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167A -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167A
KR20130140167A KR1020137029335A KR20137029335A KR20130140167A KR 20130140167 A KR20130140167 A KR 20130140167A KR 1020137029335 A KR1020137029335 A KR 1020137029335A KR 20137029335 A KR20137029335 A KR 20137029335A KR 20130140167 A KR20130140167 A KR 2013014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bag
bedding
human body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768B1 (ko
Inventor
오오바카즈오
Original Assignee
오오바카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바카즈오 filed Critical 오오바카즈오
Publication of KR2013014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21Inflatable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42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a fluid circulating in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61H2230/065Heartbeat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H2230/207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2-value
    • A61H2230/208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2-valu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취침시에서의 무호흡증이나 코골기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침구용 경사장치를 제공한다. 인체를 재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과, 그 경사면 아래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삼각기둥 형상 등으로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의 양단 긴 부분으로서, 침구면과 접촉하는 개소에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할 수 있는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특히 2개 이상의 유체백을 겹쳐서 설치함으로써, 유체백의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INCLINATION DEVICE FOR BEDDING PROVIDE WITH FLUID BAG}
본 발명은 취침중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안면을 향상시키는 침구용 보조도구, 및 좌우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는 유체백(fluid bag)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중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을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엎드려 누운 상태로 취침할 때에 사용되는 엎드려 눕는 취침용 베개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4에는, 엎드려 누어서 잤을 때에, 눈, 코, 입을 압박하는 일 없이 편하게 호흡을 할 수 있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엎드려 누운 상태로 취침할 때의 뒤척임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침구가 발명되었다.
또 일반적으로 취침중의 사람의 상기도(上氣道)는 기상시와 비교하여 좁아져 있다. 이 때문에 무호흡증의 원인으로도 되어 있다.
또 수면에 의해 턱의 근육의 긴장이 풀려 턱이 목의 안쪽으로 내려간다. 이 때문에 취침중의 사람의 호흡 저항은 기상시에 비해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육체 피로, 스트레스, 감기, 꽃가루 알레르기, 호흡관계의 노화나 인두(咽頭)나 코의 질병 등에 의해 코막힘을 일으키고 있는 사람은 너무 괴로워서 입을 열고 호흡한다. 입을 열면 입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 입 안의 압력이 올라가고, 혀 뿌리가 보다 침하(沈下)하고, 동시에 연구개(軟口蓋)나 구개수(口蓋垂)도 아래로 늘어져서 공기가 통과하는 길이 더욱 좁아진다.
종래 무호흡증이나 코골기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시판되는 약제, 각종 코골기 방지 상품이나 레이저 메스 등을 이용한 수술 등이 알려져 있다. 시판되는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점비약(点鼻藥) 등은 코점막의 충혈을 개선함으로써 무호흡이나 코골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오래 사용하면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여 부작용의 걱정도 생각할 수 있다.
또 각종 코골기 방지 상품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자기(磁氣)를 이용한 코클립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코의 중심부인 연골부를 클립에 의해 끼워 둠으로써, 코 뚫림을 원활하게 하여 호흡 저항을 작게 하고, 개구를 방지하고, 코골기의 발생 원인인 상기도를 넓히고, 비강(鼻腔)이나 기도(氣道)의 조직의 진동이나, 공기가 통과할 때의 마찰 저항량을 경감시킴으로써 코골기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무호흡증이나 코골기 방지 상품으로서는, 플라스틱제의 마스크를 장착하고, 공기를 보내는 장치를 마스크에 관으로 연결하여 공기를 보낸다. 이 공기의 압력이 폐색된 상기도를 넓힘으로써 코골기나 무호흡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호흡증이나 코골기 방지 상품은 매일 저녁 장착할 필요가 있고, 취침중에 무의식 중에 코를 비비거나, 제거하여 버리거나 하는 일도 많아, 오음(誤飮)이나 코의 점막을 손상시킨다는 위험성도 있다. 또한, 일체(一體)의 마스크를 복수 사람에 의해 사용하는 것은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점도 있다. 또 여름 철은 플라스틱제의 마스크에 의해 땀을 흘려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 제거하는 일이 더 필요하므로, 한밤중에 일어날 때에 번잡하였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침대의 짧은 방향 절반을 가동(可動)으로 하고, 그 가동부에서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코골기 방지용 침대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6 참조). 또한 가동식 침대로서는, 특허문헌 7, 8에 개시된 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한 침대는 침대 본체를 가동하기 위해서 실린더 등의 장치가 필요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운반이 가능한 침구용 유체백을 발명하였다(특허문헌 9).
그러나, 상기 발명은 기본적으로 위를 향하여 취침하는 사람이 사용하기 위한 침구로서, 엎드려 누워서 취침하는 사람의 안면을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좌우 양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0-11790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2006-5538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개 2006-334366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특허공개 2007-50222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특허공개 2008-12217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특허 제3715900호 공보 특허문헌 7 : 일본특허공개 소63-222711호 공보 특허문헌 8 : 일본특허 제1945996호 공보 특허문헌 9 : 일본특허 제4790082호 공보
본 발명은 취침중에서의 인체를 좌우 양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무호흡증이나 코골기를 억제하여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운반이 가능한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압박을 방지하는 침구용 보조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폐나 위의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쾌적한 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면의 경사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듯하게 누운 또는 엎드려 누운 잠자리의 양쪽에 있어서, 침구의 경사에 따른 인체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고, 침구로부터의 전락(轉落)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갖는 침구용 보조도구 및 침구용 경사장치를 창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 및 침구용 경사장치는 통상의 취침시용으로서도 사용 가능한 것에 덧붙여, 휴대하여 숙박지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장거리 버스 또는 트럭의 선잠용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1) 침구 위에 재치(載置)되는 인체를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로서, 상기 인체를 재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과, 그 경사면 아래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부채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의 양단(兩端) 긴 부분으로서, 침구면과 접촉하는 개소(個所)에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여기서, 유체백의 형상인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원추 형상, 사각뿔 형상, 부채 형상, 원기둥 형상으로는, 기본적인 형상이 상기한 형상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면 적당하고, 예를 들면, 모퉁이가 없는 것이나,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포함된다.
(2) 상기 유체백이 침구의 긴 방향에 복수로 분단되어 배치되어 있고, 그 유체백이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좌(左)경사용 유체백과,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우(右)경사용 유체백을 갖고, 상기 좌경사용 유체백과 우경사용 유체백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한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3) 상기 경사면 아래에 2개 이상의 유체백을 겹쳐서 설치하고, 복수의 유체백을 지지부 근방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유체백의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유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유체백을 2개 이상 겹쳐서 설치함으로써, 각 유체백에 동시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 경사면의 경사 속도가 비약적으로 고속화할 수 있다.
