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637A - 소형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소형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637A
KR20130136637A KR1020120060178A KR20120060178A KR20130136637A KR 20130136637 A KR20130136637 A KR 20130136637A KR 1020120060178 A KR1020120060178 A KR 1020120060178A KR 20120060178 A KR20120060178 A KR 20120060178A KR 20130136637 A KR20130136637 A KR 2013013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ood storage
space
storage spac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394B1 (ko
Inventor
방원서
방성택
방재희
Original Assignee
방원서
방성택
방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원서, 방성택, 방재희 filed Critical 방원서
Priority to KR102012006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394B1/ko
Priority to JP2015505663A priority patent/JP5968520B2/ja
Priority to EP13801166.3A priority patent/EP2857328B1/en
Priority to US14/399,075 priority patent/US9278794B2/en
Priority to PCT/KR2013/004326 priority patent/WO2013183868A1/ko
Publication of KR2013013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내부에 겔 상태의 식품이 저장 가능한 용기형태이되, 외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갖는 식품저장용기;상기 식품저장용기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위아래가 개구된 굴곡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둘레를 따라 내·외부를 연락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를 형성하되, 내부에 식품저장공간과 연락하여 식품이 충진되는 식품충진공간을 갖는 식품충진몸체; 및 상기 식품충진몸체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포개진 접시형상으로 식품저장공간, 식품충진공간을 구획하여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외압에 의해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압력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식품충진공간으로 이동하고, 식품저장공간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식품충진공간을 밀폐하도록 한 식품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식품저장용기{THE SMALL FOOD STO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소형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케첩, 고추장, 마요네즈 등 각종 겔(gel)상태의 식품을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가정에서는 케첩, 고추장, 마요네즈 등과 같은 겔(gel)상태의 식품을 소형 식품저장용기 또는 대형 식품저장용기에 담겨져 판매하고, 이를 가정에서 구입하여 구입한 소형 식품저장용기 상태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소형 저장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짜내기 위하여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할 때, 식품저장공간 내로 외부의 공기가 월할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식품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못함으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등록 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541호에는 외압에 의해 형태가 오그라들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가지며, 식품배출구를 갖고, 외부의 공기가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되 식품이 주입될수 있는 크기로써 식품저장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갖는 용기몸체와; 공기유입구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용기몸체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에어홀이 천공되어있고,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 압력에 의해 에어홀을 차단하고, 식품저장공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에어홀로부터 떨어져서 에어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홀개폐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입구마개와; 용기몸체의 식품배출구에 씌워져 식품배출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품의 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배출구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식품의 원할한 배출은 가능하나, 배출시,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외부로 배출되고, 식품배출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며, 식품이 배출되는 주변부가 항상 청결하지 못하기에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541호,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개폐기를 구비하여,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식품충진몸체의 외주면에 충진눈금을 표기하여, 식품충진공간으로 충진되는 식품충진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식품 배출후,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로, 식품충진공간에 남아있는 식품을 항상 청결하게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지연공간부를 형성하여,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식품충진공간에 배출되지 않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내부에 겔 상태의 식품이 저장 가능한 용기형태이되, 외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을 갖는 식품저장용기;상기 식품저장용기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위아래가 개구된 굴곡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둘레를 따라 내·외부를 연락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를 형성하되, 내부에 식품저장공간과 연락하여 식품이 충진되는 식품충진공간을 갖는 식품충진몸체; 및 상기 식품충진몸체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포개진 접시형상으로 식품저장공간, 식품충진공간을 구획하여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외압에 의해 식품저장공간이 오그라들 때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배출압력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식품충진공간으로 이동하고, 식품저장공간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는 식품저장공간에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식품충진공간을 밀폐하도록 한 식품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품충진몸체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위아래로 길이를 갖되, 양단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다각 형상의 스토퍼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품충진몸체의 상단에는 식품충진공간의 밀폐가 가능한 뚜껑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품충진몸체의 외주면에는 충진눈금이 표시되어 식품충진공간에 충진된 식품충진량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품개폐기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얇고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를 가지며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식품충진공간을 개폐하는 원형 형상의 상단개폐부; 상기 상단개폐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식품배출구를 갖는 몸체; 빨대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되, 상기 식품배출구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통공을 갖는 이송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를 갖되, 상기 스토퍼와 대응하는 고정돌기를 가지며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식품충진공간을 개폐하는 원형 형상의 하단개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단개폐부의 하면은 소정의 길이만큼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제1밀착부를 형성하여 스토퍼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제1지연공간부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단개폐부의 하면에는 식품충진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제3지연공간부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품개폐기는 식품저장공간에 흡입·배출압력이 모두 발생하지 않을 때, 공기유입구, 식품배출구와 접촉되어 공기유입구를 통해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식품배출구를 통해 식품충진공간으로 배출되는 식품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식품개폐기로 인해,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식품충진공간으로 충진되는 식품충진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효과도 있다.
