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225A -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225A
KR20130135225A KR1020137002430A KR20137002430A KR20130135225A KR 20130135225 A KR20130135225 A KR 20130135225A KR 1020137002430 A KR1020137002430 A KR 1020137002430A KR 20137002430 A KR20137002430 A KR 20137002430A KR 20130135225 A KR20130135225 A KR 2013013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container
plate
packag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사토
야스히사 시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3013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을 핫멜트 접착제로 포장용기에 고정시킬 때에, 가열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히트쇼크가 식품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식품포장체(1)로는, 포장지(3)로 개별포장된 각 식품(2)이, 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포장지(3)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19)을 가지고 있다. 개별포장된 식품(2)은,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을 따라 배열되고,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은, 차례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내면 벽(51)의 일부가 가압판(25)으로서 뒤집혀 접히고 있다. 배열된 풀칠용 핀(19)은, 포장용기(4) 내에서, 내면 벽(51) 및 가압판(25)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44)로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FOODSTUFF PACKAGE AND METHOD FOR STORING FOODSTUFFS INTO PACKAGING CONTAINER, THE FOODSTUFFS BEING INDIVIDUALLY PACKAGED IN PAPER WRAPPERS}
이 발명은, 식품 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지로 개별포장(개별적으로 포장)된 식품을 포장용기에 수납한 식품포장체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추잉껌이나 초콜릿 등의 판형상 식품을 포장지로 개별포장하여 포장기재에 수납한 포장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장체에서는, 판형상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지가, 절취선을 통하여 빠짐부와 고착부로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개별포장된 판형상 식품이 포장기재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판형상 식품을 포장한 포장지에서는, 고착부가, 포장기재의 내면벽에 대해서,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또는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기재에 수납된 판형상 식품을 먹는 경우에는, 포장기재에 설치된 덮개판을 열고, 각 판형상 식품을 포장한 포장지의 빠짐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빠짐부를 집고 잡아당겨 절취선을 절단하고, 포장기재에 고착된 고착부로부터 빠짐부를 분리한다. 그러면, 판형상 식품에 있어서 지금까지 빠짐부에 덮여 있던 부분이 노출되므로, 이 부분을 한 손으로 집거나, 이 부분을 입에 물거나 함으로써, 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에도, 판형상 식품 전체를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9-173322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포장지의 고착부를 포장기재에 고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서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터로 불리는 접착제의 사출장치 내에서 가열되어 용해된 핫멜트 접착제를, 고착부와 포장기재와의 중첩부분에 사출하여 압착하고, 그대로 자연냉각에 의해 고화시킨다. 또는, 고착부 또는 포장기재에 미리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것을 히터등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자연냉각에 의해 고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착부와 포장기재가 고착된다.
그러나, 식품이 예를 들어 초콜릿인 경우, 가열된 핫멜트 접착제의 열이 초콜릿에 전해지는 것, 즉 「히트쇼크」에 의해 초콜릿이 용해되어, 이른바 블룸(bloom)이 생길 수 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을 핫멜트 접착제로 포장용기에 고정할 때에, 히트쇼크가 식품에 가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을 포장용기에 수납한 식품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별포장된 각 식품은 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가지며, 상기 개별포장된 식품은 상기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을 따라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각 식품의 상기 풀칠용 핀은 차례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배열된 풀칠용 핀을 개재하도록 상기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의 일부가 뒤집혀 접히고, 상기 배열된 풀칠용 핀은 상기 포장용기 내에서 상기 일 내면 벽 및 그 접힘부에 의해 개재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식품은 각봉 형상의 초콜릿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지는,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초콜릿을 싸도록 접히고, 접힌 포장지의 일부가 상기 초콜릿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풀칠용 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식품포장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포장지에는, 개별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길이방향 도중부에, 상기 풀칠용 핀을 가지는 고착부와, 상기 풀칠용 핀을 가지는 측과 반대측의 빠짐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식품포장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분리수단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식품포장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포장지는, 상기 고착부 측을 형성하는 일방측 용지와, 상기 빠짐부 측을 형성하는 타방측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일방측 용지와 상기 타방측 용지와의 중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식품포장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식품을 포장지로 개별포장하고, 그것을 포장용기에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을 상기 포장지로 개별포장하는 경우에, 상기 식품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포장한 식품을 상기 포장용기에 수납한 후, 상기 풀칠용 핀과 상기 포장용기를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식품이 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풀칠용 핀과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할 때, 상기 포장용기의 내면 벽과, 그 내면 벽의 단부를 접어 구부린 접힘부에 의해 상기 풀칠용 핀을 개재하도록 하고, 상기 내면 벽, 풀칠용 핀 및 접힘부를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방법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 식품포장체에서는,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각 식품이, 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가지고 있다. 즉, 식품을 포장한 포장지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식품의 외측의 위치에, 풀칠용 핀이 설치되어 있다.
개별포장된 식품은, 포장용기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을 따라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각 식품의 풀칠용 핀은 차례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의 일부가 뒤집혀 꺾여 있다. 전술한 것처럼 배열된 풀칠용 핀은, 포장용기 내에서, 일 내면 벽 및 그 접힘부에 의해 개재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즉,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할 때, 고정부는 식품으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의 열이 히트쇼크로서 식품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식품이 초콜릿이면, 일반적으로, 포장지로서 이른바 「은종이」를 이용해 식품을 개별포장하는 일이 많다. 핫멜트 접착제는, 은종이의 풀칠용 핀을 양호하게 고정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식품은, 각봉 형상의 초콜릿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지는, 직사각형상이며, 초콜릿을 싸도록 접힌다. 접힌 포장지의 일부는, 초콜릿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풀칠용 핀을 형성하고 있다. 즉, 풀칠용 핀은, 초콜릿의 길이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초콜릿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풀칠용 핀을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하기 위해서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 및 접힘부에 의해 개재시킬 때, 초콜릿의 길이면이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에 맞닿음으로써 초콜릿 전체의 위치가 안정된다. 그 때문에, 풀칠용 핀을 고정할 때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초콜릿은 히트쇼크를 받지 않아 블룸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장지에는, 개별포장 상태에 있어서, 식품의 길이방향 도중부에, 풀칠용 핀을 가지는 고착부와, 풀칠용 핀을 가지는 측과 반대측의 빠짐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풀칠용 핀을 가지는 고착부가 포장용기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빠짐부를 잡아당기면 분리수단에 의해 고착부와 빠짐부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식품에 있어서 지금까지 빠짐부에 덮여 있던 부분이 노출되므로, 이 부분을 한 손으로 집거나, 이 부분을 입에 물거나 함으로써, 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에도, 식품 전체를 포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가 있다.