(4) 상기 경사면을 공기가 공급되는 유체백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하고, 그 유체백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내측의 유체백의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외측의 유체백의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의 유체백에 냉기 또는 난기(暖氣)를 공급함으로써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경사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5)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 아래에, 침구 위에 재치되는 인체의 두정부(頭頂部)측을 상승시키고, 또한 인체의 발밑측은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팽창하는 유체백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6)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를 갖고, 그 베개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7)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흉부용 침대를 더 갖고, 그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고, 그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의 위 주변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8)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다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를 더 갖고, 상기 다리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三體)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가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이 그 반대 단부(端部)로부터 넓은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9) 상기 침구용 보조도구에 있어서, 상기 흉부용 침대에서의 인체의 몸통 부분(胴部)과 팔 부분(腕部) 사이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stopp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10) 상기 베개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베개 및 흉부용 침대가 임의의 각도로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11) 상기 베개 및 흉부용 침대가 공기가 공급되는 유체백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하고, 그 유체백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의 유체백의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외측의 유체백의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의 유체백에 냉기 또는 난기를 공급함으로써,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인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12) 상기 유체백 내에,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원추 형상, 사각뿔 형상, 부채 형상, 원기둥 형상의 하나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여기서, 유체백의 형상인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원추 형상, 사각뿔 형상, 부채 형상, 원기둥 형상으로는, 기본적인 형상이 상기한 형상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면 적당하고, 예를 들면, 모퉁이가 없는 것이나,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유체백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에 의해, 유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유체백 내에 공급하는 유체의 총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경사면의 경사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유체백의 상면에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다.
(13)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재치한 인체보다 혈액중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고, 그 산소 포화도가 소정의 한계값에 이르렀을 때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여기서 산소 포화도는 적색광과 적외광을 발하고, 이러한 광(光)이 손가락끝 등을 투과 한 것(또는 반사한 것)을 수광부(센서)로 측정함으로써 계측할 수 있다. 혈액중의 헤모글로빈은 산소와의 결합의 유무에 의해 적색광과 적외광의 흡광도가 다르므로, 센서로 투과광이나 반사광을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SpO2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박동이 있는 맥파 성분으로부터 맥박수를 계측한다.
예를 들면, PULSOX-5(미놀타 카메라 센싱 가부시키가이샤), PULSOX-Me300(테이진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등의 산소 포화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산소 포화도에서의 소정의 한계값이란, 예를 들면, SpO2가 95% 이하의 상태가 3초 이상 계속하였을 때를 말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사람의 맥박수를 미리 계측하고, 거기에서 5bpm 이상 상승한 상태가 3초 이상 계속하였을 때를 소정의 한계값으로서 미리 설정(pre-set)하여 둘 수도 있다.
(14)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유체백에 유체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을 가압 센서로부터 계측하고,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이 소정의 한계값 이하로 감압(減壓)되었을 때에, 유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을 더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는 취침중의 사람의 체위를 좌우 양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무호흡증이나 코골기를 억제하여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운반이 가능하고, 휴대하여 숙박지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장거리 버스 또는 트럭의 선잠용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압박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나 위의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쾌적한 잠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면의 경사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듯하게 눕거나 또는 엎드려 누운 잠자리의 양쪽에 있어서, 침구의 경사에 따른 인체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침구에서의 전락을 방지한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1의 개념도이다. (a)는 평면도이며, (b)는 (a)에서의 (b) - (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베개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 및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의 승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다. (a)는 베개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 (b)는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공기가 공급되는 이중구조의 유체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3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4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a)는 경사면이 오른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왼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5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6의 정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 이용되는 유체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7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7에 이용되는 유체공급관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기 방지용 안면 침대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유체의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a)는 유체 공급을 행하는 흐름을 나타내며, (b)는 배기(감압)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 8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9의 사시도이다. (a)는 실시형태 9에 따른 유체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10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11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12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13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13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실시형태 1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 사용되는 침구용 보조도구는 취침중의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특별히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로서 적합하다. 즉,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베개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오목부 대신에 관통시켜도 좋다.
상기 베개는 천 등의 커버로 피복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베개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을 배치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베개는 임의로 상승 가능하다. 여기서, 유체백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가요성이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질 염화비닐, 테플론(등록상표) 66, 나일론재, 폴리에스테르재, 플라스틱재, 라미네이트재, 우레탄재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는 팽축(膨縮)을 반복해도 굴곡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경량이며 운반 시에도 극히 유용하다.
또한, 유체백의 이면(裏面)에는, 생고무를 분사 등에 의해 도포해도 좋다. 생고무를 피복함으로써, 보다 기밀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백에 이용되는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 등의 환기성이 있는 재료를 표층용 시트로서 채용해도 좋고, 우레탄 수지와 환기성이 있는 재료를 적층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침구용 보조도구는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여행지의 여관이나 호텔의 이불이나 침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흉부용 침대를 가져도 좋다. 상기 흉부용 침대는 천 등의 커버로 피복해도 좋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어, 상기 흉부용 침대가 상승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 있어서, 베개 및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유체백을 배치하지 않고, 베개와 흉부용 침대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다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를 더 가져도 좋다. 이러한 다리용 침대에는, 인체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가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이 그 반대 단부보다 넓은,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상기 다리용 침대는 천 등의 커버로 피복해도 좋다. 커버로 피복함으로써, 유체백의 부분적인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상기 흉부용 침대의 좌우 양측으로서, 인체의 측면에 맞닿는 개소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낙하 방지용 스토퍼는 경사면을 형성할 때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시켜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고, 미리 우레탄 매트 등에 의해 침구의 양측에 설치해 두어도 좋다. 또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를 이중구조로 하고, 내측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유체백을 설치하고, 외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의 내측 측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을 형성해 둠으로써, 내측의 유체백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인체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구용 보조도구를 취침하는 인체 아래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 위에 배치한 침구용 경사장치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인체 아래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유체백은 경사면 아래에 배치되고, 유체백에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 볼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경첩(hinge)은 상기 경사면의 긴 방향 양단부로서, 침구면과 접촉하는 개소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담보된다. 그 지지부는 침구 위의 긴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경사면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사용되는 경사면은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매트나, 에어 매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이외의 것이어도 취침중의 인체를 지지하면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료, 구조의 매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는, 경사지는 유체백의 상면을 우레탄 수지로 형성하고, 유체백의 상면을 직접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상기 유체백을 침구의 긴 방향으로 복수로 분단하여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좌경사용 유체백과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우경사용 유체백을 갖고, 상기 좌경사용 유체백과 우경사용 유체백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 아래에 2개 이상의 유체백을 겹쳐서 설치하고, 복수의 유체백을 지지부 근방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유체백의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보다 고속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본 발명을 이하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1의 개념도이다. (a)는 평면도이며, (b)는 (a)에서의 (b) - (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취침중의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1)이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베개(1)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개(1)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부로부터 오목부(2)에 걸쳐 외기(外氣)를 도입하는 환기구멍을 설치해도 좋다. 환기구멍은 베개(1)의 측면으로부터 오목부(2)로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환기구멍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체백(3)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보냄으로써, 유체백(3)을 팽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체를 보내 유체백(3)을 팽창시키면, 상기 베개(1)를 임의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유체백(3)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베개(1)를 하강시킬 수 있고,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체로서는, 물이나 오일 등의 액체, 젤리 형태의 반(半)유동체, 공기나 질소 등의 기체를 들 수 있다. 취급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감안하면 공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백을 이중구조로 해도 좋다. 