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30B1 -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30B1
KR100713430B1 KR1020017015446A KR20017015446A KR100713430B1 KR 100713430 B1 KR100713430 B1 KR 100713430B1 KR 1020017015446 A KR1020017015446 A KR 1020017015446A KR 20017015446 A KR20017015446 A KR 20017015446A KR 100713430 B1 KR100713430 B1 KR 10071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rd
fixing member
ferrul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112A (ko
Inventor
신이치 이와노
신 스미다
슈이치 야나기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커넥터 플러그는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과 페럴(3)과 코일스프링(4)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구비하고, 또한, 페럴(3) 및 코일스프링(4)에 더하여,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하기 위한 광코드 고정부재(5)가,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결합시킨 때에 생기는 내부관통공간에 수용되며 또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때, 이들 부재(1 내지 5)의 조립될 수 있는 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광커넥터 플러그는 조립이 용이하고 자동조립에 적합하다.
광커넥터 플러그, 프론트 하우징, 리어 하우징,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OPTICAL PLUG CONNECTOR, METHOD OF MANUFACTURE AND ASSEMBLY TOOL}
본 발명은 광파이버가 내장되는 광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광코드의 일단에 부착되는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그 조립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 항장력부재가 내장된 단심 타입의 광코드(80)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광코드(80)는, 중심의 코어부 및 외측의 클래드부(clad portion)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81)와, 이 광파이버(81)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내피)(83)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심선(85)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이 광코드(80)에는, 광파이버 심선 (85)을 더 피복하는 코드외피(84)와, 광파이버 심선(85)과 코드외피(84)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8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광코드의 선단에 광커넥터 플러그가 결합된 커넥터플러그부착 광코드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JIS C 5973「F04형 단심 광파이버 커넥터」의 참고2 「광커넥터(플러그)의 코드 정속방법(예)」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페럴(ferrule)에 광파이버(81)를 부착시킨 후, 필 요에 따라 부품을 조립하고, 그 후에 광코드(80)의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를 고정하도록 하며, 그 순서를 도 19에 도시한다.
공정1-1(도 19A) : 필요한 부품(부츠(100), 코드외피고정구(101), 클램프 링(102), 스톱링(103), 코일스프링(104))에 광코드(80)를 삽입.
공정1-2(도 19A) : 광코드(80)의 종단(終端)처리를 행한 후. 항장력부재(82)를 테이프 등의 임시고정 수단(105)에 의해 임시고정한다.
공정1-3(도 19B, 19C) : 광파이버(81)에 페럴(106)를 고정하고, 광파이버
(81) 및 페럴(106)의 단면을 연마한다.
공정1-4(도 19C) : 부품의 전(前)조립을 행한다 (페럴(106)의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07)을 이동시키고, 페럴(106)의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104) 및 스톱링(103)을 이동시켜, 양자를 결합한다).
공정1-5(도 19D, 19E) : 임시고정 수단(105)을 분리하고, 클램프 링(102)을 전방으로 이동하여 항장력부재(82)를 클램프 링(102)과 스톱링(103)에 의해 고정한다. 코드외피고정구(101)를 전방으로 이동하고, 클램프 링(102)을 사이에 두고 코드외피고정구(101)를 클램프함으로서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를 클램프 링(102) 및 코드외피고정구(101)에 고정한다.
공정1-6(도 19F, 19G, 19H) : 부품의 후조립을 행한다(부츠(boot : 100) 및 손잡이부분(107)을 부착시켜 완성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를 페럴(106)에 직접 고정하는 구조로 하여 플러그 조립의 간이화를 도모한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정 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공정2-1 : 필요한 부품에 광코드를 삽입.
공정2-2 : 광코드의 단말처리.
공정2-3 : 광코드에의 페럴의 고정.
공정2-4 : 페럴로의 항장력부재 및 외피의 고정.
공정2-5 : 부품의 조립(페럴의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부품을 결합시킨다).
그렇지만, 이 후자의 구조에서는,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를 페럴에 직접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코드외피(84)를 후방에서 잡아 당기거나 한 경우에, 이 외력이 페럴에 가해져서 페럴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버려 광학적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속대용량의 광통신에 이용되는 단일모드파이버끼리의 접속인 경우, 접속하는 광파이버의 페럴끼리는 밀착되어 있고, 서로의 광파이버끼리의 광파이버 단면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광코드(80)를 잡아 당겼을 때, 이 힘이 코드를 고정하고 있는 페럴에 작용하여 페럴이 후퇴하면, 그 결과로서 간격이 생겨, 접속손실 및 반사감쇠량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 후자의 구조는, 이러한 고속대용량의 광통신에는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의 구조에서는,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는 페럴(106)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그 밖의 클램프 링(102), 코드외피고정구(101), 스톱링(103), 프론트하우징(107), 손잡이부분(107)에 고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광코드(80)를 잡아 당긴 경우, 인장력은, 이들의 부품에 작용하여 커넥터플러그와 결합하고 있는 상대측의 고정부분, 예를 들면 통체 등에서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인장력은 페럴(106)에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페럴(106)의 위치어긋남에서 오는 접속특성의 열화는 생기지 않는다.
전자의 종래예에서는, 공정1-5의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의 고정」은, 공정1-3의「광파이버로의 페럴의 고정」 및 공정1-4의 「부품의 전조립」의 후로 된다. 공정1-3 및 공정1-5는 다른 공정에 비하고 복잡하며 수작업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한, 공정1-4은 비교적 자동화가 용이하다. 자동조립 등을 생각하면, 공정1-3과 공정1-5를 연속된 공정으로 하는 쪽이 제조의 효율화가 도모되고 조립작업의 코스트도 싸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커넥터 플러그의 구조에서는, 항장력부재(82) 및 외피(84)를 클램프 링(102), 코드외피고정구(101)를 사이에 두고 공정1-4에서의 조립부품, 즉 스톱링(103)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공정1-5의 전에 공정1-4가 들어감으로 공정1-3과 공정1-5를 연속공정으로 행할 수가 없었다.
또한, 후자의 종래기술에서는 공정2-3의 「광코드에의 페럴의 고정」과 공정2-4의 「페럴로의 항장력부재 및 외피의 고정」이 연속되어 있어서 제조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광코드(80)를 잡아 당긴 경우에는, 외력이 페럴에 직접 작용하여 접속특성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필요로 하는 통신장치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코드외피(84)나 항장력부재(82)를 클램프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를 스톱링 등의 외주부에 맞춘 후, 이 것을 클램프 부재에 의해 덮어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스톱링 등에 있어서의 항장력부재(82)나 코드외피(84)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 클램프에 의한 힘에 견딜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부품을 금속으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동화 또는 조립의 간이화를 도모하기 위한 플러그 구조로서, 페럴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하여 넣은 구조나, 또한, 이들을 하우징내에 조립하여 넣은 구조가 있다. 여기서 광파이버를 페럴에 고정할 때는, 보통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간이화를 도모한 광커넥터로서는, 페럴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하여 넣은 상태나 이들을 하우징내에 조립하여 넣은 상태로, 광코드나 항장력부재를 접착제로 하우징 등에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이화 플러그의 경우에는, 접착제가 페럴 이외의 부품 또는 항장력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부재 이외에 달라붙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경우엔, 접착제의 도포를 위한 마이크로 디스펜서나 특별한 접착제 주입용 부재 등을 이용하여 이것을 실현하고 있다. 페럴 등 이외의 부품에 접착제가 붙은 경우엔, 여러가지의 동작 불량을 일으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며 또한, 잡아당김 등의 외력에 대해서도 특성이 열화하지 않는 구조의 광커넥터 플러그로서, 또한, 조립이 용이하여 자동조립에 적합한 구조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후 대량으로 생산할 필요가 생길 때, 부품을 플라스틱의 성형에 의해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광커넥터 플러그 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자동화가 도모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의 부품을 광학 특성 등 열화시키는 일 없이 확실히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조립작업의 효율화, 경제화를 이룰 수 있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광커넥터 플러그는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과 페럴과 코일스프링과 광코드 고정부재를 가지며, 또한, 페럴 및 코일스프링에 더하여,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하기 위한 광코드 고정부재가,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결합시켰을 때에 생기는 내부관통공간에 수용되며 또한, 각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부재를 사용하여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때, 이들 부재의 조립하여 넣음을 될 수 있는 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즉, 제 1항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광커넥터 플러그로서, 광축방향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하우징과 프론트하우징과 결합하여 프론트하우징의 광축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하우징과 페럴과 코일스프링과 광코드 고정부재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페럴은 상기 광코드 의 광파이버를 고정·위치결정하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와 프론트하우징내에서 상기 코일스프링과 접촉하여 가압되어 지지되는 플랜지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면에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가압하기 위한 선단부와 상기 리어하우징과 접촉하기 위한 후단부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스프링이며,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사용되는 광코드의 구조에 따라 광코드의 고정 구조를 갖는 부재로서 적어도 광코드를 조립하여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소정의 지름보다 작은 외접원을 가지며 또한, 광코드의 외경보다 큰 내접원을 갖는 부재로서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 리어하우징의 내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수단을 갖는 부재이며, 프론트하우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리어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이며 적어도 관통구멍의 선단부에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외형보다 큰 내면을 갖는 구멍과 이 부분에 잇따라 형성되어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일부 간섭하는 페롤 비출 방지구조를 갖는 플랜지부 지지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형보다 큰 내접원을 갖는 후부관통구멍부가 형성된 하우징이며, 리어하우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프론트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수단과 관통구멍을 적어도 갖는 하우징이며, 이 걸림수단은 리어하우징을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결합하는 구조의 걸림수단으로서 관통구멍의 후단측은 광코드의 외경보다 크며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형의 내접원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파이버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고 파이버 삽입통과구멍의 전방에는 파이버 삽입통과구멍에 잇따라서 파이버 삽입통과구멍보다 큰 구멍형상이며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 보다 큰 내부형상이고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구멍의 선단측에는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며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지지부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 사이에는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형의 축에 수직한 단면형상보다 큰 내면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을 형성한 하우징이며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관통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구조이며 이 관통공간부에 광코드의 광파이버가 고정된 상기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선단을 프론트하우징의 선단에서부터 돌출시켜 플랜지부가 프론트하우징의 페럴 비출방지구조에 의해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여 배치하고 또한,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이 지지되고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광코드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가 고정·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항 발명에서는,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클램프 시트와 클램프 링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 시트는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큰 내접원의 관통구멍을 갖는 부재이며 또한, 외측에 항장력부재 고정부가 형성되고, 클램프 링은 클램프 시트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내접원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재로서 내측에 항장력부재 고정부와 코드외피 고정부가 형성되고, 광파이버 심선을 클램프 시트에 통과시켜 노출한 코드외피의 단부까지 클 램프 시트를 밀은 후 노출한 항장력부재를 클램프 시트의 상기 항장력부재 고정부에 맞추고 항장력부재를 맞춘 클램프 시트와 상기 코드외피의 단부를 덮도록 클램프 링을 씌우고 또한, 클램프 링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와 코드외피 고정부를 클램프함에 의해.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클램프 시트 및 클램프 링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항 발명에서는,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항장력부재를 접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고, 항장력부재를 접착제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중 적어도 일부의 외형단면은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한 다각형으로 한 구조이며, 또한,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내경 단면형상의 일부이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수용부중 적어도 일부가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한 다각형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접원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략 원형이고 또한, 상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면을 갖는 단면형상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각도 이내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회전방지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항 발명에서는,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통하는 관통구멍이며 또한, 광코드 삽입통과구멍과 반대측의 관통구멍부에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고정부재 회전규제부를 마련하고, 고정부재 회전규제부가 그 후단측의 내면형상을 개략 원형이고 또한, 상 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면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하고, 또한, 선단측의 내면형상을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접원에 연속해있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후단측과 선단측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의 내면형상을 이들 2개의 내면형상을 연속적으로 잇는 형상으로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의 내면에 볼록형상부를 마련하고,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에 수용하였을 때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면과의 간섭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를 리어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의 내면형상이 개략 코일스프링의 외형과 같은 형상이며 또한, 그 내면에 볼록형상부를 마련하고, 코일스프링을 상기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수용하였을 때의 코일스프링의 외면과 상기 볼록형상부와의 간섭에 의해 코일스프링을 리어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 및 프론트하우징의 걸림수단이 리어하우징 또는 프론트하우징의 한쪽에 마련되고 또한, 선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편지량(片持梁)과, 리어하우징 또는 프론트하우징의 다른쪽에 마련되고 또한,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구멍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 서, 상기 리어하우징은 리어하우징본체와 이 리어하우징본체의 후부에 결합하는 부츠를 가지며, 상기 리어하우징본체와 부츠가 미리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9한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하우징은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이 프론트하우징본체를 덮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손잡이가 