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233A -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233A
KR20160054233A KR1020140153547A KR20140153547A KR20160054233A KR 20160054233 A KR20160054233 A KR 20160054233A KR 1020140153547 A KR1020140153547 A KR 1020140153547A KR 20140153547 A KR20140153547 A KR 20140153547A KR 20160054233 A KR20160054233 A KR 20160054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technique
inlaid
ceramics
in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453B1 (ko
Inventor
박종훈
신라연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4Colouring ma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6Reinforced clay-wa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 C04B2235/408Noble metals

Abstract

본 발명은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태칠기와 다양한 상감 기법을 결합시켜 응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상감 기법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독특하고 선명한 상감 문양을 나타냄과 동시에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 비교하여 심미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또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을 표현한 새로운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DOTAECHILGI WITH INLAY}
본 발명은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태칠기와 다양한 상감 기법을 결합시켜 응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상감 기법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독특하고 선명한 상감 문양을 나타냄과 동시에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 비교하여 심미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또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을 표현한 새로운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태칠기(陶胎漆器)란 도자 표면에 옻액을 칠하여 마감하는 기법으로, 구체적으로, 도태칠기는 도자기로 기형을 만들어 800℃~950℃에서 초벌소성하여 도자기 표면의 일부는 유약으로 장식하고 나머지는 남겨두고 1230℃~1300℃에서 재벌소성하여 유약을 바르지 않은 부분을 옻칠로 마감하는 기법을 말한다. 기존의 유약을 바른 도자기가 나오기 전 도태칠기의 제작방법은 거친 그릇의 표면을 마연(磨硏)하여 칠을 올리거나 또는 표면의 안과 밖을 흑칠과 생칠로 마감하여 방수와 방부, 내구성 등의 기능적 쓰임으로 시작되었는데, 현재는 유약의 발견과 옻칠기법의 다양성으로 현대의 도태칠기는 기능적 활용보다는 심미성을 갖추어 제작되어 과거와는 다르게 구분되고 있다. 일반적인 도태칠기의 장식기법으로는 옻칠의 표현기법인 나전기법(螺鈿), 줄음질(切拔法), 끊음질(切貝法), 타찰법(打擦法), 할패법(割貝法), 시패법(蒔貝法), 난각(卵殼), 칠화(漆畵), 시회(時繪), 박회(箔繪), 교칠(絞漆) 등을 사용해왔다. 연질그릇의 내구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 기능적으로 사용되었던 도태칠기는 현대에 이르러 도자 장식표현의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재조명 받고 있으며, 이러한 도태칠기는 현대의 도예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어 점차적으로 도태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일부의 도예 작가들에 의해서 도태칠기의 장식기법으로 상감기법을 응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도태칠기 상감 문양의 표현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장식을 선명하게 드러내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한편, 상감 기법이란 공예품에 문양을 나타내는 장식 기법 중 하나로 금속, 도자기, 나무 등의 표면에 다른 재료, 예컨대 금, 은, 보석, 자개, 뼈, 뿔 등을 넣어서 문양을 만드는 장식 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상감 기법은 자기가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문양을 새겨 넣고 그 부분에 백토나 자토를 메꾸고 초벌구이를 한 다음에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를 하는 방식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도태칠기와 다양한 상감 기법을 결합시켜 응용함으로써 상감 문양을 선명하게 드러나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적인 상감 기법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독특하고 선명한 상감 문양을 나타냄과 동시에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 비교하여 심미성이 월등하게 향상되었고, 또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약으로 장식된 도자기에서 느낄 수 없는 독창적인 미감과 색감을 갖출 수 있는 도자 표면의 새로운 장식 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이용하여 옻칠이 안정적이며 고르게 부착할 수 있도록 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강도를 갖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고대 칠기의 칠기법 연구: 초기철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발굴 칠기유물을 중심으로, 이용희(2010)