내측의 유체백을 두정(頭頂)측으로부터 네크(neck)측을 향해 내리막 경사지는 사각뿔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베개(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2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취침중의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베개(5)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개(5)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개(5)의 네크측의 하부에는, 길이조정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조정부재(9)의 표면에는, 후크(hook)(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흉부용 침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11)에는, 인체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12)가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11)에 있어서 인체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13)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흉부용 침대(11)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체백(7, 8)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보냄으로써, 유체백(7, 8)을 팽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체를 보내 유체백(7, 8)을 팽창시키면, 상기 베개(5) 및 흉부용 침대(11)를 임의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백(7, 8)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베개(5) 및 흉부용 침대(11)를 하강시킬 수 있고, 높이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체로서 공기를 이용한 경우, 상기 유체백(7. 8)을 이중구조로 하고, 도시하지 않은 내측의 유체백의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를 형성하고, 외측의 유체백의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베개(5) 및 흉부용 침대(11)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베개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3(b)는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백(7)의 두정부측의 측면에는, 높이조정부재(4)가 부속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정부재(4)의 선단부에는, 끼워맞춤 후크(4d)가 부속되어 있다. 또 유체백(7)의 두정부측의 측면에는, 상기 끼워맞춤 후크(4d)와 끼워 맞추는 후크(4 , 4b, 4c)가 부속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후크(4d)를 후크(4 , 4b, 4c) 중 어느쪽을 선택하여 끼워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 맞춘 상태에서, 유체백(7)에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백(7)의 두정부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취침자가 임의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두정부측에 조정부재를 배치하고 있었지만, 턱부측에 배치해도 좋고, 또한, 두정부측과 턱부측의 양쪽 모두에 조정부재를 배치해도 좋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백(8)의 발끝측의 측면에는, 높이조정부재(14)가 부속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정부재(14)의 선단부에는, 끼워맞춤 후크(28d)가 부속되어 있다. 또 유체백(8)의 발끝측의 측면에는, 상기 끼워맞춤 후크(28d)와 끼워 맞추는 후크(28a, 28b, 28c)가 부속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후크(28d)를 후크(28a, 28b, 28c) 중 어느쪽을 선택하여 끼워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 맞춘 상태에서, 유체백(8)에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백 위에 배치되어 있는 흉부용 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취침자의 체형 등에 적절한 침대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유체백(7, 8)은 경량이며, 외출 장소로 갖고 나오는 일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유체백(7, 8)은 이중구조로 해도 구성해도 좋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공기가 공급되는 이중구조의 유체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백(7, 8)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의 유체백(29)의 하면에는, 공기의 분출구(29a)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의 유체백(29)에 외측(E)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외측의 유체백(7, 8)에는,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7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내측의 유체백(29)의 하면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는 공기는 외측의 유체백(7, 8)의 상면의 분출구멍(7a)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냉기, 난기를 균등하게 외측의 유체백(7, 8)의 분출구(7a)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유체백(7, 8)은 경량이며, 외출 장소로 갖고 나오는 일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부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서의 실시형태 3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취침중의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1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베개(15)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체에서의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17)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베개(15)는 인체에서의 목 부분이 연접(連接)되어 있다.
상기 베개(15)의 네크측의 하부에는, 길이조정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조정부재(18)의 표면에는, 후크(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흉부용 침대(2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21)에는, 인체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22, 22)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21)에 있어서 인체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23)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흉부용 침대(21)에서의 머리 부분측 위쪽 저면에는, 후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20)는 앞서 설명한 베개(15)에서의 길이조정부재(18)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9)와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기의 몸의 크기 등에 맞추어, 베개(15)와 흉부용 침대(21)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 있어서는, 상기 흉부용 침대(21)에서의 인체의 측면에 맞닿는 2개소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24, 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24, 24)는 이후에 설명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침구용 경사장치에 있어서 특히 유익하게 사용된다. 즉, 낙하 방지용 스토퍼(24)는 유체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24)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의 아래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24)는 인체의 몸과 팔 사이에 배치되고, 인체의 몸에 직접 맞닿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24)의 팽창시의 형상은 경사시의 경사면 위에서의 인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형(型), 직사각형형(型), 삼각형형(型), 어묵형(型) 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 대하여는, 상기 베개(15) 및 흉부용 침대(21)의 하부에는,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은 배치되지 않았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다리의 일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25)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리용 침대(25)에 있어서는, 인체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사이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26) 및 다리의 좌우 외측에 볼록 형상 지지체(27, 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형상 지지체(26)는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이 그 반대 단부보다 넓은,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침구용 보조도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그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3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에서의 베개(15)는 취침중의 인체(P)에서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베개(15)에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는,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체에서의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17)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압박을 방지하여,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P)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기 위해 흉부용 침대(21)가 배치된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21)에는, 인체(P)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22, 22)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21)에 있어서 인체(P)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23)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폐나 위의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보다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흉부용 침대(21)에서의 인체(P)의 측면에 맞닿는 2개소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24, 24)가 배치된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24, 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아래쪽 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24)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의 아래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P)에서의 다리의 일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25)가 배치된다. 이러한 다리용 침대(25)에 있어서는, 인체(P)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사이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26) 및 다리의 좌우 외측에 볼록 형상 지지체(27, 27)가 배치된다. 이 중,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형상 지지체(26)는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이 그 반대 단부보다 넓은,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은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은 반대 단부로부터 2배 정도 긴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취침하는 사람의 다리 부분이 안정되어, 보다 쾌적한 수면을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4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재치된 인체를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도 7은 인체 아래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 아래에 배치되는 경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30, 30, 30, 30)과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는 좌경사용 유체백(31, 31, 31, 31)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30, 30, 30, 30)은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3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긴 방향 양단부로서, 침구면과 접촉하는 개소에 있는 우경사용 유체백(30, 30, 30, 30)의 지지부(33, 33, 33, 33)가 침구 위의 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상기 유체백(32)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복수로 분단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부채형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2개의 유체백(32a, 32b)을 적어도 지지부(33) 근방을 밀착하여 겹치고, 그 밀착하여 겹친 부분을 침구면의 긴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에서의 겹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유체백을 천 등으로 덮어도 좋다. 유체백을 팽창시켰을 때에 중앙부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유체백의 중앙 등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그 구멍을 통해 유체백의 평면을 덮는 천 등과 유체백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유체백의 중앙 부분에서의 부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유체백의 중앙 부분이 부풀어 오름으로써, 몸이 불안정하게 되어, 안면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좌경사용 유체백(31, 31, 31, 31)은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키는 것이고, 좌경사용 유체백(31)은 도시하지 않은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밀착하여 겹친 유체백을 지지부(34)를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의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부호 35는 경사면이며, 부호 36은 침대이며, 부호 39는 베개이다. 경사면(35)의 재료는 경도(硬度)가 있으면, 두께나 재료는 상관하지 않지만, 우레탄 매트, 에어 매트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있는 재료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유체백의 표면의 요철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침대(36)는 베드(bed) 등이다. 또한, 이러한 베드나 베이스 시트는 없어도 좋다. 직접 마루에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경사용 유체백과 좌경사용 유체백이 갖고 있는 유체백(32a, 32b, 34a, 34b)에 교대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경사면(35)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다. 도 9(a)는 유체백(32a, 32b)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경사면(35)이 오른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b)는 유체백(34a, 34b)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경사면(35)이 왼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사면(35)이 경사졌을 때에, 하부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37)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P)의 아래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5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5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재치된 인체를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도 10은 인체 아래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 아래에 배치되는 경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서는, 경사면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경질(硬質)의 1개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40, 40, 40, 40)과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는 좌경사용 유체백(41, 41, 41, 41)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40, 40, 40, 40)은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42)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 5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상기 유체백(42)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복수로 분단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3체의 유체백(42a, 42b, 42c)을 적어도 지지부 근방을 밀착하여 겹치고, 그 밀착하여 겹친 지지부를 침구면의 긴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에서의 겹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한편, 좌경사용 유체백(41, 41, 41, 41)은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키는 것이고, 좌경사용 유체백(41)에 설치된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밀착하여 겹친 유체백이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백에 공급하는 유체량을 조정함으로써, 유체백의 경사면을 지점으로부터의 경사 각도 0∼80°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엎드려 누워 잠자는 경우는 경사각 0∼30°정도가 적합하다.
