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221A -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221A
KR20130138221A KR1020137007661A KR20137007661A KR20130138221A KR 20130138221 A KR20130138221 A KR 20130138221A KR 1020137007661 A KR1020137007661 A KR 1020137007661A KR 20137007661 A KR20137007661 A KR 20137007661A KR 20130138221 A KR20130138221 A KR 2013013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ocking device
folding
baby carriage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220B1 (ko
Inventor
웽 온 탕
시우핑 리우
Original Assignee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090392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0903927A0/en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8Geared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구조와 접힌 구조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모차는 사용 구조에서 상기 유모차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용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 및 제2 해제부는 상기 유모차를 사용 구조에서 접힌 구조로 접기 위하여 반드시 모두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모차와 같은 접이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된 폴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본 발명은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타입의 유모차를 위한 잠금 및 해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9월 1일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오스트레일리아 가출원 제2010903927호 및 2011년 6월 29일 출원된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오스트레일리아 가출원 제2011902561호를 우선권으로 하여 출원된 것이다.
상기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여기서 참고로서 포함된다.
접이식 유모차들은 사용 형태에 잠금 장치를 적용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모차가 필요한 경우에 접힐 수 있도록 그 잠금 장치에 대한 해제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해제부들은 일반적으로 레버, 버튼, 핸들, 페달 등과 같은 형태를 취하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예를 들면 의도치 않은 부딪힘에 의해 활성화되어 유모차의 의도 하지 않은 접힘과 잠금 장치의 해제가 초래된다. 이것은 명백한 안전에 대한 위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어려움을 개선하거나, 최소한 공지된 유모차들에 대한 대안으로 유용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고, 도면 및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힐 수 있는 유모차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유모차는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유모차가 사용 중인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히게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해제부가 반드시 모두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일 형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유모차가 사용 형태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잠긴다.
일 형태에서, 상기 유모차는 제2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잠금 장치를 해제한다.
일 형태에서, 유모차는 제1 해제부가 사용자의 첫 번째 손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고, 제2 해제부가 사용자의 두 번째 손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형태에서, 제1 잠금 장치는 기본 잠금 장치이고, 제2 잠금 장치는 보조 잠금 장치이다.
일 형태에서, 제1 해제부는 기본 해제부이고, 제2 해제부는 상기 기본 해제부를 통하여 유모차의 의도 하지 않은 접힘을 방지하는 보조 해제부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보조 해제부는 화기의 '안전 장치'와 유사한 것이다.
일 형태에서, 상기 보조 잠금 장치는 기본 잠금 장치의 해제에 영향을 받으면서 일시적으로 해제(또는 비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해제부는 쌍안정(bistable)하다.
일 형태에서, 상기 보조 잠금 장치는 일시적인 해제 상태로부터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재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형태에서, 선택적으로, 제1 해제부는 기본 해제부이고, 제2 해제부는 상기 기본 해제부의 의도치 않은 해제를 방지하는 보조 해제부이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유모차는 사용 형태로 유모차를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에 대한 기본 해제부, 상기 기본 해제부가 의도치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해제부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결합된 폴딩(folding) 및 잠금 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형태에서, 접이식 유모차의 프레임 조립체는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핸들부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모두 한 쌍의 결합된 폴딩 장치 및 잠금 장치에 연결되고 결합되며, 유모차 프레임의 각 측면에 상기 결합된 폴딩 장치 및 잠금 장치들 중 하나가 있게 된다.
일 형태에서, 결합된 폴딩 장치 및 잠금 장치는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핸들부의 서로 다른 하나에 대한 접힘을 동기화한다.
일 형태에서, 제1 해제부는 한 쌍의 결합된 폴딩 장치 및 잠금 장치 사이에 연장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제1 해제부는 윗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당김으로써 작동된다.
일 형태에서 상기 제1 해제부를 위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2 해제부가 작동될 때까지 윗 방향으로 당겨질 수 없다.
일 형태에서, 제2 해제부가 작동된 상태에서, 제1 해제부를 위한 액추에이터는 윗 방향으로 당겨지고, 그러면 유모차는 그 무게의 영향으로 제1 해제부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양쪽 측면에서 접힌다.