또는, 고착부로부터 분리된 빠짐부와 함께, 빠짐부에 덮인 식품도 잡아당김으로써, 식품 전체를 포장용기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꺼내진 식품에서는, 지금까지 고착부에 덮여 있던 부분이 노출되므로, 이 부분으로부터 식품을 먹을 수가 있다. 그때, 빠짐부(포장지)를 통하여 식품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손으로 식품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리수단은 절취선을 포함하므로, 절취선의 분리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포장지는, 고착부 측을 형성하는 일방측 용지와, 빠짐부 측을 형성하는 타방측 용지를 포함하고 있고, 분리수단은, 일방측 용지와 타방측 용지와의 중첩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지가 식품을 포장한 상태에서 빠짐부를 잡아당기면, 고착부와 빠짐부가, 일방측 용지와 타방측 용지와의 중첩부에서 확실히 분리된다.
그 때문에, 식품에 있어서 빠짐부에 덮여 있던 부분을 확실히 노출시킬 수가 있다. 또는, 고착부로부터 분리된 빠짐부와 함께 빠짐부에 덮인 식품도 잡아당김으로써, 식품 전체를 포장용기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식품을 포장지로 개별포장하고, 그것을 포장용기에 수납하는 방법으로서, 식품을 포장지로 개별포장할 때에, 식품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형성한다. 그리고, 개별포장한 식품을 포장용기에 수납한 후, 풀칠용 핀과 포장용기를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식품이 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접착한다.
즉, 포장지에 있어서 식품의 외측 위치에 있는 풀칠용 핀을 포장용기에 고정하므로, 핫멜트 접착제의 열이 식품에 전해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의 열이, 포장지에 포장된 식품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풀칠용 핀과 포장용기를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할 때, 포장용기의 내면 벽과, 그 내면 벽의 단부를 접어 구부린 접힘부에 의해, 풀칠용 핀을 개재시키도록 하고,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 고정한다. 따라서, 풀칠용 핀을 포장용기에 대해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a)는,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포장체(1)의 사시도로서, 뚜껑(52)을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b)는, 도 1(a)와는 다른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식품포장체(1)의 사시도로서, 뚜껑(52)를 더욱더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식품(2)을 포장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포장용기(4)를 조립하여 식품포장체(1)을 완성시키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 있어서의 식품(2) 및 포장용기(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 있어서의 식품(2) 및 포장용기(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식품포장체(1)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포장지(3)의 사시도로서, (a)는 식품(2)을 포장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식품(2)을 포장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13의 포장지(3)를 이용한 식품포장체(1)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포장체(1)의 사시도로서, 뚜껑(52)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b)는, 도 1(a)와는 다른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식품포장체(1)의 사시도로서, 뚜껑(52)를 더욱더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포장체(1)는, 식품(2)과, 식품(2)을 포장하는 포장지(3)와, 포장지(3)에 포장된 식품(2)을 수납하는 포장용기(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포장용기(4)에, 예를 들어 4개의 식품(2)으로서의 봉 형상 초콜릿이 수납된다.
도 2는, 식품(2)을 포장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식품(2)은, 소정 방향으로 기다란 각봉 형상의 초콜릿이다. 도 2(a)에 있어서의 식품(2)의 자세를 참조하여, 길이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식품(2)의 윤곽은, 위쪽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도 2(a)에 있어서의 수평면을 따른 방향(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식품(2)의 윤곽은, 수평방향으로 긴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식품(2)의 윤곽은, 사다리꼴 이외의 4각형상이나 다각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설명의 편의상, 도 2(a)에 있어서의 식품(2)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식품(2)의 상면(5), 하면(6)(길이면), 앞쪽면(7), 뒤쪽면(8), 좌측면(9) 및 우측면(10)을 규정한다. 또한, 도 2(a) ~ 도 2(i)는, 모두, 식품(2)을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2(j)는,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도 2(a) ~ 도 2(i)와는 반대쪽으로부터 식품(2)을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 식품(2)을 포장하는 포장지(3)는,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긴 직사각형상이다.
포장지(3)는, 식품(2)을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지(3)는, 평면에서 볼 때, 식품(2)보다 길고 또한 폭이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2)이 초콜릿이므로, 포장지(3)로서 이른바 「은종이」를 이용해 식품(2)을 포장하는 일이 많다.
포장지(3)의 길이방향 도중(상세하게는,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는, 절취선(50)(분리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50)은 포장지(3)의 길이방향의 직교방향(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포장지(3)를 뒤쪽의 일방측 용지(3A)와, 앞쪽의 타방측 용지(3B)로 구획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와의 경계가 절취선(50)이다.
다음에, 포장지(3)로 식품(2)을 포장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포장지(3)에 대해서, 도 2(a)의 자세에 있는 식품(2)을 아래로부터 밀어 올린다. 이때, 평면에 볼 때, 포장지(3)의 거의 중앙에 식품(2)이 위치하도록 한다. 엄밀하게는,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여기에서는, 뒤쪽면(8) 측)의 포장지(3)의 여분량(X)이,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여기에서는, 앞쪽면(7) 측)의 포장지(3)의 여분량(Y)보다, 길이방향에 있어서 커지도록 한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에 있어서, 식품(2)의 상면(5)의 좌측 끝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상면(5)보다 좌측의 좌측부분(11)을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또, 포장지(3)에 있어서, 식품(2)의 상면(5)의 우측 끝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상면(5)보다 우측의 우측부분(12)을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다음에, 포장지(3)에 있어서, 상면(5)을 따르는 부분의 앞쪽 단부(13)를, 상면(5)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도 2(b)의 굵은 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듯이,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앞쪽 단부(13)에 있어서, 위쪽 부분이 식품(2)의 앞쪽면(7)을 따라서 앞쪽면(7)을 밖으로부터 덮고, 아래쪽 부분이 앞쪽면(7)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다.
또, 이때, 포장지(3)의 전술한 좌측부분(11)에 있어서, 위쪽 부분이 식품(2)의 좌측면(9)을 따라서 좌측면(9)을 밖으로부터 덮고, 아래쪽 부분이 좌측면(9)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다. 게다가, 이때, 포장지(3)의 전술한 우측부분(12)에 있어서, 위쪽 부분이, 식품(2)의 우측면(10)을 따라서 우측면(10)을 밖으로부터 덮고, 아래쪽 부분이 우측면(10)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다.
