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942A - 윤활제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제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942A
KR20130136942A KR1020130064997A KR20130064997A KR20130136942A KR 20130136942 A KR20130136942 A KR 20130136942A KR 1020130064997 A KR1020130064997 A KR 1020130064997A KR 20130064997 A KR20130064997 A KR 20130064997A KR 20130136942 A KR20130136942 A KR 2013013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ubricant
cylinder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609B1 (ko
Inventor
롤란트 알더
Original Assignee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13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2Oil catchers; Oil w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01M2011/02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for lubricating cylinders

Abstract

실린더 (20) 뿐만 아니라 피스톤 (3) 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특히 대형 기관 (1) 또는 압축기용 피스톤 실린더 기기 (2) 로서, 상기 실린더 (20) 는 실린더 내부 공간 (18) 을 한정하는 실린더 슬리브 (17) 를 갖고, 상기 피스톤 (3) 은 피스톤 재킷 표면 (4), 피스톤 상측면 (5) 및 피스톤 하측면 (6) 을 갖는다. 상기 피스톤 (3) 은 피스톤 내부 공간 (8)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 수집 장치 (7) 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제 수집 장치 (7) 는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의 오목부 (11) 및 윤활제 함유 기체 (10) 의 수용을 위한 통로 (9) 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9) 는 상기 피스톤 본체 (8) 내의 상기 오목부 (11) 에 인접하므로, 상기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통로 (9) 를 통해 리저버 (13) 내로 안내될 수 있다.

Description

윤활제 수집 장치{LUBRICANT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윤활제 수집 장치를 갖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윤활제 수집 장치를 갖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를 구비하는 내연기관, 특히 대형 기관에 관한 것이다.
대형 기관은, 특히 2 행정 또는 4 행정 내연기관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대형 디젤 기관의 실시형태에서, 선박용으로 또는,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의 발생을 위한 대형 발전기의 구동을 위한 고정 작동에서 또한 구동 집합체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점에서, 대형 기관은 오랜 기간 동안 연속적인 작동 모드로 운전되므로, 작동 안전성 및 가동률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이런 이유 때문에, 특히 장기간의 유지보수 간격, 저마모 및 작동 물질의 경제적 취급은 운전자에게 있어 중요한 기준이다.
작동 상태에서, 피스톤은 전형적으로 실린더 주행 슬리브 (라이너) 의 형태로 설계되는 주행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실린더의 벽의 표면 상에서 활주한다. 이 점에서, 실린더 윤활 및/또는 피스톤 윤활이 제공된다. 한편으로,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가능한 한 용이하게, 즉 아무 방해 없이 활주하여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피스톤은 연소 공정 중에 기계적 마모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양호하게 실린더 내의 연소 공간을 밀봉해야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피스톤의 우수한 주행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피스톤 및 피스톤 링의 주행 표면의 마모를 가능한 한 적게 유지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실린더 내에 도입되는 윤활유의 형태로 윤활제가 대형 디젤 기관의 작동 중에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더욱이, 윤활유는 어그레시브 (aggressive) 연소 생성물의 중화 뿐만 아니라 부식 방지의 작용을 한다. 이 수많은 요건으로 인해, 전형적으로 매우 고품질의 고가의 물질들이 윤활제로서 사용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모터의 특히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작동에 관하여, 가능한 한 적은 윤활제 소비량으로 작동되어야 한다는 요건이 존재한다. 윤활제 소비량은 윤활 작용을 위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즉, 윤활 과정에 의해 소비되는 윤활제의 양으로 이해되고, 이것은 윤활제가 손실된 것을 의미한다. 이 손실은 윤활제가 연소 기체 내에 액적으로서 수용되는 것에 의해서도 또한 초래될 수 있다. 이 윤활제는 연소 공간 내에 도달할 수 있고 그곳에서 자연 발화하여 연소될 수 있고, 이는 실린더 내부 공간 내의 실화 (misfiring) 또는 침착 (deposits) 을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에는 이 소비, 즉 손실이 윤활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윤활제를 통해 보상되었고, 이것은 윤활율이 소비율과 동일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윤활제의 손실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능한 많은 분량의 윤활제를 재사용하는 것, 즉 윤활제를 재순환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확립된 윤활 공정은 소위 내부 윤활로서, 여기서 윤활제는 피스톤의 내부를 통해 안내된 후, 피스톤 내부로부터 피스톤 상으로 및/또는 실린더 주행 표면 상으로 피스톤의 표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윤활 점들을 통해 가해진다. 이와 같은 방법은, 예를 들면, EP-A-0 903 473에 개시되어 있다.
왕복운동 피스톤 내연기관의 실린더 벽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가능성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EP2133520 A1 뿐만 아니라 EP 2253810 A1 문헌은 피스톤 자체에 배치되는 윤활제 리저버를 구비하는 윤활 장치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해결책은 피스톤을 통한 윤활 점들로의 윤활제의 공급에 관련된 것이다. 이 윤활 장치들은 예를 들면, 실린더 내부 공간으로부터 액적 형상으로 분산된, 기체 내에 존재하는 윤활제를 수집하고, 또한 이것을 실린더 내부 공간의 외부로 안내하기에 부적절하다.
요구되는 윤활제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들이 시도되어 왔다. 한편으로, 예를 들면, EP2133520 A1 또는 EP 1 936 245 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오일 연결 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윤활제가 액체 형상으로 배출되는 이들 모든 수집 장치에 공통적이다.