도시하지 않은 경사면이 경사졌을 때에는, 아래쪽 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47)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6의 정면 개념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6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50)는 경사면(55)을 갖는 유체백(52, 53)을 침대(56) 위에 배치한다. 유체백(52, 53)의 위쪽에 있는 경사면(55)은 우레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서의 유체백(52, 53)은 팽창시에 원기둥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경사면(55)의 지지부를 마루 면의 긴 방향으로 배치하고, 유체백(52)에 도시하지 않은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보냄으로써, 경사면(55)의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55)에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체백(52)에 공기를 공급하였을 때에, 침대(56) 위에서의 짧은 방향 외측으로의 유체백(5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긋남 방지망(57)이 걸쳐져 있다. 이러한 어긋남 방지망(57)은 천이나 가죽 등의 가요성이 있고, 경사면(55)을 침대(56)와 평탄하게 하였을 때에 접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경사면(55)의 지지부를 마루 면의 긴 방향으로 배치하고, 유체백(52, 53)에 도시하지 않은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보냄으로써, 경사면(55)의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55)에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55)이 경사졌을 때에는, 하부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58)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의 아래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6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50)에 사용되는 유체백(52, 53)의 단면 개념도이다. 이러한 유체백(52, 53)은 외층(60)과 내층(61)의 2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층(61)의 내측에는, 공기(64)가 충전되어 있다. 부호 66은 도시하지 않은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유체백(52, 53)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경로의 일부이다.
상기 외층(60)은 내압력, 내구성이 있는 마(麻), 나일론제 생지(生地), 면, 불소 수지 등의 섬유 생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층(61)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우레탄고무, 나일론, 연질 염화비닐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지만, 탄력성, 내구성이 있으면 재질은 상관하지 않는다. 외층(60)은 내층(61)의 팽창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형태 7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실시형태 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7에서의 베개(75)는 취침중의 인체(P)에서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베개(75)에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는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압박을 방지하고,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P)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기 위해 흉부용 침대(71)가 배치된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71)에는, 인체(P)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72,72)가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71)에 대해 인체(P)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73)도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폐나 위의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보다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흉부용 침대(71)에서의 인체(P)의 측면에 맞닿는 2개소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84, 84)가 배치된다. 이러한 낙하 방지용 스토퍼(84, 8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이 경사졌을 때에 하부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84)를 팽창시킴으로써, 인체의 아래쪽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P)에서의 다리의 일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74)가 배치된다. 이러한 다리용 침대(74)에 대하여는 인체(P)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사이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76) 및 다리의 좌우 외측에 볼록 형상 지지체(77, 77)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 7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 사용되는 유체백은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3개의 유체백(82a, 82b, 82c)을 단면 삼각형상의 정점(頂点) 근방을 밀착하여 겹친 겹침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유체백(82a, 82b, 82c)에는, 유체공급관(78)으로부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체백(82a, 82b, 82c)의 정점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82a, 82b, 82c)을 팽창시키면, 유체백(82)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유체백(82a)의 상면에 재치된 경사면(85)에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85)의 폭은 임의이며, 인체를 재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 13에 나타내는 경사면의 폭보다 넓고, 또는 보다 좁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체공급관(79)이 반대 측에도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유체로서는, 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공기의 공급은 주지(周知)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급기펌프(91)와, 전환밸브 및 배기밸브를 내장한 밸브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급기펌프(91)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밸브기구(90)의 전환밸브를 통하여 유체공급관(95), 유체공급관(78) 등으로부터 유체백(82a, 82b, 82c), 낙하 방지용 스토퍼(84)에 공급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체백(82a)에 공기를 공급하고, 유체백(82b 및 82c)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음에 따라 비교적 느슨한 경사각의 경사면(85)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낙하 방지 스토퍼(84)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7에 있어서는, 베개(75), 흉부용 침대(71) 및 다리용 침대(74)는 경사면(85) 위에 재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베개(75) 등을 떼어내 경사장치만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베개(75), 흉부용 침대(71) 및 다리용 침대(74)를, 두껍게 형성된 경사면(85) 중에 매립하여, 베개(75) 등의 표면과 경사면(85)의 표면을 같은 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 7에서의 밸브기구(90)는 급기펌프(91)로부터의 공기를 보낼 때에, 유체공급관(95)을 연통하게 하는 급기상태와, 상기 유체백(82a) 등으로부터 유체공급관(95), 유체공급관(78) 등을 통하여 역류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을 막는 폐전(閉栓)상태와 공기를 역류시켜 배기밸브(92)로부터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상태를 임의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급기펌프(91)로서는, 전자식 에어 펌프, 다이아프램식 에어 펌프, 피스톤식 에어 펌프, 로터리 방식 등의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 7에 사용되는 유체공급관(78)의 개념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공급관(78)은 복수의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내부에서 분기되어 있다. 소음 방지를 위해 공급구(D)는 발밑에 있기 때문에, 머리 부분 측으로의 유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분기되어 있는 개소에 조정밸브를 설치하여 각 지관(支管)의 유체 공급량을 조정하면 좋다. 보다 간편하게 조정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공급구(D)에 가까운 곳의 지관의 구경(口徑)을 작게 하여, 머리 부분에 가까운 위치를 서서히 크게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7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 7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인후(咽喉) 마이크 등의 센서에 의해 무호흡이나 코골기의 검지가 시작된다(단계 S1). 무호흡이나 코골기의 유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CPU에 의해 판단된다(단계 S2). 특히 코골기의 검지에는, dsPIC 탑재 시스템(마이크로칩사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sPIC은 코골기의 음향 공학적으로 특징에 근거하는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본래의 코골기의 스펙트럼과 일정 주기로 반복됨으로써 생기는 미세 구조로 분해되고, 음성 정보처리의 분야에서 피치 추출에 사용되고 있는 케프스트램 분석을 이용한다. Simple-waveform Snore에 대하여는,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 주파수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다만, 이 주파수 영역은 모음(母音)의 제1 포르만트(formant)와 경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 시간 등에 의해 구별되어 있다).
센서에 의해 무호흡이나 코골기가 검지되지 않고, CPU가 무호흡 등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상기 플로우를 반복한다.