본 발명은 도태칠기와 다양한 상감 기법을 결합시켜 응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과 색감을 갖추었고 도자 표면의 새로운 장식 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반적인 상감 기법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독특하고 선명한 상감 문양을 나타냄과 동시에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 비교하여 심미성이 월등하게 향상된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을 표현하고 옻칠이 안정적이며 고르게 부착할 수 있도록 흡수력, 내구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강도를 갖는 새로운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에 상감 문양을 낸 빈 공간에 다공성 소지를 채우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을 옻칠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에 황토, 금분, 은분, 나전가루 및 색건조옻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옻칠용 재료를 혼합하여 채우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를 거친 도자기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은 도태칠기와 다양한 상감 기법을 결합시켜 응용하였고, 유약으로 장식된 상감부분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다공성 소지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미감을 표현하였다. 따라서, 도자기에서 느낄 수 없는 독창적인 미감과 색감을 갖추게 되므로 도자 표면의 새로운 장식 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켜 도자 표현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상감 부분을 채우는 다공성 소지 및 다양한 재료들은 옻칠이 안정적이며 고르게 부착할 수 있는 역할을 함으로써 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되었고 이를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 도자기의 내구성 또는 강도를 우수하게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칠공예의 장식적 기법 범주에서 벗어나 특성을 살린 도태칠기 상감 제작 방법을 제시 할 수 있게 되어 현대 도태칠기의 새로운 재료의 개발과 조형성과 기능을 겸비한 공예품으로써의 도태칠기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원 명세서의 실시예4에 따라 제조된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과 금분을 사용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원 명세서의 상감 기법 중 음각 기법에 따라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원 명세서의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에 따라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원 명세서의 상감 기법 중 귀얄문 기법에 따라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첫번째 방법으로,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에 상감 문양을 낸 빈 공간에 다공성 소지를 채우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을 옻칠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단계에서 도자기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성형 또는 정형할 수 있고, 그 후 제 2단계에서 상기 도자기를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기법 중 음각 기법이란 재료의 면에 글자나 그림을 오목하게 파서 나타내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일 구현예로 음각 기법으로 제조한 도자기 기물을 도 6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기법 중 인화문(印花紋) 기법이란 도자기를 만들 때 도장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도구로 눌러 찍어 무늬를 만드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일 구현예로 인화문 상감기법으로 제조한 도자기 기물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기법 중 귀얄문 기법이란 귀얄(풀비 : 풀이나 옻을 칠할 때에 쓰는 기구) 같은 넓고 굵은 붓으로 형체가 완성된 기면(器面) 위에 백토(白土)를 바르는 기법을 의미하며, 귀얄문 기법은 사용하는 붓의 특성상 기면에 털자국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일반적인 백토 분장과 구별된다.본 발명에 일 구현예로 귀얄문 기법으로 제조한 도자기 기물을 도 14에 나타내었다.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기법 중 나전 기법이란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옻칠한 공예품 및 도자기에 박아 넣거나 붙여 장식하는 칠공예 기법을 의미한다.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기법 중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이란 첨가된 염료(안료)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생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유백색 원액에서 나무껍질 등 불순물만 제거한 것이고, 정제칠(투명칠)은 생칠을 햇빛이나 숯불에 수분을 증발시켜 투명하게 만든 칠을 말하며, 흑칠은 정제칠(투명칠)에 산화철을 섞어 만든 검은색 칠이고, 주칠은 정제칠(투명칠)에 붉은 염료를 넣어 만든 붉은색 칠이며, 이외에도 정제칠(투명칠)에 넣는 염료에 따라 다양한 색의 옻칠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색을 갖는 옻칠을 건조하여 고체화 한 후, 고운 분말 형태로 갈아서 만든 것을 색옻칠가루라고 정의하였다.
그 후 제 3단계에서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에 상감 문양을 낸 빈 공간에 다공성 소지를 채우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다공성 소지는 태토(胎土); 벤토나이트; 및 알루미나 및 커피분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태토(胎土)란 바탕 소지를 나타내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자토나 청자토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백자토로 SiO2 71.78중량%, Al2O3 19.37중량%, FeO3 0.25중량%, MgO 0.08중량%, CaO 0.15중량%, Na2O 0.92중량%, K2O 1.8중량%, TiO2 0.03중량%, 나머지 성분 5.62중량%가 함유된 백자토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점토질은 카올린 성분을 포함하며, 벤토나이트, 고령토, 백자토 및 황토 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토질의 카올린을 제외한 다른 성분들은 제조하고자 하는 자기의 물성에 따라 적정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였다. 벤토나이트는 접착력이 강한 점토광물의 혼합물로 이를 알루미나, 커피분말 등에 사용하는 경우 가소성을 높여준다. 또한 옻칠액을 잘 흡수하며 자기 본체와 옻칠액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자기 소지에서의 역할로 알루미나는 소지에 장석, 고령토, 점토와 같은 원료 공급 시 내화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소결에 관련된 조절을 담당한다. 알루미나의 순도가 높을수록 화학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또한 기계적 강도 및 마모에 대한 저항이 크고 경도가 높고 열충격에 대한 저항이 우수해진다. 알루미나는 녹는점이 2050℃이고, 결정구조가 거칠고 물을 잘 흡수하며 밀도는 4.0으로 물에 녹지 않고 산에도 잘 녹지 않는다. 또한 내화물의 높은 융점을 지니며 무광택 표면을 갖게 한다.