상술한 타입의 제1 해제부는 "중앙 당김 해제부"라고 일컬어진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유모차는,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를 고정하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중앙 당김 해제부, 및
제2 해제부가 작동될 때까지 상기 중앙 당김 해제부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상술한 유모차를 접는 방법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잠금 장치 해제부들을 해제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나서 유모차를 접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제1 해제부가 반드시 먼저 해제되어야 하고, 다음에 제2 해제부가 해제된다. 선택적으로, 이 순서가 바뀐다.
일 형태에서, 제1 및 제2 해제부들은 반드시 동시에 해제되어야 한다.
일 형태에서, 제2 및/또는 보조 해제부의 작동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일 형태에서, 제2 및/또는 보조 해제부는 액추에이터의 해제 작동이 가능한 제1 위치와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불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불가능한 제2 위치로 편향된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유모차는 두 개 이상의 서브 조립체, 다른 하나에 대한 서브 조립체들의 동시 접힘을 제공하고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1 해제부 및 잠금 장치를 위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유모차를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기 위하여 제1 및 제2 해제부들이 반드시 모두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접이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폴딩 장치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폴딩 장치는 사용 형태에서 접이식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접이식 장치를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기 위하여 제1 및 제2 해제부가 반드시 모두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프레임 조립체의 왼쪽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 프레임 조립체의 왼쪽 측면에서 바라본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상세 외부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잠금 장치를 위한 제1 해제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조립체의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조립체의 똑바로 선 형태 또는 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조립체의 완전히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유모차 조립체의 오른쪽 측면에서 바라본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상세 내부 측면도이다.
도 11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잠금 장치의 그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다음의 상세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몇 개의 도면들에 거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자. 모두가 한 쌍의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된 전방 지지부(1), 후방 지지부(2) 및 핸들부(3)를 포함하는 접이식 유모차용 프레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는 각각 하우징(4)에 수용되고,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한 쌍의 마주하는 측면의 하우징(4)에 이러한 장치 중 하나가 있게 된다. 사용 중에,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가 되는 등받이부 및 좌석부를 함께 구성하는 패딩 물질 및 직물로 덮이게 될 것이다. 프레임 조립체가 눈에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직물 및 패딩 물질의 윤곽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점선으로 표시된다.
전방 지지부(1) 및 후방 지지부(2)는 모두 휠 상에 올려지고, 핸들부(3)는 이를 통하여 유모차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핸들을 제공한다.
전방 지지부(1)는 상기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를 위한 하우징(4)에서부터 캐스터(caster) 휠(5)을 포함하는 전방 지지 휠 조립체까지 연장되는 강관(또는 알루미늄관)인 한 쌍의 평행한 버팀대 및 상기 전방 휠 조립체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연결되는 크로스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방 지지부(1)는 오로지 중앙에 위치한 휠 조립체 하나로 지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후방 지지부는 하우징 조립체(4)의 요크(yoke)와 후방 휠 지지 조립체(9) 사이에서 연장된 강관인 한 쌍의 평행한 버팀대(2)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 휠 지지 조립체(9)는 휠 브레이크와 휠 허브로부터 분리 가능한 휠을 결합시키는 휠 허브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를 위한 각각의 하우징(4)은 하우징 반부(half portion)(41, 42)들과 커버 캡(46)으로 구성된다.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 각각은 상기 하우징 반부(41, 42)들에 의해 한정되는 각각 축 A 및 축 B에 대하여 회전하는 두 개의 물림 부분 기어(43, 44)들로 구성된다(도 3 참조). 상기 물림 부분 기어(44)들은 전방 지지부(1)의 평행한 버팀대들의 단부 각각에 고정되고, 물림 부분 기어(43)들은 핸들부(3)의 평행한 버팀대들의 단부 각각에 고정된다.
물림 부분 기어(43, 44)들의 장점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와 후방 지지부(2)에 대하여 전방 지지부(1) 및 핸들부(3)의 동시 접힘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유모차의 접힘과 바로 섬이 유연하게 제어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지지부(2)의 한 쌍의 평행한 버팀대들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링 장착 피스톤(452)이 도시된다. 상기 피스톤(452)은 윈도우(window)가 있고, 피스톤(452)을 편향시키는 스프링(453)은 상기 윈도우에 위치하고 상기 버팀대를 바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크류(미도시)에 대하여 지탱된다.