한편, 센서에 의해 무호흡이나 코골기가 검지되어, 검지 신호가 CPU에 입력되면, CPU는 무호흡 상태 등이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급기펌프(91)로부터 유체공급관(95)를 통하여 유체백(82a)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체백(82a)을 팽창시킨다. 이 때, 미리 설정하여 두면, 유체백(82a) 뿐만 아니라, 유체백(82b 및 82c)을 팽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유체백을 미리 겹치게 하여 둠으로써 우측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유체백 이외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84)에도 미리 설정에 의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임의의 유체백(82a) 등을 팽창시킨 후, 유체 펌프의 운전을 간단 운전으로 전환하여 유체백의 팽창을 유지한다(단계 S4). 밸브기구(90)에 의한 폐전 상태에 의해, 유체백 등에 공급된 공기를 그대로 백 내에 유지하여, 유체백 등의 팽창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다(단계 S5).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체백의 팽창 상태를 유지할 때에, 센서에 의해 무호흡 등의 검지 작업이 재개되어(단계 S6), CPU가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무호흡 등의 재발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7). 또한, 상기 단계 S5로부터, 단계 S6 및 단계 S7의 공정을 건너뛰어서, 단계 S8의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체백의 팽창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단계 S5)에 있어서, 코골기의 재검지 (단계 S6)를 행하는 일 없이, 타이머에 의해 배기밸브로부터 배기를 시작하는 단계 S8의 공정으로 이행해도 좋다.
센서에 의해 무호흡이 검지되지 않고, CPU가 무호흡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밸브기구(90)의 배기밸브(92)로부터 공기를 배기하고(단계 S8), 유체백 등을 수축시켜 팽창을 해제할 수 있다(단계 S9).
이 때, 공급된 공기는 30분 이내에서 배출되어, 경사면을 수평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서는, 약 60초∼90초 정도로 배출할 수도 있다. 배기밸브(92)로서는, 마그넷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공기의 배출은 삽입 펌프측으로부터 빼낼 수도 있다.
이어서, 좌측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유체백에, 유체공급관(95)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체백 등의 팽창 상태를 유지할 때에,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무호흡 등의 재발의 유무를 판단함과 동시에, 급기펌프(91)와 밸브기구(90)를 제어함으로써, 인체(P)로부터의 호흡의 재발의 유무에 따라, 유체백(82a) 등으로의 공기의 공급과 공기의 배기를 제어하고, 좌우 양방향으로 침대를 경사시킬 수 있어, 무호흡증이나 코골기를 억제하여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제어 방법으로서는, 수동에 의해 메뉴얼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그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첫번째로, 사용자가 침상(寢床)에 들어가고 나서 취침할 때까지의 취침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취침전에 독서를 50분 하는 경우는 「취침시간」으로서 「50분」을 설정한다.
곧바로 취침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0∼5분」사이에 설정하면 좋다.
두번째로, 취침하고 나서 잠들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잠드는 것이 빠른 사람이면 「대기 시간」으로서 「8분」, 잠드는 것이 늦은 사람이면 「대기 시간」으로서 「30분」, 평균적으로는 「15분 ∼20분」 사이에 설정하면 좋다.
세번째로, 유체백에 공기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가압) 시간을 설정한다.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자 밸브가 열려, 유체백에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공기의 공급 시간은 에어 펌프의 기능에 의해 좌우된다. 즉, 에어 펌프의 에어 분출량과 펌프 운전시간, 및 유체백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면, 경사 각도 80도로 하는데 5분 걸리는 에어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80도 경사시키려는 경우는 「공기의 공급 시간」으로서 「5분」을 설정한다. 경사 속도는 에어 펌프의 크기를 바꾸는 것으로 빨리 할 수 있다. 다만, 1분 이내에서 80도 기울이면, 취침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통상은 1분 이상 5분 이하 정도로 설정하면 좋다.
네번째로,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사 정지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경사 정지시간」으로서 「40분」으로 설정하면 좋다. 통상은 수면시의 무호흡 대책으로서는, 「30분 ∼60분」이 적합한 시간이다.
다섯번째로, 유체백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감압) 시간을 설정한다. 유체 배출 시간은 통상은 상기 제3 공정인 유체 공급 시간과 같은 설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 1 사이클이 종료하기 때문에, 상기 제2 공정으로 되돌아와서, 설정을 반복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상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상시간을 「오전 6시」로 설정하면, 기상시간까지 경사면을 원래의 평탄한 상태로 되돌려 두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유체의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a)는 유체 공급(가압) 플로우를 나타내며, (b)는 배기(감압)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침구용 경사장치에 있어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침구용 경사장치로부터 사람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 유체백이 용량 이상으로 가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즉, 유량 센서(초음파 센서 등)로 설정된 유체백의 용량 이하의 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침구로부터 사람이 멀어지는 등의 이유로 가압되어 있어도 일정 이하의 압력이 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감압 동작을 시작한다. 가압 플로우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에어 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한다(단계 S1). 임의의 유체백 등을 팽창시킨 후, 유체 펌프의 운전을 간단 운전으로 전환하여 유체백의 팽창을 유지한다(단계 S2). 밸브기구에 의한 폐전상태에 의해, 유체백 등에 공급된 공기를 그대로 백 내에 유지하고, 유체백 등의 팽창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다.
그 후, 초음파 센서에서 설정된 유체백이 용량 이상으로 가압되지 않도록 감시한다(단계 S3). 유량보다 용량이 낮은 경우는 유체백의 파열의 위험을 압력 센서에 의해 감시한다(단계 S4). 그리고 이상(異常)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3의 감시를 계속한다. 이상이 생긴 경우는 유체백을 감압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등의 오류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한편, 단계 3에서 유량이 용량을 넘어선 경우는 가압 완료 후의 이상을 감시한다(단계 S5). 즉, 압력 이상, 유체백로부터의 유량 누설을 유량 센서나 압력센서에 의해 감시한다. 이상이 생긴 경우는 유체백을 감압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등의 오류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감압은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로부터 감압한다. 먼저 감압을 시작한다(단계 S1). 에어 펌프가 시동하여 밸브 전환에 의해 팽창하고 있는 유체백으로부터 기체가 배출된다(단계 S2). 경사면이 평탄하게 될 때까지 유체 센서에 의해 감시하면서 배기(감압)를 계속하고(단계 S3), 평탄하게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그 후의 감압 동작을 중지하여, 단계 S4로 진행한다.
실시형태 8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8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 8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산소 포화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수면시에서의 무호흡 상태를 스크리닝(screening)한다(단계 S1). 본 실시형태 8에서는, 산소 포화도 모니터로서 PULSOX-Me300(테이진 파마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였다.
스크리닝된 정보는 해석 소프트웨어 DS-Me에 의해, SpO2 측정치와 메모리 인터벌(memory interval)을 검사한다(단계 S2).
여기서 혈액중의 산소 결핍이 인정된 경우, 즉, 산소 포화도에서의 소정의 한계값(SpO2 95% 이하 상태가 3초 이상 계속)이 인정된 경우, 검지 신호가 CPU에 입력되고, CPU는 무호흡 상태 등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급기펌프로부터 유체공급관을 통하여 유체백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체백을 팽창시킨다.
임의의 유체백 등을 팽창시킨 후, 유체 펌프의 운전을 간단 운전으로 전환하여 유체백의 팽창을 유지한다(단계 S4). 밸브기구에 의한 폐전상태에 의해, 유체백 등에 공급된 공기를 그대로 백 내에 유지하고, 유체백 등의 팽창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다(단계 S5). 이에 의해 경사면을 우측 방향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체백의 팽창 상태를 유지할 때에, 산소 포화도 모니터에 의해 산소 결핍의 검지 작업이 재개되고(단계 S6), CPU가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무호흡 등의 재발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 S7).
