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33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33B1
KR102143033B1 KR1020190097908A KR20190097908A KR102143033B1 KR 102143033 B1 KR102143033 B1 KR 102143033B1 KR 1020190097908 A KR1020190097908 A KR 1020190097908A KR 20190097908 A KR20190097908 A KR 20190097908A KR 102143033 B1 KR102143033 B1 KR 10214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art
user
flui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신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철 filed Critical 신경철
Priority to KR102019009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받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Pillow adjustable in heigh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수면 또는 휴식 시 사용하는 침구로서, 수면 또는 휴식 시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머리와 목 등을 받친다. 최근 베개는 사용자들의 수면과 건강에 중요한 침구로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 베개는 솜 또는 라텍스 등의 소재로 일정한 높이, 즉 고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베개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절되기 어렵고, 사용자는 베개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조절하지 못해 안락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받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대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유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머리우측면을 받치는 제3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머리좌측면을 받치는 제4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되, 팽창할 때 사용자의 목이 이완되도록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의 내부에는 지압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의 내부공간은 구획부재를 통해 상기 제2받침부의 전방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전방공간 및 상기 전방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전방공간 및 후방공간 중 어느 하나는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고, 나머지 하나는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하며, 상기 지압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공간이 수축하고 상기 후방공간이 팽창할 때 상기 제2받침부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하고, 상기 전방공간이 팽창하고 상기 후방공간이 수축할 때 상기 제2받침부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도록 연장되어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온을 내리는 쿨링라인; 및 상기 쿨링라인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링라인은 냉매가 순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쿨링라인 중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는 영역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취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안락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대한 유체의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받침부, 제3받침부 및 제4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의 이완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받침부의 전방공간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2받침부의 후방공간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EE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쿨링라인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FF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 +X축방향은 베개(100-1)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베개(100-1)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베개(100-1)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1에서는 베개(100-1)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가 수축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가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100-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1)는 후방측이 바닥면(미도시)에 접하도록 놓인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미도시)는 베개(100-1)를 베고 누워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베개(100-1)는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머리(미도시) 및 목(미도시)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방바닥(미도시) 또는 방바닥에 놓인 침대와 같은 침구류(미도시)의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받침부(111)는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받친다. 다시 말해, 제1받침부(111)는 전방측 외측면에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받침부(11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받침부(111)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받침부(111)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1받침부(111)는 내부공간에 대한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제1받침부(111)의 높이는 제1받침부(111)의 후방측면에서 전방측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보다 상세히, 유체는 도 2와 같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부(111)는 수축하고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유체는 도 3과 같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부(111)는 팽창하고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제1받침부(111)에는 도 1과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유체이동라인(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이동라인(112)은 일단부가 제1받침부(1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개(100-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유체이동라인(112)에는 제1유체이동라인(112)을 개폐시키는 제1밸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1밸브(113)가 개방동작할 때 제1유체이동라인(112)을 통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고, 제1밸브(113)가 폐쇄동작할 때 제1유체이동라인(112)을 통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한편, 제1유체이동라인 및 제1밸브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이동라인 및 제1밸브는 물놀이튜브의 공기주입부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받침부(121)는 도 1과 같이 제1받침부(11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2받침부(121)는 사용자의 머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받침부(121)는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친다. 다시 말해, 제2받침부(121)는 전방측 외측면에 접하는 사용자의 목뒷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받침부(12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받침부(121)는 제1받침부(11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받침부(121)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2받침부(121)는 내부공간에 대한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제2받침부(121)의 높이는 제2받침부(121)의 후방측면에서 전방측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보다 상세히, 유체는 도 2와 같이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받침부(121)는 수축하고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유체는 도 3과 같이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받침부(121)는 팽창하고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제2받침부(121)에는 도 1과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체이동라인(122)은 일단부가 제2받침부(1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개(100-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유체이동라인(122)에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을 개폐시키는 제2밸브(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2밸브(123)가 개방동작할 때 제2유체이동라인(122)을 통해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고, 제2밸브(123)가 폐쇄동작할 때 제2유체이동라인(122)을 통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유체이동라인 및 제2밸브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받침부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체이동라인 및 제2밸브는 물놀이튜브의 공기주입부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는 유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호흡을 이용하여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체, 즉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손 등을 사용하여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를 압박하여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펌핑동작시키는 손펌프를 제1유체이동라인 및 제2유체이라인에 연결시켜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유체, 즉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유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대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제1받침부(111)와 제2받침부(121)는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1받침부(111)와 제2받침부(121)는 일체로 이동하거나 보관할 수 있고, 나아가 