핀(451)은 그 양 측면에서부터 외부 쪽으로 피스톤(452)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피스톤(452)에 슬롯 형상의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잠금 장치를 위한 기본 해제부 일부를 형성하는 연결부(454)는 피스톤(452)의 하단부와, 후방 지지부(2)의 버팀대들을 통하여 아래로, 후방 지지부(2)의 평행한 버팀대 각각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455)의 상단부까지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물림 부분 기어(43, 44)들 각각의 측면에 외부 쪽으로 연장되는 팔로어 윙(follower wing)(43a, 43b)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팔로어 윙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노차(notch)가 새기어 진다. 이러한 팔로어 윙(43a, 43b)들은 각각 강관부(3)까지 대략 90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팔로어 윙(43a, 43b)의 꼭대기에 노치들은 프레임 조립체가 사용 형태에 도달했을 때 정렬되고, 그 지점에서 스프링 편향 피스톤(452)은 핀(451)을 그 정렬된 노치까지 구동시키고, 유모차 프레임 조립체의 사용 형태의 잠금이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 중에 있는 경우(즉, 똑바로 서있는 경우), 전방 지지부(1)는 후방 지지부(2)와 대략 90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핸들부(3)와 대략 180도의 각도를 이룬다. 후방 지지부(2)는 핸들부(3)와 전방 지지부(1) 사이의 각도를 이등분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여기서 버팀대들 중 하나에 (도 1,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유모차 프레임들의 경우에 오른쪽 측면의 버팀대가) 유모차의 잠금 장치용 제2 또는 보조 해제부가 어떻게 장착되어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상기 보조 해제부는 핀(451)에 평행이 되도록 피스톤(452)을 관통하는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한 제2 또는 잠금 핀(500)을 포함한다.
피스톤(452)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그에 따라 두 개의 물림 부분 기어(43, 44)들의 회전이 방지되고, 잠금 핀(500)은 후방 지지부(2)의 오른쪽 버팀대의 외부 측면과 하우징 조립체(4)의 요크 각각을 모두 관통하여 지나가는 한 쌍의 정렬된 구멍들과 정렬된다.
상기 잠금 핀(500)은 스프링(502)에 의하여 외부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고, 피스톤(452)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핀(500)의 자유 단부는 오른쪽 버팀대와 하우징 조립체(4)의 정렬되는 구멍들을 통하여 연장되어 나오도록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잠금 핀(500)이 체결된 상태에서, 피스톤(452)은 그 잠금 위치로부터 빼내어질 수 없고, 유모차 프레임 조립체는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혀질 수 없다. 유모차를 접기 위하여, 잠금핀(500)은 반드시 버팀대 안으로 밀어져야 하고, 오른쪽 버팀대와 하우징 조립체의 요크와의 체결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조 또는 안전 해제부는 풀릴 때까지 기본 해제부의 작동을 방지한다.
잠금 핀(500) 장치는 유모차의 사용자가 기본 해제부의 작동 동안에 상기 보조 또는 안전 해제부에 대한 직접적인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잠금 핀(500)이 일시적으로 풀림 또는 해제 위치에서 (즉, 상기 잠금 핀(500) 장치가 쌍 안정 배치를 갖도록)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잠금 핀(500)은 사용 형태로 확실히 접히기 전에, 유모차가 접힌 형태에 도달하는 경우, 그 풀림 위치에서의 일시적인 유지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게 된다.
기본 해제부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유모차의 좌석부가 그 등받이부와 만나는 (즉, "중앙-당김" 배치를 형성하는) 영역의 부근에 위치하도록 유모차는 유모차 직물로 꿰매어진 (강성 또는 유연성 끈일 수 있는) 가로대(456)에 의해 올려진다. 가로대(456)는 스프링(453)의 편향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연결부(454)와 피스톤(452)을 당기기 위하여 그 회전 지점에 대하여 움직이는 양쪽 레버(455)의 가장 하단부에 연결된다.