알루미나는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자연상태에서 강옥(Corundum), 보크사이트(Bauxite), 다이어스포어(Diaspore) 상태로 존재하며 녹는점이 약 2054℃이고, 평균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로 미세분말 가능하여 본 발명의 다공성 수지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커피 분말은 원두커피를 그라인더를 사용해 분쇄하고, 커피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혀서 추출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형태를 바꾸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커피 분말은 약 0.56㎟(메쉬사이즈 30 이하)로 분쇄하고 보통 2 ~ 3분 사이에 추출이 완료되는 커피메이커나 핸드드립의 경우 중간 수준 약 0.6~1.25㎟(메쉬사이즈 16~30)로 분쇄된다.
커피 분말은 연소된 후에 MgO, K2O를 포함하는 무기물을 남긴다. 무기물은 소성 과정에서 점토질과 반응하여 자기 본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커피 분말은 기공 형성재로서 자기 본체에 기공을 형성하면서, 추가로 자기 본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공 형성재의 재료들은 분쇄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러나 가장 미세한 에스프레소용 분말부터 프렌치프레스용까지 분쇄도의 차이가 다양한 커피분말 120 ~ 150 mesh을 소지에 첨가하여 활용함으로써 자기 소지에 기공을 형성하여 자기 기면에 칠해지는 옻칠이 유약과 같은 밀착력을 부여하고 옻칠의 부착력을 향상 시키는 다공성 소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다공성 소지의 재료로 알루미나를 선택하는 경우, 다공성 소지는 다공성 소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태토 49 ~ 75 중량%, 벤토나이트 1 ~ 5 중량% 및 알루미나 20 ~ 50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나를 30 ~ 40 중량%로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루미나가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순수한 백자토 100 중량%로만 만들어진 소지와의 흡수율 차이를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다른 소지 성분과 잘 배합되지 않아 가소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다공성 소지의 재료로 커피 분말을 선택하는 경우, 다공성 소지는 다공성 소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태토 19 ~ 75 중량%, 벤토나이트 1 ~ 5 중량% 및 커피분말 20 ~ 80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범위로 커피 분말을 포함할 경우, 자기 소지에 기공을 형성 하여 자기 기면에 칠해지는 옻칠이 유약과 같은 밀착력을 부여하고 옻칠의 부착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 후 상기 제 3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4단계의 초벌 소성은 80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제 4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5단계는 1230 ~ 1300℃의 온도에서 10 ~ 12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옻칠을 하지 않을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유약을 처리하지 않은 부분은 이 후에 옻칠을 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제 5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에 수용성 발수제, 지용성 발수제, 파라핀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약엄폐물질을 입히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 5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을 옻칠하는 제 6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데, 제 6단계의 옻칠은 접칠을 4 내지 10 회 반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접칠이란, 붓으로 상기 도편 전면을 바른 다음, 소정의 습도와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완전히 흡수되도록 2 ~ 3분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마른 헝겊으로 도편 전면을 닦아내는 과정이다. 상기 접칠 과정은 올리고자 하는 옻의 두께에 따라 수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옻칠은 옻칠용 재료의 가공 정도에 따라 생칠과 정제칠(투명칠), 첨가된 염료(안료)에 따라 흑칠과 주칠 등으로 분류된다. 생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유백색 원액에서 나무껍질 등 불순물만 제거한 것이고, 정제칠(투명칠)은 생칠을 햇빛이나 숯불에 수분을 증발시켜 투명하게 만든 칠을 말하며, 흑칠은 정제칠(투명칠)에 산화철을 섞어 만든 검은색 칠이고, 주칠은 정제칠(투명칠)에 붉은 염료를 넣어 만든 붉은색 칠이며, 이외에도 정제칠(투명칠)에 넣는 염료에 따라 다양한 색의 옻칠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옻칠은 생칠, 정제칠 및 주합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옻칠을 함으로써, 천연 코팅제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고 옻칠의 흡수율 차이로 인한 아름다운 문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도태칠기 상감 기법에서 사용하는 옻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흑칠과 테레핀유를 1:1의 비율로 희석하여 섞어준 후, 흑칠에 접칠용 생칠 2:8 또는 2:7로 혼합하고 테레핀유 2~3 비율을 넣어 혼합하였다. 그 후에 소지의 표면에 옻이 충분이 스며들도록 붓을 사용하여 문질러 바르며 빠짐없이 발라 주었고, 충분히 흡수된 도자기 기면에 묻은 칠 액을 마른 천 또는 접칠용 종이를 사용하여 문지르기를 한 후, 칠장에 약 8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두번째 방법으로,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에 황토, 금분, 은분, 나전가루 및 색건조옻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옻칠용 재료를 혼합하여 채우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를 거친 도자기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두번째 방법인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은 상술한 첫번째 방법과 공통된 부분은 그 기재를 원용하며,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 설명한다.