제1받침부(111)와 제2받침부(121) 중 어느 하나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받침부(111)와 제2받침부(121)는 연결부재(1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받침부(111)의 후방측면 및 제2받침부(121)의 후방측면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31)의 전방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31)는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연결부재없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100-1)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본 사용예에서는 사용자(미도시)가 수동으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대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개(100-1)는 별도의 보관장소(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서 배출되고,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수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개(100-1)를 베고 누울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고,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각각 팽창하며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취향 등을 고려하여 안락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유체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제1받침부(111)의 높이와 제2받침부(121)의 높이가 같도록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가 조절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각각 베개(100-1)를 베고 누운 사용자의 머리뒷면 및 목뒷면을 받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베개(100-1)를 베고 있는 과정에,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대해 추가로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기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100-1)는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취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안락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유체이동라인(112) 또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은 도 1과 같이 베개(100-1) 외부로 연장되는 경우, 이동제한부재(133)를 통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이동라인(112) 또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은 사용자가 베개(100-1)를 사용하는 과정에 접히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제한부재(133)는 제1유체이동라인(112) 또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을 감싸는 밴드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동제한부재(133)는 도 1과 같이 제1유체이동라인(112)의 일부 또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의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연결부재(131)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이동제한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유체이동라인의 일부 또는 제2유체이동라인의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제1받침부 또는 제2받침부의 측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커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연결부재(131)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연결부재(131)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에는 다양한 패턴, 장식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는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는 스판 재질의 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공급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유체공급부(132')의 작동을 통해 자동으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1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대한 유체의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에서 +X축방향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4에서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유체공급부(132')는 제1받침부(111)의 제1유체이동라인(112) 및 제2받침부(121)의 제2유체이동라인(122)과 연결될 수 있다.
유체공급부(132')는 유체가 공기인 경우,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에어유입펌프(미도시)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배출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이동라인(112) 및 제2유체이동라인(122)의 각 타단부는 에어유입펌프 및 에어배출펌프를 향해 연장되어 분기되고, 삼방향 밸브와 같은 분기밸브류(미도시)를 통해 에어유입펌프 및 에어배출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유체공급부(132')에는 에어유입펌프, 에어배출펌프, 분기밸브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작동버튼(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작동버튼(132a')에 대한 누름동작 또는 누름해지동작을 통해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대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2받침부, 제3받침부 및 제4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에서 +X축방향은 베개(100-2)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베개(100-2)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베개(100-2)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5에서는 베개(100-2)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서는 제2받침부(121),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가 수축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100-2)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도 1의 111 참조) 및 제2받침부(도 1의 121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2)는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제3받침부(141)는 도 5와 같이 제1받침부(111)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3받침부(141)는 머리뒷면이 바닥면(미도시)을 향하도록 누운 상태의 사용자(미도시)의 머리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받침부(141)는 사용자의 머리우측면을 받친다. 다시 말해, 제3받침부(141)는 제1받침부(111)를 향하는 좌측면이 사용자의 머리 중 우측귀가 형성된 머리우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3받침부(14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받침부(14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3받침부(141)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3받침부(141)는 내부공간에 대한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제3받침부(141)의 높이는 제3받침부(141)의 후방측면에서 전방측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보다 상세히, 유체는 도 6과 같이 제3받침부(141)의 내부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3받침부(141)는 수축하고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유체는 도 7과 같이 제3받침부(14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3받침부(141)는 팽창하고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제3받침부(141)는 팽창한 제1받침부(111)의 높이 및 팽창한 제2받침부(121)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팽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한 제3받침부(14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우측면을 효과적으로 받칠 수 있고, 수면 또는 휴식 과정에 사용자의 머리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우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받침부(141)에는 도 5와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유체이동라인(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유체이동라인(142)은 일단부가 제3받침부(14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개(100-2)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유체이동라인(142)에는 제3유체이동라인(142)을 개폐시키는 제3밸브(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3밸브(143)가 개방동작할 때 제3유체이동라인(142)을 통해 제3받침부(14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고, 제3밸브(143)가 폐쇄동작할 때 제3유체이동라인(142)을 통해 제3받침부(14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제4받침부(151)는 도 5와 같이 제1받침부(111)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4받침부(151)는 머리뒷면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머리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받침부(151)는 사용자의 머리좌측면을 받친다. 