또, 식품 배출후,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로, 식품충진공간에 남아있는 식품을 항상 청결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지연공간부를 형성하여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식품충진공간에 배출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식품개폐기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5(A)는 흡입·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5(B)는 배출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5(C)는 흡입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식품개폐기를 구비하여,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충진눈금을 표기하여 식품충진공간으로 충진되는 식품충진량을 정확하게 제어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흡입·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식품충진공간과 식품저장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식품 배출후,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로, 식품충진공간에 남아있는 식품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제1 내지 제3지연공간부를 형성하여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식품충진공간에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식품개폐기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사용상태도(5(A)는 흡입·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 5(B)는 배출압력이 작용되는 상태, 5(C)는 흡입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는 식품저장용기(100), 식품충진몸체(200), 식품개폐기(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품저장용기(100)는 내부에 겔(gel) 상태의 식품이 저장 가능한 식품저장공간(A)을 갖는 용기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식품저장용기(100)는 통상의 것과 같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형태가 변형, 복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식품저장용기(100)의 식품저장공간(A)에 저장된 식품저장량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충진몸체(200)는 식품저장용기(100)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위아래가 개구된 굴곡을 갖는 원통형상이다.
이러한, 식품충진몸체(200)는 하부 내주면에 나사선(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식품저장용기(1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미도시)으로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의 둘레를 따라 내·외부를 연락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10)를 형성하되, 내부에 식품저장공간(A)과 연락하여 식품이 충진되는식품충진공간(B)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위아래로 길이를 갖되, 양단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다각 형상의 스토퍼(230)가 더 설치되어 후술 할, 식품개폐기(300)의 끼움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품충진몸체(200)의 상단에는 식품충진공간(B)의 밀폐가 가능한 뚜껑(250)이 더 설치되어 식품충진공간(B)에 충진된 식품에 먼지 등의 오염물의 유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외주면에는 충진눈금(270)이 표시되어 식품충진공간(B)에 충진된 식품충진량의 확인이 가능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품충진몸체(200는 식품충진공간(B)에 저장된 식품충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개폐기(3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식품충진몸체(20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포개진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식품개폐기(300)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는 에어체크밸브의 원리로 이루어지며 제조원가 등을 고려할 때, 도3 내지 도 4와 같이, 얇은 막이 흡입·배출 압력에 의해 움직여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구조가 현실적이다.
이러한, 식품개폐기(300)의 식품저장용기(100)와 결합한 식품충진몸체(200)의 내부에 끼워져 형성하는 하나의 공간을 식품저장공간(A), 식품충진공간(B)으로 구획하여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한다.
즉, 식품저장용기(100)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식품저장공간(A)이 오그라들 때는 식품저장공간(A)에 발생되는 배출압력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식품저장공간(A)에 저장된 식품을 식품충진공간(B)으로 이동하고, 식품저장공간(A)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는 식품저장공간(A)에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식품충진공간(B)을 밀폐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식품개폐기(300)는 식품저장공간(A)에 흡입·배출압력이 모두 발생하지 않을 때, 공기유입구(210), 식품배출구(355)와 접촉되어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식품배출구(355)를 통해 식품충진공간(B)으로 배출되는 식품을 밀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5(A)는 흡입·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품개폐기(300)가 식품충진몸체(20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식품저장공간(A), 식품충진공간(B) 모두 밀폐되어 공기의 이동이 없음을 알 수 있다.
5(B)는 배출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품저장용기(100)에 외압을 가해 배출압력이 발생함으로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은 밀폐되고, 식품충진공간(B)은 개구되어 식품저장공간(A)의 내부 공기가 식품과 함께 식품충진공간(B)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5(C)는 흡입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품저장용기(100)에 가해지는 외압이 해제되어 흡입압력이 발생함으로 식품충진공간(B)은 밀폐되어 식품저장공간(A)의 내부 공기와 식품은 밀폐되고 식품저장공간(A)은 개구되어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품개폐기(300)는 손잡이부(310), 상단개폐부(330), 몸체(350), 이송관(370), 하단개폐부(39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10)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원형 형상으로 식품개폐기(300)를 파지하기 쉬운 구조를 이루어 후술 할, 식품충진몸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230)에 끼우기 용이하거나, 후술 할, 상단개폐부(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도 한다.