실린더 내부 공간으로부터 기체 형상의 매체의 추출과 관련되는 유일하게 공지된 장치는 EP 2369154 A1이다. 이 문헌의 내용에 따르면, 연소 공간 내에 도달하는 공기는 공기 내의 윤활제의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전에 오일 필터를 통해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윤활제의 연소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질소 산화물 (NOx) 및 기타 오염물의 연소 관련 배기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반응 생성물의 제거는 연소 공간 내에서 윤활제의 연소에 기인되어 사전에 실행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반응 생성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러나 자연 연소에 기인되어 연소 공간 내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반응물, 즉 특히 윤활제를 미리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윤활제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들은 청구항 1에 따른 윤활제 수집 장치에 의해 만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을 포함한다.
내연기관, 특히 대형 기관 또는 압축기를 위한 피스톤 실린더 기기는 실린더 뿐만 아니라 피스톤을 포함하고, 피스톤은 피스톤 재킷 표면, 피스톤 상측면 및 피스톤 하측면을 갖고, 피스톤은 피스톤 본체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피스톤 재킷 표면, 피스톤 상측면 및 피스톤 하측면은 피스톤 본체를 한정한다. 피스톤 본체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피스톤 헤드 및 피스톤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본체는 피스톤 본체 내에 냉각제를 도입할 수 있는 중공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윤활제 수집 장치는 피스톤 재킷 표면의 오목부 및 윤활제 함유 기체 (a gas containing lubricant) 의 수용을 위한 통로를 포함하고, 통로는 피스톤 본체 내의 오목부에 인접하여, 윤활제 함유 기체는 작동 상태에서 통로를 통해 리저버 내로 안내될 수 있다. 이 리저버는 윤활제 함유 기체로부터의 윤활제의 분리를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것은 리저버가 특히 분리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액적 형상의 윤활제의 많은 부분이 소기용 (scavenging) 공기 내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소기용 공기 내의 윤활제의 함유량은 오목부로부터 윤활제 함유 기체의 추출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통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어로서 형성되는 공기 통로일 수 있다. 특히, 윤활제 함유 기체의 윤활제 비율은 작다. 본 발명의 윤활제 수집 장치에 의해 오목부를 통해 추출된 윤활제 함유 기체는 소기용 공기의 윤활제 비율의 70 % ~ 80 % 를 포함해야 하고, 이것은 윤활제 액적들의 많은 부분이 윤활제 수집 장치에 의해 윤활제 함유 기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기용 공기 내의 윤활제의 중량부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형적으로 200 ppm 을 초과하고, 특히 100 ppm 을 초과하고, 전형적으로는 최소 50 ppm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수집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소기용 공기 내의 윤활제의 중량부는 4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ppm 미만, 특히 10 ppm 미만으로 감소될 수 있다.
오목부 내의 윤활제의 중량부는 최대 100,000 ppm 에 이를 수 있고, 이 중량부는 전형적으로 10,000 ppm 이다. 이 중량부가 1,000 ppm 에 불과해야 하는 경우에도, 농도는 소기용 공기 내의 농도의 최소 5 배이다. 이것은 이 점에서 윤활제 함유 기체 내의 윤활제의 농도가 소기용 공기 내의 윤활제의 농도의 최대 200 배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점에서 윤활제 함유 기체의 제거는 윤활제의 최대 비율을 결정하고, 이것은 최대 80 % 의 윤활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윤활제 함유 기체로부터 추출된 이 윤활제는 소기용 공기 내에 도달하지 않고, 소기용 공기 내에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 피스톤 내의 오목부의 위치에서 윤활제의 농도가 최대이므로, 이 점에서 윤활제의 회수는 가장 효율이 높고, 이것은 윤활제의 가능한 최대의 비율이 윤활제 함유 기체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윤활제는 더 이상 소기용 공기 내에 도달할 수 없고, 그것에 의해 소기용 공기의 윤활제의 함유량은 현저히 감소되고, 즉 정화된 기체가 얻어진다.
최대 0.7 g 의 윤활제/kWh 의 범위가 정화된 기체를 위한 윤활제 함유량을 위한 기준치로서 제공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g 의 윤활제/kWh 가 기준치로서 제공된다. 정화된 기체의 윤활제 함유량을 위한 제공된 범위 내에서 높은 확률로, 내연기관의 노킹, 즉 연소 기체 내에 함유된 윤활제의 자연 발화로 인한 실화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인 최대 0.2 g 윤활제/kWh 의 경우, 노킹이 실질적으로 저지된다. 최종 언급된 경우에서, 윤활제 함유량은 최대 10 ppm 이다.