다시 말해, 제4받침부(151)는 제1받침부(111)를 향하는 우측면이 사용자의 머리 중 좌측귀가 형성된 머리좌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받침부(15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받침부(15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4받침부(151)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4받침부(151)는 내부공간에 대한 유체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제4받침부(151)의 높이는 제4받침부(151)의 후방측면에서 전방측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보다 상세히, 유체는 도 6과 같이 제4받침부(151)의 내부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4받침부(151)는 수축하고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유체는 도 7과 같이 제4받침부(15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4받침부(151)는 팽창하고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제4받침부(151)는 팽창한 제1받침부(111)의 높이 및 팽창한 제2받침부(121)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팽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한 제4받침부(15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좌측면을 효과적으로 받칠 수 있고, 수면 또는 휴식 과정에 사용자의 머리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의 좌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받침부(151)에는 도 5와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4유체이동라인(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유체이동라인(152)은 일단부가 제4받침부(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개(100-2)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4유체이동라인(152)에는 제4유체이동라인(152)을 개폐시키는 제4밸브(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4밸브(153)가 개방동작할 때 제4유체이동라인(152)을 통해 제4받침부(15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고, 제4밸브(153)가 폐쇄동작할 때 제4유체이동라인(152)을 통해 제4받침부(151)의 내부공간에 대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는 도 7과 같이 서로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팽창할 수 있다. 또는 제3받침부 및 제4받침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팽창할 수 있다.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에 유입되는 유체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는 유체와 같은 종류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에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대해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는 각각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제3받침부(141) 및 제4받침부(151)는 연결부재(13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받침부(111)의 후방측면, 제2받침부(121)의 후방측면, 제3받침부(141)의 후방측면 및 제4받침부(151)의 후방측면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각각 상하방향(예컨대, 도 5에서 볼 때 Z축방향) 및 좌우방향(예컨대, 도 5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31)의 전방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의 이완부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1에서 +X축방향은 베개(100-3)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베개(100-3)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베개(100-3)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8에서는 베개(100-3)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서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이완부(161)가 수축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서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가 팽창하고, 이완부(161)가 수축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내지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이완부(161)가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개(100-3)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이완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도 1의 111 참조) 및 제2받침부(도 1의 121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3)는 이완부(161)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완부(161)는 도 8과 같이 제1받침부(111)와 제2받침부(121) 사이에 개재된다. 이 경우, 이완부(161)는 상측면이 제1받침부(111)의 하측면에 연결되고, 하측면이 제2받침부(121)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완부(16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완부(16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완부(161)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이완부(161)는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한다. 이 경우, 이완부(161)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가 각각 사용자의 머리뒷면 및 목뒷면을 받치는 과정에 팽창할 수 있다. 이때, 이완부(161)는 사용자(미도시)의 목을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완부(161)에는 도 8과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5유체이동라인(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유체이동라인(162)은 일단부가 이완부(16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개(100-3)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완부(161)에 유입되는 유체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는 유체와 같은 종류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3)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베개(100-3)는 보관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이완부(161)에서 유체가 배출되고,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및 이완부(161)는 수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게(100-3)를 베고 누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목을 이완시킬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유체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에 유입되고,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팽창되어 각각 사용자의 머리뒷면 및 목뒷면을 받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완부(161)는 수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게(100-3)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목을 이완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이완부(161)에 유입되고, 이완부(161)는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이완부(161)는 팽창한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 사이에서 팽창하며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완부(161)가 팽창한 상태에서 제1받침부(111)와 머리뒷면이 접하는 접점 및 제2받침부(121)와 목뒷면이 접하는 접점 사이 거리(도 11의 L2 참조)는 이완부(161)가 수축한 상태에서 제1받침부(111)와 머리뒷면이 접하는 접점 및 제2받침부(121)와 목뒷면이 접하는 접점 사이 거리(도 10의 L1 참조)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목은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이동하는 제1받침부(111)에 지지되고, 사용자의 목뒷면은 이동하는 제2받침부(121)에 지지되어 이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완부(161)는 팽창 및 수축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완부(161)는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통해 사용자의 목에 대한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며 스트레칭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게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이 이완유체공급부(171) 및 제어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완유체공급부(171)는 제5유체이동라인(162)과 연결되고, 이완부(161)에 대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완유체공급부(171)는 유체가 공기인 경우, 에어유입펌프(미도시) 및 에어배출펌프(미도시)를 포함하고, 제5유체이동라인(162)의 타단부는 분기되어 분기밸브류(미도시)를 통해 에어유입펌프 및 에어배출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72)는 이완부(161)에 대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설정주기에 따라 반복되도록 이완유체공급부(17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완부(161)는 설정주기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며 사용자의 목에 대한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172)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설정주기를 수신하여 이완유체공급부(17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는 사용자가 설정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재 및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주기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유체공급부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완부가 사용자의 목을 이완시키도록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완부는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가 각각 사용자의 머리뒷면 및 목뒷면을 받치는 과정에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제5유체이동라인에 연결된 손펌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이 목적하는 상태로 이완되도록 이완부를 팽창시키고, 이후 이완부의 팽창 또는 수축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완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도 2의 100-2 참조)의 제1받침부(도 2의 111 참조) 및 제2받침부(도 2의 121 참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2받침부의 전방공간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의 제2받침부의 후방공간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2 내지 도 15에서 +X축방향은 베개(100-4)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베개(100-4)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베개(100-4)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12에서는 베개(100-4)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서는 제2받침부(121)의 전방공간(121a) 및 후방공간(121b)이 수축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개(100-4)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111)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도 1의 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4)는 제2받침부(121)의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제2받침부(121)는 제1받침부(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받침부(111)와 연결된다.