다음에, 좌측부분(11) 및 우측부분(12)의 각각에 있어서 식품(2)로부터 앞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도 2(c)의 굵은 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듯이, 식품(2)의 앞쪽면(7)의 좌측 끝 가장자리 또는 우측 끝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위쪽 부분은 전술한 앞쪽 단부(13)의 위쪽 부분의 폭방향 외측 단부에 밖으로부터 겹쳐진 상태로 앞쪽면(7)을 따르고, 아래쪽 부분은 앞쪽 단부(13)의 아래쪽 부분에 밖으로부터 겹쳐진 상태로 앞쪽면(7)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다.
다음에,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에 있어서, 식품(2)의 앞쪽면(7)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앞쪽면(7)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도 2(e)의 굵은 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듯이,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포장지(3)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진 부분은, 식품(2)의 하면(6)의 앞쪽 부분을 따라서 하면(6)의 앞쪽 부분을 밖(아래)으로부터 덮는다.
다음에, 포장지(3)에 있어서 전술한 좌측부분(11)의 아래쪽 부분(식품(2)의 좌측면(9)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좌측면(9)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우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또, 포장지(3)에 있어서 전술한 우측부분(12)의 아래쪽 부분(식품(2)의 우측면(10)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우측면(10)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좌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좌측부분(11) 및 우측부분(12)의 아래쪽 부분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진 부분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식품(2)의 하면(6)을 따라서 하면(6)의 전역을 밖(아래)으로부터 덮는다. 이 상태가, 도 2(f)에 나타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분(11) 및 우측부분(12)의 아래쪽 부분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져 서로 겹친 부분의 뒤쪽 단부(하측뒤쪽 단부(14))는, 식품(2)의 하면(6)으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 좌측부분(11)의 전술한 위쪽 부분(식품(2)의 좌측면(9)을 따르고 있는 부분)의 뒤쪽 단부(좌측뒤쪽 단부(15))는, 좌측면(9)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 우측부분(12)의 전술한 위쪽 부분(식품(2)의 우측면(10)을 따르고 있는 부분)의 뒤쪽 단부(우측뒤쪽 단부(16))는, 우측면(10)으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 포장지(3)에 있어서 식품(2)의 상면(5)을 따르고 있는 부분의 뒤쪽 단부(상측뒤쪽 단부(17))는, 상면(5)으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하측뒤쪽 단부(14), 좌측뒤쪽 단부(15), 우측뒤쪽 단부(16) 및 상측뒤쪽 단부(17)에 의해, 중공의 공간(18)이 구획되고 있다. 식품(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공간(18)의 윤곽은, 식품(2)의 뒤쪽면(8)의 대략 등각 사다리꼴의 윤곽에 일치한다.
다음에,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뒤쪽 단부(17)를, 도 2(g)의 굵은 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듯이, 상면(5)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부분을 꺾임선으로 하여 아래쪽(전술한 공간(18)의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뒤쪽 단부(17)는, 식품(2)의 뒤쪽면(8)을 따라서 뒤쪽면(8)을 밖으로부터 덮는다. 또, 상측뒤쪽 단부(17)를 접어 구부렸던 것에 응하여, 좌측뒤쪽 단부(15)가, 상면(5)의 뒤쪽 좌측끝과 하측뒤쪽 단부(14)의 뒤쪽 좌측끝 주변을 잇는 선을 꺾임선으로 하여 우측으로 접혀, 뒤쪽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대략 삼각형상이 된다. 또, 상측뒤쪽 단부(17)를 접어 구부렸던 것에 응하여, 우측뒤쪽 단부(16)가, 상면(5)의 뒤쪽 우측끝과 하측뒤쪽 단부(14)의 뒤쪽 우측끝 주변을 잇는 선을 꺾임선으로 하여 좌측으로 접혀, 뒤쪽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대략 삼각형상이 된다.
또한, 전술한 여분량(X)(도 2(a) 참조)의 크기에 따라, 접힌 좌측뒤쪽 단부(15) 및 우측뒤쪽 단부(16)가 뒤쪽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거나, 접어 구부러진 상측뒤쪽 단부(17)의 뒤쪽 부분이 식품(2)의 뒤쪽면(8)으로부터 뒤쪽으로 튀어나와 하측뒤쪽 단부(14)에 위로부터 겹치거나 해도 괜찮다.
다음에, 접힌 좌측뒤쪽 단부(15) 및 우측뒤쪽 단부(16)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뒤쪽 단부(15) 및 우측뒤쪽 단부(16)의 각각에 있어서, 뒤쪽 부분이, 하측뒤쪽 단부(14)의 폭방향 외측단부에 대해서 위로부터 겹쳐진다. 동시에,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뒤쪽 단부(15) 및 우측뒤쪽 단부(16)의 각각에 있어서, 앞쪽 부분(도 2(j)에서는 뒤쪽 부분)이, 상측뒤쪽 단부(17)의 폭방향 외측단부에 밖으로부터 겹쳐진 상태로, 식품(2)의 뒤쪽면(8)에 외측으로부터 따른다.
좌측뒤쪽 단부(15) 및 우측뒤쪽 단부(16)의 각각의 뒤쪽 부분(도 2(j)에서는 앞쪽 부분)과 하측뒤쪽 단부(14)가 중첩됨으로써 풀칠용 핀(19)이 형성된다. 풀칠용 핀(19)은, 접힌 포장지(3)의 일부이다. 풀칠용 핀(19)은, 평면에서 볼 때 뒤쪽(도 2(j)에서는 앞쪽)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박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풀칠용 핀(19)은, 식품(2)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하면(6)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돌출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포장지(3)가 식품(2)을 싸도록 접혀, 포장지(3)에 의한 식품(2)의 개별적인 포장(개별포장)이 완료된다. 또한, 식품(2)의 개별포장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풀칠용 핀(19)이 형성된다면, 이상으로 설명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포장지(3)를 접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개별포장된 각 식품(2)은,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풀칠용 핀(19)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풀칠용 핀(19)은, 식품(2)을 포장한 포장지(3)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식품(2)의 외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개별포장할 때,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면(여기에서는, 앞쪽면(7)) 측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앞쪽면(7)을 꼭 맞게 덮도록 포장지(3)가 접어지고(도 2(i) 참조), 식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면(여기에서는, 뒤쪽면(8))에서는, 뒤쪽면(8)을 덮으면서 풀칠용 핀(19)이 형성되도록 포장지(3)가 접힌다.