주로 기체, 일반적으로 공기는, 피스톤이 그 운동 사이클의 하사점 위치에 있을 때, 소기용 개구들을 통해 연소 공간 내로 도입된다. 이 기체는 흡기 포트를 통해 터보차저 또는 공기 냉각기 내에 도달하고, 배기된 후 소기용 개구들에 공급된다. 다기통 기관의 경우, 소기용 개구의 외측의 공간은 다수의 실린더들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소기용 개구들의 외측의 기체 공간이, 하사점 위치로부터 상사점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의 피스톤의 운동을 통해, 어느 정도는 소기용 공간의 크기의 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압력 차이에 적어도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기용 개구들은, 각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직하에 배치되는 소기용 공간과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기체 공간 사이에 자유 연결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각 피스톤 운동에 대해 이 기체 공간 내로의 블로백 (blowback) 효과가 초래된다. 이 블로백 효과의 결과, 기체는 소기용 슬릿들을 통해 소기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고, 따라서 기체 공간은 특히 오일 클라우드 (oil cloud) 형상의 윤활제를 포함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소기용 개구들을 통해 연소 공간 내로 흡인된 공기는, 윤활제가 이 오일 클라우드로부터 흡인되므로, 이미 윤활제를 포함한다. 이 윤활제 함유 기체는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 재킷 표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경우에 따라서는 피스톤 링 또는 스크래퍼 링 (scrapper ring) 을 통해 오목부에 도달한다.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 재킷 표면 사이의 간극은 스로틀 기능을 만족시키므로, 피스톤 링 및/또는 밀봉 요소 및/또는 윤활제 스크래핑 링이 생략될 수 있으나, 이전에 언급된 구성요소들은 윤활제 제거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 점에서 소기용 공간 내의 압력은 약 3 바이고, 이것은 후에 통로 내로 유입되어 그곳으로부터 연결 라인을 통해 무압 (pressure-free) 리저버 내로 안내되는 윤활제 함유 기체에 대해 충분히 큰 압력 구배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저버는 분배기로서 작용할 수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 추가의 분리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윤활제 함유 기체 내의 윤활제 비율은 최대 10 중량 % , 바람직하게는 최대 5 % , 특히 최대 1 % 일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링 및/또는 밀봉 요소 및/또는 윤활제 스크래퍼 링은 소기용 공간에 대해 기밀 연결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지만, 반면에 연소 공간에 대해 오목부를 밀봉하는 이 밀봉 요소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온도는 100 ℃ ~ 150 ℃ 를 초과해서는 안 되고, 200 ℃ 가 임계 온도로 생각된다. 따라서, 윤활제 함유 기체가 소기용 공간으로부터 오목부들을 통해 통로 또는 통로들 내로 연속적으로 도입되므로, 오도가 임계치까지 상승할 수 없도록 냉각이 실행된다.
특히 링 형상의 그루브로서 설계되는 오목부는, 존재하는 경우, 제 1 피스톤 링의 직하의 피스톤 재킷 표면에 배치된다. 이 링 형상의 그루브는 대기압으로 가압되는 리저버와 연통 상태에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링 형상의 그루브 내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약간, 즉 리저버와 오목부 사이의 연결 라인의 압력 손실의 합계만큼 더 높을 뿐이다. 그러므로, 피스톤 링 상의 압력은 오목부 내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오목부의 직하의 압력은 더 높고, 이것은 충전 공기 압력에 대응한다. 이 압력 차이로 인해, 윤활제 함유 기체는 유동하고, 이것은 특히 윤활제 함유 기체가 오목부 및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통로 내로 유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로는 다수의 보어들, 연결 라인들을 통해 리저버까지 이어진다. 피스톤의 표면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표면을 따르는 경로 중에, 기체는 이 표면들 중 일부의 표면에 포집될 수도 있는 윤활제를 수용한다.
실린더 공간으로부터 윤활제 함유 기체의 추출은, 특히 터보차저를 구비하지 않은 기관의 경우에 유리할 수 있는 진공 펌프에 의해 통로 내에 진공을 가함으로써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피스톤 링은 특히 피스톤 재킷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피스톤 링, 피스톤 재킷 표면 및 실린더 슬리브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중간 공간이 형성되고, 이 피스톤 공간은 오목부를 포함한다.
통로에 의한 윤활제 함유 기체의 편향을 위한 연소 공간 내의 압력과 통로 내의 압력 사이에 요구되는 압력 차이는 오목부로부터 연소 공간을 밀봉하는 피스톤 링을 통한 제어되는 누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 내의 압력은 충전 압력보다 높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목부와 소기용 공간 사이에 피스톤 링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그루브는 비교적 더 하측에, 예를 들면, 피스톤 스커트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추출은 실제로 덜 효과적일 수 있으나, 흡기부에 더 적은 양의 고온 공기가 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피스톤 링 및 제 2 피스톤 링은 피스톤 재킷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피스톤 링, 피스톤 재킷 표면 및 실린더 슬리브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중간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오목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루브가 피스톤 재킷 표면 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그루브에 의해 중간 공간이 형성된다. 그루브는 특히 원주 방향의 그루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는 다수의 소기용 개구들을 포함하는 실린더 슬리브를 갖고, 윤활제 함유 기체는, 피스톤이 소기용 개구들을 덮을 때, 오목부 내로 유도될 수 있고, 소기용 개구들은 특히 소기용 슬릿들로서 형성된다. 실린더는 실린더 슬리브에 인접하는 내측면을 갖는 실린더 헤드를 가질 수 있고, 연소 공간은 피스톤 상측면, 실린더 슬리브 및 실린더 헤드의 내측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소기용 공간은 피스톤의 하측면에 인접하고, 오목부의 내부의 유체 압력은 연소 공간 내의 압력보다 작고, 또한 소기용 공간 내의 압력보다 작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 본체 내의 통로는 링 통로까지 이어지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본체 내의 통로는 공통의 링 통로까지 이어지는 다수의 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보어들의 개수는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에 대응하고, 특히 보어들의 개수는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와 동등할 수 있고, 또는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의 배수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로는 리저버와, 즉 특히 무압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와 유체 전달 연통 (fluid conducting communication) 상태일 수 있다.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는 통로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로는 특히 출구 단부를 가질 수 있고, 통로의 출구 단부는 무압 분리기 요소 내로 이어진다. 오목부는 피스톤 재킷에서 유체 윤활제의 편향을 위한 편향 요소를 갖는 입구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 요소는 액체 윤활제가 통로 내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은 오히려 피스톤 윤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것에 대한 추가로서, 윤활제 함유 기체로부터 액체 윤활제를 분리하는 스크래퍼 요소, 특히 스크래퍼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스로틀 요소 및/또는 밸브 및/또는 펌프가 입구 단부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스로틀 요소 및/또는 밸브 및/또는 펌프는 관류 (through flow) 의 조절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로틀 요소 및/또는 밸브 및/또는 펌프는 특히 가변 공급량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윤활제 함유 기체의 관류는 내연기관의 작동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작동 조건은 부하, 사용되는 연료, 사용되는 윤활제, 윤활제의 체적 유량, 내연기관의 배기 거동의 조절을 포함한다.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것에 대한 추가로서, 관류는 또한 피스톤 행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형 기관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피스톤 실린더 기기를 포함하고, 통로는 피스톤을 통해 피스톤 로드 및/또는 니이 레버 (knee lever) 및/또는 텔레스코픽 튜브 및/또는 스탠드 내로 연장한다.