두번째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4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에 황토와 옻칠용 재료를 혼합한 골회; 또는 금분(금가루), 은분(은가루), 나전가루(1.5 ~ 3㎟)및 색건조옻칠가루(1.5 ~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옻칠용 재료를 혼합한 물질로 채우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골회는 황토와 옻칠용 재료를 1: 0.2 ~ 2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토와 옻칠용 재료를 1:1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골회의 성분으로 황토를 사용하는 경우 옻칠액을 잘 흡수하여, 자기 본체와 옻칠액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옻칠용 재료란 흑칠, 테레핀유, 생칠, 정제칠(투명칠), 주칠 등의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금분 또는 은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금분 또는 은분;과 옻칠용 재료를 1: 0.5 ~ 2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나전가루를 사용하는 경우, 나전가루의 입자의 크기는 1.5 ~ 3㎟이고 상기 나전가루와 옻칠용 재료를 0.5 ~ 2: 1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색건조옻칠가루를 사용하는 경우, 색건조옻칠가루의 입자의 크기는 1.5~3㎟ 이고, 상기 색건조옻칠가루와 옻칠용 재료를 1 ~ 5: 1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감 부분에 금분 또는 은분, 나전가루 또는 색건조옻칠가루를 옻칠용 재료와 혼합하여 채움으로써 기존의 도자기 표면에 붙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와의 마찰에 의하여 쉽게 닿아 없어지거나 탈리되어 도금된 부분의 색상이 점차 흐려지게 됨으로써 물품의 가치가 단기간 내에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새로운 장식기법 개발로 인해 심미성이 향상된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3단계에서 상기 상감 문양 부분에 수용성 발수제, 지용성 발수제, 파라핀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약엄폐물질을 입히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단계를 거친 도자기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연마 작업은 끌, 사포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다듬는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도자기의 제조 방법으로 통상의 도자기 뿐만 아니라 건축자재 등에 사용되는 각종 타일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로 각종 액세서리를 만들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백자토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를 사용하여 그릇 형태의 도자기를 물레 성형 또는 주입성형 하였다. 성형 후 1 내지 2 일간 그늘에서 건조한 후, 정형하여 기물 표면에 입사할 문양을 연필로 스케치하였다. 스케치한 부분을 상감 칼로 선 음각을 하였다. 도자기에 상감 문양을 낸 빈 공간에 성형 기물 소지와 동일한 태토 32 중량%, 알루미나 40 중량%, 벤토나이트 3 중량%, 커피분말을 입자 크기가 0.56㎟(메쉬사이즈 30이하)가장 가는 분말을 25 중량%를 혼합한 다공성 소지를 채운 후, 800 ~ 950℃의 온도에서 8 시간 동안 초벌 소성 하였다.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1230 ~ 1300℃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재벌 소성하였다. 이 때, 상기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에 붓을 이용하여 수용성 발수제를 발랐다. 그 후,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을 옻칠을 정제칠로 4 내지 10 회 반복하는 접칠을 하여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5,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깔끔하고 균일한 색깔로 상감 문양이 구현되었고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는 분명한 색감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도예가들이 사용하는 상감(제조사: 대원도재상사, 상품명: 백상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탕부분과 상감부분이 색감 차이가 구별되지 않으며 색감이 검게 변색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을 사용하고 상감 부분을 채우는 것을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황토와 옻을 1: 0.5 또는 1: 0.3의 무게 비율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황토와 옻을 섞어 사포하여 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을 사용하고 상감 부분을 채우는 것을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황토와 옻을 1: 3의 무게 비율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탕부분과 상감부분이 색감 차이가 구별되지 않으며 색감이 검게 변색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감 기법 중 귀얄문 기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귀얄문 기법 특유의 붓 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났으며 흡수율에 따른 색감 변화가 확연히 나타나 기존 옻칠색과는 분명한 색감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상감 기법 중 귀얄문 기법을 사용하였고, 도예가들이 재료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탕부분과 상감부분이 색감 차이가 구별되지 않으며 색감이 검게 변색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을 사용하고, 상감 부분을 채우는 것을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금분 및 은분(a) 옻칠용 재료로 테레핀(b)과 생칠(c)을 a:b:c=1:0.5:1의 무게 비율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금분과 옻을 섞어 사포하여 문양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심미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을 사용하고, 상감 부분을 채우는 것을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나전가루와 옻칠용 재료로 생칠을 1:1의 무게 비율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상감 기법 중 인화문 기법을 사용하고, 상감 부분을 채우는 것을 다공성 소지를 사용하지 않고 색건조옻칠가루와 옻칠용 재료로 생칠을 1.5:0.5의 무게 비율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Claims (15)