스프링 장착 피스톤(452)이 압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기어에 대한 기어의 회전은 더 이상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로대(456)를 계속해서 붙잡는 것으로 유모차가 그 무게 하에서 접혀지게 하고, 그 결과 프레임 부분(1, 2, 3) 모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잠금 핀(500)의 단부가 고정된 곳에 피스톤(452)의 체결 및 풀림에서처럼 핀(500)과 함께 움직이는 해제 버튼(550)이 있다. 상기 해제 버튼(550)은 순서대로 하나의 단부에 올려진 버튼 형상 부(602) 및 대향하는 단부에 슬라이딩 핏(fit)을 구비한 보어(bore)(608)에 위치한 원통 형태부(606)를 포함하는 셔터(600)에 의해 덮여진다. 사용 중에, 상기 원통 형태부(606)는 보어(608)를 따라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셔터(600)에 대한 회전 지점을 제공한다.
셔터(6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셔터(600)의 원통형 단부 형태부(606)에 제1 위치 쪽으로 작용하는 스프링(604)에 의해 편향된다. 제2 위치에서(도 13 및 도 14 참조), 셔터(600)의 상기 버튼 형상부(602)는 해제 버튼(550)과 정렬되고, 상기 버튼 형상부(602)의 누르는 작동으로 해제 버튼(550) 및 보조 해제부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잠금핀(500)을 구동시킨다.
제1 위치에서, 셔터(600)의 버튼 형상부(602)는 해제 버튼(550)에 대하여 오 정렬되고(도 11 및 도 12 참조), 셔터(600)는 해제 버튼(550)의 양측으로 힘을 받고, 버튼 형 상부(602)와 해제 버튼(550)이 순서대로 눌려질 수 없게 되어, 의도치 않은 보조 해제부의 작동과 유모차의 접힘을 방지한다.
유모차가 접혀진 경우, 엄지 또는 손가락은 스프링(604)의 편향에 대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것을 슬라이드 하기 위하여 셔터(600)의 버튼 형상부(602)의 측면에 대하여 미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버튼 형상부(602)가 눌려지고, 보조 해제부의 조작에 영향을 미치고, 여기서 상기 보조 해제부가 두 단계로 작동된다. 기본 해제부의 조작으로 유모차는 접혀질 수 있다.
상술한 배치는 "안전 장치"로서 작동하여 보조 해제부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한다.
여기서 논의한 유모차의 장점은 그 사용 형태로부터 접힌 형태로의 유모차 프레임의 의도 하지 않은 접힘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 장치가 없이, 특히 중앙 당김 타입의 유모차는 의도하지 않은 접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comprise)"이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들(예를 들어, 포함한다, 포함하는)은 그것이 언급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달리 설명되거나 암시되지 않더라도, 어떠한 부가적인 특징의 존재도 배제하는 것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정 또는 모든 공보들은 여기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고 있는 문서의 어떠한 논의, 작용, 물질, 장치, 개념 등은 오로지 본 발명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것들 일부 또는 전부는 본 출원의 각 청구항의 우선일자 전의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다른 어느 곳에서든지 존재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일반적인 지식이라는 것 또는 종래 기술에 기초의 부분을 형성한다는 것을 인정하고자 하여 취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로 인식되는 것으로 여기서 나타나고 설명되었지만, 출발점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는 여기서 설명된 세부 사항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모든 동등한 기구들 및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첨부된 청구항들의 최대 범위에 부합되는 것이다.

