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83A -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83A
KR20130139683A KR1020120063353A KR20120063353A KR20130139683A KR 20130139683 A KR20130139683 A KR 20130139683A KR 1020120063353 A KR1020120063353 A KR 1020120063353A KR 20120063353 A KR20120063353 A KR 20120063353A KR 20130139683 A KR20130139683 A KR 2013013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solution
molded body
color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주
심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Priority to KR102012006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683A/ko
Publication of KR2013013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32Titanium oxides or titanates, e.g. rutile or ana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44Zirconium oxides, zirconates, hafnium oxides, hafn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함에 있어서 그 발색이 표면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소지 깊이 방향으로 전체에 고루 발색시키고, 금속산화물 세라믹 표면을 국부적으로 채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으로서, 금속 산화물 세라믹 재료와 결합제를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형체에서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체내의 기공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열승온하여 가소결하는 단계; 상기 가소결된 성형체의 표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METHOD OF COLORING METAL OXIDE CERAMICS}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함에 있어서 그 발색이 표면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소지 깊이 방향으로 전체에 고루 발색시키고, 또한 금속산화물 세라믹 표면을 국부적으로도 채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르코니아(ZrO2)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과 같은 금속산화물 세라믹들은 긁힘 방지 케이스, 시계밴드 또는 팔찌, 반지를 제조하는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순수한 지르코니아 또는 순수한 알루미늄의 색상은 젖빛 흰색으로서 색상이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산화물 세라믹에 대한 채색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세라믹 제조자들에 의해 인식되어 왔고 또한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혹은 티타니아를 채색하는 방법들은 이미 광범위하게 세라믹 제조자들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라믹 채색 방법들은 성형 단계에 앞서 세라믹분말과 안료를 사전 혼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세라믹 채색방법은 세라믹들이 전체적으로 채색되기 때문에 부분 장식이나 문양 디자인들을 세라믹에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도자기의 문양이나 그림은 수작업에 의하여 제작된 도자기 원형을 초벌구이 또는 재벌구이한 후에, 안료로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유약을 도포하거나, 유약을 도포한 위에 그림을 그려 넣어 소성함으로써 문자, 도형, 문양, 그림 등을 형성하여 왔다. 그러나, 유약의 사용방법, 즉, 도포량, 소성온도에 의해 상이한 제품이 생성됨은 물론이고, 제조된 도자기 역시 심미감이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 제조방법 역시 규격화되지 못하여 광범위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단절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유약의 착색방법으로 보통 유약에 금속산화물 등을 첨가해서 착색시키는데, 첨가물은 높은 온도에서 유약과 반응해서 용해하여 발색한다. 이러한 유약을 사용하는 도자기의 색상은 1,000℃ 미만에서는 다양하고 풍부한 색상을 얻을 수 있지만,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혹은 티타니아 등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최소한의 소결 온도인 1,300℃ 이상에서는 색깔 발현에 극히 제한을 받는다. 또한 이러한 도자기 채색 방법은 색깔이 발현되는 부분이 도자기 소지 표면으로부터 0.1mm 미만에 국한되기 때문에 0.1mm이상의 깊이로 색깔이 발현되어야 하는 표면정밀가공이 필요한 정밀부품 혹은 정밀 시계 외장 부품에서는 위 채색방법을 이용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금속염화물의 경우, 그 특성이 수용성이기에 도자기의 안료로서 사용하지 않아 왔다. 왜냐하면, 불용성 재료가 아닌 물에 녹는 수용성 재료를 사용하여 초벌구이한 소지에 색을 입히는 경우 소지가 그대로 수용성 재료를 흡수해 버리므로 발색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물에 녹는 수용성 재료를 쓰지 않는 것이 관행이었다. 또한 수용성 재료인 금속염화물이 소지에 흡수되는 것을 감안하여 다량의 금속염화물을 사용하여 발색하는 경우를 산정한다 해도 금속염화물이 고가이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금속산화물을 유약에 첨가하여 발색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4264호에서 안료로서 금속염화물 수용액을 이용한 채색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도자기 소지에 금속 염화물 안료의 흡수를 방지 혹은 예방하기 위하여 900℃로 초벌구이하고 유약을 시유(施釉)한 소지의 표면에 금속 염화물 수용액을 칠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방식으로 도자기 표면층만 발색시키는 방법에 불과하다.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좀더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07-9322호에서 금속산화물 타입의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채색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구성이 플라즈마처리 및 레이저의 조명을 이용하는 것으로 복잡한 절차 및 기계장치를 이용하여야 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9794호에서는 착색 알루미나 자기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세라믹 조성물에 착색제로서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것으로서 성형 단계에 앞서 세라믹분말과 안료를 사전 혼합하는 종래 기술에 불과하다.