미리 활주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항 발명에서는,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적어도 광코드를 조립하여 넣어 항장력재와 코드외피를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코일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접원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항 발명에서는,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그 단면이 거의 다각형모양이며,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의 내면중 1 또는 복수의 개소에 상기 다각형모양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개략 평면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항 발명에서는, 제 12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에서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통하는 부분의 내면에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회전규제부를 형성하고, 이 규제부는 그 높이 및 규제면적이 후방으로 감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개략 평면의 벽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제 14항 발명에서는, 프론트하우징과 프론트하우징과 결합되는 리어하우징과 페럴과 코일스프링과 광코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페럴은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부분의 광파이버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와 상기 코일스프링과 접촉하여 가압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가압하기 위한 선단부와 상기 리어하우징과 접촉하기 위한 후단부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상기 광코드를 고정한 상태인 때에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광코드를 삽입통과할 수 있는 내경의 구멍을 가지며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 상기 리어하우징에 걸려지는 걸림수단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하우징은 상기 리어하우징을 걸기 위한 걸림수단과 제1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제1 관통구멍은 상기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선단측구멍부와 이 선단측구멍부에 이어서 형성되고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해당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지지부를 갖는 가운데측(中側)구멍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부측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리어하우징은 상기 리어하우징 및 프론트하우징이 상대적으로 접근이동됨으로써 상기 프론트하우징의 걸림수단과 결합하는 걸림수단과 제2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제2 관통구멍의 후단측에는 상기 광코드를 삽입통과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삽입통과할 수 없는 내경을 갖는 광코드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이 광코드 삽입통과구멍의 전방에는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이 상기 광코드 삽입통과구멍에 잇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구멍의 선단측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며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가압하는 코일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지지부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 사이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삽입통과할 수 있는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이들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하고, 광파이버가 고정된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선단이 프론트하우징의 선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프론트하우징의 플랜지부 지지부에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또한, 상기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페럴이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서 광코드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가 고정지지되도록, 상기 관통공간부에 페럴, 코일스프링 및 광코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 15항에 나타낸바와 같이,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광커넥터 플러그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코드에 리어하우징 및 코일스프링을 통과시키는 제1 스텝과, 광코드의 단부에서 광파이버 심선 및 항장력부재를 노출하는 제2 스텝과, 광코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함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와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페럴을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고정하고, 광코드 고정부재 및 페럴이 고정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구성하는 제4 스텝과, 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 및 코일스프링을 내장하도록 전후방향으로부터의 이동에 의해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결합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6항 발명에서는, 제 15항의 제조방법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은,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에,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과 코일스프링이 지지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 광코드 고정부재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과 광코드 고정부재의 상대간격만큼 상기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로부터 이간되도록, 페럴을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7항 발명에서는, 제 15항 또는 제 16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는, 페럴 단면의 단말(端末)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제 18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광커넥터 플러그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코드에 리어하우징 및 코일스프링을 통과시키는 제1 스텝과, 광코드의 단부에서 광파이버 심선 및 항장력부재를 노출하는 제2 스텝과,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페럴을 고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고정된 페럴과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광코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함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여, 광코드 고정부 및 페럴이 고정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구성하는 제4 스텝과, 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 및 코일스프링을 내장하도록 전후방향으로부터의 이동에 의해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결합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9항 발명에서는, 제 18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은,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서로 결합하였을 때에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에,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과 코일스프링이 지지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 광코드 고정부재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과 광코드 고정부재의 상대간격만큼 상기 고정된 페럴로부터 이간되도록,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0항 발명에서는, 제 18항 또는 제 19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텝에 있어서, 페럴 단면의 단말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1항 발명에서는, 제 18항 또는 제 19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 페럴 단면의 단말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2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해당 페럴 및 광코드 고정부재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할 때에 이용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로서, 상기 광코드의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과 이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에 지지된 광코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페럴이 상기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상기 페럴을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페럴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페럴지지수단으로 지지된 페럴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의 접착고정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3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해당 페럴 및 광코드 고정부재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할 때에 이용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로서,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가 접착고정된 페럴을 지지하는 페럴지지수단과 이 페럴지지수단에 지지된 페럴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가 상기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으로 지지된 광코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의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의 고정처리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4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이용하여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을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의 전방측에서 프론트하우징을 지지하는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 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어셈블리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가 삽입통과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마련된 리어하우징을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후방측에서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어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리어하우징 지지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에 대하여 마찰저항력을 부여하는 마찰저항부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하우 징 지지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페럴, 광코드 고정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프론트하우징에 리어하우징을 끼워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5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이용하여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을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 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어셈블리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가 삽입통과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마련된 리어하우징을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후방측에서 지지하는 리어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리어하우징 지지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를 잡아 당기는 코드인장수단과, 기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의 전방측에, 프론트하우징을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코드인장수단에 의해 광코드를 후방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페럴, 광코드 고정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리어하우징에 프론트하우징을 끼워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6항 발명에서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 버심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광커넥터 플러그로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광코드의 종단에서 노출된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페럴과, 상기 페럴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의 노출된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와, 상기 광코드가 삽입통과 가능하며 그 선단이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코일스프링과,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장전되는 페럴을 페럴 선단이 전면개구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우징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프론트하우징과,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전측에 장전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거는 스프링걸림부와, 전방에서 이 관통구멍의 후부까지 삽입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거는 광코드 고정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걸어맞춤이 가능한 리어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부를 삽입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리어하우징내에 수용 가능한 외형 크기로 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및 리어하우징을 걸어맞춘 내부에 상기 페럴, 코일스프링, 광코드 고정부재를 수용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항 내지 제 18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 또는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작업이 걸리는 광코드의 단말처리공정과 광코드의 고정공정과 광파이버의 페럴로의 고정공정을 순서는 변경하여도 좋지만 일련의 공정으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비교적 곤란하던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에 있어서는, 조립에 관한 동작을 거의 부품의 광축방향의 전후이동이라는 간단한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으로 간단한 자동조립기로 조립을 실현될 수 있어, 자동화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 1항, 제 14항, 제 26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광코드의 외피와 항장력부재의 고정을 하우징본체(프론트하우징 및 리어하우징)로부터 독립한 개별부재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는 클램프에 의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복잡한 형상이 요구되는 하우징본체부를 플라스틱 등의 성형에 의한 제조로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코스트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는 코일스프링의 내부를 삽입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광코드를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코일스프링을 광코드 고정부재의 광축방향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서 광코드의 고정을 코일스프링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기 전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코드를 잡아 당긴 경우에도, 외력은 광코드 고정부재를 통하여 리어하우징에 작용하고, 이것과 결합하고 있는 프론트하우징을 통하여 플러그와 결합하고 있는 상대측의 고정부분 예를 들면, 광체(case), 어댑터 등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 힘은 페럴에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페럴의 위치어긋남에서 오는 접속특성의 열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에서는, 페럴의 광파이버로의 고정을, 다른 부품과는 떨어진 또는 다른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페럴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경우엔 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항 또는 제 3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 시트는 금속 등의 원통 부품으로 좋고, 또한, 클램프 링도 거의 원통모양의 금속의 부품이여서, 어느것이나 저코스트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고신뢰의 광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을 사용한 코드외피 및 항장력부재의 클램프고정도, 클램프 시트 외면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에 항장력부재를 맞추고, 이것에 클램프 링을 씌운 후 클램프 링을 클램프함에 의해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한다는 극히 간편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4항, 제 12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 사이에 회전방지구조를 마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광코드를 비튼 경우 등에도 그 회전이 저지되고, 이로서 광커넥터 플러그내에서 광코드가 회전하여 뒤틀림 등이 생겨 광파이버의 단선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되고, 따라서 고신뢰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제 5항, 제 13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하우징의 내벽면에, 광코드 고정부재를, 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되어야 하는 소정의 회전각도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테이퍼 벽면을 마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의 접근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작만으로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방지를 위한 소정의 회전각도위치로 이끌 수 있다. 이 동작은,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움직일 뿐으로 완료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 6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움직일 뿐으로 광코드 고정부재를 리어하우징내의 소정의 위치에 확실히 배치 또한, 지지할 수 있다.