Claims (25)

  1. 사용 형태와 접힌 형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와 상기 제2 해제부는 유모차를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기 위하여 반드시 모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가 사용 형태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잠금 장치는 자동으로 그 형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제부는 기본 해제부이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기본 해제부의 의도하지 않은 구동을 방지하는 보조 해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제2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기본 잠금 장치이고, 상기 제2 잠금 장치는 보조 잠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 장치는 상기 기본 잠금 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해제 상태(또는 비잠금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즉, 쌍 안정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 장치는 일시적인 상기 해제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자동으로 재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 각각은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두 개 이상의 서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는 상기 서브 조립체들의 서로 다른 하나에 대한 동기화된 접힘과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의 고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는 한 쌍의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들에 결합되고 연결되는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핸들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및 잠금 장치들은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한 쌍의 양면에 각각 하나씩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들은 상기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핸들부의 서로 다른 하나에 대한 접힘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 형태에서,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와 대략 90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부와 대략 18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전방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이등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접힌 경우, 상기 전방 지지부, 후방 지지부 및 핸들부는 서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제부는 한 쌍의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들 사이에 연장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제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윗 방향으로 당김으로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제부를 위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해제부가 구동될 때까지 윗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제2 해제부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해제부를 위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윗 방향으로 당겨지고, 그러면 상기 유모차는 그 무게의 영향 하에서 상기 제1 해제부를 위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측에서 상기 유모차는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해제부, 보조 해제부 또는 제2 및 보조 해제부의 조작은 두 단계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해제부, 보조 해제부 또는 제2 및 보조 해제부는 액추에이터의 해제 작동을 위해 조작이 가능한 제1 위치 및 액추에이터의 조작이 불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조작이 불가능한 제2 위치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1. 사용 형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유모차는 사용 형태에서 상기 유모차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용 중앙 당김 해제부, 및
    제2 해제부가 구동될 때까지 상기 중앙 당김 해제부의 조작을 방지하는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2.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를 접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장치의 해제부를 해제하고 나서, 상기 유모차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모차를 접는 방법.
  23. 사용 형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유모차는 두 개 이상의 서브 조립체들, 및
    상기 유모차를 사용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서브 조립체들을 다른 하나에 대하여 동기화된 접힘을 제공하면서 연결하는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 장치용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해제부 모두가 상기 유모차가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히기 위하여 반드시 구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4. 접이식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기 위한 폴딩 장치로서,
    상기 폴딩 장치는 상기 접이식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 상기 잠금 장치용 제1 해제부 및 상기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접이식 장치가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히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해제부 모두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장치.
  25. 두 개 이상의 서브 조립체들을 구비한 유모차의 동기화된 접힘을 제공하기 위한 결합된 폴딩 및 잠금 장치로서,
    상기 폴딩 및 잠금 장치용 제1 해제부 및 상기 폴딩 및 잠금 장치용 제2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및 잠금 장치는 상기 유모차가 사용 형태에서 접힌 형태로 접히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해제부 모두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및 잠금 장치.
KR1020137007661A 2010-09-01 2011-09-01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KR101793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903927A AU2010903927A0 (en) 2010-09-01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AU2010903927 2010-09-01
AU2011902561A AU2011902561A0 (en) 2011-06-29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AU2011902561 2011-06-29
PCT/AU2011/001133 WO2012027795A1 (en) 2010-09-01 2011-09-01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221A true KR20130138221A (ko) 2013-12-18
KR101793220B1 KR101793220B1 (ko) 2017-11-02

Family

ID=4577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61A KR101793220B1 (ko) 2010-09-01 2011-09-01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11670B1 (ko)
KR (1) KR101793220B1 (ko)
CN (1) CN103269936B (ko)
AU (1) AU2011295637C1 (ko)
