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395A -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 Google Patents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395A
KR20130135395A KR1020137030890A KR20137030890A KR20130135395A KR 20130135395 A KR20130135395 A KR 20130135395A KR 1020137030890 A KR1020137030890 A KR 1020137030890A KR 20137030890 A KR20137030890 A KR 20137030890A KR 20130135395 A KR20130135395 A KR 2013013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w
hooking
conductor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098B1 (ko
Inventor
유우 다나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42Loop windings
    • H02K15/045Form wound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원은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을 이상적인 적층 두께로 교정할 수 있는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방법에 있어서, 코일은 도체를 외층으로부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1 열이 형성되고, 도체를 내층으로부터 외층을 향해 권취한 제2 열이 형성되고, 도체를 외층으로부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3 열이 형성되고, 도체를 이웃하는 열 사이에서 연결한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걸침선부 교정형을 통해 걸침선부에 대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이웃하는 열을 따르게 하여, 걸침선부의 중간부를 이웃하는 열로 옮기도록 교정한다.

Description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COIL CORRECTION METHOD AND COIL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에 사용하는 스테이터에 권회하는 코일의 성형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각 도체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재용 모터 중, 차의 구동에 사용하는 모터는 소형화와 고출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점적률의 향상에 유리한 평각 도체를 코일에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단, 평각 도체를 코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각 도체의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코일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평각 도체의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전류 밀도를 올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와전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평각 도체를 권취하여 코일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각형 리츠선을 외층, 내층, 내층, 외층의 순서대로 2층으로 권취하면서 축 방향으로 세로 적층되도록 권취한 리츠선 코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8556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리츠선 코일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여기서, 도 21에 특허문헌 1의 리츠선 코일의 제1 열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22에 특허문헌 1의 리츠선 코일의 제2 열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도시한다.
특허문헌 1의 리츠선 코일(200)에 있어서, 도 21과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형 리츠선(202)을 권취하는 순서대로 A측, B측, C측, D측으로 하면, 제2 층(외측)의 A측으로부터 각형 리츠선(202)을 권취하기 시작하여, 제2 층의 B측, C측, D측으로 권취한 후, 제1 층(내측)의 A측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1 층(내측)의 B측, C측으로 권취하여, D측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1 층의 D측에서 제1 열로부터 제2 열에 걸치는 걸침선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열의 제1 층의 A측으로부터 권취하여, 제1 층의 B측, C측, 제2 층의 D측으로 권취한 후, 제2 층의 A측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2 층의 B측, C측으로 권취한 후가 문제가 된다. 제2 열에서는, 제2 층의 D측은 이미 권취되어 있으므로, 리츠선 코일(200)을 2층으로 권취하기 위해서는 제2 열의 제2 층의 C측으로부터 제3 열에 걸치는 걸침선부를 형성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A측과 C측에 배치되는 각형 리츠선(202)은 스테이터(도시하지 않음)의 슬롯(도시하지 않음) 내에 수납될 필요가 있으므로, C측에서 걸침선부를 형성하면, 슬롯 내의 점적률을 악화시키는 결과로 되어 버린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한 방법에서는, 2층으로 각형 리츠선(202)을 권취하여 리츠선 코일(200)을 형성하였다고 해도, 스테이터의 점적률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각 도체(10)를 권취하여 코일(20)을 성형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코일(20)은 평각 도체(10)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2층 권취의 엣지 와이즈 코일이고, 제1 열은 평각 도체(10)가 외층으로부터 내층을 향해 권취되고, 제2 열은 평각 도체(10)가 내층으로부터 외층을 향해 권취되고, 제3 열은 평각 도체(10)가 외층으로부터 내층을 향해 권취되고, 제4 열은 평각 도체(10)가 내층으로부터 외층을 향해 권취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5 열 이후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5 열 이후도 마찬가지로 평각 도체(10)가 권취되어 있다.