제2받침부(121)는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친다.
제2받침부(121)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2받침부(121)는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은 도 13과 같이 구획부재(182)를 통해 전방공간(121a) 및 후방공간(121b)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부재(182)는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측단부가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받침부(121)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획부재(182)는 제2받침부(121)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방공간(121a)은 내부공간 중 구획부재(182)를 기준으로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공간이고, 후방공간(121b)은 내부공간 중 구획부재(182)를 기준으로 전방공간(121a)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제2받침부(121)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치도록 팽창할 때 전방공간(121a) 및 후방공간(121b)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받침부(121)는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칠 때, 전방공간(121a) 및 후방공간(121b) 중 어느 하나에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고, 나머지 하나에서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할 수 있다.
제2받침부(121)에 연결되는 제2유체이동라인(122)의 일단부는 도 12와 같이 전방공간(121a)에 연결되는 전방분기영역(122a) 및 후방공간(121b)에 연결되는 후방분기영역(122b)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전방분기영역(122a)에는 전방분기영역(122a)을 개폐하는 전방밸브(123a)가 형성되고, 후방분기영역(122b)에는 후방분기영역(122b)을 개폐하는 후방밸브(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받침부(121)의 내부에는 도 13과 같이 지압부재(181)가 배치된다. 지압부재(181)는 제2받침부(121)가 받치는 사용자의 목뒷면을 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압부재(181)는 복수의 지압돌기(18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압돌기(181a)는 도 13과 같이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3개의 지압돌기(181a)는 각각 전후방향(예컨대, 도 13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방향(예컨대, 도 13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지압돌기(181a)의 수 및 배치구조는 제2받침부(121)의 내부공간의 크기 또는 지압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압부재(181)는 구획부재(182)의 전방측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압부재(181)는 후방공간(121b)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지압부재(181)는 전방공간(121a)이 수축하고 후방공간(121b)이 팽창할 때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하고, 전방공간(121a)이 팽창하고 후방공간(121b)이 수축할 때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을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받침부(121)는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칠 때 사용자의 목에 대해 지압하거나 지압을 중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4)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사용예에서는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 중 제2받침부(121)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앞선 사용예(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100-1)의 사용예 참조)에서 설명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작동하는 제1받침부(111)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베개(100-4)는 보관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전방공간(121a) 및 후방공간(121b)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전방공간(121a)은 제2받침부(121)의 전방 내측면과 구획부재(182) 사이 간격이 지압부재(181)의 연장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축하고, 후방공간(121b)은 구획부재(182)가 제2받침부(121)의 후방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수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개(100-4)를 베고 누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목에 대해 지압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전방공간(121a)에 유입되고, 후방공간(121b)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전방공간(121a)은 제2받침부(121)의 높이가 사용자가 희망하는 높이로 조절되도록 팽창하고, 후방공간(121b)은 수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면은 지압부재(18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압부재(181)는 사용자의 목뒷면에서 멀어지며 사용자의 목에 대한 지압을 중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베게(100-4)를 베고 누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목에 대해 지압을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전방공간(121a)에서 배출되고, 후방공간(121b)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전방공간(121a)은 수축하고, 후방공간(121b)은 제2받침부(121)의 높이가 사용자가 희망하는 높이로 조절되도록 팽창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획부재(182)는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면을 향해 이동하고, 지압부재(181)는 제2받침부(121)의 전방측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받침부(121)의 전방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에 대해 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4)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또는 취향 등을 고려하여 조절된 높이에서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목을 지압할 수 있다.