WO (1) WO20120277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447A (ko) * 2017-01-06 2018-07-16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지지 장치
KR20200004783A (ko) * 2018-07-03 2020-01-14 중산 아이푸바오 데일리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유모차용 트레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9827B (zh) * 2012-05-18 2016-01-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二次锁定机构及可收合车架
CN203318470U (zh) * 2013-05-09 2013-12-04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童车骨架关节
DE202014101204U1 (de) 2014-03-17 2014-05-23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Zusammenklappbares Kinderwagen- oder Puppenwagengestell
DE202014101200U1 (de) * 2014-03-17 2014-05-23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Zusammenklappbares Kinderwagen- oder Puppenwagengestell
DE202014101198U1 (de) * 2014-03-17 2014-05-23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Zusammenklappbares Kinderwagen- oder Puppenwagengestell
CN204641848U (zh) 2014-04-10 2015-09-16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站立装置及婴儿车
EP3344516B1 (en) 2015-09-02 2019-11-06 Larktale Pty Ltd Collapsible stroller
US10286973B2 (en) 2016-03-10 2019-05-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icycle handlebar folding mechanism
CN105946952B (zh) * 2016-06-30 2018-06-19 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收车结构以及婴儿车
DE102016010884A1 (de) * 2016-09-12 2018-03-15 Mima International Ltd. Kinderwagen
CN107021024B (zh) * 2017-04-12 2024-03-19 昆山皇田汽车配件工业有限公司 可折叠收纳遮物帘
CN107089197A (zh) * 2017-05-22 2017-08-25 昆山皇田汽车配件工业有限公司 折叠式遮物帘
CN109131517B (zh) * 2017-06-15 2021-01-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
PL127053U1 (pl) * 2018-02-20 2019-08-26 Ideo Group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Mechanizm składania i rozkładania stelaża wózka dziecięcego
DE102018126637A1 (de) * 2018-10-25 2020-04-30 Emmaljunga Barnvagnsfabrik Ab Rahmen
US11390311B2 (en) 2019-05-09 2022-07-19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apparatus
CN116552618A (zh) * 2019-10-17 2023-08-0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同步收合机构
EP4065449B1 (en) * 2019-11-27 2024-04-0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troller apparatus
KR102291498B1 (ko) 2020-03-24 2021-08-20 도홍구 폴딩 가능한 유모차
US11897534B2 (en) 2020-10-14 2024-02-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Wagon stroller, systems, and methods
US20220169297A1 (en) * 2020-11-30 2022-06-0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pact automatic folding stroller
CN115723831A (zh) * 2021-09-01 2023-03-0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连动收折机构及儿童载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33309B (en) * 1978-09-30 1983-02-16 Priestley J B Collapsible framework for a pushchair seat or trolley
JPS60146753A (ja) * 1984-01-11 1985-08-0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US5288098A (en) * 1992-12-21 1994-02-22 Louis Shamie Umbrella stroller with upper safety bar release mechanism
US6102431A (en) * 1998-06-01 2000-08-15 Hood Technology Corporation Collapsible baby stroller and releasable locking and folding mechanism therefor
TW351303U (en) * 1998-10-06 1999-01-21 Link Treasure Ltd Foldable baby stroller
US6302613B1 (en) * 2000-04-21 2001-10-16 Red Lan Pivot connector for a foldable stroller frame
CN2440403Y (zh) * 2000-07-26 2001-08-01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可单手收合结构
US6478328B1 (en) * 2000-10-31 2002-11-12 Link Treasure Ltd. Locking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for collapsible stroller
CN2623559Y (zh) * 2002-09-10 2004-07-07 郑钦明 第二道安全锁
CN102514607B (zh) * 2004-04-30 2015-09-30 贝贝漫步有限责任公司 折叠式婴儿车
EP2125485B1 (en) * 2007-06-08 2010-11-03 Nuna International B.V. Foldable stroller
CN102100463B (zh) * 2009-12-18 2014-03-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CN201769848U (zh) * 2010-05-20 2011-03-23 刘修平 单手收合的婴儿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447A (ko) * 2017-01-06 2018-07-16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지지 장치
KR20200004783A (ko) * 2018-07-03 2020-01-14 중산 아이푸바오 데일리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유모차용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9936A (zh) 2013-08-28
KR101793220B1 (ko) 2017-11-02
EP2611670A1 (en) 2013-07-10
EP2611670A4 (en) 2018-01-17
WO2012027795A1 (en) 2012-03-08
EP2611670B1 (en) 2020-04-22
CN103269936B (zh) 2017-02-22
AU2011295637A1 (en) 2013-03-21
AU2011295637B2 (en) 2014-07-03
AU2011295637C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221A (ko)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US8398111B2 (en) Pushchair frame
US10286940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10023217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10286941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EP3263420A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AU2013101116A4 (en) A Pivot Joint for a Stroller Frame
US20110030749A1 (en) Collapsible walking device
GB2512175A (en) Collapsible infant carrier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JP4644743B2 (ja) 手押し車
US9845102B2 (en) Collapsible stroller mechanism
ES2962116T3 (es) Cochecito para niños
US11260892B2 (en) Pushchair chassis and pushchair
CN107226121A (zh) 一种可折叠童车车架
EP4065449B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10980686B2 (en) Collapsible mobility aid
CN212447752U (zh) 婴儿车车架以及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