코일(20)은 양측에 존재하는 코일 엔드(22)와 코일 엔드(24) 중, 한쪽의 코일 엔드(22)측에 이웃하는 열인 제1 열과 제2 열 사이를 연결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걸침선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열인 제2 열과 제3 열 사이를 연결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걸침선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열인 제3 열과 제4 열을 연결하는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일(20)에 따르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과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은 스테이터의 슬롯 내에 수납되는 부분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스테이터의 점적률이 향상된다. 또한, 코일 엔드(22)와 코일 엔드(24)는 코일(20)을 모터의 스테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했을 때에, 당해 스테이터의 축 방향의 단부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코일(20)을 성형할 때에는 평각 도체(10)를 지지점 부재 주위에 동일 평면 내에서 90°로 굽힘 가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굽힘 가공하는 것만으로는, 도 24나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 스프링 형상으로 팽창되어, 코일의 적층 두께가 커져 스테이터의 점적률이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일(20)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해, 종래부터 코일(20)에 있어서의 상기한 제1 열과 제2 열과 제3 열의 배열 방향(도 23의 좌우 방향, 이하 단순히 「배열 방향」이라고 함)으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배열 방향의 두께(이하, 「적층 두께」라고 함)가 작아지도록 교정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20)을 상하로부터 끼워 넣고 적층 두께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단순히 교정하는 것만으로는,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상하에는 평각 도체(10)가 없으므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은 굴곡이 발생하여 형상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굽힘 성형을 할 수 없으므로 코일(20)에 기울기가 잔존해 버려, 코일(20)의 적층 두께가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스테이터의 점적률이 향상되도록 이상적인 적층 두께의 코일(20)을 성형하기 위해, 코일(20)에 가하는 하중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평각 도체(10)의 절연막을 유지할 수 없어 절연이 열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을 이상적인 적층 두께로 교정할 수 있는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도체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1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내층으로부터 상기 외층을 향해 권취한 제2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3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이웃하는 열 사이에서 연결한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상기 코일에 대해 하중을 가하는 코일 교정형에 의해 상기 코일을 교정할 때에,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걸침선부를 끼워 넣고, 상기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통해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을 따르게 하여,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로 옮기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걸침선부의 형상이 안정되므로, 코일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의 걸침선부 및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의 걸침선부에서 발생하는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의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걸침선부 교정형으로부터 집중적으로 걸침선부에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도체에 피복된 절연층은 유지되어, 코일에 있어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상기 코일 교정형이 상기 하중을 가하는 동작에 동기하여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 교정형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코일을 교정할 때에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후육부와 박육부를 구비하여, 상기 박육부의 두께는 상기 하중을 가했을 때의 상기 걸침선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중을 가하는 부분의 두께와 동등하게 하고, 상기 후육부의 두께는 상기 박육부의 두께의 2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도체의 휨량을 예상하여 걸침선부 교정형의 두께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걸침선부에 대해 확실하게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전진 및 후퇴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부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를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걸침선부 교정형을 일괄하여 걸침선부에 대해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교정형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에 동기하여 가동부를 걸침선부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복수의 걸침선부 교정형을 이동시킬 때에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 사이에서 연결한 외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외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외측 걸침선부의 형상이 안정된다. 그로 인해, 코일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의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서 연결한 내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내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내측 걸침선부의 형상이 안정된다. 그로 인해, 코일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의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서 연결한 내측 걸침선부와, 상기 도체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 사이에서 연결한 외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내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외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내측 걸침선부 및 외측 걸침선부의 형상이 안정된다. 그로 인해, 코일의 적층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의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을 보다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체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1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내층으로부터 상기 외층을 향해 권취한 제2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3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이웃하는 열 사이에서 연결한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상기 코일에 대해 하중을 가하는 코일 교정형과,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걸침선부 교정형을 갖고, 상기 코일 교정형에 의해 상기 코일을 교정할 때에,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걸침선부를 끼워 넣고, 상기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통해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을 따르게 하여,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로 옮기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걸침선부의 형상이 안정되므로, 코일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의 걸침선부 및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의 걸침선부에서 발생하는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의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걸침선부 교정형으로부터 집중적으로 걸침선부에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도체에 피복된 절연층은 유지되어, 코일에 