전술한 것처럼, 포장지(3)는, 절취선(50)을 경계로 하여,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로 구획되고 있다(도 2(a) 참조). 포장지(3)가 식품(2)을 개별포장한 상태(개별포장 상태)에 있어서, 식품(2)의 길이방향 도중부(예를 들어,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절취선(50)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절취선(50)은, 식품(2)의 길이방향의 직교방향으로 연장되어 식품(2)을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일방측 용지(3A)에 의해 풀칠용 핀(19)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개별포장 상태의 포장지(3)에 있어서, 일방측 용지(3A)에 상당하는 부분을 고착부(48)라고 하고, 절취선(50)에 대한 고착부(48)의 반대측(타방측 용지(3B)에 상당하는 부분)을 빠짐부(49)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일방측 용지(3A)는 고착부(48) 측을 형성하고, 타방측 용지(3B)는 빠짐부(49) 측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개별포장 상태의 포장지(3)는, 절취선(50)에 있어서, 고착부(48)와 빠짐부(49)로 분리 가능하다.
다음에, 개별포장된 식품(2)을 포장용기(4)에 수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5, 도 7, 도 8 및 도 9는, 포장용기(4)를 조립하여 식품포장체(1)를 완성시키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 있어서의 식품(2) 및 포장용기(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 있어서의 식품(2) 및 포장용기(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4)의 전개도에 맞추어 커팅된 1매의 형지(型紙)(20)가 준비된다. 이 형지(20)를 접음으로써 포장용기(4)를 조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있어서의 형지(2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식품(2)을 포장용기(4)에 수납하여 식품포장체(1)를 완성시키는 순서로 대해 설명한다.
형지(20)는 하판(21)을 포함하고 있다. 하판(21)은, 포장된 식품(2)(풀칠용 핀(19)도 포함한다)보다 약간 큰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상이다. 하판(21)의 뒤쪽 단부에는, 2개의 절취선(22)이 폭방향(하판(21)의 길이방향에 직교 하는 방향)으로 떨어져 형성되고 있다. 좌측의 절취선(22)은 하판(21) 뒤쪽의 좌측끝으로부터 우측 앞쪽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우측의 절취선(22)은 하판(21) 뒤쪽의 우측끝으로부터 좌측 앞쪽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판(21)의 좌측 끝 가장자리에는 좌측판(23)이 연결되고, 하판(21)의 우측 끝 가장자리에는 우측판(24)이 연결되어 있다. 좌측판(23) 및 우측판(24)은, 모두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며, 하판(21)과 같은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고 있다. 좌측판(23) 및 우측판(24)의 각각의 폭방향 치수는 같다.
하판(21)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는 가압판(25)(뒤집혀 접힌 부분, 접어 구부린 부분, 즉 접힘부)이 연결되고, 하판(21)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는 제1 덮개판(26)이 연결되어 있다. 가압판(25) 및 제1 덮개판(26)은, 모두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가압판(25) 및 제1 덮개판(26)의 각각의 폭방향 치수는 하판(21)의 폭방향 치수와 같다.
여기서, 하판(21)과, 하판(21)에 연결된 가압판(25)을 합친 것을 내면 벽(일 내면 벽)(51)이라고 한다. 내면 벽(51)은, 완성한 포장용기(4)의 내부공간을 아래쪽으로부터 구획한다. 가압판(25)은 내면 벽(51)의 앞쪽 단부이며, 하판(21)과의 경계를 꺾임선으로 하여 접어 구부릴 수 있다.
좌측판(23)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는 뒤쪽으로 연장되는 제1 좌측 연장설치판(27)이 연결되고, 좌측판(23)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는 앞쪽으로 연장되는 제2 좌측 연장설치판(28)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좌측 연장설치판(27) 및 제2 좌측 연장설치판(28)은, 모두 좌측판(23)보다 약간 폭이 좁고, 좌측판(23)에 있어서 좌측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판(23)의 좌측 끝 가장자리에는 상판(29)이 연결되어 있다. 상판(29)은, 하판(21)과 거의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상이다. 상판(29)의 뒤쪽 단부의 폭방향 중앙에는, 앞쪽을 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움푹 파인 절취선(35)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35)의 좌측 끝 및 우측 끝은, 상판(29)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 연속되어 있다. 상판(29)에 있어서, 절취선(35)에 대해서 앞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는, 앞쪽을 향하여 움푹 파인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절입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36)의 폭방향 중앙에는, 절입부(36)로부터 연속하여 뒤쪽으로 약간 연장되는 보조절입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24)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는 뒤쪽으로 연장되는 제1 우측 연장설치판(30)이 연결되고, 우측판(24)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는 앞쪽으로 연장되는 제2 우측 연장설치판(3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우측 연장설치판(30) 및 제2 우측 연장설치판(31)은, 모두 우측판(24)보다 약간 폭이 좁고, 우측판(24)에 있어서 우측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좌측 연장설치판(27)과 제1 우측 연장설치판(30)은 거의 동일 형상이며, 제2 좌측 연장설치판(28)과 제2 우측 연장설치판(31)은 거의 동일 형상이다.
우측판(24)의 우측 끝 가장자리에는 제1 연결판(32)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판(32)은 대략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며, 우측판(24)과 같은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고 있다. 제1 연결판(32)의 우측 끝 가장자리는, 그 도중 위치에서 뒤쪽으로 향하여 우측판(24)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1 덮개판(26)의 뒤쪽 끝 가장자리에는 제2 덮개판(33)이 연결되어 있다. 제2 덮개판(33)은 폭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형상이다. 제2 덮개판(33)의 폭방향 치수는 제1 덮개판(26)의 폭방향 치수와 같다. 제2 덮개판(33)의 뒤쪽 끝 가장자리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뒤쪽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팽출하는 볼록부(3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상판(29)의 좌측 끝 가장자리에는 제2 연결판(37)이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판(37)은 상판(29)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다. 제2 연결판(37)의 길이방향 치수는 상판(29)의 길이방향 치수와 같다. 제2 연결판(37)의 폭방향 치수는 우측판(24)의 폭방향 치수와 같다.
상판(29)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는 폐색판(38)이 연결되어 있다. 폐색판(38)은 폭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다. 폐색판(38)의 폭방향 치수는 상판(29)의 폭방향 치수와 같다.