(제 7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리어하우징과 코일스프링을 미리 일체화 시킴으로서, 크기가 작으며 탄성 때문에 취급하기 어려운 코일스프링과, 비교적 크고 취급하기 쉬운 리어하우징을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로서 조립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과 조립의 간단화가 도모되어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
(제 8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걸림돌기 및 걸림구멍에 의해 리어하우징 및 프론트하우징을 걸어맞추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양자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제 9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리어하우징을 리어하우징본체와 리어하우징본체 후부에 결합 하는 부츠로 구성하며 또한, 리어하우징본체와 부츠를 미리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있음으로써 리어하우징과 부츠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고, 구부림에 대한 특성 열화가 생기지 않는 구조이면서, 부츠를 조립하여 넣는 수고가 생략되며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 10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손잡이가 미리 활주 가능하게 일체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과 조립의 간단화가 기도되며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
(제 11항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광코드 고정부재는, 적어도 광코드를 조립하여 넣어 항장력재와 코드외피를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속을 삽입통과할 수 있는 부재로 하였기 때문에, 광코드를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코일스프링을 광코드 고정부재의 광축방향 전후로 이동시킴이 가능하고, 이로서 광코드의 고정을 코일스프링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기 전에 할 수 있다.
(제 22항, 제 23항의 발명의 효과)
이들의 발명의 조립공구에 의하면,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에 유지되도록 페럴과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을 측정하는 공정을 삭감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효율화,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조립된 광커넥터 플러그가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4항, 제 25항의 발명의 효과)
이들의 발명의 조립공구에 의하면, 마찰저항 또는 인장력을 광코드에 가하면서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의 걸어맞춤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 코일스프링, 페럴 등의 내장부품을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소요의 위치에 확실히 지지하고 걸어맞출수 있는 동시에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의 한 실시형태에 관해 조립 후의 구조를 상부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조립 후의 구조를 상부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페럴 구조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코일스프링 구조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5A 내지 도 5E는 광코드 고정부재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6A 내지 도 6D는 프론트하우징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프론트하우징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프론트하우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도 9A 내지 도 9I는 리어하우징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광코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 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리어하우징에 코일스프링, 부츠 등을 조립하여 넣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6A 내지 도 16C 및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에 접속되는 광코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 19A 내지 도 19H는 종래의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순서를 도시한 공정도.
도 20A 내지 도 20E는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순서의 한 예를 도시한 공정도.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 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 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도 23A 내지 도 23D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 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 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도 25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 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항, 제 14항, 제 26항에 대응하는 발명의 설명)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을 MU형 광커넥터 플러그에 적용한 한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걸림돌기(K)로 어댑터 등에 결합시키는 타입의 커넥터플러그(9)를 도시하고, 도 2는 푸시풀(push-pull) 결합구조의 커넥터플러그(9)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커넥터 플러그(9)는, 도 18에 도시한 단심 타입의 광코드(80)의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광코드(8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81) 및 광파이버피복(내피)(83)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심선(85)과 코드외피(84)와, 항장력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도1 및 도 2에 도시한 광커넥터 플러그(9)는 프론트하우징(1)과 프론트하우징(1)과 결합하여 프론트하우징(1)의 광축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하우징(2)과 페럴(3)과 코일스프링(4)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갖고 있다.
도 3A 내지 3D는 페럴(3)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좌측면도, 도 3C은 도 3A의 우측면도, 도 3D는 도 3A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D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페럴(3)은 광파이버(81)를, 예를 들면 접착제 등으로 내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위치 결정하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 부(31)와 프론트하우징(1)내에서 코일스프링(4)과 접촉하여 광축방향 전방에 가압되어 지지되는 플랜지부(32)와 광파이버 심선(85)이 삽입되는 심선가이드구멍(33)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코일스프링(4)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은 페럴(3)과 접촉하여 가압하기 위한 선단부(41)와, 리어하우징(2)과 접촉하기 위한 후단부(42)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내경(Di)과 외경(Do)을 갖고 있다.
도 5A 내지 5E는 광코드 고정부재(5)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광코드 고정부재(5)는 도 5A 내지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사용되는 광코드(80)의 구조에 따라 코드외피(84) 또는/및 광코드(80)의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하는 구조(51)를 갖고 있다. 광코드 고정부재(5)는 광코드(80)를 조립하여 넣어 고정한 후에는, 코일스프링(4)의 내경(Di)보다 작은 외경(D5o)을 갖는다.
따라서, 광코드(80)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한 후라도, 광코드 고정부재(5)를 코일스프링(4)의 내부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는 광파이버 심선(85)의 외경(Df)보다 큰 내경(D5i)을 갖도록 구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광코드(80)의 항장력부재(82) 및 코드외피(84)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한 후라도, 광파이버 심선(85)은 광코드 고정부재(5)에 의해 축방향의 움직임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즉, 코드외피(84)와 항장력부재(82)가 광코드 고정부재(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때에, 코 드외피(84)를 후방에서 잡아 당기거나 한 경우라도, 광파이버 심선(85) 자체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아 광파이버 심선(85)의 파단 등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광파이버 심선(85)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광파이버가 코드외피(84)나 항장력부재(8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소위 루즈 타입의 광코드인 경우는, 광커넥터 플러그 사용시에 예를 들면, 광파이버 심선 (85)을 고정하고 있는 페럴(3)이 광커넥터 플러그(9)내에서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였을 때에도, 이 페럴(3)의 이동에 따라 광파이버 심선(85)이 광코드(80)내에서 이동할 수 있어, 이로서 광커넥터 플러그(9)내에서 광파이버 심선(85)이 휘거나 과도하게 잡아 당겨지거나 할 우려가 없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는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 리어하우징(2)의 내면에 걸기 위한 걸림부(511)가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바와 같이, 이 부분(511)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222)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형상부(241)에 걸린다.
도 6 내지 도 8에 프론트하우징을 예시한다. 도 6에는 도 1에 도시한 걸림돌기 결합 타입의 커넥터플러그(9)에 대응하는 프론트하우징(1)을 도시하고 있다. 도 6C는 도 6A의 좌측면도, 도 6D는 도 6A의 우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2에 도시한 푸시풀 결합 구조의 커넥터플러그(9)에 대응하는 프론트하우징(1')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8A의 좌측면도, 도 8D는 도 8A의 우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프론트하우징(1 또는 1')은 관통구멍(11)을 가지며, 적어도 관통구멍 (11)의 선단부로부터 페럴(3)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31)(도 2참조)를 돌출시 키기 위해 해당 위치결정 고정부(3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하우징(1 또는 1')은 이 구멍부분(12)에 잇따라 형성되며 페럴(3)의 플랜지부(32)의 일부를 규제하여 페럴(3)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페럴 비출 방지구조를 갖는 플랜지부 지지부(지지구멍)(13)와, 코일스프링(4)의 외경(Do)보다 큰 내경(내접원)(Dli)(도 6D)을 갖는 후부관구멍부(14)와, 리어하우징(2)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수단인 걸림부(구멍)(15)를 갖고 있다.
상기 페럴 비출방지구조는, 이 경우, 도 6A에 부호 13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럴(3)의 플랜지부(3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를 구멍(12)과 구멍(13)의 경계에 마련함으로서 실현하고 있다.
도 9A 내지 9I는 리어하우징(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D는 도 9A의 A부 확대도, 도 9E는 도 9A의 B부 확대도, 도 9F는 도 9A의 C부 확대도, 도 9G는 도 9A의 ⅨD-ⅨD 단면도, 도 9H는 도 9A의 ⅨE-ⅨE 단면도, 도 9I는 도 9A의 ⅨF-ⅨF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은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구멍(15)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수단인 걸림돌기(21)와 관통구멍(22)을 갖는다.
관통구멍(22)의 후단측에는 광코드의 외경(Dc)(도 18)보다 큰 내경(D223i)을 갖는 광코드 삽입통과구멍(223)이 형성되어 있고,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시에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된 광코드(80)의 후단부가 삽입통과된다. 이 광코드 삽입통과구멍(223)에 있따라 전방에 광코드 삽입통과구멍(223)보다 큰 구멍 형상을 갖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광커넥터 플러그 조립시에는, 이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80)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5)가 지지, 고정된다.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한 상태에서 광코드(80)를 후방으로 잡아 당긴 경우에, 코드(80)에 가해지는 힘은 광코드 고정부재(5)를 통하여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가하여지고, 이 부분을 통하여 다시 리어하우징(2)을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광커넥터 플러그(9)가 조립된 상태, 즉 리어하우징(2)이 걸림부(21)에 의해 프론트하우징(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코드(80)를 잡아 당겼을 때의 힘은 광커넥터 플러그(9)의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의 결합부분에 가해지고, 이들 하우징러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코일스프링(4), 광파이버 심선(85) 및 페럴(3)에 가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관통구멍(22)의 선단측에는 코일스프링 지지부(221)가 형성되어 조립시에 코일스프링(4)를 지지하는 동시에, 광커넥터 플러그(9)를 조립한 상태로 코일스프링(4)의 후단부(42)를 전방으로 압축하여 가압한다. 또한, 코일스프링 지지부 (221)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 사이에는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형의 축에 수직한 단면형상보다 큰 내면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하였다, 즉 광코드 고정부재(5)의 최종적인 외경보다 큰 구멍 지름를 갖는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를 선단측으로부터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까지 이끌어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관통공간부(6)가 형성되 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들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관통공간부(6)내에서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코일스프링(4)의 선단부(41)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3)과 코일스프링(4)이 지지되고 또한, 코일스프링(4)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의 코일스프링 맞닿음부(23)에 맞부딪침으로써 코일스프링(4)은 압축되어 전방으로 가압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페럴(3)의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이동하여 옴으로써, 페럴(3)을 소정의 힘으로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또한, 결합된 프론트하우징(1) 및 리어하우징(2)의 내부에 페럴(3)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 (222)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지지되고, 또한, 이 광코드 고정부재(5)가 광코드 고정부재 걸림부(24)에 걸린다.
(제 2항에 대응하는 발명의 설명)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 및 항장력부재(82)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하는 구조(5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B는 도 5A의 좌측면도, 도 5C는 클램프 시트(52)를 도시한 것이고, 도 5D는 클램프 링(53)를 도시한 것이고, 도 5E는 도 5D의 우측면도이다.