배기량의 감소를 위한 및/또는 윤활제의 자연 발화의 감소를 위한 윤활제 함유 공기의 추출은 윤활제 수집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고, 윤활제 함유 공기 또는 윤활제는 피스톤 링을 통해 또는 피스톤 재킷 표면을 통해 내연기관의 연소 공간 내에 도달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수집 디바이스는 윤활제의 재사용을 위해 기여한다. 이 목적을 위해, 윤활제 통로는 피스톤으로부터 피스톤 로드를 통해 니이 레버를 경유하여 리저버까지 이어진다. 윤활제 액적들을 포함하는 공기는 리저버로 안내되고, 그곳에서 윤활제 통로를 통해 필터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 공간 내의 공기의 윤활제 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공기 유량의 조절이 조절될 수 있는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스로틀, 밸브 또는 펌프를 통해 관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압력 차이의 변화가 분리기 요소 및/또는 리저버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분리기 요소는 리저버에 연결될 수 있거나, 리저버와 유체 전달 연통 상태일 수 있다.
특히, 리저버는 환경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진공은, 예를 들면, 진공 펌프에 의해 생성될 수 있거나, 음의 압력 차이가 증대될 수 있다.
유리하게, 리저버로부터의 윤활제는 윤활을 위해 재사용되므로, 윤활제의 총 소비량이 감소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 기기의 실린더 내부 공간으로부터 윤활제 함유 기체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은, 피스톤 재킷 표면, 피스톤 상측면 및 피스톤 하측면을 갖는 피스톤의 상사점 위치로부터 하사점 위치로 실린더의 실린더 슬리브를 따르는 운동 및 이 운동의 반전 운동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피스톤 본체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 수집 장치를 포함한다. 하사점 위치로부터 상사점 위치로의 피스톤의 운동 중에, 피스톤, 실린더 슬리브 및 실린더 헤드의 내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는 연소 공간 내에서 압축된다. 실린더 슬리브를 따르는 피스톤의 운동 중에, 피스톤 슬리브 및 실린더 슬리브의 활주 표면들의 윤활이 실행된다. 윤활제가 연소 공간 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 재킷 표면의 오목부 및 윤활제 함유 기체의 수용을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윤활제 수집 장치가 제공되고, 통로는 오목부에서 피스톤 본체에 인접한다. 윤활제 함유 기체는, 피스톤의 운동 중에 및/또는 피스톤이 실린더 슬리브 내의 소기용 개구들을 덮고 있는 중에, 통로를 통해 리저버 내로 도입된다. 오목부의 내부의 유체 압력이 연소 공간 내의 압력보다 낮고, 또 소기용 공간 내의 압력보다 낮으므로, 윤활제 함유 기체는 오목부, 실린더 슬리브 및 피스톤 재킷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공간으로부터 추출된다. 윤활제 함유 기체는 분리기 요소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윤활제는 분리기 요소 내에서 기체로부터 분리되고, 이것에 의해 기체는 정화되고, 윤활제는 수집된다. 윤활제는 재순환될 수 있고, 이것은 윤활제가 실린더 슬리브에서 주행 표면의 윤활을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종방향 소기형 또는 역방향 소기형 기관에 대해 특히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크로스 헤드형 구동부를 구비하는 기관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원리는 내연기관으로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피스톤 기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기관은, 입구 수용부로부터, 즉 공기 입구로부터 기관 내로의 공기의 경로가 피스톤 하측면으로부터 소기용 슬릿들까지 길고, 이 점에서 윤활제 액적들의 수용을 위한 많은 가능성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윤활제 비율이 감소되므로 매연의 퇴적 및/또는 연소 퇴적이 감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사전 혼합 연료를 사용하는 기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또한 디젤 기관, 이원 연료 또는 기체 기관용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기관은 높은 압축률 및/또는 높은 작동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이 기관은 저속 주행 2 행정 모터로서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중속 또는 고속의 주행 속도를 갖는 4 행정 모터일 수 있다.
공기의 공급을 위한 터보차저가 제공될 수 있다. 실린더의 윤활의 종류와 무관하게, 특히 크로스 헤드형 구동부를 구비하는 2 행정 기관에서, 공기 유동이 고속이므로 윤활제의 많은 부분이 공기 내에 국부적으로 주입된다. 특히, 분무 효과는 피스톤 링을 통한 공기 및/또는 배기 가스의 연속적인 누설 및 소기용 슬릿들의 개구들에서의 공기 및/또는 배기 가스의 노크-백 (knock-back) 효과와 관련된다. 피스톤의 하측의 소기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강력한 운동이 유발되므로,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오일 클라우드는 완전한 소기용 공기와 혼합된다. 소기용 슬릿들이 개방되는 즉시 또는 피스톤이 하사점 위치에 존재할 때, 오일 클라우드는 이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실 내에 도달한다. 윤활제 함유 공기는 연료 뿐만 아니라 연소 공간 내의 윤활제의 자연 발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연소 공간 내에 윤활제의 도입은 방지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공기 내의 윤활제의 농도는 감소하게 된다. 피스톤의 인접부에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오일 클라우드는, 본 발명에 의해, 실린더 내벽과 오목부 내의 피스톤 재킷 표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압력 차이를 통해 추출된다. 이것에 의해, 오일 클라우드는 더 이상 소기용 공간과 접촉할 수 없고, 오히려 사전에 추출되므로, 이 오일 클라우드와 전체 소기용 공기의 혼합이 방지된다. 오일 클라우드 자체는 윤활에 거의 기여하지 않으므로 윤활제 소비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 오일 클라우드는 실린더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그 형성 위치에서 직접 추출되고, 그 결과 분리기 요소 또는 필터 요소에 의해 유리하게 필터링된 후, 재개되는 윤활 사이클 후에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제 소비량이 감소된다.