폐색판(38)의 앞쪽 끝 가장자리에는 접힘판(39)이 연결되어 있다. 접힘판(39)은 폭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다. 접힘판(39)의 폭방향 치수는 폐색판(38)의 폭방향 치수와 같다. 폐색판(38)과 접힘판(39)의 연결부분의 폭방향 양단에는 절입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절입부(40)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뒤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형지(20)에 있어서 각을 이루는 부분은, 형지(20)를 접어 구부릴 때에 걸리지 않도록 둥글릴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포장된 4개의 식품(2)을, 형지(20)에 있어서의 하판(21)의 상면에 나란하게 놓는다. 즉, 이러한 식품(2)을 조립 전의 포장용기(4)에 수납한다. 하판(21)에 놓인 각 식품(2)에서는, 하면(6)(도 2(a) 참조) 및 풀칠용 핀(19)의 각각이, 하판(21)에 대해서 위로부터 대향하고 있다. 각 식품(2)에서는, 빠짐부(49)가 하판(21)의 뒤쪽(제1 덮개판(26) 쪽)에 위치하고 있고, 고착부(48) 측이 하판(21)의 앞쪽(가압판(25) 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각 식품(2)은 하판(21)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각 식품(2)에서는, 풀칠용 핀(19)의 선단(앞쪽의 끝)이, 하판(21)의 앞쪽 끝 가장자리보다 근소하게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판(21)에 놓인 4개의 식품(2)은 하판(21)(내면 벽(51))을 따라 평행하게 줄지어 있다. 상세하게는, 4개의 식품(2)은 각각의 길이방향에 직교방향(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은 폭방향에 있어서 차례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25)이 하판(21)과의 경계를 꺾임선으로 하여 뒤쪽으로 접어 구부러지고(뒤집혀 접히고), 하판(21) 상면의 앞쪽 단부 및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에 대해서 위로부터 겹쳐질 수 있다. 그때에, 가열 용해된 핫멜트 접착제(44)가 풀칠용 핀(19)을 개재하고 있는 하판(21)과 가압판(25)의 중첩부분의 폭방향 대략 전역에 걸쳐 어플리케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사출된다. 이것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44)가 가압판(25)에 도포되고, 게다가 하판(21) 상면의 앞쪽 단부 및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에 대해서, 이것들을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접촉한다. 또, 배열된 모든 풀칠용 핀(19)이, 가압판(25)(전술한 내면 벽(51)에 있어서 접어 구부러진 단부)과 하판(21)(내면 벽(51)에 있어서 가압판(25) 이외의 부분)의 앞쪽 단부에 의해 개재된다(도 6도 참조).
이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44)는 냉각되어 경화된다. 이것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44)에 접촉하고 있던 가압판(25) 및 하판(21)과, 가압판(25) 및 하판(21)에 개재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44)에 접촉하고 있던 각 풀칠용 핀(19)이, 핫멜트 접착제(44)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그 결과, 개별포장된 각 식품(2)이, 풀칠용 핀(19)에 있어서 포장용기(4)에 고정된다. 특히, 풀칠용 핀(19)을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하판(21)) 및 가압판(25)으로 개재시키고, 핫멜트 접착제(44)로 포장용기(4)에 고정하므로,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을 포장용기(4)에 대해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 포장지(3)로서 은종이를 이용하여도 핫멜트 접착제(44)는 은종이의 풀칠용 핀(19)을 양호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풀칠용 핀(19)은, 전술한 것처럼 식품(2)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있어, 식품(2)의 외측의 위치에 있다. 포장지(3)에 있어서 식품(2)의 외측의 위치에 있는 풀칠용 핀(19)을,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 및 가압판(25)에 의해 개재시키고, 핫멜트 접착제(44)로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가열된 핫멜트 접착제(44)의 열이 식품(2)에 전해지기 어렵다. 즉, 풀칠용 핀(19)과 포장용기(4)를 핫멜트 접착제(44)를 이용하여 식품(2)이 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접착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핫멜트 접착제(44)의 열이 히트쇼크로서 식품(2)에 전해지지 않는다.
특히, 식품(2)이 초콜릿인 경우는, 열에 노출되면 용해되어 블룸을 일으키기 쉬운 초콜릿에 히트쇼크를 부여하는 일 없이, 초콜릿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로 핫멜트 접착제(44)에 의한 접착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44)에 의한 접착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가열된 접착제를 풀칠용 핀(19)의 주위에 사출하여 접착하는 방법 대신에, 미리 가압판(25)에 핫멜트 접착제(44)를 도포해 두고, 가압판(25)과 하판(21) 사이에 풀칠용 핀(19)을 개재시킨 후에 히터 등으로 핫멜트 접착제(44)를 가열해 접착하는 방법을 채택하여도 좋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칠용 핀(19)은 식품(2)의 하면(6)과 동일면이 되도록 식품(2)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풀칠용 핀(19)을 핫멜트 접착제(44)로 고정하기 위해서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 및 가압판(25)에 의해 개재시킬 때, 식품(2)에 있어서 길이면인 하면(6)이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하판(21))에 맞닿음으로써, 식품(2) 전체의 위치가 안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식품(2)의 위치가 안정된 상태로, 풀칠용 핀(19)을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른바 필로우 포장이나 트위스트 포장의 경우에는, 필름 등의 포장재에 외부에 돌출하는 것 같은 형상의 단부가 형성되므로, 이 단부를 풀칠용 핀(19)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이론상 가능하다. 그러나, 필로우 포장이나 트위스트 포장에 있어서, 이 단부는, 실제로는,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와 동일면이 되지는 않고, 상면과 하면 사이의 중간 위치에 존재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단부를, 전술한 것처럼 가압판(25)과 하판(21)으로 개재시켜 접착하려고 하면, 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포장된 상품(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식품(2)) 전체가 튀어 올라와 버려, 포장된 상품을 포장용기(4) 내에 잘 고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거기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적합이 생기지 않도록, 풀칠용 핀(19)을 식품(2)의 길이면(하면(6))과 동일면이 되도록 의도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판(21) 상의 4개의 식품(2)을 핫멜트 접착제(44)로 하판(21)(미완성의 포장용기(4))에 고정한 후에,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23)을 하판(2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위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다음에, 제1 연결판(32)을 우측판(24)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접어 구부리고, 게다가 우측판(24)을 하판(2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위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제1 연결판(32)이, 도 7에 있어서의 오른쪽 끝의 식품(2) 바로 위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다.
다음에, 상판(29)을, 좌측판(23)에 대해서 직교하고, 또한 하판(21)에 대해서 식품(2)을 사이에 끼워 위로부터 대향하도록 우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리고, 제2 연결판(37)을 상판(29)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판(32)은 하판(21)에 간격을 두고 위로부터 대향하고 있는 상판(29)의 우측단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고, 제2 연결판(37)은 우측판(24)에 대해서 오른쪽 외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또는 용착 등에 의해, 제1 연결판(32)과 상판(29)이 고착되고, 제2 연결판(37)과 우측판(24)이 고착된다.
그 결과, 앞쪽 및 뒤쪽 각각에 개구(42)를 가지는 중공체(43)가 형성된다. 중공체(43)는 미완성 상태의 포장용기(4)이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쪽의 개구(42A)가 보이기 쉽도록 폐색판(38)을 개구(4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리고 있다.