상기 상단개폐부(330)는 원형 형상으로 손잡이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얇고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를 가지며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식품충진공간(B)을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단개폐부(330)의 하면은 소정의 길이만큼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폭이 좁아지게 제1밀착부(331)를 형성하여 스토퍼(230)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제1지연공간부(Z1)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단개폐부(330)의 하면에는 식품충진몸체(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돌기(335)가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Z2),제3지연공간부(Z3)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몸체(350)는 원통형상으로 상단개폐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밀착부(351)를 형성하여 스토퍼(230)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35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식품배출구(355)를 갖는다.
이러한, 식품배출구(355)는 도 5에서와 같이, 식품저장용기(100)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저장된 식품을 후술할, 이송관(370)을 통해 식품충진공간(B)으로 배출한다.
상기 이송관(370)은 빨대 형상으로 몸체(35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된다.
이때, 이송관(370)은 상기 식품배출구(355)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통공(375)을 가지어 식품배출구(355)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이송관(370)은 상기 몸체(350)를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시켜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제조원가 등을 고려하여 빨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개폐부(390)는 원형 형상으로 상기 몸체(35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단개폐부(390)는 상기 스토퍼(230)와 대응하는 고정돌기(395)를 형성하여 스토퍼(230)에 안정적으로 끼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소형 식품저장용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식품저장용기(100)의 내부 식품저장공간(A)에 겔 상태의 식품을 채운 후,
식품개폐기(300)를 식품충진몸체(200)의 내부의 스토퍼(230)를 향해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여 식품개폐기(300)의 손잡이부(310)를 위로하여 끼운 후,
식품개폐기(300)와 결합한 식품충진몸체(20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식품저장용기(1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을 통해 나사식으로 회전하여 결합한 후,
식품저장용기(100)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용기(100)를 변형·복원시켜 식품저장공간(A)에 저장된 식품을 식품충진공간(B)으로 원하는 식품충진량 만큼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식품저장용기에 외압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식품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개폐하거나, 식품저장공간에서 식품충진공간으로 이송되는 식품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폐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한다.
또, 식품충진공간으로 충진되는 식품충진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한다.
또, 식품 배출후, 식품저장공간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로, 식품충진공간에 남아있는 식품을 항상 청결하게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한다.
또한,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식품충진공간에 배출되지 않는 소형 식품저장용기도 제공한다.
식품저장용기:100
식품충진몸체:200
공기유입구:210
스토퍼:230
뚜껑:250
충진눈금:270
식품개폐기:300
손잡이부:310
상단개폐부:330
제1밀착부:331
돌기:335
몸체:350
제2밀착부:351
식품배출구:355
이송관:370
통공:375
하단개폐부:390
고정돌기:395
식품저장공간:A
식품충진공간:B
제1,제2,제3지연공간부(Z1,Z2,Z3)

Claims (8)

  1. 내부에 겔 상태의 식품이 저장 가능한 용기형태이되, 외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 복원되는 식품저장공간(A)을 갖는 식품저장용기(100);
    상기 식품저장용기(100)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위아래가 개구된 굴곡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둘레를 따라 내·외부를 연락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10)를 형성하되, 내부에 식품저장공간(A)과 연락하여 식품이 충진되는 식품충진공간(B)을 갖는 식품충진몸체(200); 및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포개진 접시형상으로 식품저장공간(A), 식품충진공간(B)을 구획하여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외압에 의해 식품저장공간(A)이 오그라들 때는 식품저장공간(A)에 발생되는 배출압력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식품저장공간(A)에 저장된 식품을 식품충진공간(B)으로 이동하고, 식품저장공간(A)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는 식품저장공간(A)에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식품충진공간(B)을 밀폐하도록 한 식품개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소형 식품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위아래로 길이를 갖되, 양단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다각 형상의 스토퍼(23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상단에는 식품충진공간(B)의 밀폐가 가능한 뚜껑(2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충진몸체(200)의 외주면에는 충진눈금(270)이 표시되어 식품충진공간(B)에 충진된 식품충진량의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개폐기(300)는,
    손잡이부(310);
    상기 손잡이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얇고 중앙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를 가지며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식품충진공간(B)을 개폐하는 원형 형상의 상단개폐부(330);
    상기 상단개폐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식품배출구(355)를 갖는 몸체(350);
    빨대 형상으로 상기 몸체(35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되, 상기 식품배출구(355)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통공(375)을 갖는 이송관(370);
    상기 몸체(35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를 갖되, 상기 스토퍼(230)와 대응하는 고정돌기(395)를 가지며 공기의 흡입·배출압력에 의해 식품충진공간(B)을 개폐하는 원형 형상의 하단개폐부(39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개폐부(330)의 하면은 소정의 길이만큼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제1밀착부(331)를 형성하여 스토퍼(230)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제1지연공간부(Z1)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개폐부(330)의 하면에는 식품충진몸체(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돌기(335)가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Z2),제3지연공간부(Z3)를 형성하여 식품이 순간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개폐기(300)는 식품저장공간(A)에 흡입·배출압력이 모두 발생하지 않을 때, 공기유입구(210), 식품배출구(355)와 접촉되어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식품저장공간(A)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식품배출구(355)를 통해 식품충진공간(B)으로 배출되는 식품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식품저장용기.