있어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에 따르면,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을 이상적인 적층 두께로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상면도(일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크랭크형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드 베이스의 이동을 상부형이 하강하는 동작에 동기시키는 수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크랭크 성형이 완료되었을 때의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외측 계층 변위 라인의 높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교정한 코일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교정한 코일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교정한 코일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상면도(일부 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크랭크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우측으로부터 실시예 2의 크랭크형을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8은 크랭크 성형이 완료되었을 때의 크랭크형과 내측 계층 변위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교정한 코일에 있어서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3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상면도(일부 투시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1의 코일의 제1 열을 권회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특허문헌 1의 코일의 제2 열을 권회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코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코일의 적층 두께가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코일의 적층 두께가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교정 기구의 구조〕
우선,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코일의 교정 기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 1의 코일의 교정 기구의 상면도(일부 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기구(1)는 상부형(30), 하부형(32), 샤프트(34), 슬라이드 베이스(36), 크랭크형(38), 스프링(40) 등을 갖는다. 또한, 도 1과 후술하는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코일(20) 중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형(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기구(1)의 가장 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육으로 형성된 제1 부위(42)와 박육으로 형성된 제2 부위(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형(30)은, 위에서 보았을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부위(42)가 상부형(30)의 긴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의 대부분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부위(44)가 상부형(30)의 긴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형(30)은 제1 부위(42)에 있어서의 짧은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의 단면의 중앙 부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도면의 상측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4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46)의 내부에 상기한 코일(20)(도 24 참조)을 삽입함으로써, 코일(20)의 형상을 교정하여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성형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위(44)에는 상부형(30)의 짧은 방향을 향해 세로로 길게 개방되도록 형성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하부형(32)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해 상부형(30)과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하부형(32)은 아래에서 보았을 때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형(32)은 짧은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의 단면의 중앙 부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블록(50)과 오목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인서트 블록(50)은 오목부(52)의 저면으로부터 상부형(30)이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형(30)이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외형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서트 블록(50)의 외형을 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은, 성형 후의 코일(20)을 설치하는 스테이터(도시하지 않음)의 티스(도시하지 않음)의 외형을 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목부(52)는 상기한 상부형(30)의 오목부(46)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부형(30)의 오목부(46)와 하부형(32)의 오목부(52)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코일(20)을 가두어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코일(20)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상부형(30)과 하부형(32)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 교정형」의 일례이다.
슬라이드 베이스(3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형(30)의 제2 부위(44) 아래의 위치에 설치되고, 교정 기구(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베이스(3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36)는 후술하는 동기 수단에 의해, 상부형(30)의 이동과 동기하여 상부형(30)이나 하부형(32)에 대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도록 이동(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블록(50)에 배치된 코일(20)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대해, 크랭크형(38)을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3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부」의 일례이다.
샤프트(34)는 슬라이드 베이스(36)와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부형(30)측의 단부는 상부형(30)의 제2 부위(44)에 형성된 구멍(48)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샤프트(3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형(3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형(30)의 제2 부위(44)와 하부형(32) 사이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36)에 탑재되도록 하여 복수 설치되고,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좌우에 4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형(38)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두께가 작은 박육부(54)와 판 두께가 큰 후육부(56)를 구비하고,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4)가 관통하고 있다. 이 크랭크형(38)은 도 1이나 도 2의 상하 방향[상부형(30)과 하부형(32)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샤프트(34)나 슬라이드 베이스(36)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크랭크형(38) 사이에는, 도 1이나 도 2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형(3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침선부 교정형」의 일례이다.
또한, 상부형(30)과 가장 위의[가장 상부형(30)의 근처에 배치되된] 크랭크형(38) 사이에는 스페이서(58)와 스페이서(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형(32)과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가장 아래의[가장 하부형(32)의 근처에 배치된] 크랭크형(38) 사이에는 스페이서(62)가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8)와 스페이서(60)와 스페이서(62)는 성형하는 코일(20)의 사양에 따라서 그 두께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코일(20)에 가하는 하중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교정 기구(1)에 의해 다양한 사양의 코일(20)에 대해 교정을 행하여 성형할 수 있다.