앞쪽의 개구(42A)는, 하판(21), 좌측판(23), 우측판(24) 및 상판(29)의 각 앞쪽 끝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고 있다. 뒤쪽의 개구(42B)는, 하판(21), 좌측판(23), 우측판(24) 및 상판(29)의 각 뒤쪽 끝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고 있다. 양쪽 개구(42)는 모두 폭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상이다.
중공체(43)가 형성된 후, 제2 좌측 연장설치판(28) 및 제2 우측 연장설치판(31)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리고, 폐색판(38)을 상판(29)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게다가 접힘판(39)를 폐색판(38)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또, 제1 좌측 연장설치판(27) 및 제1 우측 연장설치판(3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과 함께, 제1 덮개판(26)을 하판(21)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위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게다가 제2 덮개판(33)을 제1 덮개판(26)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앞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색판(38)에 의해 앞쪽의 개구(42A)가 앞쪽으로부터 막히고, 제1 덮개판(26)에 의해 뒤쪽의 개구(42B)가 뒤쪽으로부터 막힐 수 있다. 이때, 접힘판(39)(도 8 참조)이, 제2 좌측 연장설치판(28) 및 제2 우측 연장설치판(31)(도 8 참조)과 하판(21)의 앞쪽 끝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폐색판(38)이 앞쪽의 개구(42A)를 막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또, 제2 덮개판(33)은, 상판(29)에 있어서 절취선(35)에 둘러싸인 부분(분리부분(45)이며, 도 8 참조)에 대해서, 전술한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또는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덮개판(33)에 연결된 제1 덮개판(26)이 뒤쪽의 개구(42B)를 막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여기서, 제1 덮개판(26) 및 제2 덮개판(33)을 합쳐서 뚜껑(52)이라고 하면, 뚜껑(52)은 닫혀 개구(42B)를 막고 있다.
이상으로, 포장용기(4) 및 식품포장체(1)가 완성된다. 완성된 식품포장체(1)에서는, 포장지(3)로 개별포장된 4개의 식품(2)이 포장용기(4)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식품(2)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완성된 식품포장체(1)에서는, 포장용기(4) 내에 있어서, 뒤집혀 접힌 가압판(25) 및 각 식품(2)의 풀칠용 핀(19)이 배치되는 공간(53)이 구획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 공간(53)이 있으므로, 개구(42A)를 닫은 폐색판(38)과 각 식품(2)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므로, 예를 들어, 식품포장체(1)을 바닥에 떨어뜨려 폐색판(38)이 바닥면에 부딪쳤을 때, 그 충격이 식품(2)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성된 식품포장체(1)로부터 식품(2)을 꺼내 먹고 싶은 경우에는, 제2 덮개판(33)의 볼록부(34)를 집어, 상판(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9에서는 위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판(33)에 고착된 분리부분(45)과 상판(29)(분리부분(45) 이외의 부분)이 절취선(35)에 있어서 분리되고, 제2 덮개판(33)이 분리부분(45)을 수반한 채로 상판(29)으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이것에 의해, 제1 덮개판(26)이 뒤쪽의 개구(42B)로부터 멀어져 뚜껑(52)이 열리므로, 이 개구(42B)가 개방된다. 또, 상판(29)에 있어서 분리부분(45)이 있던 부분에는, 분리부분(45)과 같은 크기로 개구(42B)에 연속하는 절결부(46)가 형성된다. 그 결과, 포장용기(4) 내에 수납된 4개의 식품(2)이, 뒤쪽의 개구(42B) 및 절결부(46)으로부터 노출된다. 이때, 각 식품(2)에서는, 포장지(3)의 빠짐부(49)가 개구(42B) 및 절결부(46)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개구(42B)를 완전하게 열기 위해서, 제1 좌측 연장설치판(27) 및 제1 우측 연장설치판(30)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리면 좋다.
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34)를 포장용기(4)의 하판(21) 측까지 더욱더 잡아당겨 뚜껑(52)을 열면, 하판(21) 좌우의 절취선(22)이 끊어지고, 이것에 의해 하판(21)에 있어서 좌우의 절취선(22) 사이에 있는 부분에, 개구(42B)에 연속하는 절결부(47)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포장용기(4) 내의 4개의 식품(2) 각각에 있어서, 포장지(3)의 빠짐부(49)가, 뒤쪽의 개구(42B) 및 절결부(46)(도 1(a) 참조) 뿐만이 아니라, 절결부(47)로부터도 노출된다. 포장용기(4) 내의 식품(2)을 보기 어려운(집기 어려운) 경우에, 절결부(47)가 형성될 때까지 뚜껑(52)가 열린다.
도 11은,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식품포장체(1)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뚜껑(52)을 열고 나서, 뒤쪽의 개구(42B) 및 절결부(46)(또, 전술한 절결부(47))로부터 노출된 식품(2)의 포장지(3)의 빠짐부(49)를 집고 잡아당긴다(도 11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2번째의 식품(2)을 참조).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2)이 열린 식품포장체(1)을 테이블 등에 놓으면, 뚜껑(52)의 제2 덮개판(33)이 테이블에 맞닿는 것으로 개구(42B)가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도록 식품포장체(1)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경우, 비스듬히 위쪽에서 개구(42B)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빠짐부(49)를 집기 쉽다.
여기서, 포장용기(4) 내에 있어서, 배열된 식품(2)의 풀칠용 핀(19)이,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하판(21)) 및 가압판(25)에 의해 개재되고, 이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44)로 고정되어 있다. 즉, 풀칠용 핀(19)을 가지는 고착부(48)가 포장용기(4)에 고정되어 있다(도 10도 참조). 그 때문에, 빠짐부(49)를 잡아당기면, 절취선(50)에 의해 고착부(48)와 빠짐부(49)가 분리된다. 즉, 고착부(48) 측의 일방측 용지(3A)와 빠짐부(49) 측의 타방측 용지(3B)가,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와의 경계의 절취선(50)으로 확실히 분리된다. 그 때문에, 식품(2)에 있어서 지금까지 빠짐부(49)에 덮여 있던 부분을 확실히 노출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식품(2)에 있어서 노출된 부분을 한 손으로 집거나, 이 부분을 입에 물거나 함으로써, 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에도, 식품(2) 전체를 포장용기(4)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가 있다. 특히, 식품(2)에 대해 노출된 부분을 입에 물어 식품(2)을 포장용기(4)로부터 꺼내고, 그대로 먹음으로써, 식품(2)을 손으로 만지지 않고 먹을 수가 있어 위생적이다. 또, 식품(2)이 초콜릿인 경우에는, 손을 초콜릿으로 더럽히지 않고서 먹을 수가 있어 편리하다.
