시켜, 삽입 관통 후, 광섬유(6)의 선단부의 피복을 없애 섬유 심선(6a)을 노출시켰다. 그리고, 페룰(2)에 광섬유(6)의 선단부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고, 페룰 본체(7)의 선단에 캡(23)을 장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멈춤링(4)은 선단에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광섬유(6)는 피복재의 표면에 특수한 가공을 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반송 시험)
다음에, 광섬유(6)를 내보내는 공급기(feeder)를 준비하고, 선단에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장착한 광섬유(6)를 공급기에 세팅하였다. 다음에, 내경 30㎜, 길이 100m의 배관을 준비하고,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장착한 광섬유(6)를 배관의 후단으로부터 배관 속에 삽입 관통 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압력 0.8MPa의 공기를 배관 내에 공급하면서, 광섬유(6)의 배관 내로의 삽입 관통을 개시하였다. 공급기에는, 광섬유(6)의 공급 길이를 표시하는 카운터가 설치되어 있고, 광섬유(6)가 공급되고 있을 때는 이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값이 변화하므로, 반송 시험에 있어서는 카운터값의 변화의 유무를 육안 관찰함으로써, 광섬유(6)가 배관 내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반송 시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가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고 또한 배관의 전단측으로부터 광섬유(6)가 빠져나왔을 경우에는 ○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배관의 전단측으로부터 광섬유(6)가 빠져나오기 전에 상기 카운터가 동작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배관의 도중에 광섬유(6)의 걸림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여 ×라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의 반송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부츠(5)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섬유 커넥터 부품(1)을 광섬유(6)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송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2에서의 반송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광섬유(6)를 준비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송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에서 사용한 광섬유(6)에는, 부츠(5), 멈춤링(4), 코일 스프링(3) 및 페룰(2)을 조립하고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에서의 반송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 받이부(21)를 형성한 멈춤링(4)을 장착한 본 발명 쪽이, 가스의 흐름에 따라 받는 힘이 커지고, 이 힘이 광섬유(6)의 배관 내의 삽입 관통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알았다.
[표 ]
Figure pct00001
1: 광섬유 커넥터 부품
2: 페룰
3: 코일 스프링
4: 멈춤링
5: 부츠
6: 광섬유
6a: 광섬유 심선
7: 페룰 본체
8: 페룰 유지 기구
9: 섬유 구멍
10: 유지부
11: 플랜지부
12: 광섬유 삽입 관통 구멍
13: 페룰 본체 삽입 구멍
17: 테두리부
18: 받이부
19: 오목부
20: 섬유 삽입 관통 구멍
21: 바람 받이부
22: 부츠 장착부
23: 캡
31: 광섬유 커넥터
32: 커버 부재
33: 하우징
34: 고정 부재
35: 삽입부
36: 고정부
39: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
46: 숄더부
47: 페룰 유지 기구 삽입 구멍
100: 배관

Claims (11)

  1.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섬유 구멍 및 플랜지부를 가지는 페룰(ferrule);
    상기 페룰의 기단 측에 배치되는 멈춤링; 및
    상기 페룰의 플랜지부와 상기 멈춤링 사이에 배치된 페룰을 누름 가압하는 부세(付勢) 수단
    을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상기 멈춤링 및 상기 부세 수단은 이들의 축선을 정합하여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페룰 본체와, 상기 페룰 본체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페룰 본체를 유지하는 페룰 유지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룰 본체는 그 축심에 섬유 구멍을 가지고,
    상기 페룰 유지 기구는 상기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유지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페룰 본체의 기단 측 단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세 수단 및 상기 멈춤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선단을 향해 점차로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캡을 더 포함하고, 이 캡이 상기 페룰의 선단에 장착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를 삽입 관통시키는 구멍을 길이 방향 중앙부에 포함하고, 또한 상기 멈춤링의 기단 측에 장착하는 부츠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링은, 섬유 삽입 관통 구멍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링의 테두리부의 기단 측에는 유입 기체가 닿는 바람 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페룰 본체의 기단 측 단부에는 광섬유 심선의 단부를 상기 페룰 본체의 섬유 구멍에 안내하는 깔때기형 오목부를 형성한, 광섬유 커넥터 부품.
  8.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연결 고정되는 커버 부재와, 이들 하우징 및 커버 부재의 연결체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제1항에 기재된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멈춤링은 테두리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노치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노치부의 양측에 한 쌍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고정부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고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는 상기 멈춤링의 오목부에 끼워 장착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전면(前面)은 부세 수단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연결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페룰, 상기 부세 수단 및 상기 멈춤링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어느 쪽의 관통 구멍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 광섬유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광섬유 커넥터 부품의 멈춤링이 고정 부재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광섬유 커넥터.
KR1020137010007A 2010-10-29 2011-10-26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KR101888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4142 2010-10-29
JPJP-P-2010-244142 2010-10-29
PCT/JP2011/005980 WO2012056691A1 (ja) 2010-10-29 2011-10-26 光ファイバコネクタ部品及びこの光ファイバコネクタ部品を備えた光ファイバ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676A true KR20130140676A (ko) 2013-12-24
KR101888977B1 KR101888977B1 (ko) 2018-08-16