전술한 설명 뿐만 아니라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역할만 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 뿐만 아니라 도면으로부터 유래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또한 설명되거나 도시된 실시형태들의 개별 특징들은 상호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피스톤 실린더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피스톤 실린더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에 따른 피스톤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제 수집 장치를 갖는 대형 디젤 기관의 도면이다.
도 1 에 따른 피스톤 실린더 기기 (2) 는 실린더 (20) 뿐만 아니라 피스톤 (3) 을 포함한다. 실린더 (20) 는 실린더 내부 공간 (18) 과 경계를 이루는 실린더 슬리브 (17) 를 갖는다. 피스톤 (3) 은 피스톤 상측면 (5) 및 피스톤 하측면 (6) 을 갖는다. 피스톤 재킷 표면 (4), 피스톤 상측면 (5) 및 피스톤 하측면 (6) 은 피스톤 본체 (8) 를 한정한다. 피스톤 본체 (8) 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것은 피스톤 헤드 (38) 및 피스톤 스커트 (39) 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본체 (8) 는 피스톤 본체 (8) 내에 냉각제가 도입될 수 있는 중공 공간 (40)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 (3) 은 피스톤 내부 공간 (8)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 수집 장치 (7) 를 포함한다. 윤활제 수집 장치 (7) 는 피스톤 재킷 표면 (4) 의 오목부 (11) 및 윤활제 함유 기체 (10) 의 수용을 위한 통로 (9) 를 포함한다. 통로 (9) 는 피스톤 본체 (8) 내의 오목부 (11) 에 인접하여,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작동 상태에서 통로 (9) 를 통해 리저버 (13)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특히, 오목부 (11) 는 피스톤 재킷 표면 (4) 내의 그루브로서 형성되므로, 중간 공간 (16) 이 피스톤 재킷 표면 (4) 과 실린더 슬리브 (17) 사이의 그루브 (12) 에 의해 형성된다. 그루브 (12) 는 피스톤 재킷 표면 (4) 의 외주의 일부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특히, 또한 다수의 이와 같은 그루브들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재킷 표면의 원주 방향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그루브 (12) 또는 이 그루브들 (12) 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9) 가 인접한다.
실린더 (20) 는 다수의 소기용 개구들 (19) 을 포함하는 실린더 슬리브 (17) 를 갖고, 피스톤 (3) 이 소기용 개구들 (19) 을 덮고 있을 때,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오목부 (11)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실린더 (20) 는 실린더 슬리브 (17) 에 인접하는 내측면 (22) 을 갖는 실린더 헤드 (21) 를 갖고, 연소 공간 (23) 은 피스톤 상측면, 실린더 슬리브 (17) 및 실린더 헤드 (21) 의 내측면 (22) 에 의해 한정된다. 소기용 공간 (24) 은 피스톤 하측면 (6) 에 인접하고, 오목부 (11) 의 내부의 유체 압력은 연소 공간 내의 압력보다 낮고, 소기용 공간 (24) 내의 압력보다 낮다.
도 2 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것에 따르면, 제 1 피스톤 링 (14) 및 제 2 피스톤 링 (15) 이 피스톤 재킷 표면 (4) 에 배치되므로, 피스톤 링 (14), 피스톤 재킷 표면 (4) 및 실린더 슬리브 (17) 에 의해 한정되는 중간 공간 (16) 이 형성되고, 중간 공간 (16) 은 오목부 (11) 를 포함한다. 오목부 (11) 는 피스톤 재킷 표면 (4) 내의 원주 방향의 그루브 (12) 로서 형성되므로, 피스톤 재킷 표면 (4) 과 실린더 슬리브 (17) 사이에서 그루브 (12) 뿐만 아니라 피스톤 링들 (14, 15) 에 의해 중간 공간 (16) 이 형성된다. 또한, 특히 다수의 이와 같은 그루브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재킷 표면의 외주에 상호 평행하게 분배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로 (9) 가 이 그루브 (12) 또는 이 그루브들 (12) 의 각각에 인접할 수 있다.