한편, 지압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도 2의 100-2)의 제2받침부(도 2의 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EE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6 및 도 17에서 +X축방향은 베개(100-5)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베개(100-5)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베개(100-5)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16에서는 베개(100-5)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 및 도 17에서는 제1받침부(111)가 팽창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받침부(111)가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베개(100-5)는 제1받침부(111), 제2받침부(121), 쿨링라인(191) 및 냉매공급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도 1의 111 참조) 및 제2받침부(도 1의 121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5)는 쿨링라인(191) 및 냉매공급부(192)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쿨링라인(191)은 제1받침부(111) 및 제2받침부(121)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도록 연장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쿨링라인(191)이 도 16과 같이 제1받침부(111)를 지나도록 연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받침부를 지나도록 연장되거나,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 모두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쿨링라인(191)은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 경우, 쿨링라인(191)에는 여름과 같이 외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때 냉매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쿨링라인(191)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제1받침부(11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뒷면과 열교환하며 사용자의 체온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의 온도가 상대적은 높은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5)를 베고 보다 시원하고 쾌적하게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냉매공급부(192)는 쿨링라인(191)으로 냉매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매공급부(192)는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저장탱크(192a) 및 냉매저장탱크(192a)에 저장된 냉매가 쿨링라인(191)으로 유입되어 이동하도록 펌핑하는 냉매펌프(19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쿨링라인(191)에는 쿨링라인(191)을 개폐시키는 쿨링밸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이 외부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한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쿨링라인(191)은 도 16과 같이 냉매가 순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도 16의 화살표 참조)는 물과 같은 액체일 수 있고, 쿨링라인(191)을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의 체온을 내리고, 냉매저장탱크(192a)로 회수되어 쿨링라인(191)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때, 쿨링라인(191) 중 제1받침부(111)를 지나는 영역(이하, 쿨링영역이라 한다.)은 도 17과 같이 제1받침부(111)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쿨링영역(도 17에서 볼 때 점선 영역)은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제1받침부(111)의 내부공간을 관통하고, 제1받침부(111)의 전방측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라인(191)은 제1받침부(11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뒷면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쿨링영역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의 외부에서 제1받침부의 전방측 외측면에 포개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쿨링라인(191) 중 쿨링영역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영역은 쿨링라인(191)의 나머지 영역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거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쿨링영역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의 전방측 외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1받침부의 전방측 외측면, 즉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접촉되는 부분 중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쿨링영역은 제1받침부의 전방측 외측면, 즉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접촉되는 부분 전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쿨링라인(191')에는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제1받침부(111)를 지나는 영역(이하, 쿨링영역이라 한다.)에 다수의 미세구멍(191a')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8은 도 16의 쿨링라인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FF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에서 +X축방향은 제1받침부(111)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Y축은 제1받침부(111)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은 제1받침부(111)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받침부(111)가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각 미세구멍(191a')은 제1받침부(11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도 19의 화살표 참조)는 공기와 같은 기체일 수 있고, 각 미세구멍(191a')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향해 배출되어 사용자의 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다.