산소 포화도 모니터에 의해 무호흡이 검지되지 않고, CPU가 무호흡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밸브기구의 배기밸브로부터 공기를 배기하고(단계 S8), 유체백 등을 수축시켜 팽창을 해제할 수 있다(단계 S9).
이어서, 단계 S1로 되돌아와,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다음은 좌측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9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9의 사시도이다.
도 18(a)는 유체백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9에 따른 경사장치는, 유체백(112a 및 112b)이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유체백(11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유체백(112a)의 내부에는, 짧은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칸막이(111a 및 111b)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A는 유체백(112a) 내에 공급된 유체를 각 셀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통로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유체백(112a)의 내부에 칸막이(111a 및 111b)를 걸치는 것에 의해 유체백(112a)의 팽창 시에 표면을 볼록 형상으로 팽창하는 일 없이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8(a)에서는, 2개의 칸막이로 되어 있지만, 1개이라도 좋고,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도 18(b)는 유체백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9에 따른 경사장치는 유체백(114a 및 114b)이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유체백(114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유체백(114a)의 내부에는, 긴 방향으로 1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칸막이(117)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A는 유체백(114a) 내에 공급된 유체를 다른 셀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통로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유체백(114a)의 내부에 칸막이(117)를 걸치는 것에 의해 유체백(114a)의 팽창 시에 표면을 볼록 형상으로 팽창하는 일 없이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8(b)에서는, 1개의 칸막이로 되어 있지만,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실시형태 10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1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10에 따른 유체백(120)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외측의 유체백(122a, 122b)은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유체백(12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외측의 유체백(122a)의 내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124a, 12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의 유체백(122a)의 내측에 칸막이(125a, 125b)를 걸치는 것에 의해 공간(124a)이 형성되고, 칸막이(125c, 125d)를 걸치는 것에 의해 공간(124b)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A는 외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이다. 유체백(122a)에 유체공급관(127)으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백(122a)은 팽창한다. 유체백(122a)의 팽창과 함께, 구멍 A는 외기의 도입구로서 기능한다. 한편, 유체백(122a)으로부터 유체를 배출 함과 함께, 구멍 A는 기체의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구멍 A는 반대측의 측면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기구에 의해, 유체백(122a)을 완전하게 팽창하는데 필요한 유체공급관(127)으로부터의 유체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사면의 경사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내측의 칸막이(125a, 125b, 125c, 125d)가 유체백(122a)의 저부(底部)와 평면부에 걸쳐지는 것으로부터, 유체백(122a)의 팽창 시에 표면을 볼록 형상으로 팽창하는 일 없이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호 B, B'및 C, C'는 공간(124a, 124b)의 내부에 설치된 통로의 개구부이며, 유체공급관(127)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공간(124a) 및 공간(124b)으로 구획된 각 셀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도 19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1개소이라도 좋고, 3개소 이상 형성해도 좋다. 구멍 A의 수나, 공간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수도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1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백에서의 실시형태 1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11에 따른 유체백(130)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외측의 유체백(132a, 132b)은 겹쳐서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유체백(13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외측의 유체백(132a)의 내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1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의 유체백(132a)의 내측에 2개의 칸막이를 걸치는 것에 의해 공간(135)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A는 외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이다. 유체백(132a)에 도시하지 않은 유체공급관으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면, 유체백(132a)은 팽창한다. 유체백(132a)의 팽창과 함께, 구멍 A는 외기의 도입구로서 기능한다. 한편, 유체백(132a)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구멍 A는 기체의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이 기구에 의해, 유체백(132a)을 완전하게 팽창하는데 필요한 유체공급관으로부터의 유체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사면의 경사 속도가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내측의 칸막이가 유체백(132a)의 저부와 평면부에 긴 방향으로 걸쳐지는 것으로부터, 유체백(132a)의 팽창 시에 표면을 볼록 형상으로 팽창하는 일 없이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호 B, B', 부호 C, C'및 부호 D, D'는 공간(135)의 내부에 설치된 통로의 개구부이며, 유체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공간(135)으로 구획된 다른 셀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통로(134b, 134c, 134d)를 형성한다.
또한, 도 20에서는, 공간(135)이 1개소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공간을 2개소 이상 형성해도 좋다. 구멍 A의 형상이나 수, 공간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형상이나 수도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2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실시형태 12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12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재치된 인체를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이다. 도 21은 인체 아래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 아래에 배치되는 경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140, 142)과,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는 좌경사용 유체백(141a, 141b)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140)은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3개의 유체백(140a, 140b, 140c)을 갖고 있다. 또한, 우경사용 유체백(142)은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3개의 유체백(142a, 142b, 142c)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 12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는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타원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140a, 140b, 140c 및 142a, 142b, 142c)을 적어도 지지부 근방(145, 146)을 밀착하여 겹치고, 상기 유체백(140, 142)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에서의 겹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한편, 좌경사용 유체백(141a, 141b)은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키는 것이ㄱ고, 좌경사용 유체백(141a, 141b)에 설치된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밀착하여 겹친 유체백이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좌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3개의 좌측 경사용 유체백(141a)는 각각 지지부(147)에 의해 고정되고, 유체백(141b)은 지지부(148)에 의해 고정되며, 팽창시에 3개의 유체백이 압압되어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유체백의 지지부(예를 들면, 부호 146 등)는 각각의 유체백(142a, 142b, 143c)마다 버튼이나 지퍼 등의 멈춤금구(金具)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체백을 간단하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유체백이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유체백만을 새로운 유체백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체백(140, 141a, 141b, 142)을 천 등으로 피복해도 좋다. 유체백의 팽창시의 크기에 맞춘 천을 씌워 두는 것에 의해, 잉여 가압을 방지함과 함께 유체백의 중앙 부분에서의 부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3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실시형태 1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102) 위에는, 베개(105), 흉부용 침대(115) 및 다리용 침대(116)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8에서의 베개(105)는 취침중의 인체(P)에서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베개(105)에는,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는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눈, 코,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압박을 방지하고,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P)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기 위해 흉부용 침대(115)가 배치된다. 이러한 흉부용 침대(115)에는, 인체(P)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가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흉부용 침대(115)에 대해 인체(P)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73)도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엎드려 누운 상태에 있는 사람의 폐나 위의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취침시의 호흡을 편하게 하여, 보다 쾌적한 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P)에서의 다리의 일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116)가 배치된다. 발끝 측에는, 저반발(低反發) 우레탄 매트에 의한 낙하 방지 스토퍼(10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3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는, 경사면(102) 아래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유체백을 구비한 경사면 형성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3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는, 머리 부분측이 상승하고, 긴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긴 방향에서의 경사면의 형성에는, 경사장치(107)가 사용된다. 침대나 마루 등의 베이스 시트(108) 위에 경사장치(107)가 배치되어 있다.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를 시간을 들여 서서히 두정부측을 상승시킬 수 있고,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의 경사 각도는 최대 약 45°정도가 바람직하다. 미리 설정된 정지시간 경과후, 원래 상태로 두정부측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배뇨, 대변을 재촉하는 것이 기대되어 섭취된 음식물이 기관으로의 잘못 들어감(誤入)을 억제하여, 적합한 소화를 보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 13에 이용되는 경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160, 161, 162)과,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는 좌경사용 유체백(163, 164, 165)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침구 위에 재치되는 인체에서의, 머리 부분 측으로부터 163, 160,1 64, 161, 165, 162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우경사용 유체백(160, 161, 162)은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을 갖고 있다.