  1.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에 상감 문양을 낸 빈 공간에 다공성 소지를 채우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을 옻칠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2. 소지로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친 도자기에 음각 기법, 인화문 기법, 귀얄문 기법, 나전 기법 및 색옻칠가루 상감 기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감 문양을 구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도자기를 유약 처리를 하지 않고 초벌 소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이외의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고, 상감 문양 부분은 유약을 처리하지 않고 재벌 소성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 표면 중 상감 문양 부분에 황토, 금분, 은분, 나전가루 및 색건조옻칠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옻칠용 재료를 혼합하여 채우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를 거친 도자기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벌 소성은 800 ~ 950℃의 온도에서 6 ~ 8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벌 소성은 1230 ~ 1300℃의 온도에서 10 ~ 12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 5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소지가 채워진 상감 문양 부분에 수용성 발수제, 지용성 발수제, 파라핀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약엄폐물질을 입히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상기 상감 문양 부분에 수용성 발수제, 지용성 발수제, 파라핀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약엄폐물질을 입히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소지는 태토(胎土); 벤토나이트; 및 알루미나 및 커피분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소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태토 49 ~ 75 중량%, 벤토나이트 1 ~ 5 중량% 및 알루미나 2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9.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소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태토 19 ~ 75 중량%, 벤토나이트 1 ~ 5 중량% 및 커피분말 20 ~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 6단계의 옻칠은 접칠을 4 내지 10 회 반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1.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와 옻칠용 재료를 1: 0.2 ~ 2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2.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금분 또는 은분;과 옻칠용 재료를 1: 0.5 ~ 2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전가루와 옻칠용 재료를 0.5 ~ 2: 1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4.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색건조옻칠가루와 옻칠용 재료를 1 ~ 5: 1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도태칠기 상감 도자기.
KR1020140153547A 2014-11-06 2014-11-06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KR10175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47A KR101754453B1 (ko) 2014-11-06 2014-11-06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47A KR101754453B1 (ko) 2014-11-06 2014-11-06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3A true KR20160054233A (ko) 2016-05-16
KR101754453B1 KR101754453B1 (ko) 2017-07-05

Family

ID=5610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47A KR101754453B1 (ko) 2014-11-06 2014-11-06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41B1 (ko) * 2016-11-09 2017-04-12 박미란 도자기의 파손부 접합 방법
KR20180073846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도동요 은의 균열 및 떨어짐을 억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545B1 (ko) * 2009-07-31 2011-08-30 김명효 상감자기 케이스를 가진 필기구 및 필기구 케이스용 상감자기 제조방법
KR101346182B1 (ko) * 2013-07-10 2014-01-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자기에 금속선을 입사시키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741B1 (ko) * 2016-11-09 2017-04-12 박미란 도자기의 파손부 접합 방법
KR20180073846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도동요 은의 균열 및 떨어짐을 억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453B1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5480B (zh) 一种喷墨渗透透光砖及其制备方法
CN105461358A (zh) 一种仿石纹立体装饰效果的瓷质砖及其生产方法
CN203022281U (zh) 一种实现个性化打印的喷墨陶瓷砖
CN102070342A (zh) 一种陶瓷饰品生产方法
CN107935632B (zh) 一种陶瓷器修补方法
CN103755319B (zh) 玉面陶器的制备方法
CN113716967A (zh) 一种具有闪光效果的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101754453B1 (ko)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CN105801175A (zh) 一种抗菌瓷砖及其制造方法
Wardell Porcelain and bone china
CN103922781A (zh) 一种金属与青瓷结合烧制的工艺
CN112159252B (zh) 一种带有凸出图案擦彩陶瓷器的制备方法
CN100497004C (zh) 一种灯具漆艺制品的加工方法
CN205398479U (zh) 一种抗菌瓷砖
KR101060545B1 (ko) 상감자기 케이스를 가진 필기구 및 필기구 케이스용 상감자기 제조방법
KR102462976B1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CN109703260A (zh) 一种茶壶陶瓷漆器的制备方法
KR101569971B1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KR101633435B1 (ko) 대리석의 무늬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 대리석
KR20020023497A (ko)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KR20100015112A (ko) 황토백자의 제조방법
KR20100053754A (ko) 자개 판넬 및 그 제조방법
RU2077430C1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фарфора
Millward Surface Dec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