광코드 고정부재(5)는 클램프 시트(52)와 클램프 링(53)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 시트(52)는 단면형상이 광파이버 심선(85)의 외경(Df)(도 18)보다 큰 내경(내접원)(D5i)을 갖는 관통구멍(521)을 거지며 외부에 항장력부재 고정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링(53)은 클램프 시트(52)의 항장력부재 고정부(522)의 외경(D52o)보다 큰 내경(내접원)(D51i)을 갖는 관통구멍(531)이 형성된 부재로서 내부에 항장력부재 고정부(532)와 코드외피 고정부(533)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 심선(85)을 클램프 시트(52)의 관통구멍(521)에 통과시켜, 클램프 시트(52)를 코드외피(84)의 단(841)까지 밀은 후 클램프 시트(52) 외면의 항장력부재 고정부(522)에 항장력부재(82)를 맞추고, 이 항장력부재(82)를 부합시킨 클램프 시트(52)와 코드외피 선단부(842)를 덮도록 클램프 링(53)을 씌운다. 그 후 클램프 링(53)의 항장력부재 고정부(532)와 코드외피 고정부(533)를 클램프함으로서 항장력부재(82) 및 코드외피(84)가 클램프 시트(52) 및 클램프 링(53)으로 구성되는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된다.
(제 3항에 대응하는 발명의 설명)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 및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하는 구조(51), 즉 광코드 고정부재(5)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사용되는 광코드의 구조에 따라 코드외피(84) 또는/및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부재이면 좋다. 또한, 그 치수는, 적어도 광코드(80)를 조립하여 넣어 고정한 상태 후에, 코일스프링(4)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의 외접원을 가지며 또한, 광파이버 심선 (85)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내접원을 갖는 것이면 좋다. 즉, 전술하는바와 같이, 클램프에 의해 광코드(80)를 고정하는바와 같은 경우, 클램프 전의 치수는, 앞의 조건을 반드시 만족할 필요는 없고, 클램프 후에 앞의 조건을 만족하면 좋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는 그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는 리어하우징(2)의 내면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부(511)을 갖는 부재이면 좋다.
도 10에 광코드 고정부재(5)에 관해 코드외피(84) 및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하는 구조(51)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A에서는,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주부에 항장력부재(82)를 접착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5)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B에서는, 항장력부재(82)를 접착제(56)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도 10C에서는, 내면에 열로 녹는 접착제가 도포된 열수축 튜브(57)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들의 고정구조(51)에 있어서도, 그 치수는, 적어도 광코드(80)를 조립하여 넣어 고정한 상태인 때에 코일스프링(4)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의 외접원을 가지며 또한, 광파이버 심선(85)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내접원을 갖는 것이면 좋다.
(제 4항, 제 12항의 발명의 설명)
광커넥터 플러그(9)를 조립한 상태에서 후방의 광코드(80)를 비튼 경우에도, 광커넥터 플러그(9)내의 광파이버 심선(85)이 뒤틀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코드(80)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5)가, 이러한 힘에 대하여 광커넥터 플러그(9)내에서 회전하지 않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5B 내지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형은, 그 각부가 원모양으로 모떼기하여 이루어진 다각형모양, 환언하면, 그 일부(예를 들면 후단부)의 외형단면이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한 다각형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도 9F, 9I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내경 단면형상의 일부를, 상기 다각형모양의 광코드 고정부재(5)가 접합할 수 있고 또한, 그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도 9F, 9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내경 단면형상은 각을 모떼기하여 다각모양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접원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략 원형으로 하고, 또한, 거의 평면의 벽면(2222)을 갖는 개략 호형(ar-shaped)모양부분 (2221)을 양측에 부가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 부재지지부(222)의 내경 단면형상의 일부로서 조립하였을 때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수용하는 부분의 대응부의 적어도 일부를,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하여 다각모양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접원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략 원형으로 또한, 상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평면(2222)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가 리어하우징(2)에 조립되 넣어진 때는, 다각형모양의 광코드 고정부재(5)의 평탄부분이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 (222)의 평면부분(222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광코드(80)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5)가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조립되어진 때는, 광코드 고정부재(5)는 리어하우징(2)에 대하여 극히 약간의 각도밖에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는 리어하우징(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이내의 각도로밖에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 때문에, 그 회전이 방지되고, 따라서, 광커넥터 플러그(9)내에서 광파이버 심선(85)이 뒤틀리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제 5항, 제 13항의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광코드 고정부재(5)를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각도위치로 지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코드 고정부재(5)를 리어하우징(2)의 관통구멍(22)내를 전방으로부터 이동시켜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이끌 때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리어하우징(2)내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양자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하여 다각모양의 외형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 (5)가, 2측면이 직선절단된 구멍형상을 갖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그 회전각을 위치결정하여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광코드 고정부재(5)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위치까지 삽입 이동시킬 뿐으로, 도 9A, 9E, 9H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통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224)에 광코드 고정부재(5)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테이퍼면을 갖는 1쌍의 회전규제부(224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규제부(224A)는 그 높이 및 규제 면적이 후방으로 감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222)의 내면에 형성된 전술한 개략 평면의 벽면(2222)에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 (224)의 내경은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접원과 거의 같은 크기로 하고 있다.
환언하면, 광코드 고정부재(5)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이동시킬뿐으로 자동적으로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도 9A, 9E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 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통하는 관통구멍이며 또한, 광코드 삽입통과구멍(223)과 반대측의 관통구멍에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224)을 형성하고 그 내면형상을 개략 원형으로 또한, 상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평면을 갖는 단면형상(2241)으로부터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접원에 연결되는 형상(2242)을 연속적이고 잇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와 리어하우징(2)을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조작만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5)를 회전방지를 위한 소정의 회전각도위치로 이끌 수 있다.
(제 6항의 발명의 설명)
도 9A, 9D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 (222)의 내면의 일부에,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형(다각형상)의 걸림부(511)와의 접촉(간섭)에 의해 소성변형 또는 탄성변형하는 볼록형상부(241)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고, 광코드 고정부재(5)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수용하였을 때에 볼록형상부(241)가 광코드 고정부재(5)의 외면의 걸림부(511)에 가압되어 변형하고, 이로서 광코드 고정부재(5)의 특히 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전술한 회전방지구조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볼록형상부(241)를 적당한 형상으로 함으로서 전술한 광코드 고정부재(5)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7항의 설명)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의 내면 형상은 거의 코일스프링(4)의 외경과 같은 직경(D221i)를 갖는 원형형상이다. 이 코일스프링 지지부(221)의 일부에, 전술한 볼록형상부(241)와 같은 기능을 하는 볼록형상부(도시하지 않음)를 1 내지 복수개 형성함에 의해, 코일스프링(4)을 리어하우징(2)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에 코일스프링(4)를 삽입하면 코일스프링 (4)이 상기 볼록형상부에서 고정된 일체화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취급이 어려운 코일스프링(4)을 개별부품으로서 취급하지 않고서 해결되어, 조립성이 향상한다.
(제 8항의 설명)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본체(2)와 본체(2)의 후부에 결합하는 부츠(25)와의 2개의 부재로 리어하우징(2')을 구성하고, 리어하우징본체(2)와 부츠(25)를 미리 결합시켜 일체화한 구조로 함으로서 이들을 개별부품으로 함에 비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4)과 부츠(25)를 리어하우징본체(2)에 미리 조립하여 넣음으로서 조립시의 부품 취급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부츠(5)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코드를 구부린 경우라도 광파이버가 극단적으로 구부러져 손실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구부림에 대하여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보통은 비교적으로 휘기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 9항의 설명)
프론트하우징(1, 1')은 플러그를 결합하는 어댑터 등의 상대측의 구조에 의 해 여러가지 구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조가 소위 푸시풀 결합구조인 커넥터에 대응시키더라도 하등의 본 발명의 특징은 손상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하우징(1')은, 도 6 등에서 도시한 프론트하우징본체(1)와 프론트하우징본체(1)를 덮는 손잡이 (16)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조립의 효율화를 위해 이 프론트하우징본체(1)에 손잡이(16)를 미리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이들 2개의 부품은 미리 활주가 가능하게 일체화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조립성이 향상한다.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하우징본체(1)와 손잡이(16)를 미리 조립하여 넣지 않고서 별개의 부품으로 하여 두고, 다른 모든 조립공정을 끝낸 후에, 프론트하우징본체(1)에 손잡이(16)를 장착하여도 좋다.
(제조공정의 설명)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플러그의 제조방법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9)는, 이하에 도시한 제조공정에 알맞은 구조로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9)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알맞게 실현할 수 있다.
(제 15항 내지 제 17항의 설명)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서는, 수작업이 걸리는 광코드(80)의 단말처리를 위한 공정과 광코드(80)의 고정에 관한 공정과 광파이버 심선(85)의 페럴(3)로 고정공정과 경우에 따라서는 페럴의 연마의 공정을, 순서는 변경하여도 좋지만 일련의 공정 으로 정리하고, 그 이외의 다른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 등의 자동화용의 공정을 상기 정리된 공정의 전후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9)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각 부품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조립을 할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조공정을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를 이용하여 상술한다.
(1) 공정1 : 광코드로의 부품 조립 공정.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에 코드의 단(841)으로부터, 부츠(25), 리어하우징(2) 및 코일스프링(4)를 통과시킨다.
(2) 공정2 : 광코드의 단말처리.
다음에, 도 12BE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를 소정의 길이만큼 벋겨여 광파이버 심선(85)과 항장력부재(82)를 노출시킨다. 또한, 항장력부재(82)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또한, 항장력부재(82)의 절단은, 후술하는 공정 5의 전이면 좋고, 공정 3 또는 공정 4에서 행하여도 좋다.
(3) 공정3 : 코드외피(84)와 항장력부재(82)의 광코드 고정부재에의 고정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양태로, 항장력부재(82)와 코드외피(84)를 소정의 위치에서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한다.
(4) 공정4 : 광파이버로의 페럴의 고정, 단말처리.
또한, 도 13A,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 고정부재(5)와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L)이 되도록, 광파이버(81)를 노출하고, 페럴(3)을 광파 이버 심선(85)의 선단의 광파이버(81)에 고정한다.