(특허문헌 1) KR10-864264 B1
(특허문헌 2) KR10-2007-9322 A
(특허문헌 3) KR10-139794 B1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함에 있어서 그 발색이 표면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소지의 깊이 방향으로 전체에 고루 발색시킬 수 있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세라믹 표면의 패턴들이 감소된 콘트라스트를 가질 수 있도록 국부적 채색을 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용성과 수용성 용제를 단독 혹은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안료의 혼합 혹은 번짐 방지 등의 효과도 연출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료로서 금속염화물 뿐만 아니라, 여타의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화합물을 사용하여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히 금속 이온 물질을 세라믹 소지에 깊이 침투시켜 색상을 발현시키는 것으로, 표면 정밀 가공이 꼭 필요한 시계 부품 혹은 전자 기계 부품에도 적용 가능한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은, 금속 산화물 세라믹 재료와 결합제를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형체에서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체내의 기공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열승온하여 가소결하는 단계; 상기 가소결된 성형체의 표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는 지르코니움산화물, 알루미늄산화물, 티타늄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물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수용액이고, 상기 소결 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지용성 용제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용액이고, 상기 소결 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산화물 분말은 더 다양한 색상 및 미감 발현을 위하여 2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 분말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료는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질산염(Nitrate)용액, 초산염(Acetate)용액, 암모늄염(Ammonium)용액, 탄산염(Carbonate)용액, 인산염(Phosphate)용액, 염화물(Chloride)용액, 황산염(Sulfate)용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용액 또는 2 이상의 혼합물 용액으로서 농도는 0.1%에서 80%이고, 소결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가 환원분위기 또는 산화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함에 있어서 그 발색이 표면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소지 깊이 방향으로 전체에 고루 발색시키고, 금속산화물 세라믹 표면의 패턴들이 감소된 콘트라스트를 가질 수 있도록 국부적 채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용성과 수용성 용제를 단독 혹은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안료의 혼합 혹은 번짐 방지 등의 효과도 연출할 수 있고, 안료로서 금속염화물 뿐만 아니라, 여타의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화합물을 사용하여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금속 이온 물질을 세라믹 소지에 깊이 침투시켜 색상을 발현시켜 표면 정밀 가공이 꼭 필요한 시계 부품 혹은 전자 기계 부품에도 적용 가능한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채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체 채색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국부적으로 채색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안료의 침투깊이를 조절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의 단면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은 금속 산화물 세라믹 재료와 결합제를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준비하는단계; 상기 성형체에서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체내의 기공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열승온하여 가소결하는 단계; 상기 가소결된 성형체의 표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세라믹 재료와 결합제를 혼합하여 성형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술로서, 여기서는 분말 프레스 방법과 분말 사출 성형 공법을 적용하여 금속세라믹 재료를 성형한다.
금속세라믹 재료의 성형을 위하여 첨가된 결합제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파라핀왁스, 스테아린산, 가소제(헥사몰딘치) 등을 사용하는데, 상기 결합제는 금속 화합물류의 안료 용액의 젖음성(Wetting)을 방해하기 때문에 가열 처리하여 분해 제거하는 데, 이때 최종 승온온도를 최소 300℃에서 1250℃까지로 하여 결합제가 제거된 후 남게 될 성형체 내 공간, 즉 기공률(Porosity rate)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공율은 다공성 성형체에 금속 화합물 용액의 침투량을 결정, 즉 기공률이 증가되면 금속 화합물 용액의 침투량과 침투 깊이가 더 많고 깊어지며, 침투 시간도 그만큼 빨라지는 반면, 기공율이 너무 적으면, 금속 화합물 수용액의 침투량이 적고, 또한 침투 깊이도 얇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기공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안료의 침투량과 침투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금속세라믹 재료에 채색된 색상의 발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가소결된 성형체 즉 세라믹 소지에 안료를 문양 디자인에 따라 칠, 침적, 침투, 함침 혹은 인쇄(Ink Jet Printing)하여 금속세라믹 재료를 채색(장식)한다.
상기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는 지르코니움산화물, 알루미늄산화물, 티타늄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다양한 색상의 발현과 미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위의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에 이종 금속산화물을 0.1 % 내지 50%를 혼합한 금속산화물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물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수용액 또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지용성 용제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용액을 이용하며, 금속세라믹 소재가 치밀화된 구조를 이루게 하고 금속세라믹 소재와 금속 양이온과 반응하여 스피넬 구조의 화합물이 생성하게 하여, 이들 생성된 스피넬 구조의 화합물들이 색상 발현을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결 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산화물 분말은 더 다양한 색상 및 미감 발현을 위하여 2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 분말이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질산염(Nitrate)용액, 초산염(Acetate)용액, 암모늄염(Ammonium)용액, 탄산염(Carbonate)용액, 인산염(Phosphate)용액, 염화물(Chloride)용액, 황산염(Sulfate)용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 용액임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채색 혹은 장식용 안료는 수화, 무수화 형태의 금속원소(알카리류, 희토류 금속 등을 포함)를 포함하는 염화물, 질화물, 황화물, 암모늄염, 탄산염, 인산염, 황산염등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용액의 농도는 0.1%에서 80%농도이고, 1250℃ 내지 1650℃의 소결 온도에서 세라믹의 치밀화와 동시에 색상이 발색된다.