Family

ID=4599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007A KR101888977B1 (ko) 2010-10-29 2011-10-26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29173B2 (ko)
EP (2) EP3324227A1 (ko)
JP (1) JP5857968B2 (ko)
KR (1) KR101888977B1 (ko)
CN (1) CN103189771B (ko)
HK (1) HK1186778A1 (ko)
WO (1) WO2012056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7638B2 (en) * 2011-12-21 2014-05-20 Alliance Fiber Optic Products Co., Ltd. Fiber channel-inter changeable fiber optic connector
CH706931A1 (fr) 2012-09-12 2014-03-14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Contact étanche en position déconnectée pour connecteur.
CN104823090B (zh) 2012-11-30 2017-04-05 泰科电子公司 具有可现场安装的外连接器壳体的光纤连接器
CN104849815B (zh) 2014-02-14 2017-01-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4849816B (zh) 2014-02-14 2017-01-1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5445862B (zh) 2014-07-09 2018-01-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现场组装方法
EP3384332A4 (en) 2015-11-30 2019-11-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OPTICAL FIBER CONNECTOR AND ITS ASSEMBLY
EP3391115A4 (en) 2015-12-16 2019-07-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OPTICAL FIBER CONNECTOR INSTALLED IN THE FIELD
GB201701997D0 (en) 2017-02-07 2017-03-22 Emtelle Uk Ltd Improved pre-connectorised optical fibre construction
WO2021102272A1 (en) * 2019-11-20 2021-05-27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deployment method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having a blowable section and a non-blowable section
US11796742B1 (en) 2020-04-24 2023-10-24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Protective seal assembly for connector mating interface
CN111929775A (zh) * 2020-08-18 2020-11-13 埃尔发光电智能科技(常州)有限公司 光纤连接器
TWI766543B (zh) * 2021-01-14 2022-06-0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光學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83A (en) * 1992-08-21 1993-09-14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fiber optic connector
US5396572A (en) * 1993-08-10 1995-03-07 At&T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a unipartite cap
EP0758098A1 (en) * 1995-08-09 1997-02-12 Molex Incorporated Adapter assembly for fiber optic connectors
US6130983A (en) * 1998-12-23 2000-10-10 Cheng; Yu-Feng Rotatable L-shaped fiber optic connector
JP2001272575A (ja) * 2000-01-17 2001-10-05 Seiko Instruments Inc 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
JP2003337258A (ja) 2002-05-21 2003-1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フェルール保護具及びそのフェルール間固定方法
KR100456272B1 (ko) * 2002-11-13 2004-11-09 양관숙 광접속모듈
JP2005114770A (ja) * 2003-10-02 2005-04-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JP4008421B2 (ja) * 2004-02-24 2007-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光ファイバ接続構造
JP2005301151A (ja) 2004-04-15 2005-10-27 Canare Electric Co Ltd 光コンタクトユニット及び光プラグ
JP4821209B2 (ja) * 2005-04-14 2011-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0724076B1 (ko) * 2005-12-16 2007-06-04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AU2006348973B2 (en) 2006-09-26 2014-03-06 Prysmian Australia Pty Ltd Improved hauling shroud for hauling a fibre optic cable along a conduit
JP5184865B2 (ja) * 2006-11-13 2013-04-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EP2031719B1 (en) * 2007-08-31 2013-01-23 Draka Comteq B.V. Modified pre-ferrulized communication cable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US7988367B2 (en) 2008-01-21 2011-08-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field-installable connector
JP4999184B2 (ja) 2008-02-21 2012-08-15 サンコール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29173B2 (en) 2016-01-05
CN103189771B (zh) 2016-01-20
JP5857968B2 (ja) 2016-02-10
EP3324227A1 (en) 2018-05-23
CN103189771A (zh) 2013-07-03
KR101888977B1 (ko) 2018-08-16
JPWO2012056691A1 (ja) 2014-03-20
EP2645140A4 (en) 2017-03-01
WO2012056691A1 (ja) 2012-05-03
HK1186778A1 (zh) 2014-03-21
US20130216191A1 (en) 2013-08-22
EP2645140A1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676A (ko) 광섬유 커넥터 부품 및 이 광섬유 커넥터 부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US10754102B2 (en) Mechanical interface between a fiber optic cable and a fiber optic connector
CN102169211B (zh) 光连接器内置插头
US753748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MXPA06010746A (es) Conector de fibra optica que se puede instalar en campo.
US20090274432A1 (en) Optical connector unit
CN105579876A (zh) 带有排气式套管保持器的光纤连接器
CA2613658A1 (en) Optical connector excellent in maintenance of a connected state
WO2009066625A1 (ja) 光接続部材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2005114860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CN202453542U (zh) 光纤连接器
KR100713430B1 (ko)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EP2592453A1 (en) Floating fiber optic pin contact
CN103635843A (zh) 光纤机械拼接连接器系统及耦合光纤的方法
RU143329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CN202472042U (zh) 光纤连接器
CN201298088Y (zh) 光纤连接器
US20040038558A1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US7108430B2 (en) Optic fiber terminus indexer
KR20070001089A (ko) 연결될 케이블의 단부를 차단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구비한 광학 케이블 커넥터 요소
JP4764262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牽引治具
JP2008116602A (ja) 固定式直角曲げコネクタ
JP2005114863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117797B2 (ja) 光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3682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