〔코일의 교정 방법〕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교정 기구(1)를 사용한 코일(20)의 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우선, 코일(20)의 내측에 하부형(32)의 인서트 블록(50)이 삽입되도록 하고, 코일(20)을 하부형(32)에 배치한 후, 상부형(30)을 하강시켜 하부형(32)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때 상부형(30)이 하강하는 동작에 동기시켜 좌우의 슬라이드 베이스(36)를 코일(20)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4개의 크랭크형(38)이 각각, 코일(20)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일괄하여 삽입된다. 또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침선부」나 「내측 걸침선부」의 일례이고,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침선부」나 「외측 걸침선부」의 일례이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36)의 이동을 상부형(30)이 하강하는 동작에 동기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쐐기 형상의 제1 부재(64) 및 제2 부재(66)와, 복귀용 스프링(68)(또는, 에어압 부여 수단)을 사용하는 수단이 생각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64)와 제2 부재(66)는 서로 경사면 부분에서 접촉하고, 제2 부재(66)는 슬라이드 베이스(36)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형(30)이 하강함으로써 제1 부재(64)가 상부형(30)에 밀려 하강하므로, 제2 부재(66)는 제1 부재(64)에 밀려 도 6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36)는 스프링(6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코일(20)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하는 수단에 따르면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도 6에 도시하는 수단 대신에, 서보 기구 등의 동력을 사용하는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상부형(30)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상부형(3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스프링(40)을 수축시키면서 크랭크형(38)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0)의 교정이 완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형(30)을 하강시킴으로써, 코일(20)이 상부형(3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또한, 도 7에서는 스프링(40)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동시에,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긴 방향(도 7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인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를,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된 2개의 크랭크형(38)에 의해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상부형(30)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코일(20)이 상부형(3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더욱 하중을 받음으로써, 코일(20)은 적층 두께가 작아지도록 교정된다. 이때 동시에, 상부형(30)이 가하는 하중은 크랭크형(38)을 통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에 가해지면서, 크랭크형(38)과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 하강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우측의 크랭크형(38)을 각각의 좌측의 크랭크형(38)보다도 하측의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를 이웃하는 열을 따르도록 형성하면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레인 체인지부(74)를 이웃하는 열에 걸쳐서 형성되도록,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형상을 교정한다. 즉,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를 제2 열을 따르도록 하고,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2 단부(72)를 제3 열을 따르도록 하면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레인 체인지부(74)에서 평각 도체(10)를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 옮기도록(레인 체인지시키도록) 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형상을 교정한다. 또한, 코일(20)의 제4 열과 제5 열을 연결하는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나, 코일(20)의 제6 열과 제7 열을 연결하는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도 마찬가지로 교정한다. 또한, 레인 체인지부(7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두께 방향의 높이 H가 평각 도체(10)의 두께의 2개분으로 되도록 교정한다. 여기서, 크랭크형(38)의 두께는 상부형(30)으로부터 하중을 가했을 때에 평각 도체(10)가 휘는 양을 예상한 후,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54)의 두께 a1(도 5 참조)을 상부형(30)으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평각 도체(10)가 휘었을 때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의 두께와 동등하게 하고, 후육부(56)의 두께 b1(도 5 참조)을 박육부(54)의 두께 a1의 2배로 한다[(b1)=2×(a1)의 식이 성립하는 치수로 해 둠].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형상의 교정을 완료시킨 후, 상부형(30)을 상승시킨다. 이때, 크랭크형(38)은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상부형(30)이 상승하는 동작과 동기하면서 상승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36)는 상부형(30)이 상승하는 동작과 동기하면서 코일(20)로부터 후퇴하고, 좌우의 4개의 크랭크형(38)은 일괄하여 코일(20)로부터 후퇴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코일(20)의 교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도 9에 교정 후의 코일(20)의 상면도를, 도 10에 교정 후의 코일(20)의 정면도를, 도 11에 교정 후의 코일(2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20)을 교정함으로써,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0)은 적층 두께가 감소하여 이상적인 적층 두께로 성형된다.