이때, 금속 화합물은 금속은 Au, Ag, Cu, Fe, Mn, Cr, Co, V, Ni, Ti, Nb, W, Mo 등으로 구성되는 전이금속의 군 혹은 Ce, Pr, Nd, Eu, Tb, Er, Ta등으로 구성되는 희토류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색상과 미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구체적인 색상 발현을 위하여 상기 채색한 세라믹 재료를 소결하는 단계를 환원분위기 또는 산화분위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르코니아 분말과 결합제인 폴리에틸렌을 부피비 50 : 50 으로 혼합하고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시계케이스를 성형하였다. 위 성형된 시계케이스를 가열하여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성형된 시계케이스 내에 공간, 즉 기공을 충분히 형성하기 위하여 최종 승온온도를 900℃까지로 하여 가소결하여, 가소결된 시계케이스(가소결체)의 부피가 위 지르코니아 분말과 폴리에틸렌의 부피의 45 vol%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금속화합물 Na2CrO44H2O 10g을 물 100cc에 용해시킨 후, 그 용액을 가소결체에 침적하여 가소결체의 공극에 Na2CrO44H2O용액을 함침시켰다. 건조 후에 가소결체를 소결온도인 1400℃까지 승온하여 Na2CrO4 4H2O 중 Cr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를 분해 및 휘발시키고 Cr과 ZrO2는 반응하여 Cr-ZrO2의 스피넬 구조가 되어 금속세라믹 재료 전체를 분홍색상으로 발색시킬 수 있었다(전체 채색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의 사진인 도 1 참조).
지르코니아 분말과 결합제인 폴리에틸렌을 부피비 50 : 50 으로 혼합하고,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시계케이스 제품을 성형하였다. 위 제품을 가열하여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성형된 시계케이스 제품 내에 공간, 즉 기공을 충분히 형성하기 위하여 최종 승온온도를 800℃로하여 가소결하였고, 가소결된 시계케이스(가소결체)의 부피가 위 지르코니아 분말과 폴리에틸렌의 부피의 50vol%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가소결체 3개를 만들었다.
그리고, 금속화합물인 Co(NO3)2 6H2O 2, 5, 10g을 각각 물 100cc에 용해시켜 각각 2%, 5%, 10%의 Co(NO3)2 6H2O용액을 제조하였다.
위에서 만들어진 가소결체 중 첫번째 가소결체를 2% Co(NO3)2 6H2O용액으로 부분적으로 함침시켜 금속산화물 세라믹을 부분적으로 채색하였다(도 2의 사진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적으로 채색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 참조).
두번째 가소결체에는 2%의 Co(NO3)2 6H2O용액과 5%의 Co(NO3)2 6H2O용액의 액적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함침시켰다. (도 2의 사진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분적으로 채색된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 참조).
또한 세번째 가소결체에는 비수용성 용액인 실리콘 오일로 미리 부분적으로 침투시킨 다음에, 10%의 Co(NO3)2 6H2O 화합물 용액을 전체적으로 가소결체에 함침시켰다. 즉, 지용성 용액을 부분 함침한 후 10% 용액을 전체 침적함으로써 먼저 지용성 부분 함침한 부위에 10% 용액의 함침이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였다(도 2의 사진 중 오른쪽에 위치한 세라믹소재 참조).
위의 3개 가소결체를 건조 한후 소결온도 1400℃까지 승온하여 Co(NO3)2 6H2O중 Co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를 분해 및 휘발시키고 Co와 ZrO2는 반응하여 Co-ZrO2의 스피넬 구조로 하는 연보라, 파랑, 흑청색 색상을 부분적으로 발색시킬 수 있었다.
즉, 첫번째 세라믹 소재는 2%의 Co(NO3)2 6H2O용액을 이용하여 연보라색으로 부분적으로 채색할 수 있었고, 두번째 세라믹 소재는 2%의 Co(NO3)2 6H2O용액과 5%의 Co(NO3)2 6H2O용액을 이용하여 연보라색과 파란색(또는 남색)으로 채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번째 세라믹 소재는 지용성 용액과 10%의 Co(NO3)2 6H2O용액을 이용하여 흙청색으로 부분적으로 채색할 수 있었다.