피스톤 링 (14) 은 연소 공간 (23) 에 기밀 연결부를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피스톤 링 (15) 은 기밀 설계를 가지지 않는다. 피스톤 링 (15) 은 또한 윤활제 스크래퍼 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피스톤 링 (14) 과 피스톤 링 (15)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목부는 500 ㎜ 의 내부 실린더 직경에 대해 4 ㎜ 의 직경을 갖는 15 개의 보어들을 갖는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피스톤 (3) 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피스톤 상측면 (5), 피스톤 하측면 (6), 뿐만 아니라 피스톤 재킷 표면 (4) 을 갖는 피스톤의 반쪽을 도시한다. 피스톤 (3) 은 도 2 와 같이 피스톤 헤드 (38) 및 피스톤 스커트 (39) 로부터 조립된다. 피스톤 헤드 (38) 및 피스톤 스커트 (39) 는 윤활제 수집 장치 (7) 를 포함하는 피스톤 본체 (8) 를 형성한다. 윤활제 수집 장치 (7) 는 윤활제 함유 기체 (10) 의 수용을 위한 역할을 하는 통로 (9) 로서 형성된다. 윤활제 함유 기체 (10) 의 유동 경로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통로 (9) 는 입구 단부 (27) 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출구 단부 (28) 까지 연장된다. 입구 단부 (27) 는 그루브 (12) 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공간 (16) 내에 제공되고, 이 그루브는 오목부 (11) 를 형성하고,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재킷 표면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거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재킷 표면의 전체 외주에 걸쳐 연장되고, 또한 피스톤 링들 (14, 15) 을 위한 그루브들 (41, 42) 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 도면에서 피스톤 링들도 생략되었다. 입구 단부 (27) 는 액체 윤활제가 통로 (9)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편향 요소 (29) 를 갖는다. 특히, 편향 요소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또한 스크래퍼 요소, 특히 스크래퍼 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로 (9) 는 하나 이상의 스로틀 요소들 (30)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로틀 요소 (30) 또는 스로틀 요소들 (30) 은 통로 (9) 의 협폭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헤드 내의 통로 (9) 는 피스톤 본체 (8) 내의 피스톤 헤드의 하측면에서 기계 가공되는 링 통로 (26) 내로 이어지는 보어 (25) 로서 형성된다. 통로 (9) 뿐만 아니라 링 통로 (26) 의 기계 가공은 재료 기계 가공 공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보어들 (25) 이 오목부 (11) 의 외주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 통로 (26) 는 밀링 또는 선삭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링 통로 (26) 는 피스톤 스커트의 피스톤 본체 (8) 내에 배치되고 또한 스로틀 요소들 (3) 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통로 섹션들 (43) 내로 이어진다. 제 1 통로 섹션 (43) 은 피스톤 스커트 (39) 와 피스톤 로드 (34)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통로 섹션 (44) 내로 이어진다. 통로는 제 3 통로 섹션 (45) 및 제 4 통로 섹션 (46) 을 구비하는 피스톤 로드로 계속된다. 제 2 통로 섹션 (44) 은 윤활제 함유 기체가 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요소 (47) 에 의해 환경으로부터 폐쇄된다. 이 밀봉 요소 (47) 에 의해, 피스톤 스커트 (39) 와 피스톤 로드 (34) 사이의 상이한 열 장력 (heat tensions) 에 기인된 팽창이 상쇄될 수 있다. 더욱이, 밀봉 요소 (47) 는, 예를 들면, 통로 (9) 를 세척하기 위해 또는 예방적 유지보수 조치와 관련하여 밀봉 요소를 교체하기 위해, 밀봉 요소 (47) 를 제거할 수 있는 분해 장치 (48) 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오목부 (11) 에 직접 인접하는 스로틀 요소 (3) 를 형성하는 보어들은 최대 4 ㎜ 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최대 30 개의 이와 같은 보어들,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개의 이와 같은 보어들이 피스톤 재킷 표면 (4) 의 외주에 분배 배치될 수 있다. 보어들은 링 통로 (26) 내로 이어진다. 마찬가지로 스로틀 요소 (3) 로서 형성되는 추가의 보어들이 링 통로 (26) 로부터 출발한다. 바람직하게, 최대 10 ㎜ , 바람직하게는 최대 6 ㎜ 의 직경을 갖는 최대 15 개의 보어들이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적어도 일부의 보어들 (25) 은 통로 섹션 (43) 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보어들 (25) 의 총 단면적은 통로 섹션 (43) 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 보어들은 제 2 통로 섹션 (44) 을 형성하는 링 통로 내로 이어진다. 제 3 통로 섹션 (45) 및 제 4 통로 섹션 (45) 을 형성하는, 제 2 통로 섹션 (44) 으로부터 이어지는 단일의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 3 통로 섹션 (44) 및/또는 제 4 통로 섹션 (45) 은 최대 30 ㎜ ,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 의 직경을 갖는다.
도 4 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피스톤 실린더 기기를 갖는 대형 기관을 도시한다. 특히, 통로 (9) 의 범위에서 2 가지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형태들과 마찬가지로, 통로 (9) 는 링 통로 (26) 내로 이어지는 피스톤 본체 (8) 내의 보어 (25) 를 포함한다. 특히, 보어들 (25) 의 개수는 소기용 개구들 (19) 의 개수에 대응하고, 특히 이것은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의 배수이거나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의 분수 (fraction) 이다. 특히, 소기용 개구들의 규칙적 분할이 제공될 수 있다.
통로 (9) 는 무압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 (13) 와 유체 전달 연통 상태에 있다. 윤활제는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 내에서 윤활제 함유 기체류 (10) 로부터 배출된다. 도 4 는 2 개의 분리기 요소들 (13) 을 도시한다.