도 9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후의 코일(20)은 외층으로부터 내층을 향해 평각 도체(10)를 권회하여 제1 열과 제3 열과 제5 열과 제7 열이 형성되고, 내층으로부터 외층을 향해 평각 도체(10)를 권회하여 제2 열과 제4 열과 제6 열과 제8 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열과 제3 열의 부분에 착안하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 제2 열과 제3 열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교정 후의 코일(20)은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가 제2 열을 따라서 형성되고,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2 단부(72)가 제3 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레인 체인지부(74)가 제2 열과 제3 열 사이에서 레인 체인지를 하고 있다. 그 외에, 제4 열과 제5 열의 부분, 제6 열과 제7 열의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2에 도 9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 코일(20)의 리드측의 코일 엔드(22)의 외측, 즉 3층째에 형성되고,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이 코일(20)의 리드측의 코일 엔드(22)의 내측, 즉 1층째에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한편, 코일(20)의 반리드측의 코일 엔드(2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0)의 다른 2변과 마찬가지로 2층밖에 형성되지 않고, 계층 변위선도 갖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코일(20)의 교정 방법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3에 있어서, 크랭크형(38)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형(30)과 하부형(32) 사이에서 단순히 코일(20)을 교정한 경우의 평가 결과를 비교예 1로서 도시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크랭크형(38)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형(30)과 하부형(32) 사이에서 단순히 코일(20)을 교정할 뿐이며 추력을 2배로 증대시킨 경우의 평가 결과를 비교예 2로서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일(20)의 교정 방법에 따르면, 교정한 후의 코일(20)의 적층 두께는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에 비해 감소하여,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규격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의 방법에서는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규격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코일(20)에는 양측의 코일 엔드 방향의 기울기가 잔존해 버려,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규격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없었다. 특히 비교예 2에서는, 추력을 증대시키므로, 평각 도체(10)의 절연층을 유지할 수 없어 절연성이 열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형(30)으로부터 크랭크형(38)을 통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에 대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1 단부(70)를 코일(20)의 제2 열을 따르게 하고 제2 단부(72)를 코일(20)의 제3 열을 따르게 하여, 레인 체인지부(74)를 코일(20)의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 옮기도록 교정한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형상이 안정되므로, 코일(20)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 및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서 발생하는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적인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형(3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크랭크형(38)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부형(3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평각 도체(10)에 피복된 절연층은 유지되어, 코일(20)에 있어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형(38)은 상부형(30)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에 동기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대해 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부형(30)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부분의 교정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할 때에,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형(38)의 박육부(54)의 두께는 하중을 가했을 때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의 두께와 동등하게 하고, 크랭크형(38)의 후육부(56)의 두께는 박육부(54)의 두께의 2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크랭크형(38)의 박육부(54)와 후육부(56)의 두께는 코일(20)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평각 도체(10)의 휨량을 예상한 두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형(38)에 의해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에 대해 확실하게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36)를 코일(20)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4개의 크랭크형(38)을 코일(20)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일괄하여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교정 기구의 구조〕
우선, 실시예 2에서 사용하는 코일의 교정 기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4는 코일의 교정 기구의 상면도(일부 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C-C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기구(2)는 상부형(80), 하부형(32), 샤프트(82), 슬라이드 베이스(84), 크랭크형(86), 스프링(40) 등을 갖는다.
상부형(8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기구(2)의 가장 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부형(80)은, 위에서 보았을 때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형(80)은 짧은 방향의 단면의 중앙 부분에 오목부(46)(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형(80)에는 상부형(80)의 긴 방향을 향해 세로로 길게 개방되도록 형성된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쌍을 이루는 상부형(80)과 하부형(32)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 교정형」의 일례이다.
슬라이드 베이스(84)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형(80)의 아래의 위치에 설치되고, 교정 기구(2)를 측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84)는 후술하는 동기 수단에 의해, 상부형(80)의 이동과 동기하여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도록 이동(도 15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블록(50)에 배치된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크랭크형(86)을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8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부」의 일례이다.
샤프트(82)는 슬라이드 베이스(84)와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부형(80)측의 단부는 구멍(88)에 삽입되어 있다.
크랭크형(86)은 상부형(80)과 하부형(32) 사이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84)에 탑재되도록 하여 복수 설치되고,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형(86)은, 도 16이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두께가 작은 박육부(90)와 판 두께가 큰 후육부(92)를 구비하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82)가 관통하고 있다. 이 크랭크형(86)은 도 15의 상하 방향[상부형(80)과 하부형(32)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샤프트(82)나 슬라이드 베이스(84)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크랭크형(86) 사이에는 도 15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형(86)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육부(90)에 있어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형성 방향의 단부에, 원주 형상의 R 형상부(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크랭크형(8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침선부 교정형」의 일례이다.
또한, 상부형(80)과 가장 위의[가장 상부형(80)의 근처에 배치된] 크랭크형(86) 사이에는 스페이서(96)가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96)는 성형하는 코일(20)의 사양에 따라서 그 두께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코일(20)에 가하는 하중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교정 기구(2)에 의해 다양한 사양의 코일(20)에 대해 교정을 행하여 성형할 수 있다.