KR1020120060178A 2012-06-05 2012-06-05 소형 식품저장용기 KR10137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178A KR101379394B1 (ko) 2012-06-05 2012-06-05 소형 식품저장용기
JP2015505663A JP5968520B2 (ja) 2012-06-05 2013-05-16 小型食品保存容器
EP13801166.3A EP2857328B1 (en) 2012-06-05 2013-05-16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US14/399,075 US9278794B2 (en) 2012-06-05 2013-05-16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PCT/KR2013/004326 WO2013183868A1 (ko) 2012-06-05 2013-05-16 소형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178A KR101379394B1 (ko) 2012-06-05 2012-06-05 소형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37A true KR20130136637A (ko) 2013-12-13
KR101379394B1 KR101379394B1 (ko) 2014-03-28

Family

ID=4971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178A KR101379394B1 (ko) 2012-06-05 2012-06-05 소형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8794B2 (ko)
EP (1) EP2857328B1 (ko)
JP (1) JP5968520B2 (ko)
KR (1) KR101379394B1 (ko)
WO (1) WO2013183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800A (zh) * 2020-04-10 2020-07-31 田小草 一种可控制出盐量的控盐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06A (ja) * 1994-05-23 1995-12-05 Akira Horiuchi 弾性容器用液体計量容器
DE29605382U1 (de) * 1996-03-22 1996-05-30 Chen Cin Chen Verschlußbaueinheit für Vakuumbehälter
JP3001195B2 (ja) * 1997-04-16 2000-01-24 光金属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食品の保存法とそれに用いる真空密閉保存容器
KR200161185Y1 (ko) 1997-09-05 1999-12-01 서경배 계량 공용기
JP2001019011A (ja) * 1999-07-13 2001-01-23 Kimiaki Sakao 容器の蓋
KR100436308B1 (ko) * 2001-10-08 2004-06-18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 병마개
KR20030015181A (ko) * 2002-12-16 2003-02-20 이정민 액체정량 배출용기
UA89768C2 (ru) * 2003-12-27 2010-03-10 Формастер С.А. Крышка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вакуумной емкости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0577729B1 (ko) 2004-05-25 2006-05-10 주식회사 제이엠피 위조방지용 안전 정량배출용기
JP4993063B2 (ja) 2006-03-29 2012-08-08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揮散具
KR200438541Y1 (ko) 2007-02-21 2008-02-21 방원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JP2009227307A (ja) * 2008-03-24 2009-10-08 Sunstar Inc カップ付容器
KR20090109166A (ko) 2008-04-15 2009-10-20 최보경 표시(처방)된 용량의 물약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계량하여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물약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8794B2 (en) 2016-03-08
EP2857328A4 (en) 2016-01-20
WO2013183868A1 (ko) 2013-12-12
US20150136783A1 (en) 2015-05-21
KR101379394B1 (ko) 2014-03-28
JP5968520B2 (ja) 2016-08-10
EP2857328B1 (en) 2017-11-08
JP2015516340A (ja) 2015-06-11
EP2857328A1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093B2 (en) Dispensing closure for powdered products
JP2014069854A (ja) 吐出容器
JP6084504B2 (ja) 注出容器
WO2005095226A1 (en) Thermally-insulated flask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JP6100059B2 (ja) 注出容器
JP3159981U (ja) 液状物容器
KR102072308B1 (ko)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6345040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101379394B1 (ko) 소형 식품저장용기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US20090139884A1 (en) Tube-type container
CN104890999A (zh) 一种侧划自封闭瓶盖
JP2000255605A (ja) 容 器
EP2832658A1 (en)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the container
JP6100183B2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JP4998812B1 (ja) 洗剤用の壁面設置容器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KR20170097600A (ko) 용기
JP6903376B2 (ja) 二重容器
CN209177214U (zh) 一种可倒持挤压的定量配送流体装置
JP5851181B2 (ja) 弁体付きチューブ容器
US11053055B2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KR200485001Y1 (ko)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