2 개의 분리기 요소들 중 제 1 분리기 요소는 피스톤 로드 (34) 를 통해 연장하는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 받는다. 공급 라인은 도 3 의 제 3 통로 섹션 (45) 및 제 4 통로 섹션 (46) 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 (34) 의 스탠드 측 단부에서, 통로 (9) 는 니이 레버 (35) 의 내부로 연장하는 통로 내로 이어진다. 니이 레버는 스탠드 (37) 에 위치 고정 상태로 장착되는 도킹 장치와 피스톤 로드 사이에서 접합된 연결부를 형성한다. 니이 레버는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글라이딩 슈 (gliding shoe) 로 이동한다.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도킹 장치로부터 분리기 요소 내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출구 단부 (28) 에 도달하고, 이것은 통로 (9) 의 출구 단부 (28) 가 무압 분리기 요소 내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통로 내에는, 예를 들면, 밸브 (31) 와 같은 봉쇄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 에 도시된 추가의 변형에 따르면, 통로 (9) 는 피스톤 (3) 을 통해 텔레스코픽 튜브 (36) 내로 및/또는 스탠드 (37) 내로 연장한다. 텔레스코픽 튜브 (36) 는 통로 (9) 를 포함하고, 또한 피스톤 스커트 (39) 나 피스톤 로드 (34) 에 연결되는 제 1 단부를 갖는 내부의 튜브를 갖는다. 내부의 튜브는 외부의 튜브 내에 수용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외부의 튜브는 하우징 또는 스탠드 (37)(도시되지 않음) 에 위치 고정 상태로 연결된다. 내부의 튜브와 외부의 튜브의 위치는 당연히 교환될 수도 있다. 도 4 에 따르면, 통로 (9) 는 특히 진공 펌프로서 설계될 수 있는 펌프 (32) 까지 이어진다. 특히, 펌프는 터보차저를 구비하는 내연기관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다음에 통로 (9) 는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 (13) 내로 이어지는 출구 단부 (28) 에서 종료된다.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의 기능은 전술한 변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이전의 설명이 참조된다.
스로틀 요소들 (3) 및/또는 밸브 (31) 및/또는 펌프 (32) 의 각각은 입구 단부 (27) 의 하류에 배치된다. 스로틀 요소 (30) 및/또는 밸브 (31) 및/또는 펌프 (32) 는 관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 (33) 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실린더 (20) 뿐만 아니라 피스톤 (3) 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특히 대형 기관 (1) 또는 압축기용 피스톤 실린더 기기 (2) 로서,
    상기 실린더 (20) 는 실린더 내부 공간 (18) 을 한정하는 실린더 슬리브 (17) 를 갖고,
    상기 피스톤 (3) 은 피스톤 재킷 표면 (4), 피스톤 상측면 (5) 및 피스톤 하측면 (6) 을 갖고,
    상기 피스톤 (3) 은 피스톤 내부 공간 (8)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 수집 장치 (7) 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 수집 장치 (7) 는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의 오목부 (11) 및 윤활제 함유 기체 (10) 의 수용을 위한 통로 (9) 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9) 는 상기 피스톤 본체 (8) 내에서 상기 오목부 (11) 에 인접하여, 상기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통로 (9) 를 통해 리저버 (13)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고 피스톤 링 (14),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및 상기 실린더 슬리브 (17) 에 의해 한정되는 중간 공간 (16) 이 형성되도록,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에 피스톤 링 (14)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에 그루브 (12) 가 형성되어서, 상기 그루브 (12) 에 의해 중간 공간 (16)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12) 는 원주 방향의 그루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20) 는 다수의 소기용 개구들 (19) 을 포함하는 실린더 슬리브 (17) 를 갖고,
    상기 윤활제 함유 기체 (10) 는, 상기 피스톤 (3) 이 상기 소기용 개구들 (19) 을 덮을 때, 상기 오목부 (11)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20) 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17) 가 인접하는 내측면 (22) 을 갖는 실린더 헤드 (21) 를 포함하고,
    연소 공간이 상기 피스톤 상측면, 상기 실린더 슬리브 (17), 및 상기 실린더 헤드 (21) 의 상기 내측면 (22) 에 의해 한정되고,
    소기용 공간 (24) 이 상기 피스톤 하측면 (6) 에 인접하고,
    상기 오목부 (11) 의 내부의 유체 압력은 상기 연소 공간 내의 압력보다 작고, 또한 상기 소기용 공간 (24) 내의 압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본체 (8) 내의 상기 통로 (9) 는 링 통로 (26) 내로 이어지는 보어 (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본체 (8) 내의 상기 통로 (9) 는 공통의 링 통로 (26) 내로 이어지는 다수의 보어들 (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9. 제 5 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 8 항에 있어서,
    보어들 (25) 의 개수는 소기용 개구들 (19) 의 개수와 관련되고, 특히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와 동일하고, 또는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의 배수이거나 소기용 개구들의 개수의 분수 (fractio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9) 는 무압 (pressure free) 분리기 요소 및/또는 필터 요소와 유체 전달 연통 (fluid conducting communication)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9) 는 출력 단부 (28) 를 갖고,
    상기 통로 (9) 의 상기 출력 단부 (28) 는 상기 무압 분리기 요소 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11) 는 상기 피스톤 재킷 표면 (4) 상으로의 액체 윤활제의 편향을 위한 편향 요소 (29) 를 갖는 입력 단부 (27) 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부 (27) 의 하류에 스로틀 요소 (30) 및/또는 밸브 (31) 및/또는 펌프 (32) 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요소 (30) 및/또는 상기 밸브 (31) 및/또는 상기 펌프 (32) 는 관류 (through flow) 의 조절을 위한 조절 장치 (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실린더 기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스톤 실린더 기기 (2) 를 포함하는 대형 기관 (1) 으로서, 상기 통로 (9) 는 상기 피스톤 (3) 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 (34) 및/또는 니이 레버 (35; knee lever) 및/또는 텔레스코픽 튜브 (36) 및/또는 스탠드 (37) 내로 연장하는, 대형 기관.