즉,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6)에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코일스프링(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3)과 코일스프링(4)이 지지되고, 또한, 코일스프링(4)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가 코일스프링 맞닿음부(abutting portion:2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간격(L)만큼 광코드 고정부재(5)로부터 이간되도록, 페럴(3)을 광파이버(81)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후, 페럴(3)의 선단에 소망의 특성에 따라 소정의 단면연마 등의 단말처리를 시행한다.
이로서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 및 항장력부재(82)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5)와 광파이버(81)가 위치결정 고정된 페럴(3)을 갖는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구성한다.
(5) 공정5 : 최종조립.
그 후, 도 14에 도시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의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또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이동 시킨다. 그리고,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이 내장된 상태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15)와 리어하우징(2")의 걸림부(21)를 걸어맞춤으로써 서로의 하우징을 걸 리게하여, 광커넥터 플러그(9)를 완성된다.
도 20에, 상기 설명한 제조공정을 정리한 것을 도시한다.
·도 20A 광코드의 항장력부재(82) 및 코드외피(84)의 처리
·도 20B 항장력부재(82) 및 코드외피(84)의 광코드 고정부재(5)로의 고정
·도 20C 페럴(3)의 접착고정 및 연마
·도 20D 프론트하우징(1) 및 리어하우징(2)를 결합
·도 20E 완성
(제 22항의 설명)
그런데, 상기 한 제조공정중의 공정4에 있어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 (5)와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 L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립한 광커넥터 플러그가 양호한 특성을 실현할 수 없다.
즉, 소정의 간격(L)보다 짧은 경우에는, 광코드 고정부재(5)가, 광커넥터 플러그(9)내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소정의 위치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내에서 광코드 고정부재(5)가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광코드(80)를 후방에서 잡아 당긴 경우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결과, 광파이버 심선(85)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페럴(3)도 동시에 후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접속이 빠져 특성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상기 상대간격이 소정치 L보다 긴 경우에는, 조립한 광커넥터 플러그(9)내에서, 광파이버 심선(85)이 크게 휘어, 광파이버(81)의 구부림 손실의 증가나 경우에 따라서는 광파이버(81)의 파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공구를 이용한다.
이 조립공구는, 광커넥터 플러그(9)를 조립할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로서, 페럴(3)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미리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 또는/및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는 수단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한 광코드(80) 선단의 광파이버(81)를 페럴(3)에 고정할 때에 광코드(80)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5)와 페럴(3)이 소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배치하는 배치수단을 갖는다.
상기 배치수단은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이 서로 결합한 상태로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6)에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코일스프링(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3)과 코일스프링(4)이 지지되고 또한, 코일스프링(4)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의 코일스프링맞닿음부(2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 고정부재 (5)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간격(L)만큼 광코드 고정부재(5)로부터 이간되도록, 페럴(3)을 광파이버(81)에 고정한다.
도 21에 이러한 조립공구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조립공구는, 광코드(80)에 대하여 미리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5)에 대하여 상대간격(L)의 위치에 페럴(3)을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조립공구는, 광코드(80)의 항장력부재(82) 및 코드외피(84)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치구(210)와, 페럴(3)을 지지하는 페럴지지치구(220)와, 이들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치구(210) 및 페럴 지지치구 (220)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이들 치구(210, 220)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대(200)를 갖고 있다.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치구(210)에는 광파이버 심선(85)이 수용되는 오목부(211)와 광코드 고정부재(5)가 수용되는 오목부(212)와 광코드(80)가 수용되는 오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11, 212)의 경계 및 오목부(212, 213)의 경계에는 단차부(214, 215)가 형성되어 있어, 광코드 고정부(5)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페럴지지치구(220)에는 페럴(3)의 플랜지부(3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단차부(225)를 갖는 오목부(2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26)에 페럴(3)이 수용지지된다.
상기 2개의 치구(210 및 220)는, 위치결정대(200)상에 고정되어 있다. 단, 광코드 고정부재(5)가 오목부(212)에 수용 지지되고 또한,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단차부(225)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인 때에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가 상대간격(L)만큼 이간되도록 단차부(214)와 단차부(225)의 간격 등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조립공구에 있어서는, 우선,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 고정부재(5)에 의해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 및 항장력부재(82)를 고정하고, 이 광코 드 고정부재(5)가 치구(210)의 오목부(212)에 수용 지지되도록 광코드(80)를 치구(210 및 220)에 세트한다.
다음에,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의 광파이버(81)가 노출된 선단측에 페럴(3)을 통과시켜, 치구(220)의 단차부(225)에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접촉되도록 위치결정하여 광파이버(81)를 페럴(3)에 접착 고정한다.
이러한 공구를 이용함으로서 페럴(3)을 광코드 고정부재(5)로부터 소정의 상대간격(L)만큼 이간시켜 광파이버(8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공구에 의해,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간격를 측정하는 공정 등을 삭감할 수 있고, 조립공정의 경제화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제 18항 내지 제 21항의 설명)
상술한 제조공정에서, 공정3과 공정4의 순서를 교체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단지 이 경우에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위치관계는, 광코드 고정부재(5)가 조립하여 넣어지는 공정4'에서 규정된다. 도 16 및 도 17도 참조하여 공정3과 공정4의 순서를 교체한 경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1) 공정1 : 광코드(80)에의 부품의 조립공정.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에 코드의 단(841)으로부터 리어하우징(2)과 코일스프링(4)를 통과시킨다.
(2) 공정2' : 광코드(80)의 단말처리.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버코드 고정부재(5)를 통과시키고, 또한,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를 소정의 길이만큼 벗겨서 광파이버 심선(85)과 항장력부재(82)를 노출 시킨다. 또한, 광파이버피복(83)을 벗겨서 선단의 광파이버(81)를 노출 시킨다. 또한, 항장력부재(82)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또한, 항장력부재(82)의 절단은 후술하는 공정5의 앞이면 좋고, 공정 3 또는 공정 4에서 행하여도 좋다.
(3) 공정3' : 광파이버(81)에의 페럴(3)의 고정, 단말처리.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81)의 선단에 페럴(3)을 고정한다. 그리고, 페럴(3)의 선단에 소망의 특성에 따라 소정의 단면연마 등의 단말처리를 시행한다.
(4) 공정4' : 코드외피(84)와 항장력부재(82)의 광코드 고정부재(5)에의 고정.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정3'에서 고정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L)이 되도록, 항장력부재(82)와 코드외피(84)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한다.
즉,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6)에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코일스프링(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3)과 코일스프링(4)이 지지되고, 또한, 코일스프링(4)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 코일스프링맞닿음부(2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 간격(L)만큼 페럴(3)로부터 이간되도록 항장력부재(82)와 코드외피(84)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외피(84) 및 항장력부재(82)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5)와, 광파이버 심선(85)이 위치 결정 고정된 페럴(3)을 갖는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구성한다.
(5) 공정5 : 최종조립
그 후, 도 14에 도시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의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또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이 내장된 상태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 (15)와 리어하우징(2")의 걸림부(21)를 걸어맞춤으로써 서로의 하우징을 걸리게 하여 광커넥터 플러그(9)를 완성한다.
또한, 페럴 단면의 연마 등의 단말처리는,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구성하기 위한 공정의 어딘가에서 하면 좋고, 상기에서 설명한 이외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고정한 후에 행하여도 좋고, 또는 공정5의 전의 임의의 단계에 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어느 경우나, 이상의 공정에서 말한 부품 이외에 후조립이 필요한 부품, 예를 들면, 손잡이나 캡 등의 부품을 장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공정5에서 이러한 부품을 장착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23항의 설명)
그런데, 상기한 제조공정중의 공정4'에 있어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와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 L에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한 광커넥터 플러그가 양호한 특성을 실현할 수 없게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립공구를 이용한다.
이 조립공구는 광커넥터 플러그를 조립할때에 이용하는 조립공구로서, 미리 광파이버 심선(85)을 고정한 페럴(3)을 지지하는 수단과, 페럴(3)의 후단에 위치하여 광코드(80)가 통과된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는 수단과, 광코드(80)의 코드외피(84) 또는/및 항장력부재(82)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할 때에 광파이버 심선(85)을 고정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가 상기한 소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배치하는 배치수단을 갖는다.
상기 배치수단은,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6)에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코일스프링(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로 페럴(3)과 코일스프링(4)이 지지되고, 또한, 코일스프링 (4)이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 지지부(221) 코일스프링 맞닿음부(2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간격(L)만큼 페럴(3)로부터 이간되도록, 항장력부재(82)와 코드외피(84)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의해 고정한다.
도 22에 이러한 조립공구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조립공구는 광파이버(81)에 대하여 미리 고정된 페럴(3)에 대하여 상대
간격(L)의 위치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광코드 고정부재(5)로서, 도 5에 도시한 클램프 시트(52) 및 클램프 링(53)을 이용하고 있다.
이 조립공구는, 광파이버(81)에 고정된 페럴(3)을 지지하는 페럴지지치구 (230)와 광코드(80)를 지지하는 광코드지지대(240)와 가이드레일(250)을 사이에 두고 치구대(260)상을 이동 가능하며 광파이버 심선(85)을 지지하는 오목부(271)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재(27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부재(270)는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페럴지지치구(230)에는, 페럴(3)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231)가 형성되어 있고, 페럴(3)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270)에는, 광코드(80)의 광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 (272)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연장부(272)의 선단이 광코드지지대(240)에 접촉된 상태까지 슬라이드부재(270)가 이동되었을 때에, 해당 슬라이드부재(270)에 접촉된 광코드 고정부재(5)와 페럴지지치구(230)에 지지된 페럴(3)이 상기 소정간격(L)만큼 이간하도록 각 부재의 치수, 상대간격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조립공구에 있어서는, 우선,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81)가 고정된 페럴(3)을 페럴지지치구(230)에 세트한다.
다음에,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70)를 그 연장부(272)가 광코드보지대(24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 상태로 슬라이드부재(270)의 벽면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밀어 부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광코드 고정부 재(5)를 광코드(80)에 대하여 클램프 고정한다.
이러한 공구를 이용함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5)를 페럴(3)로부터 소정의 상대간격(l)만큼 이간시켜 광코드(80)에 고정할 수 있다.
(제 24항의 설명)
도 14, 도 15A,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광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광축방향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움직여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내장하면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15)와 리어하우징(2)의 걸림부(21)에 의해 서로의 하우징을 걸리게 하여 조립할 때에, 리어하우징(2)의 코일스프링(4)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의 페럴(3)의 플랜지(32)에 맞닿으면, 페럴(3)이 스프링(4)에 눌려져서 전방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도 리어하우징(2)내에서 전방으로 눌리어져 이동할 우려가 있다.