또는, 도 12(a)를 참조하면, 고착부(48)로부터 분리된 빠짐부(49)와 함께, 빠짐부(49)에 덮인 식품(2)을 굵은 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2) 전체를 포장용기(4)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꺼낸 식품(2)에서는, 지금까지 고착부(48)에 덮여 있던 부분이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 부분으로부터 식품(2)을 먹을 수가 있다. 그때, 빠짐부(49)(포장지(3))를 통하여 식품(2)을 유지할 수 있어, 손(H)으로 식품(2)을 직접 만지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이다.
또, 이와 같이 식품(2)을 먹기 위해서 포장지(3)의 빠짐부(49)를 잡아빼 포장지(3)를 벗겨내는 동작에 의외성이 있어, 이 식품포장체(1)를 접한 사람에 대해서, 식품(2)을 먹는 즐거움뿐만이 아니라, 포장지(3)의 빠짐부(49)를 잡아빼 벗겨내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빠짐부(49)를 잡아빼면, 포장지(3)가 부분적으로 한 번에 벗겨지므로, 포장된 식품(2)을 포장용기(4)로부터 꺼내 포장지(3)를 손가락 끝으로 집어 벗겨내는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포장용기(4) 내에 식품(2)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도 1(a)을 참조하면, 볼록부(34)를 집어, 제1 덮개판(26)이 뒤쪽의 개구(42B)를 막도록 제2 덮개판(33)을 움직여 뚜껑(52)을 닫는다. 그리고, 볼록부(34)를 상판(29)의 절입부(36)에 찔러넣으면, 제1 덮개판(26)이 뒤쪽의 개구(42B)를 막은 상태(뚜껑(52)을 닫은 상태)가 유지되므로, 포장용기(4) 내에 남은 식품(2)을 다음에 먹을 때까지 보존할 수가 있다.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포장지(3)의 사시도로서, (a)는 식품(2)을 포장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식품(2)을 포장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13의 포장지(3)를 이용한 식품포장체(1)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포장용기(4)로부터 식품(2)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포장지(3)에서는, 그 길이방향 도중에 형성한 절취선(50)에 있어서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가 연결되어 있고,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와는 절취선(50)으로 분리된다(도 2(a) 참조).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포장지(3)는, 일방측 용지(3A) 및 타방측 용지(3B)의 각각의 단부를 중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3(a)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앞쪽의 일방측 용지(3A)의 뒤쪽 단부에 대해서, 뒤쪽의 타방측 용지(3B)의 앞쪽 단부를, 폭방향 전역에 걸쳐서 중첩시킨다. 이것에 의해, 일방측 용지(3A) 및 타방측 용지(3B) 각각은, 중첩부(K)(분리수단)가 존재한다.
여기서, 일방측 용지(3A)의 뒤쪽 단부에 타방측 용지(3B)의 앞쪽 단부를 단지 중첩시킨 것만으로는,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가 중첩부(K)에서 곧바로 분리되어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중첩부(K)에 있어서의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를 부분적으로 가볍게 접착해 두어도 상관없다. 도 13(a)에서는, 일례로서, 중첩부(K)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단부 및 폭방향 중앙부의 접착개소(54)에 있어서,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가 접착되어 있다.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는, 전술한 것처럼 접착개소(54)에서 가볍게 접착되어 있으므로,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이것들은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일방측 용지(3A) 및 타방측 용지(3B)의 각각의 단부를 중첩시켜 구성된 포장지(3)로,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순서로, 식품(2)을 개별포장한다(도 2 참조). 개별포장이 완료된 상태가, 도 13(b)에 나타나 있다. 변형예의 포장지(3)를 이용하여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일방측 용지(3A)에 의해 풀칠용 핀(19)이 형성되고, 이 풀칠용 핀(19)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4)의 내면 벽(51)(하판(21)) 및 가압판(25)에 의해 개재되어 핫멜트 접착제(44)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방측 용지(3A)는 전술한 고착부(48) 측을 형성하고, 타방측 용지(3B)는 전술한 빠짐부(49) 측을 형성하고 있다. 고착부(48)와 빠짐부(49)는 중첩부(K)에서 중첩되어 있다.
이 상태로, 포장용기(4)의 뚜껑(52)을 열어(도 11 참조), 굵은 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듯이, 손(H)으로 빠짐부(49)를 집어 잡아당긴다. 그러면, 지금까지 중첩부(K)에 있어서 고착부(48)의 단부에 중첩되어 있던 빠짐부(49)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착부(48)로부터 떨어진다. 즉, 고착부(48)와 빠짐부(49)가, 일방측 용지(3A)와 타방측 용지(3B)와의 중첩부(K)에서 확실히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식품(2)에 있어서 지금까지 빠짐부(49)에 덮여 있던 부분을 확실히 노출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식품(2)에 있어서 노출된 부분을 한 손으로 집거나, 이 부분을 입에 물거나 함으로써, 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에도, 식품(2) 전체를 포장용기(4)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가 있다.
또는, 고착부(48)로부터 분리된 빠짐부(49)와 함께, 빠짐부(49)에 덮인 식품(2)도 잡아당김으로써, 식품(2) 전체를 포장용기(4)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꺼낸 식품(2)에서는, 지금까지 고착부(48)에 덮여 있던 부분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손(H)으로 식품(2)을 직접 만지는 일 없이,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식품(2)을 먹을 수가 있다.
이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식품(2)은 초콜릿이었지만, 초콜릿 이외에 열에 약한 식품도 식품(2)에 포함된다.