KR1020130064997A 2012-06-05 2013-06-05 윤활제 수집 장치 KR102110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70866 2012-06-05
EP12170866.3 2012-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942A true KR20130136942A (ko) 2013-12-13
KR102110609B1 KR102110609B1 (ko) 2020-05-14

Family

ID=4842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997A KR102110609B1 (ko) 2012-06-05 2013-06-05 윤활제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72082A1 (ko)
JP (1) JP6376583B2 (ko)
KR (1) KR102110609B1 (ko)
CN (1) CN103470331B (ko)
BR (1) BR1020130136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5532B (zh) * 2015-10-28 2018-02-06 北京理工大学 一种多模块自由活塞内燃发电机压力润滑系统
GB201601602D0 (en) * 2016-01-28 2016-03-16 Linde A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fluid
DE102017201741B4 (de) 2017-02-03 2022-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olben-Pleuel-Vorrichtung zur direkten Kolbenschmierung und -kühlung
JP7083299B2 (ja) * 2018-10-01 2022-06-10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可動式給油管およ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108A (ja) * 1986-11-30 1988-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2サイクル機関の潤滑システム
JPH02107751U (ko) * 1989-02-14 1990-08-28
JPH0558858U (ja) * 1992-01-16 1993-08-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
JP2007278228A (ja) * 2006-04-10 2007-10-2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074Y2 (ko) * 1976-09-10 1981-08-31
JPS5548112Y2 (ko) * 1976-12-15 1980-11-11
JPS5968161U (ja) * 1982-10-30 1984-05-0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H0338442Y2 (ko) * 1985-12-12 1991-08-14
JPH0335210U (ko) * 1989-08-15 1991-04-05
JPH0447112U (ko) * 1990-08-23 1992-04-22
EP0903473B1 (de) 1997-09-22 2004-03-03 Wärtsilä Schweiz AG Dieselmot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JPH11182332A (ja) * 1997-12-16 1999-07-06 Kubota Corp エンジンのピストンのリング部
JP3509560B2 (ja) * 1998-06-15 2004-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FR2791397A1 (fr) * 1999-03-26 2000-09-29 Jeremie Lagarrigue Piston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2001012296A (ja) * 1999-06-30 2001-01-16 Iseki & Co Ltd ディ−ゼルエンジンのピストン
AT411091B (de) * 2000-11-30 2003-09-25 Kirchberger Roland Dipl Ing Viertakt-verbrennungsmotor
EP1793144A1 (fr) * 2005-12-05 2007-06-06 Jean Frédéric Melchior Dispositif d'étanchéité pour piston pour monteur alternatif à combustion interne ou compresseur alternatif,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piston
SE0602508L (sv) 2006-11-27 2007-08-28 Atlas Copco Constr Tools Ab Tvåtaktsförbränningsmotor
EP1936245B1 (de) 2006-12-18 2012-05-02 Wärtsilä Schweiz AG Kolben mit einem Ölsammelring
EP2253810A1 (de) 2009-05-20 2010-11-24 Wärtsilä Schweiz AG Kolben für einen Zylinder eines Grossdieselmotors sowie Schmiervorrichtung und Schmierverfahren mit einem solchen Kolben
EP2133520A1 (de) * 2009-07-09 2009-12-16 Wärtsilä Schweiz AG Kolben für einen Zylinder eines Grossmotors sowie Schmiervorrichtung und Schmierverfahren mit einem solchen Kolb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108A (ja) * 1986-11-30 1988-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2サイクル機関の潤滑システム
JPH02107751U (ko) * 1989-02-14 1990-08-28
JPH0558858U (ja) * 1992-01-16 1993-08-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
JP2007278228A (ja) * 2006-04-10 2007-10-2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609B1 (ko) 2020-05-14
BR102013013614A2 (pt) 2015-06-23
CN103470331B (zh) 2017-06-23
JP6376583B2 (ja) 2018-08-22
EP2672082A1 (de) 2013-12-11
CN103470331A (zh) 2013-12-25
JP2013253600A (ja)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6981B2 (ja) オイル収集リング用のピストン
US4111104A (en) Engine with low friction piston
KR102110609B1 (ko) 윤활제 수집 장치
CN101749073A (zh) 气缸润滑系统以及具有气缸润滑装置的往复式活塞内燃机
CN102635437A (zh) 两冲程内燃机和用于使其工作的方法
JP5689615B2 (ja) 大型エンジンのシリンダ用のピストン並びにこのピストンを有する潤滑装置及び潤滑方法
CN102652237A (zh) 用于内燃机的密封组件
EP0837982B1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coke scraping ring in a cylinder
CN102691565A (zh) 用于纵向扫气往复活塞式内燃机的汽缸装置和活塞
US4363310A (en) Diesel engine with blowby scavenging
JP2013024420A (ja) 往復ピストン燃焼エンジン用のピストン、ピストンリング、およびオイル分配リング
JP2013253600A5 (ko)
JP2007278220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冷却構造
CN101718214B (zh) 用于润滑大型柴油发动机的方法及该大型柴油发动机
EP0138443A2 (en) Piston rod seal
KR20130063996A (ko) 왕복 피스톤 연소 기관을 위한 피스톤과 실린더 장치 및 피스톤으로부터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
CN103244302A (zh) 包括汽缸润滑装置的大型发动机和用于润滑其汽缸的方法
FI89972C (fi) Arrangemang foer smoerjning av kolvorganet vid en braensleinsprutningspump
KR20130127390A (ko) 왕복운동 피스톤 연소 엔진의 피스톤-인-실린더 배열체를 윤활하기 위한 방법 및 실린더 윤활 기구
KR20000006194A (ko) 디젤엔진
JP5796829B2 (ja) ピストン用潤滑装置
US4403577A (en) Free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3174512A (zh) 一种带有油环的二冲程发动机
US2792818A (en) Two-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20116294A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