특히, 리어하우징(2)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배치 고정할 때에,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걸림부(24)와 광코드 고정부재(5)의 걸림부(511)가 간섭하면서 소성변형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한 경우에는, 리어하우징(2)을 광코드 고정부재(5)측으로 이동시키는데 따라 광코드 고정부재(5)에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다.
이들을 원인으로 하여,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의 상대위치가 유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걸림부(24)의 소정의 위치에 광코드 고정부재(5)가 배치되어 걸려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와의 상대간격(L)이 변하지 않도록 광코드(80)의 후단측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9)에서는, 광코드 고정부재(5)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222)의 걸림부(24)에 걸리여짐에 의해 광코드(80)의 회전방지를 실현하기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5)를 리어하우징(2)의 내측 후단부에 확실히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걸어맞출 때, 소정의 저항력으로 광코드(80)를 눌러 놓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조립공구를 이용한다.
이 공구는,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대하여, 광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광축방향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움직여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내장하면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와 리어하우징의 걸림부에 의해 서로의 하우징을 걸리게 하여 조립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에 있어서, 적어도 페럴(3)이 프론트하우징(1)에 조립하여 넣어져서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프론트하우징(1)의 플랜지지지부(13)에 배치된 후, 페럴(3)이 조립되 넣어진 프론트하우징(1)을 페럴(3)과의 상대간격(L)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수단과, 페럴(3)과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광코드(8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수단과, 이들의 부품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리어하우징을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23A 내지 23D에 이러한 조립공구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조립공구는, 프론트하우징(1)을 지지고정하는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 (300)와 페럴(3)을 지지하는 페럴지지부재(310)와 리어하우징(2)을 지지하는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와 광코드(80)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저항력를 부여하는 마찰저항부재(330)를 구비하고 있다.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는 가이드레일(321)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는 레버(322)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모터 등을 이용한 적절한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조립공구에 사용하기 전에, 우선,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페럴(3) 및 광코드 고정부재(5))이 선단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리어하우징(2), 코일스프링(4) 및 부츠(25) 등이 삽입통과된 광코드(80)를 조립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품이 조립되 넣어진 광코드(80)의 페럴(3)을 페럴지지부재(310)상에 설치하고, 리어하우징(2)(이 경우엔 부츠(25))을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에 지지시키고, 또한, 리어하우징(2)의 후방의 광코드(80)를 마찰저항부재(330)에 세트한다. 또한, 프론트하우징(1)을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300)에 세트한다.
이러한 상태로,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리어하우징(2)과 프론트하우징(1)을 걸어맞춘다. 단,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는, 광코드(80)에는 마찰저항부재(330)에 의해 일정한 마찰저항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은 프론트하우징(1) 및 리어하우징(2)의 소요의 위치에 확실히 세트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페럴지지부재(310)에 의해 페럴(3)을 지지하도록 하 였지만,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페럴(3) 및 광코드 고정부재(5)의 양자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조립공구를 이용함으로서, 프론트하우징(1)과 결합시키도록 리어하우징(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가더라도, 프론트하우징(1)과 페럴(3) 및 코드 후단의 상대위치는 변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광코드(80)가 고정되어 있는 광코드 고정부재(5)도 코드 후단측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프론트하우징과 페럴과의 상대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조립공구를 이용함으로서,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소정의 상대위치로 유지한 채로,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을 고정할 수 있다. 이로서 예를 들면 광코드(80)가 하우징내부에서 휘어 광파이버의 파단을 초래하거나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를 리어하우징(2)내부의 고정부재지지부(222)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여 걸어 지지할 수 있다.
(제 25항의 설명)
또한, 도 14, 도 15A,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광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광축방향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움직여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내장하면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15)와 리어하우징(2)의 걸림부(21)에 의해 서로의 하우징을 걸리게 하여 조립할 때에,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의 페럴(3)의 플랜지부(32)가 프론트하우징(1)의 플랜지지지부(13)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배치된 후에는 페럴(3)과 프론트하우징(1)의 상대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또는 페럴(3)이 프론트하우징(1)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과의 결합이 완료하기까지의 사이에 이 배치가 변한 경우에는,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 (2)이 결합한 때에 페럴(3)과 광코드 고정도부재(5)가 소정의 상대위치로 되지 않아, 광코드(80)가 하우징내부에서 휘어 광파이버의 파단을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대하여 전방에서 프론트하우징(1)을 움직여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의 페럴(3)이 프론트하우징(1)에 조립된 후에,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와의 상대간격(L)이 변하지 않도록, 페럴(3)을 프론트하우징(1)내에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로서 그 후, 리어하우징(2)를 후방에서 조립하여 넣을 때에,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와의 상대위치를 바꾸는 일없이, 리어하우징(1)과 프론트하우징(2)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효율적으로 조립하기 위해, 페럴(3)을 프론트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조립공구를 이용한다.
이 공구는, 광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광축방향 후방으로부터 코일스프링(4)과 리어하우징(2)을 움직여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을 내장하면서 프론트하우징(1)의 걸림부(15)와 리어하우징(2)의 걸림부(21)에 의해 서로의 하우징을 걸리게 하여 조립할 때에, 즉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에 전방으로부터 프론트하우징(1)을 움직여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의 페럴(3)을 프론트하 우징(1)에 조립하여 넣을 때에 페럴(3)을 지지하는 수단과, 프론트하우징(1)을 지지하는 수단과, 프론트하우징(1)의 소정의 위치, 즉 플랜지지지부(13)에 페럴(3)의 플랜지부(32)를 배치하는 수단과, 배치한 후에 페럴(3)과 프론트하우징(1)과의 상대적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이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이로서 프론트하우징(1)과 리어하우징(2)이 결합하였을 때에, 페럴(3)과 광코드 고정부재(5)를 소정의 상대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광코드(80)가 하우징내부에서 휘어 광파이버의 파단을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없어진다.
도 24A 내지 24D에 이러한 조립공구의 한 예를 도시한다.
앞의 도 23에 도시한 조립공구에서는, 리어하우징 지지부재(3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리어하우징(2)을 프론트하우징(1)에 결합하도록 하였지만, 이 도 24에 도시한 조립공구에 있어서는, 프론트하우징(1)측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프론트하우징 (1)을 리어하우징(2)에 결합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립공구는, 프론트하우징(1)을 지지 고정하는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와 페럴(3)을 지지하는 페럴지지부재(410)와 리어하우징(2)를 지지하는 리어하우징 지지부재(420)와 광코드(80)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여 광코드(8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코드인장부재(430)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는 가이드레일(401)에 따라 왕복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는, 레버(402)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리어하우징 지지부재(420)는 리어하우징 (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코드인장부재(430)는 이 경우엔 1쌍의 풀 리 및 해당 풀리를 회전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공구에 사용하기 전에, 우선,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7)(페럴(3) 및 광코드 고정부재(5))가 선단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리어하우징(2), 코일스프링(4) 및 부츠(25) 등이 삽입통과된 광코드(80)를 조립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품이 조립되 넣어진 광코드(80)의 페럴(3)을 페럴지지부재 (410)상에 설치하고, 리어하우징(2)(이 경우는 부츠(25))를 리어하우징 지지부재 (420)에 지지시키고 또한, 리어하우징(2)의 후방의 광코드(80)를 장력부여부재 (430)에 세트한다. 또한, 프론트하우징(1)을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에 세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광코드(80)를 코드인장부재(430)에 의해 후방에 잡아 당겨 이동시켜, 리어하우징(2)과 프론트하우징(1)을 걸어맞춘다. 이 조립공구에 의하면, 프론트하우징 지지부재(400)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는, 광코드(80), 해당 광코드(80)에 접속된 페럴(3) 및 광코드 고정부재(5)는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코트 프리 어셈블리부품(7)은 프론트하우징(1) 및 리어하우징(2)의 소요의 위치에 확실하게 세트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페럴지지부재(410)에 의해 페럴(3)을 지지하도록 하였지만, 광코드 고정부재(5)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페럴(3) 및 광코드 고정부재(5)의 양자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른 조립공구)
도 25는, 도 23에 도시한 조립공구를 복수개 병설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공구에 의하면, 동시에 복수개의 커넥터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커넥터 조립공정의 대폭적인 경제화가 실현된다.