〔코일의 교정 방법〕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교정 기구(2)를 사용한 코일(20)의 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우선, 코일(20)의 내측에 하부형(32)의 인서트 블록(50)이 삽입되도록 하고, 코일(20)을 하부형(32)에 배치한 후, 상부형(80)을 하강시켜 하부형(32)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때 상부형(80)이 하강하는 동작에 동기시켜 슬라이드 베이스(84)를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크랭크형(86)이 각각,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일괄하여 삽입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84)의 이동을 상부형(80)이 하강하는 동작에 동기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쐐기 형상의 제1 부재(64) 및 제2 부재(66)와, 복귀용 스프링(68)(또는, 에어압 부여 수단)을 사용하는 수단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한 도 6에 도시하는 수단 대신에, 서보 기구 등의 동력을 사용하는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상부형(80)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상부형(8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스프링(40)을 수축시키면서 크랭크형(86)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0)의 교정이 완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형(80)을 하강시킴으로써, 코일(20)이 상부형(8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이때 동시에,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긴 방향(도 18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인 제1 단부(98)와 제2 단부(100) 사이의 레인 체인지부(102)를,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된 2개의 크랭크형(86)에 의해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상부형(80)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코일(20)이 상부형(8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더욱 하중을 받음으로써, 코일(20)은 적층 두께가 작아지도록 교정된다. 이때 동시에, 상부형(80)이 가하는 하중은 크랭크형(86)을 통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에 가해진다. 그리고, 크랭크형(86)의 R 형상부(94)에 의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의 형상이 R 형상으로 교정되면서, 크랭크형(86)과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 하강한다. 또한, 레인 체인지부(10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1 단부(98)와 제2 단부(100)를 이웃하는 열을 따르도록 형성하면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를 이웃하는 열에 걸쳐서 형성되도록,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형상을 교정한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1 단부(98)를 제1 열을 따르도록 하고,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2 단부(100)를 제2 열을 따르도록 하면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에서 평각 도체(10)를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 옮기도록(레인 체인지시키도록) 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형상을 교정한다. 또한, 코일(20)의 제3 열과 제4 열을 연결하는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코일(20)의 제5 열과 제6 열을 연결하는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이나, 코일(20)의 제7 열과 제8 열을 연결하는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도 마찬가지로 교정한다. 또한, 도 19는 코일(20)의 교정 후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코일(20)의 내주면의 내측으로부터 코일(20)을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은 상기한 도 8과 마찬가지로 적층 두께 방향의 높이 H가 평각 도체(10)의 두께의 2개분으로 되도록 교정한다. 여기서, 크랭크형(86)의 두께는 상부형(80)으로부터 하중을 가했을 때에 평각 도체(10)가 휘는 양을 예상한 후,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90)의 두께 a2(도 16이나 도 17을 참조)를 상부형(80)으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평각 도체(10)가 휘었을 때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의 두께와 동등하게 한다. 그리고, 후육부(92)의 두께 b2(도 16이나 도 17을 참조)를 박육부(90)의 두께 a2의 2배로 한다[(b2)=2×(a2)의 식이 성립하는 치수로 해 둠].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형상의 교정을 완료시킨 후, 상부형(80)을 상승시킨다. 이때, 크랭크형(86)은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상부형(80)이 상승하는 동작과 동기하면서 상승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84)는 상부형(80)이 상승하는 동작과 동기하면서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으로부터 후퇴하고, 4개의 크랭크형(86)은 일괄하여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으로부터 후퇴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코일(20)의 교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코일(20)을 교정함으로써, 상기한 도 9, 도 11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0)은 적층 두께가 감소하여 이상적인 적층 두께로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후의 코일(20)은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1 단부(98)가 제1 열을 따라서 형성되고,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2 단부(100)가 제2 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교정 후의 코일(20)은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가 제1 열과 제2 열 사이에서 레인 체인지를 하고 있다. 그 외에, 제3 열과 제4 열의 부분, 제5 열과 제6 열의 부분, 제7 열과 제8 열의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형(80)으로부터 크랭크형(86)을 통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에 대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1 단부(98)를 코일(20)의 제1 열을 따르게 하고 제2 단부(100)를 코일(20)의 제2 열을 따르게 하여, 레인 체인지부(102)를 코일(20)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 옮기도록 교정한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형상이 안정되므로, 코일(20)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 및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의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에서 발생하는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상적인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형(8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이용하여 크랭크형(86)으로부터 집중적으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부형(80)으로부터 가하는 하중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평각 도체(10)에 피복된 절연층은 유지되어, 코일(20)에 있어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형(86)은 상부형(80)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에 동기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부형(80)이 하중을 가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부분의 교정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코일(20)을 교정할 때에,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형(86)의 박육부(90)의 두께는 하중을 가했을 때의 레인 체인지부(102)의 두께와 동등하고, 크랭크형(86)의 후육부(92)의 두께는 박육부(90)의 두께의 2배이다. 