우경사용 유체백(160)은, 유체백(170a, 170b, 170c)이 3단 겹침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3개의 유체백(170a, 170b, 170c)을 적어도 지지부 근방을 밀착하여 겹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에서의 겹친 정점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우경사용 유체백(161)은, 유체백(171a, 171b)이 2단 겹침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팽창하는 2개의 유체백(171a, 170b)을 적어도 지지부 근방을 밀착하여 겹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에서의 겹친 정점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우경사용 유체백(162)은 유체백(172)만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백(172)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을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경사장치는 유체백의 경사 각도가 침구 위에 재치되는 인체에서의 머리 부분으로부터 발밑에 걸쳐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구 위에 재치되는 인체에서의 머리 부분 측만 상승시킬 수 있다.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좌경사용 유체백(163, 164, 165)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체백(163)이 3단 겹치고, 유체백(164)이 2단 겹치고, 유체백(165)이 단체(單體)로 구성되어 있다.
유체백의 폭이나, 단수(段數)를 조정함으로써, 경사시키는 위치를, 인체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위, 발밑으로부터 위 등,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부호 167, 177은 낙하 방지용 스토퍼이다. 도 23에 있어서는, 우경사용 유체백에 의해 경사면을 우측으로 경사시키는 상태가 나타내져 있기 때문에, 우측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167)만이 팽창되어 있다.
실시형태 14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의 실시형태 1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14에서의 침구용 경사장치(200)는 주로 반듯하게 누워 취침할 때에 적합한 것이다. 도 24는 경사장치(200)가 우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사장치(200)는 좌측에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4에 따른 침구용 경사장치에 사용되는 유체백은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3개의 유체백(202a, 202b, 202c)을 단면 삼각형상의 정점 근방을 밀착하여 겹친 겹침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유체백(202a, 202b, 202c)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공급관으로부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체백(202a, 202b, 202c)의 겹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202a, 202b, 202c)을 팽창시키면, 최상부에 위치하는 유체백(202a)의 상면에 재치된 경사면(205)에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장치가 우측으로 경사될 때에, 유체가 머리 부분 지지베개(206)에 공급되어, 반듯하게 누워 취침하는 인체에서의 측두부를 지지한다. 또한, 동시에 유체가 제1 낙하 방지용 스토퍼(204) 및 제2 낙하 방지용 스토퍼(201)에도 공급된다.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된 제1 낙하 방지용 스토퍼(204)는 주로 인체에서의 옆구리를 지지하고, 경사면에서의 인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된 제2 낙하 방지용 스토퍼(201)는 주로 인체에서의 우측 어깨로부터 우측 측방을 지지하여, 침구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경사면이 경사지고, 인체가 횡방향으로 된 경우에, 좌측의 팔이 제2 낙하 방지용 스토퍼(201)를 끌어안게 되어, 인체의 피로를 방지하여, 쾌적한 수면을 얻을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경사졌을 때에 팽창하는 머리 부분 지지베개(207) 및 제1 낙하 방지용 스토퍼(208)는 오므라진 상태로 접혀져 있다. 좌측으로 경사할 때에 팽창하는 제2 낙하 방지용 스토퍼는 경사면(205)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침대(209) 위에 접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1, 5, 39, 75, 105 : 베개
2, 6 :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
3, 7, 15, 32, 42, 52, 53, 82, 107 : 유체
4, 14 : 높이조정부재
9 : 길이조정부재
11, 71, 115 : 흉부용 침대
12, 72 : 폐에 맞닿는 개소
13, 73 :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
19 : 내측의 유체백
30, 31, 32a, 32b, 34a, 34b, 40, 41, 140, 142, 141a, 141b : 유체백
33, 34, 145, 146 : 지지부
35, 55, 85, 102 : 경사면
36, 56 : 침대
37, 47, 58, 84, 106 : 낙하 방지용 스토퍼
50 : 침구용 경사장치
56 : 침대
74, 116 : 다리용 침대
76, 77 : 볼록 형상 지지체
100 : 경사면 형성 장치
P : 인체

Claims (14)

  1. 침구 위에 재치(載置)되는 인체를 짧은 방향인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로서, 상기 인체를 재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경사면과, 그 경사면 아래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부채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의 양단 긴 부분으로서, 침구면과 접촉하는 개소(個所)에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백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복수로 분단되어 배치되어 있고, 그 유체백이 경사면을 왼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좌경사용 유체백과, 경사면을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도록 팽창하는 우경사용 유체백을 갖고, 상기 좌경사용 유체백과 우경사용 유체백이 침구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아래에 2개 이상의 유체백을 겹쳐서 설치하고, 복수의 유체백을 지지부 근방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체백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백의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부채 형상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유체백 위에 재치된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하고, 유체백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의 유체백의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외측의 유체백의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의 유체백에 냉기 또는 난기(暖氣)를 공급함으로써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경사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에, 침구 위에 재치되는 인체의 두정부(頭頂部)측을 상승시키고, 또한 인체의 발밑측은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팽창하는 유체백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를 갖고, 그 베개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눈 부분,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개소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이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흉부용 침대를 더 갖고, 이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폐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 개소가 관통되어 있고, 이 흉부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의 위주변에 맞닿는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 개소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상기 경사면 위에 배치되는 엎드려 누워 잠자는 인체에서의 침구용 보조도구를 갖고, 그 침구용 보조도구는 인체에서의 다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는 다리용 침대를 더 갖고, 상기 다리용 침대에 있어서 인체에서의 다리가 닿는 근방 개소에 다리 사이와 다리의 좌우 외측에 다리를 지지하는 3개의 볼록 형상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중앙에 형성된 볼록 형상 지지체가 다리가 닿는데에 상당하는 측의 폭이 그 반대 단부보다 넓은,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보조도구에 있어서, 상기 흉부용 침대에서의 인체의 몸통 부분와 팔 부분 사이에 볼록 형상의 낙하 방지용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흉부용 침대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는 유체백이 배치되고, 상기 베개 및 흉부용 침대가 임의의 각도로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백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의 유체백의 하면에 공기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외측의 유체백의 상면에 공기의 분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의 유체백에 냉기 또는 난기를 공급함으로써, 냉기류 또는 난기류를 인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백 내에, 삼각기둥 형상, 직사각형 형상, 볼 형상, 원추 형상, 사각뿔 형상, 부채 형상, 원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가 재치한 인체로부터 혈액중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고, 그 산소 포화도가 소정의 한계값에 이르렀을 때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여, 경사면을 좌우로 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용 경사장치에서의 유체백에 유체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을 가압 센서에 의해 계측하고,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이 소정의 한계값 이하에 감압되었을 때에, 유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유체백 내의 유체 압력을 더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경사장치.