쿨링라인(191') 중 쿨링영역은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제1받침부(111)의 외측면 중 전방측면과 상측면의 경계부분에 배치되고, 각 미세구멍(191a')은 제1받침부(111)의 전방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라인(191')은 제1받침부(111)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머리뒷면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쿨링라인 중 쿨링영역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받침부의 전방측부, 즉 제1받침부 중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각 미세구멍은 제1받침부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각 미세구멍(191a')은 제1받침부(111)에 대한 쿨링영역의 배치구조에 따라 냉매가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향해 배출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쿨링라인(191')은 일단부가 냉매공급부에 연결되고, 제1받침부(111)를 지나는 타단부가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공급부에서 쿨링라인(191')으로 유입된 냉매는 미세구멍(191a') 이외의 영역에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쿨링라인 및 냉매공급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도 2의 100-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쿨링라인은 제1받침부(도 2의 111 참조), 제2받침부(도 2의 121 참조), 제3받침부(도 2의 141 참조) 및 제4받침부(도 2의 151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1, 100-2, 100-3, 100-4, 100-5: 베개
111: 제1받침부
112: 제1유체이동라인
113: 제1밸브
121: 제2받침부
122: 제2유체이동라인
123: 제2밸브
131: 연결부재
132': 유체공급부
141: 제3받침부
142: 제3유체이동라인
143: 제3밸브
151: 제4받침부
152: 제4유체이동라인
153: 제4밸브
161: 이완부
162: 제5유체이동라인
163: 제5밸브
171: 이완유체공급부
172: 제어부
181: 지압부재
182: 구획부재
191,191': 쿨링라인
191a': 미세구멍
192: 냉매공급부

Claims (9)

  1.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머리뒷면을 받치는 제1받침부;
    상기 제1받침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전방측면이 사용자의 목뒷면을 받치는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되, 팽창할 때 사용자의 목이 이완되도록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완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와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접하는 접점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사용자의 목뒷면이 접하는 접점 사이 거리는 상기 이완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와 사용자의 머리뒷면이 접하는 접점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사용자의 목뒷면이 접하는 접점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이완부는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목에 대한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 대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유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머리우측면을 받치는 제3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받침부 및 상기 제2받침부와 연결되고, 내부공간에 대해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거나 배출되어 수축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머리좌측면을 받치는 제4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부의 내부에는 지압부재가 배치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부의 내부공간은 구획부재를 통해 상기 제2받침부의 전방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전방공간 및 상기 전방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전방공간 및 후방공간 중 어느 하나는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하고, 나머지 하나는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하며,
    상기 지압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공간이 수축하고 상기 후방공간이 팽창할 때 상기 제2받침부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하고,
    상기 전방공간이 팽창하고 상기 후방공간이 수축할 때 상기 제2받침부에 받쳐지는 사용자의 목뒷면에 대해 지압을 중지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도록 연장되어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온을 내리는 쿨링라인; 및
    상기 쿨링라인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라인은 냉매가 순환하도록 연장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라인 중 상기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는 영역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0190097908A 2019-08-12 2019-08-12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14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08A KR102143033B1 (ko) 2019-08-12 2019-08-12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08A KR102143033B1 (ko) 2019-08-12 2019-08-12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33B1 true KR102143033B1 (ko) 2020-08-10

Family

ID=7204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08A KR102143033B1 (ko) 2019-08-12 2019-08-12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39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医研工業 形状と高さとを調整可能な空気枕
JPH11313741A (ja) * 1998-05-07 1999-11-16 France Bed Co Ltd
KR101085245B1 (ko)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경혈 지압용 베개
JP5314802B1 (ja) * 2011-08-29 2013-10-16 和夫 大場 流体袋を備えた寝具用傾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39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医研工業 形状と高さとを調整可能な空気枕
JPH11313741A (ja) * 1998-05-07 1999-11-16 France Bed Co Ltd
KR101085245B1 (ko)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경혈 지압용 베개
JP5314802B1 (ja) * 2011-08-29 2013-10-16 和夫 大場 流体袋を備えた寝具用傾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539A (en) Adjustable firmness coil spring mattress with inflatable tubes
US11957251B2 (en)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JP7295040B2 (ja) ベッド用エアシステム
CN103622356B (zh) 坐垫,用该坐垫的座位装置和套件
CN111741698B (zh) 包括具有用于引导空气流的多种织物类型的袋装线圈层的支撑垫和控制支撑垫的表面温度的方法
US20130205506A1 (en) Topper with Preferential Fluid Flow Distribution
US11019934B2 (en)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JP2003507085A (ja) マニホールドシステムを備えた膨張式クッション装置
WO2005120295A1 (en) Environmentally conditioned furniture
US5640731A (en) Air mattress
KR200474184Y1 (ko) 쿠션 조절용 메모리폼 베개
CN109124160B (zh) 软硬度可调的音乐按摩床垫
CN111227563B (zh) 一种气压自适应平衡床垫
KR10214303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CN117377413A (zh) 混合式床垫
WO2019183535A1 (en) Adjustable mattress with foam inserts and air chambers
CN204909893U (zh) 交替充气式气垫床
CN211862367U (zh) 一种气压自适应平衡床垫
US10765219B1 (en) Lounger having a pneumatic lounging system
KR100204718B1 (ko) 침대매트리스용 공기쿠션장치
US20020092097A1 (en) Orthotic pillow
US20170202363A1 (en) Fluid contour cushion for beds and seats
KR102034430B1 (ko) 에어 매트리스
JP3248185U (ja) マッサージ機能及び硬さ調整機能を備えたエアマットレス
CN208480995U (zh) 一种婴儿定型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