이와 같이, 크랭크형(86)의 박육부(90)와 후육부(92)의 두께를, 코일(20)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평각 도체(10)의 휨량을 예상한 두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형(86)에 의해 레인 체인지부(102)에 대해 확실하게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84)를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4개의 크랭크형(86)을 코일(20)의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에 대해 적층 두께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일괄하여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실시예 3의 교정 기구(3)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교정 기구(1)의 구성과 실시예 2의 교정 기구(2)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교정 기구(3)는 크랭크형(86)에 의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를 끼워 넣고, 또한 크랭크형(38)에 의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부형(80)으로부터 크랭크형(86)을 통해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레인 체인지부(102)에 대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1 단부(98)를 코일(20)의 제1 열을 따르게 하고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의 제2 단부(100)를 코일(20)의 제2 열을 따르게 하여, 레인 체인지부(102)를 코일(20)의 제1 열로부터 제2 열로 옮기도록 교정한다. 또한, 상부형(30)으로부터 크랭크형(38)을 통해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제1 단부(70)와 제2 단부(72)에 대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1 단부(70)를 코일(20)의 제2 열을 따르게 하고 제2 단부(72)를 코일(20)의 제3 열을 따르게 하여, 레인 체인지부(74)를 코일(20)의 제2 열로부터 제3 열로 옮기도록 교정한다.
이 교정 기구(3)에 따르면, 코일(20)을 교정한 후에 있어서 내측 계층 변위 라인(26) 및 외측 계층 변위 라인(28)의 형상이 모두 안정되므로, 코일(20)의 적층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이상적인 적층 두께를 실현한 코일(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교정 기구
2 : 교정 기구
3 : 교정 기구
10 : 평각 도체
20 : 코일
22 : 코일 엔드
24 : 코일 엔드
26 : 내측 계층 변위 라인
28 : 외측 계층 변위 라인
30 : 상부형
32 : 하부형
36 : 슬라이드 베이스
38 : 크랭크형
54 : 박육부
56 : 후육부
70 : 제1 단부
72 : 제2 단부
74 : 레인 체인지부
80 : 상부형
84 : 슬라이드 베이스
86 : 크랭크형
90 : 박육부
92 : 후육부
94 : R 형상부
98 : 제1 단부
100 : 제2 단부
102 : 레인 체인지부

Claims (8)

  1. 도체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1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내층으로부터 상기 외층을 향해 권취한 제2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3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이웃하는 열 사이에서 연결한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상기 코일에 대해 하중을 가하는 코일 교정형에 의해 상기 코일을 교정할 때에,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걸침선부를 끼워 넣고, 상기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통해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을 따르게 하여,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로 옮기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상기 코일 교정형이 상기 하중을 가하는 동작에 동기하여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후육부와 박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육부의 두께는 상기 하중을 가했을 때의 상기 걸침선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중을 가하는 부분의 두께와 동등하게 하고,
    상기 후육부의 두께는 상기 박육부의 두께의 2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은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전진 및 후퇴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부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를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 사이에서 연결한 외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외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서 연결한 내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내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선부로서, 상기 도체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서 연결한 내측 걸침선부와, 상기 도체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 사이에서 연결한 외측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내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외측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방법.
  8. 도체를 내층과 외층의 2층으로 권취한 코일의 교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1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내층으로부터 상기 외층을 향해 권취한 제2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상기 외층으로부터 상기 내층을 향해 권취한 제3 열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이웃하는 열 사이에서 연결한 걸침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과 상기 제3 열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상기 코일에 대해 하중을 가하는 코일 교정형과,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배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걸침선부 교정형을 갖고,
    상기 코일 교정형에 의해 상기 코일을 교정할 때에,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에 의해 상기 걸침선부를 끼워 넣고, 상기 코일 교정형으로부터 상기 걸침선부 교정형을 통해 상기 걸침선부에 대해 상기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걸침선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을 따르게 하여,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상기 이웃하는 열로 옮기도록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교정 기구.