KR1020137029335A 2011-08-29 2012-08-08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KR101505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5538 2011-08-29
JPJP-P-2011-185538 2011-08-29
PCT/JP2012/070195 WO2013031504A1 (ja) 2011-08-29 2012-08-08 流体袋を備えた寝具用傾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167A true KR20130140167A (ko) 2013-12-23
KR101505768B1 KR101505768B1 (ko) 2015-03-26

Family

ID=4775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335A KR101505768B1 (ko) 2011-08-29 2012-08-08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45539A1 (ko)
JP (1) JP5314802B1 (ko)
KR (1) KR101505768B1 (ko)
CN (1) CN103501658A (ko)
WO (1) WO20130315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65B1 (ko) * 2022-01-26 2022-08-23 강영선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WO2023146065A1 (ko) * 2022-01-26 2023-08-03 강영선 모션베드 및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807B2 (en) 2012-05-22 2020-05-26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20150136146A1 (en) * 2012-05-22 2015-05-21 Hill-Rom Services, Inc. Adverse event mitig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071666B2 (en) 2012-05-22 2021-07-27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20140026318A1 (en) * 2012-07-30 2014-01-30 Disney Enterprises, Inc. Bed mattress lift
US9801767B2 (en) * 2013-03-14 2017-10-31 Kap Medical, Inc.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D779236S1 (en) 2013-05-22 2017-02-21 Hill-Rom Services, Inc. Mattress
IL230109A (en) * 2013-12-23 2017-01-31 Yechiel Mendi Ronen mattress
US9138087B2 (en) * 2014-02-07 2015-09-22 Latitude Innovations Universal prone/supine pillow
US9463126B2 (en) 2014-03-11 2016-10-11 Hill-Rom Services, Inc. Caregiver universal remote cart for patient bed control
US10292881B2 (en) 2014-10-31 2019-05-21 Hill-Rom Services, Inc. Dynamic apnea therapy surface
US20160286974A1 (en) * 2015-03-31 2016-10-06 Dennis M. Boyd Snoring recognition and electric power adjustment
US10391010B2 (en) 2016-02-26 2019-08-27 Hill-Rom Services, Inc. Sleep disorder treat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WI593390B (zh) * 2016-05-05 2017-08-01 國立中央大學 用於睡眠呼吸中止診療之床具組
CN106419367A (zh) * 2016-10-21 2017-02-22 张安斌 一种俯睡垫
GB201621233D0 (en) * 2016-12-14 2017-01-25 Daniel Paul G Sleep flat airbed
US11007098B2 (en) 2017-07-13 2021-05-18 Hill-Rom Services, Inc. Layer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096500B2 (en) 2017-07-13 2021-08-24 Hill-Rom Services, Inc. Floor-suppor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122908B2 (en) 2017-07-13 2021-09-21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graduated lateral rotation of a sleep surface
US11090208B2 (en) 2017-07-13 2021-08-17 Hill-Rom Services, Inc. Actua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20190053648A1 (en) * 2017-08-21 2019-02-21 Alexis Santizo Air pillow
US11071393B2 (en) 2017-10-04 2021-07-27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adding hospital bed functionality to an at-home bed
EP3476380B1 (en) * 2017-10-24 2020-05-13 Hill-Rom Services, Inc. Modular turn assis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11197555B2 (en) * 2018-04-08 2021-12-14 Sit Up, Llc Adjustable support device
CN108542426A (zh) * 2018-05-15 2018-09-18 余庆县人民医院 一种b超检查床
CN109363858A (zh) * 2018-10-12 2019-02-22 南通市第人民医院 一种一体式充气翻身垫
US10959534B2 (en) 2019-02-28 2021-03-30 Hill-Rom Services, Inc. Oblique hinged panels and bladder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CN109846638B (zh) * 2019-03-29 2020-12-29 江苏理工学院 一种有翻身功能的护理床
KR102143033B1 (ko) * 2019-08-12 2020-08-10 신경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JP7391291B2 (ja) * 2019-10-11 2023-12-05 船井電機株式会社 マットレス
CN111820591A (zh) * 2020-07-29 2020-10-27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升降隔离挡板
US20220125653A1 (en) * 2020-10-23 2022-04-28 Hill-Rom Services, Inc. Proning frame for a patient bed
US11529276B2 (en) 2020-10-23 2022-12-20 Hill-Rom Services, Inc. Proning frame for a patient bed
CN112336548B (zh) * 2020-11-20 2021-09-17 齐鲁理工学院 一种便于操作的外科护理的辅助肢体抬起翻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7737U (ko) * 1987-11-11 1989-05-25
JPH0515557A (ja) * 1991-07-10 1993-01-26 Kuraray Plast Kk エアーマツト
US5754998A (en) * 1996-08-19 1998-05-26 Selton; Daniel E. Therapeutic bedding pad
JPH10117905A (ja) * 1996-10-18 1998-05-12 Tsuyoshi Yamanaka うつ伏せ寝用枕
US7127758B2 (en) * 2004-03-02 2006-10-31 Gabbay Daniel S Active head/neck positioning device for endotracheal intubation
JP4526287B2 (ja) * 2004-03-23 2010-08-18 美保 玉野井
NL1035218C1 (nl) * 2008-02-28 2009-09-01 Neggers Johannes Cornelis Mari Inrichting voor aanpassing van de vorm van een steunvlak.
KR20110057344A (ko) * 2009-11-24 2011-06-01 오은영 체위변경장치와 상기 체위변경장치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욕조겸용매트리스 및 환자용침상
FR2953699B1 (fr) * 2009-12-15 2012-03-23 Creations Andre Renault Sommier a surface de couchage relevable
JP4790082B2 (ja) * 2009-12-16 2011-10-12 和夫 大場 傾斜面を有する寝具用空気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65B1 (ko) * 2022-01-26 2022-08-23 강영선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WO2023146065A1 (ko) * 2022-01-26 2023-08-03 강영선 모션베드 및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768B1 (ko) 2015-03-26
JPWO2013031504A1 (ja) 2015-03-23
WO2013031504A1 (ja) 2013-03-07
US20140245539A1 (en) 2014-09-04
CN103501658A (zh) 2014-01-08
JP5314802B1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167A (ko) 유체백을 구비한 침구용 경사장치
US20200360207A1 (en) Adverse event mitig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P6388979B2 (ja) 使用者保持面
JP4790082B2 (ja) 傾斜面を有する寝具用空気袋
US1066080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844455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vital signs having fluid bladder beneath padding
US8832887B2 (en) Anti-snore bed having inflatable members
ES2625803T3 (es) Cubierta superficial de apoyo con celdas selectivamente inflables
KR100825400B1 (ko) 수면 호흡장애 또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및 이를이용한 수면 호흡장애와 욕창 방지 방법
CA2878994C (en) Patient support
WO2014149392A1 (en) Adverse event mitig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0858668B1 (ko) 수면 호흡장애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호흡장애방지 방법
JP2012514501A (ja) バイタルサイン監視装置
KR101141076B1 (ko) 높이조절형 베개
EP2982358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KR20100010365A (ko) 수면 호흡장애 및 욕창의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0948883B1 (ko)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US20230000261A1 (en) Pressurized Vertical Cylinder Air Chamber Mattress
JP5646032B1 (ja) 流体袋を備えた寝具用傾斜装置及び当該寝具用傾斜装置の駆動方法
US20120167310A1 (en) Adjustable support mattress assembly
JP2017099610A (ja) いびき防止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