또한, 도 21, 도 22, 도 24에 도시한 조립공구를 복수개 병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광커넥터 플러그 또는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작업이 드는 광코드의 단말처리공정과, 광코드의 고정공정과, 광파이버의 페럴로의 고정공정을 순서를 변경하여도 좋지만 일련의 공정으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비교적 곤란하던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 효율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광커넥터 플러그(9)의 조립에 있어서는, 조립에 관한 동작을 거의 부품의 광축방향의 전후 이동이라는 간단한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자동조립기로 조립을 실현할 수 있어, 자동화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코드외피(84)나 항장력부재(82)를 클램프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항장력부재나 코드외피를 커넥터하우징의 외주부에 맞춘 후, 이것을 클램프 부재에 의해 덮어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커넥터하우징의 항장력부재나 코드외피를 고정하는 부분이 클램프에 의한 힘에 견딜 필요가 있어서, 커넥터하우징 자체를 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많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드외피와 항장력부재의 고정을, 하우징본체(프론트하우징 및 리어하우징)로부터 독립한 개별부재로서의 광코드 고정부재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하우징에는 클램프에 의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복잡한 형상이 요구되는 하우징본체부를 플라스틱 등의 성형에 의한 제조로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코스트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5)는 코일스프링(4)의 내부를 삽입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광코드(80)를 광코드 고정부재(5)에 고정한 후에, 코일스프링(4)을 광코드 고정부재(5)의 광축방향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서 광코드(80)의 고정을, 코일스프링(4)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기 전에 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또는 조립의 간이화를 도모하기 위한 플러그구조로서, 페럴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한 구조나, 또한, 이들을 하우징내에 조립한 구조가 있다. 광파이버를 페럴에 고정할 때는, 보통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간이화를 도모한 광커넥터에서는, 페럴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한 상태나 이들을 하우징내에 조립한 상태로, 광코드나 항장력부재를 접착제로 하우징 등에 고정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이화 플러그의 경우에는, 접착제가 페럴 이외의 부품 또는 항장력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부재 이외에 달라 붙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경우는, 접착제의 도포를 위한 마이크로 디스펜서나 특별한 접착제 주입용부재 등을 이용하여 이것을 실현하고 있다. 페럴 등 이외의 부품에 접착제가 붙은 경우에, 여러가지의 동작 불량을 일으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광커넥터 플러그에서는, 페럴의 고정을, 다른 부품과는 떨어진 또는 다른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페럴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를 클램프 시트와 클램프 링으로 구성한 경우, 클램프 시트는 금속 등의 원통부품으로 좋고, 또한, 클램프 링도 거의 원통모양의 금속의 부품으로 좋기 때문에, 어느 것이나 저코스트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고신뢰의 광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을 이용한 코드외피 및 항장력부재의 클램프 고정도, 클램프 시트의 외면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에 항장력부재를 맞추고, 이것에 클램프 링을 씌운 후 클램프 링을 클램프함에 의해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한다는 극히 간편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 사이에 회전방지구조를 마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광코드를 비튼 경우 등에도 그 회전이 저지되고, 이로서 광커넥터 플러그내에서 광파이버가 회전하여 뒤틀림 등이 생겨 광파이버의 단선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되어, 따라서 고신뢰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어하우징의 내벽면에, 광코드 고정부재를, 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시켜야 할 소정의 회전각도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테이퍼벽면을 마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전방으로 움직이는 조작만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를 회전방지를 위한 소정의 회전각도위치에 이 끌 수 있다. 이 동작은,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움직일 뿐으로 완료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내면에 1 내지 복수의 볼록형상부를 마련하고,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수용하였을 때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면에서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복록형상부의 소성변형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를 리어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광코드 고정부재와 리어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움직일 뿐으로 광코드 고정부재를 리어하우징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또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의 내면형상을 개략 코일스프링의 외형과 같은 형상이고, 또한, 적어도 일부에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소성변형하는 볼록형상부를 갖도록 하였기 때문에, 미리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코일스프링이 삽입된 리어하우징과 코일스프링이 일체화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리어하우징을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로서 조립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과 조립의 간단화가 도모되고, 작으면서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려운 코일스프링과, 비교적으로 크고 취급하기 쉬운 리어하우징을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자동화에 있어서, 부품 개수의 삭감은 바람직하고, 코일스프링과 리어하우징을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은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커넥터 플러그의 코드를 구부린 경우라도 광파이버가 극단적으로 굽 어 손실이나 파단 등이 생기지 않도록, 구부림에 대하여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부츠를 비교적 휘기 쉬운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하우징을 리어하우징본체와 리어하우징본체 후부에 결합하는 부츠로 구성하며 또한, 리어하우징본체와 부츠를 미리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있는 것에 의해 리어하우징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수 있고, 구부림에 대한 특성 열화가 생기지 않는 구조이면서, 부츠를 조립하여 넣는 수고가 줄어들고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등에서는, 프론트하우징은 적어도 프론트하우징본체와 프론트하우징본체를 덮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데, 이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손잡이가 미리 활주 가능하게 일체화시켜 놓음으로써 조립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과 조립의 간단화가 도모되고 또한, 자동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C형 광커넥터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심의 광파이버용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다심의 광파이버에 대하여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또한, 페럴은, 반드시 단면이 원형일 필요는 없고, 다각형모양, 타원모양, 직사각형모양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프론트하우징(1), 리어하우징(2), 코일스프링(4), 광코드고정부재 (5) 등의 단면형상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형상을 채용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31)는, 광파이버를 접착제로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다른 임의의 주지의 수법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항장력부재, 코드외피, 광파이버피복, 광파이버를 갖는 광코드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광커넥터 플러그는, 항장력부재 및 외피를 갖지 않는 광코드를 성단(成端)할 때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광커넥터 플러그는,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를 성단(成端)하기 위해 유용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자동조립에 적합하다.

Claims (26)

  1.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광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광축방향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하우징과, 프론트하우징과 결합하여 프론트하우징의 광축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하우징과, 페럴과, 코일스프링과, 광코드 고정부재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페럴은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를 고정·위치 결정하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와, 프론트하우징내에서 상기 코일스프링과 접촉하여 가압되어 지지되는 플랜지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면에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부가하기 위한 선단부와, 상기 리어하우징과 접촉하기 위한 후단부을 가지며, 또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스프링이고,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사용되는 광코드의 구조에 따라 광코드의 고정구조를 갖는 부재이고, 적어도 광코드를 조립하여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소정의 지름보다 작은 외접원을 가지며 또한, 광코드의 외경보다 큰 내접원을 갖는 부재이고,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 리어하우징의 내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수단을 갖는 부재이며,
    프론트하우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리어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이고, 적어도 관통구멍의 선단부에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외형보다 큰 내면을 갖는 구멍과, 이 부분에 잇따라 형성되어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일부간섭하는 페럴 비출(flying out) 방지구조를 갖는 플랜지부 지지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형보다 큰 내접원을 갖는 후부관통구멍부가 형성된 하우징이며,
    리어하우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부터 구성되는 부재로서, 프론트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수단과, 관통구멍을 적어도 갖는 하우징이고, 이 걸림수단은 리어하우징을 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서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결합하는 구조의 걸림수단이고, 관통구멍의 후단측은 광코드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형의 내접원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파이버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고, 파이버 삽입통과구멍의 전방에는 파이버삽입통구멍에 이어저 파이버 삽입통과구멍보다 큰 구멍형상이고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 보다 큰 내부형상이고 또한,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가 형성되고, 관통구멍의 선단측에는 코일스프링을 지지하여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지지부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 사이에는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형의 축에 수직한 단면형상보다 큰 내면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대를 형성한 하우징이며,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를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관통공간부를 형성되는 구조이고, 이 관통공간부에 광코드의 광파이버가 고정된 상기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선단을 프론트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켜, 플랜지부가 프론트하우징의 페럴 비출방지구조에 의해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여 배치하고, 또한,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이 지지되고,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광코드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가 고정·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클램프 시트와, 클램프 링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 시트는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큰 내접원의 관통구멍을 갖는 부재이고 또한, 외측에 항장력부재 고정부가 형성되고,
    클램프 링은 클램프 시트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지름의 내접원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재이고, 내측에 항장력부재 고정부와 코드외피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광파이버 심선을 클램프 시트에 통과시켜, 노출한 코드외피의 단부까지 클램프 시트를 밀은 후, 노출한 항장력부재를 클램프 시트의 상기 항장력부재 고정부에는 맞추고, 항장력부재를 부합시킨 클램프 시트와 상기 코드외피의 단부를 덮도록 클램프 링을 씌우고, 또한, 클램프 링의 항장력부재 고정부와 코드외피 고정부를 클램프함으로서,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클램프 시트 및 클램프 링에 고정시키도 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항장력부재를 접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고, 항장력부재를 접착제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중 적어도 일부의 외형단면은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 (chamfered)한 다각모양으로 한 구조이며, 또한,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내경 단면형상의 일부이고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을 원모양으로 모떼기한 다각모양으로 한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접원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략 원형으로 또한, 상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면을 갖는 단면형상이고,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각도 이내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회전방지구조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통하는 관통구멍이고 또한, 광코드삽입 통과구멍의 반대측의 관통구멍부에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고정부재 회전규제부를 마련하고, 고정부재 회전규제부가, 그 후단측의 내면 형상을 개략 원형으로 또한, 상세하게는 적어도 그 원의 일부를 절취한 면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하고, 또한, 선단측의 내면형상을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접원에 연속해있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후단측과 선단측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의 내면형상을 이들 2개의 내면형상을 연속적으로 잇는 형상으로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6.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의 내면에 볼록형상부를 마련하고,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에 수용하였을 때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외면과의 간섭에 의해 광코드 고정부재를 리어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7.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의 내면형상이 개략 코일스프링의 외형과 같은 형상이고, 또한, 그 내면에 볼록형상부를 마련하고, 코일스프링을 상기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수용하였을 때의 코일스프링의 외면과 상기 볼록형상부와의 간섭에 의해 코일스프링을 리어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8.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 및 프론트하우징의 걸림수단이, 리어하우징 또는 프론트하우징의 한쪽에 마련되고 또한, 선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편지량(片持梁)과, 리어하우징 또는 프론트하우징의 다른쪽에 마련되고 또한,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구멍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9.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은, 리어하우징본체와, 이 리어하우징본체의 후부에 결합하는 부츠를 가지며, 상기 리어하우징본체와 부츠가 미리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0.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하우징은,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이 프론트하우징본체를 덮는 손잡이 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하우징본체와 손잡이가 미리 활주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1.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적어도 광코드를 조립하여 넣어 항장력재와 코드외피를 광코드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에, 코일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접원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그 단면이 거의 다각형모양이며,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 내면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소에, 상기 다각형모양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개략 평면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에서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에 통과되는 부분의 내면에, 광코드 고정부재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회전규제부를 형성하고, 이 규제부는 그 높이 및 규제면적이 후방으로 감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부의 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개략 평면의 벽면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4. 프론트하우징과, 프론트하우징과 결합되는 리어하우징과, 페럴과, 코일스프링과, 광코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 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페럴은,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부분의 광파이버를 위치결정 고정하는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와, 상기 코일스프링과 접촉하여 가압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가압하기 위한 선단부와, 상기 리어하우징과 접촉하기 위한 후단부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는, 상기 광코드를 고정한 상태인 때에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광코드를 삽입통과할 수 있는 내경의 구멍을 가지며,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에 상기 리어하우징에 걸리여지는 걸림수단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하우징은, 상기 리어하우징을 걸기 위한 걸림수단과, 제1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제1 관통구멍은 상기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선단측구멍부와, 이 선단측구멍부에 잇따라 형성되어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해당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지지부를 갖는 가운데측 구멍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부측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리어하우징은, 상기 리어하우징 및 프론트하우징이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됨으로써 상기 프론트하우징의 걸림수단과 결합하는 걸림수단과, 제2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제2 관통구멍의 후단측에는 상기 광코드를 삽입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삽입통과할 수 없는 내경을 갖는 광코드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이 광코드 삽입통과구멍의 전방에는,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광코드 고정부를 수용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 구멍이 상기 코드삽입통과구멍에 계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구멍의 선단측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여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가압하는 코일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지지부와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의 사이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삽입통과할 수 있는 광코드 고정부재 도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이들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하고,
    광파이버가 고정된 페럴의 광파이버 위치결정 고정부의 선단이 프론트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프론트하우징의 플랜지부 지지부에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또한, 상기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페럴이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서 광코드가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가 고정 지지되도록, 상기 관통공간부에 페럴, 코일스프링 및 광코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구조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15.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광커넥터 플러그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코드에 리어하우징 및 코일스프링을 통과시키는 제1 스텝과,
    광코드의 단부에서 광파이버 심선 및 항장력부재를 노출하는 제2 스텝과,
    광코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함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와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페럴을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고정하고, 광코드 고정부재 및 페럴이 고정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구성하는 제4 스텝과,
    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 및 코일스프링을 내장하도록 전후방향으로부터의 이동에 의해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결합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은,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에,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과 코일스프링이 지지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 광코드 고정부재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과 광코드 고정부재의 상대간격만큼 상기 고정된 광코드 고정부재로부터 이간되도록, 페럴을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는, 페럴 단면의 단말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18.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광커넥터 플러그를 접속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코드에 리어하우징 및 코일스프링을 통과시키는 제1 스텝과,
    광코드의 단부에서 광파이버 심선 및 항장력부재를 노출하는 제2 스텝과,
    광파이버 심선의 선단에 페럴을 고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고정 된 페럴과의 상대간격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광코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항장력부재와 코드외피를 고정함으로서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고, 광코드 고정부재 및 페럴이 고정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구성하는 제4 스텝과,
    이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 및 코일스프링을 내장하도록 전후방향으로부터의 이동에 의해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을 결합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은, 프론트하우징과 리어하우징이 서로 결합하였을 때에 내부 에 형성되는 관통공간부에, 페럴의 플랜지부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페럴과 코일스프링이 지지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리어하우징의 코일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리어하우징의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구멍에 광코드 고정부재가 지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페럴과 광코드 고정부재의 상대간격만큼 상기 고정된 페럴로부터 이간되도록, 광코드 고정부재를 광코드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텝에 있어서, 페럴 단면의 단말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21.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 페럴 단면의 단말 연마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제조방법.