KR1020137030890A 2011-05-26 2011-05-26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KR101392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2068 WO2012160689A1 (ja) 2011-05-26 2011-05-26 コイルの矯正方法、コイルの矯正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95A true KR20130135395A (ko) 2013-12-10
KR101392098B1 KR101392098B1 (ko) 2014-05-08

Family

ID=4721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890A KR101392098B1 (ko) 2011-05-26 2011-05-26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1114B2 (ko)
EP (1) EP2717442A4 (ko)
JP (1) JP5278556B2 (ko)
KR (1) KR101392098B1 (ko)
CN (1) CN103548247B (ko)
WO (1) WO20121606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9891A1 (de) 2013-11-08 2015-05-13 Hyundai Motor Company Türrahmen für ein Fahrzeug
KR20200009190A (ko) * 2018-07-18 2020-01-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프로그레시브 단조 방식을 이용한 코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1114B2 (en) * 2011-05-26 2015-06-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il correction method
JP5674693B2 (ja) * 2012-03-01 2015-02-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巻線成形装置および巻線成形方法
JP6245158B2 (ja) * 2014-12-10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層巻コイルの積層厚調整方法
JP6629264B2 (ja) * 2017-06-16 2020-01-1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コイル成形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成形方法
WO2019064712A1 (ja) * 2017-09-28 2019-04-04 日本電産株式会社 コイルの製造方法、コイルの製造装置、コイルおよび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188B2 (ja) * 1990-03-27 1999-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荷電粒子装置用偏向電磁石
JP2529492B2 (ja) * 1990-08-31 1996-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荷電粒子偏向電磁石用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44896A (en) * 1996-05-21 1998-04-28 Visual Computing Systems Corp. Interlocking segmented coil array
JP2005085560A (ja) * 2003-09-08 2005-03-3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リッツ線コイル
JP4349292B2 (ja) 2004-05-31 2009-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集中巻き型ステータを有する車両用回転電機
JP5288235B2 (ja) * 2007-09-11 2013-09-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451050B1 (en) * 2009-06-29 2019-05-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ultilayered wound coil, st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20223611A1 (en) 2009-11-05 2012-09-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JP2011199098A (ja) * 2010-03-23 2011-10-06 Yoshizumi Fukui 巻き線一体型モールドコイルの巻き線方法
US9071114B2 (en) * 2011-05-26 2015-06-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il corre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9891A1 (de) 2013-11-08 2015-05-13 Hyundai Motor Company Türrahmen für ein Fahrzeug
KR20200009190A (ko) * 2018-07-18 2020-01-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프로그레시브 단조 방식을 이용한 코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0689A1 (ja) 2012-11-29
EP2717442A4 (en) 2016-03-09
CN103548247B (zh) 2015-12-16
US9071114B2 (en) 2015-06-30
EP2717442A1 (en) 2014-04-09
JP5278556B2 (ja) 2013-09-04
KR101392098B1 (ko) 2014-05-08
US20140208583A1 (en) 2014-07-31
CN103548247A (zh) 2014-01-29
JPWO2012160689A1 (ja)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098B1 (ko) 코일의 교정 방법, 코일의 교정 기구
US201002521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electric wire for stator coil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US805621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ator coil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JP4600487B2 (ja) 周方向展開ステータ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この周方向展開ステータコイルを用いたモータ
US84299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electric wire for stator coil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KR102399790B1 (ko) 전기 기계 고정자 권선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대응하는 고정자
US8466594B1 (en) Motor stator
WO2007136145A3 (en) Stator of outer rotor type motor
JP2010259314A (ja) ステータコイル用導体線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US10389188B2 (en) Electrical machine stator with small input radi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tator
US10505409B2 (en) Electrical machine stator with optimized notch filling,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tator
US10523095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electrical machine stator comprising preforming step, and corresponding wound stator
JP6414339B2 (ja) コイルの成形方法およびコイルの成形装置
US80827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wire loops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US9948166B2 (en) Method for producing stator
JP6166046B2 (ja) セグメント製造方法、及びセグメント製造装置
JP2009152340A (ja) コイル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成形体
JP4616652B2 (ja) コイル製造装置
JPWO2012117535A1 (ja) ウェッジ挿入機及びコイル挿入装置
US20170040851A1 (en) Electrical machine stator without tooth root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id stator
JP2010029063A5 (ko)
JP2009289859A (ja) 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5080488A (ja) 回転電機ステータコイルエンドの拡張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8283805A (ja) 分割ステータ
JP2008312350A (ja) 予備成形された多角形環状巻線を用いた蛇行環状巻線コイル成形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