지르코니아 분말과 결합제를 부피비 50 : 50 으로 혼합하고,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시계 케이스를 성형하였다. 위 제품을 가열하여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성형체 내 공간, 즉 기공을 충분히 형성하기 위하여 최종 승온온도를 1100℃로 하였으며, 기공율은 약 43% 측정되었다. 가소결체를 우선 5% Co(NO3)2 6H2O용액으로 먼저 침적 처리하여 용액을 완전히 내부로 함침시켰다. 그리고 함침된 가소결체을 완전 건조한 후, 10% Co(NO3)2 6H2O용액에 5 초간 침적처리 함으로써 표면에만 10% 용액으로 도포 할 수 있었다. 이때 침적시간은 5초로 하였으나, 표면층 두께에 따라 1초에서 10초 이내로 조절 가능하다. 도 3에서 보듯이 금속산화물 세라믹인 시계케이스의 표면층의 색상과 내부층의 색상을 달리 표현할 수 있었다. 종래에는 침투깊이가 최대 0.3mm를 넘지 못하고, 한 가지 색상만 표현 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1.6mm이상의 색상을 침투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가지 이상의 색상을 표현 할 수도 있었다. 즉 최초 5%Co(NO3)2 6H2O용액으로 침적된 내부층은 밝은 청색으로, 10% Co(NO3)2 6H2O 용액으로 표면층을 다시 침적한 층은 진청색의 층 그리고 가소결체의 최초 색상으로 이루어진 3색층을 갖는 재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3색층을 갖는 재료는 표면 연삭 정도에 따라 색상 차이을 유발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금속 산화물 세라믹 재료와 결합제를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준비하는단계;
    상기 성형체에서 결합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체내의 기공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열승온하여 가소결하는 단계;
    상기 가소결된 성형체의 표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는 지르코니움산화물, 알루미늄산화물, 티타늄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금속산화물 세라믹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물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수용액이고,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분말을 지용성 용제에 분산시켜 제조된 0.1%에서 60%농도의 용액이고,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분말은 더 다양한 색상 및 미감 발현을 위하여 2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 분말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질산염(Nitrate)용액, 초산염(Acetate)용액, 암모늄염(Ammonium)용액, 탄산염(Carbonate)용액, 인산염(Phosphate)용액, 염화물(Chloride)용액, 황산염(Sulfate)용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용액 또는 2 이상의 혼합물 용액으로서 농도는 0.1%에서 80%이고, 소결온도는 1250℃ 내지 1650℃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색한 성형체를 소결하는 단계가 환원분위기 또는 산화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세라믹의 채색방법.
KR1020120063353A 2012-06-13 2012-06-13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KR2013013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53A KR20130139683A (ko) 2012-06-13 2012-06-13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53A KR20130139683A (ko) 2012-06-13 2012-06-13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83A true KR20130139683A (ko) 2013-12-23

Family

ID=4998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53A KR20130139683A (ko) 2012-06-13 2012-06-13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6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84A (ko) * 2019-12-19 2021-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물성이 향상된 유색 지르코니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84A (ko) * 2019-12-19 2021-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물성이 향상된 유색 지르코니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2074B2 (ja) 着色工業用セラミック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21388B (zh) 着色工艺陶瓷体及其获取方法
CN105924230B (zh)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CN102795892A (zh) 一种渗花瓷质砖及其生产方法
CN105175027B (zh) 一种具有立体装饰效果的陶瓷及其制备方法
KR101940111B1 (ko) 2컬러 지르코니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CN105622169B (zh) 一种彩色陶瓷及其制备方法
CN107336339A (zh) 一种多图层陶制品装饰去除法制作工艺
CN106827200B (zh) 陶瓷表面处理的方法及陶瓷外壳
KR20130139683A (ko) 금속산화물 세라믹 채색방법
KR101308525B1 (ko)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JP6093900B1 (ja) 内部を着色された歯科用仮焼成体
KR101374850B1 (ko) 다공성 소지를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KR20160054233A (ko)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CN109605555B (zh) 一种复合电镀釉下彩抛釉砖及其制备方法
KR100864264B1 (ko) 금속염화물 수용액을 이용한 채색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9180147A (zh) 喷墨渗花陶瓷砖喷墨渗花坯料助色粉及其应用方法
JP3236725B2 (ja) セラミック部材の彩色方法
CN116947470B (zh) 具有仿旧和黑云印记效果的剃花纹陶瓷及其制备方法
CN104193301A (zh) 用于中温烧成通花瓷的坯料和中温烧成通花瓷的制备方法
KR101191886B1 (ko)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적화장토
KR100487044B1 (ko) 전이금속의 수용성 염 용액의 코팅에 의한 채색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900473B1 (ko) 도자기 제조방법
JP2024019088A (ja) 多色セラミック部品の製造
KR20160053485A (ko) 수묵화용 도자기 안료 및 이를 이용한 수묵화 도자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