  22.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해당 페럴 및 광코드 고정부재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할 때에 이용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의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를 고정한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과, 이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에 지지된 광코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페럴이 상기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상기 페럴을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페럴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페럴지지수단으로 지지된 페럴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의 접착 고정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
  23.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해당 페럴 및 광코드 고정부재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할 때에 이용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광코드의 광파이버가 접착고정된 페럴을 지지하는 페럴지지수단과,
    이 페럴지지수단에 지지된 페럴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가 상기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 지지수단으로 지지된 광코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광코드의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의 고정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
  24.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이용하여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을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의 전방측에서, 프론트하우징을 지지하는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 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어셈블리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가 삽입통과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마련된 리어하우징을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후방측에서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어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리어하우징 지지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에 대하여 마찰저항력를 부여하는 마찰저항부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하우징 지지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페럴, 광코드 고정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프론트하우징에 리어하우징을 끼워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
  25.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 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에 대하여, 페럴 및 상기 광코드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간되도록 고정한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을 이용하여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을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 또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어셈블리지지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가 삽입통과되며 또한, 코일스프링이 마련된 리어하우징을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광코드 고정부재의 후방측에서 지지하는 리어하우징 지지수단과,
    상기 리어하우징 지지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를 잡아 당기는 코드인장수단과,
    상기 코드 프리 어셈블리부품의 페럴의 전방측에서 프론트하우징을 지지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지지수단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코드인장수단에 의해 광코드를 후방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페럴, 광코드 고정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리어하우징에 프론트하우징을 끼워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의 조립공구.
  26. 광파이버 및 이 광파이버를 피복하는 광파이버피복을 갖는 광파이버 심선과, 이 광파이버 심선을 더욱 피복하는 코드외피와, 상기 광파이버 심선과 코드외피 사 이에 개재하는 항장력부재를 갖는 광코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광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광코드의 종단에서 노출된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페럴과,
    상기 페럴의 후방측에서 상기 광코드의 노출된 항장력부재 및 코드외피를 고정하는 광코드 고정부재와,
    상기 광코드가 삽입통과 가능하고, 그 선단이 상기 페럴의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코일스프링과,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장전되는 페럴을 페럴 선단이 전면 개구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우징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프론트하우징과,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전측에 장전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을 거는 스프링걸림부와, 전방으로부터 이 관통구멍의 후부까지 삽입되는 광코드 고정부재를 거는 광코드 고정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하우징과 걸어맞춤이 가능한 리어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코드 고정부재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부를 삽입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리어하우징내에 수용 가능한 외형 치수로 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및 리어하우징을 걸어맞춘 내부에 상기 페럴, 코일스프링, 광코드 고정부재를 수용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플러그.
KR1020017015446A 1999-06-01 2000-06-01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KR100713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53922 1999-06-01
JP15392299 199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12A KR20020021112A (ko) 2002-03-18
KR100713430B1 true KR100713430B1 (ko) 2007-05-04

Family

ID=1557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446A KR100713430B1 (ko) 1999-06-01 2000-06-01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13394B2 (ko)
EP (1) EP1199584B1 (ko)
KR (1) KR100713430B1 (ko)
AU (1) AU5104200A (ko)
WO (1) WO20000738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57B1 (ko) 2009-05-25 2013-08-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광 커넥터 및 광 커넥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3976B2 (en) * 2001-07-30 2005-04-26 Seikoh Giken Co., Ltd. Optical fiber ferrule assembly and optical module and opt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4942327B2 (ja) * 2005-10-28 2012-05-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コネクタ
DE102006062695B4 (de) * 2006-05-16 2008-05-08 Roland Berger Steckverbinder für einen Lichtwellenleiter
US7775726B2 (en) * 2007-02-16 2010-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US7534050B2 (en) * 2007-04-13 2009-05-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eld terminatable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JP2009210669A (ja) * 2008-03-03 2009-09-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ユニット
JP5144623B2 (ja) 2009-10-28 2013-02-13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5182893B2 (ja) * 2009-11-17 2013-04-17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プラグ
CN101866037B (zh) * 2010-06-17 2011-12-21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及装配方法
CH703904A2 (de) 2010-10-01 2012-04-13 Huber+Suhner Ag Steckverbinder.
JP6138533B2 (ja) * 2013-03-18 2017-05-31 株式会社 オプトクエスト マルチコアファイバ用光接続器
JP6496611B2 (ja) * 2015-06-05 2019-04-03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用ブーツ
JP6649065B2 (ja) 2015-12-04 2020-02-19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用ブーツ
JP6419138B2 (ja) * 2016-12-05 2018-11-07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
US10386583B2 (en) * 2017-06-09 2019-08-20 Seikoh Giken Co., Ltd. Optical connector
DE102020111054A1 (de) 2020-04-23 2021-10-2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Feldkonfektionierbare Ferrule und dazugehöriges Ferrulengehä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909A (ja) * 1987-04-14 1988-10-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JPH05323149A (ja) * 1992-05-19 1993-12-07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光コネクタ
EP0819960A2 (en) * 1996-07-15 1998-01-21 Seiko Instruments Inc. Universal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basic plugs thereof
EP0862072A2 (en) * 1997-02-27 1998-09-02 Seiko Instruments Inc. Clamp rings and optical fibre terminating structures
JPH10319273A (ja) * 1997-05-21 1998-12-04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725A (en) * 1982-05-24 1988-09-27 Amp Incorporated Termination of a fiber optic transmission member and method therefore
US4834487A (en) * 1988-09-29 1989-05-30 Amp Incorporated Optical connector with plastic alignment ferrule
JPH0392803A (ja) 1989-09-06 1991-04-18 Hitachi Ltd 光コネクタ
US5142601A (en) * 1990-06-21 1992-08-2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210810A (en) * 1991-12-19 1993-05-11 At&T Bell Laboratories Hermaphroditic connector for single fiber optical cable
US5396572A (en) * 1993-08-10 1995-03-07 At&T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a unipartite cap
US5381500A (en) * 1993-10-12 1995-01-10 The Whitaker Corporation Metal insert and buffer retention plunger
US5394497A (en) * 1994-02-22 1995-0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aptivated fiber optic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909A (ja) * 1987-04-14 1988-10-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JPH05323149A (ja) * 1992-05-19 1993-12-07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光コネクタ
EP0819960A2 (en) * 1996-07-15 1998-01-21 Seiko Instruments Inc. Universal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basic plugs thereof
EP0862072A2 (en) * 1997-02-27 1998-09-02 Seiko Instruments Inc. Clamp rings and optical fibre terminating structures
JPH10319273A (ja) * 1997-05-21 1998-12-04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57B1 (ko) 2009-05-25 2013-08-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광 커넥터 및 광 커넥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9584A1 (en) 2002-04-24
EP1199584A4 (en) 2004-05-19
US20020090179A1 (en) 2002-07-11
EP1199584B1 (en) 2014-09-17
KR20020021112A (ko) 2002-03-18
AU5104200A (en) 2000-12-18
WO2000073830A1 (en) 2000-12-07
US6913394B2 (en)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30B1 (ko)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US6238104B1 (en) Fiber optic connector, supporting member used therein,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fiber optic connector to a fiber optic cable
US7270487B2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US5396572A (en)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a unipartite cap
US7036993B2 (en) Pin retainer for fiber optic connector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EP0784218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plug and optical fiber connector
EP1431786A2 (en) Angled spring push for optical ribbon cable
EP1793250A1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MXPA06010746A (es) Conector de fibra optica que se puede instalar en campo.
US6186672B1 (en) Optical connector
US7192194B2 (en) Universal adapter for fiber optic connectors
JP2005114860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EP0979430A1 (en) Fiber optic connector
US6547449B1 (en) Windowless, rectangular ferrule in a preassembled multifiber connector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JP3306410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立工具
JP2000137141A (ja) クィック接続光ファイバ・コネクタ
EP0973051A1 (en) Pin retainer and associated method for assembling a fiber optic connector
JP2005114863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5345753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EP1193516A2 (en) Adapter for coupling used with fiber optic connectors
JP4875254B2 (ja) 光コネクタ
JP2000338367A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方式
JP2015059993A (ja) 光コネクタ
JP2005043634A (ja) 光コネクタ付き成端用部品、光コネクタ用アウトレット
JP2002202437A (ja) 光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