1 식품포장체
2 식품
3 포장지
3A 일방측 용지
3B 타방측 용지
4 포장용기
5 상면
6 하면
7 앞쪽면
8 뒤쪽면
9 좌측면
10 우측면
11 (포장지의) 좌측부분
12 (포장지의) 우측부분
13 (포장지의) 앞쪽 단부
14 (포장지의) 하측뒤쪽 단부
15 (포장지의) 좌측뒤쪽 단부
16 (포장지의) 우측뒤쪽 단부
17 (포장지의) 상측뒤쪽 단부
18 (포장지의) 공간
19 풀칠용 핀
20 형지
21 하판
22 (하판의) 절취선
23 좌측판
24 우측판
25 가압판
26 제1 덮개판
27 제1 좌측 연장설치판
28 제2 좌측 연장설치판
29 상판
30 제1 우측 연장설치판
31 제2 우측 연장설치판
32 제1 연결판
33 제2 덮개판
34 볼록부
35 (상판의) 절취선
36 (상판의) 절입부
37 제2 연결판
38 폐색판
39 접힘판
40 (폐색판의) 절입부
41 보조절입부
42 개구
42A 앞쪽의 개구
42B 뒤쪽의 개구
43 중공체
44 핫멜트 접착제
45 분리 부분
46 (상판의) 절결부
47 (하판의) 절결부
48 고착부
49 빠짐부
50 절취선
51 내면 벽
52 뚜껑
53 (완성된 식품포장체의) 공간
54 접착개소
H 손
K 중첩부
X (일단측의 포장지의) 여분량
Y (타단측의 포장지의) 여분량

Claims (7)

  1.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을 포장용기에 수납한 식품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별포장된 각 식품은 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가지며,
    상기 개별포장된 식품은 상기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을 따라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각 식품의 상기 풀칠용 핀은 차례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배열된 풀칠용 핀을 개재하도록 상기 포장용기의 일 내면 벽의 일부가 뒤집혀 접히고,
    상기 배열된 풀칠용 핀은 상기 포장용기 내에서 상기 일 내면 벽 및 그 접힘부에 의해 개재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각봉 형상의 초콜릿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지는,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초콜릿을 싸도록 접히고, 접힌 포장지의 일부가 상기 초콜릿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풀칠용 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에는, 개별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길이방향 도중부에, 상기 풀칠용 핀을 가지는 고착부와, 상기 풀칠용 핀을 가지는 측과 반대측의 빠짐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상기 고착부 측을 형성하는 일방측 용지와, 상기 빠짐부 측을 형성하는 타방측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일방측 용지와 상기 타방측 용지와의 중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체.
  6. 식품을 포장지로 개별포장하고, 그것을 포장용기에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을 상기 포장지로 개별포장할 때에, 상기 식품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포장지의 일부가 연장된 풀칠용 핀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포장한 식품을 상기 포장용기에 수납한 후, 상기 풀칠용 핀과 상기 포장용기를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식품이 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풀칠용 핀과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할 때, 상기 포장용기의 내면 벽과, 그 내면 벽의 단부를 접어 구부린 접힘부에 의해 상기 풀칠용 핀을 개재하도록 하고, 상기 내면 벽, 풀칠용 핀 및 접힘부를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02430A 2010-06-29 2011-06-23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KR201301352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8033 2010-06-29
JP2010148033 2010-06-29
PCT/JP2011/064465 WO2012002256A1 (ja) 2010-06-29 2011-06-23 食品包装体、および、包装紙で個包装された食品の包装容器への収納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225A true KR20130135225A (ko) 2013-12-10

Family

ID=4540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430A KR20130135225A (ko) 2010-06-29 2011-06-23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589546A4 (ko)
JP (2) JPWO2012002256A1 (ko)
KR (1) KR20130135225A (ko)
CN (1) CN102971228B (ko)
BR (1) BR112013000061A2 (ko)
CO (1) CO6612241A2 (ko)
HK (1) HK1179935A1 (ko)
SG (1) SG186148A1 (ko)
TW (1) TW201208953A (ko)
WO (1) WO20120022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60U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동진제약 개별적으로 포장된 식품포장물용 선물포장구조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7883U (ko) * 1971-05-21 1972-12-26
JPH0388143U (ko) * 1989-12-27 1991-09-09
JPH111221A (ja) *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該箱と板状内容物からなる包装体、及び該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3136638A (ja) * 2001-10-30 2003-05-14 Toppan Printing Co Ltd 外装用包装材料
US7325686B2 (en) * 2004-05-11 2008-02-05 Cadbury Adams Usa Llc Package for dispensing and retaining gum slabs with adhesive securement
WO2008155626A2 (en) * 2007-06-18 2008-12-24 Sergio Mezzini An improved packet with product retaining means
JP2009173322A (ja) * 2008-01-28 2009-08-06 Lotte Co Ltd 包装体
WO2009104795A1 (ja) * 2008-02-18 2009-08-27 株式会社ロッテ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0367A (en) * 1944-08-31 1945-07-10 Wrigley W M Jun Co Gum package
JPH0711569U (ja) * 1993-07-27 1995-02-21 鐘紡株式会社 容器入り包装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7883U (ko) * 1971-05-21 1972-12-26
JPH0388143U (ko) * 1989-12-27 1991-09-09
JPH111221A (ja) *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該箱と板状内容物からなる包装体、及び該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3136638A (ja) * 2001-10-30 2003-05-14 Toppan Printing Co Ltd 外装用包装材料
US7325686B2 (en) * 2004-05-11 2008-02-05 Cadbury Adams Usa Llc Package for dispensing and retaining gum slabs with adhesive securement
WO2008155626A2 (en) * 2007-06-18 2008-12-24 Sergio Mezzini An improved packet with product retaining means
JP2009173322A (ja) * 2008-01-28 2009-08-06 Lotte Co Ltd 包装体
WO2009104795A1 (ja) * 2008-02-18 2009-08-27 株式会社ロッテ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88143호(2002.08.30.)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60U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동진제약 개별적으로 포장된 식품포장물용 선물포장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256A1 (ja) 2012-01-05
SG186148A1 (en) 2013-01-30
TW201208953A (en) 2012-03-01
CO6612241A2 (es) 2013-02-01
HK1179935A1 (en) 2013-10-11
EP2589546A1 (en) 2013-05-08
CN102971228A (zh) 2013-03-13
BR112013000061A2 (pt) 2016-05-10
EP2589546A4 (en) 2015-08-26
JP2017036097A (ja) 2017-02-16
CN102971228B (zh) 2015-01-07
JPWO2012002256A1 (ja)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4362B2 (en) Packaging for smoking articles
EP2236436B1 (en) Packaged article
EP2243725B1 (en) Packed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922658B1 (ko)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WO2010026020A1 (en) Packaging for smoking articles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KR20130135225A (ko) 식품포장체, 및 포장지로 개별포장된 식품의 포장용기에의 수납 방법
MX2011005495A (es) Material de empaque y producto empacado en donde un producto viscoso se envasa con un material de empaque.
KR102035694B1 (ko) 판 형상 물품용의 포장 구조
JP3135717U (ja) 鶏卵包装体
JP5603336B2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79816Y1 (ko) 삼각김밥 포장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삼각김밥 제작 세트
KR20140008414A (ko) 식품의 포장 용기 및 포장 방법
KR200373935Y1 (ko) 샌드위치 포장용 필름
JP2604264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2603949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KR20040072462A (ko) 바늘 포장체 및 바늘 쌈지와 포장 방법
KR101930903B1 (ko) 식품 포장재
JP3147401U (ja) ガムケース
KR20170104397A (ko) 포장 주먹밥
JP2022038502A (ja) スティック状製品の上包み包装体
JP3372927B2 (ja) 米飯用包装材、及び米飯包装体
TH61553B (th) ชิ้นประกอบหีบห่อและวิธีการผลิตชิ้นประกอบหีบห่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