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066A -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066A
KR20130135066A KR1020130051862A KR20130051862A KR20130135066A KR 20130135066 A KR20130135066 A KR 20130135066A KR 1020130051862 A KR1020130051862 A KR 1020130051862A KR 20130051862 A KR20130051862 A KR 20130051862A KR 20130135066 A KR20130135066 A KR 2013013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group
formula
weight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094B1 (ko
Inventor
김한수
김성현
조창호
김선화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211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TWI513718B/zh
Priority to JP2013108173A priority patent/JP5774054B2/ja
Priority to CN201310214461.4A priority patent/CN103450389B/zh
Publication of KR2013013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094B1/ko
Priority to JP2015095073A priority patent/JP2015166469A/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36Amides or imides
    • C08F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4Contact or film exposure of light sensitive plates such as lithographic plates or circuit boards, e.g. in a vacuum frame
    • G03F7/2016Contact mask being integral part of the photosensitive element and subject to destructive removal during post-exposure processing
    • G03F7/202Masking pattern being obtained by thermal means, e.g. laser ab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감광재로 적용할 수 있으며, OLED용 또는 LCD용,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오버코트층, 컬럼스페이서 및 인쇄배선반의 패턴의 제조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NEW POLYMER AND COLOR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2012년 5월 3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2-005887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신규한 고분자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판상에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의 특정 부분에 포토마스크 등을 이용하여 광조사에 의한 노광을 실시한 후, 비노광부를 현상 처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광을 조사하여 중합하고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광경화성 잉크, 감광성 인쇄판, 각종 포토레지스트, LCD용 컬러 필터 포토레지스트, 수지 블랙 매트릭스용 포토레지스트, 또는 투명 감광재 등에 이용되고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바인더 수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용도에 따라서, 녹색, 적색, 황색, 블랙 등의 색을 나타내기 위해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 상기 착색제는 안료 또는 염료를 고형분의 상태로 첨가하거나, 착색제, 분산용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별도의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 조성물은 제조공정 중 열처리시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09058호
본 명세서는 신규한 고분자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고,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며,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1)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개시제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고,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고,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용 수지, 착색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로 제조된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오버코트층, 컬럼스페이서 및 인쇄배선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황변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필름 상에 돌기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고,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또한, 상기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5 및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13
[화학식 6]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5 내지 6에서,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22는 C1 ~ C10의 알킬기; 또는 C1 ~ C6의 알킬에스테르기이고,
e 및 f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e는 1 ~ 40, f는 1 ~ 20이다.
상기 C1 ~ C10의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3 ~ C30의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프로필기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6 ~ C20의 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기, 벤질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기, 페난트렌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할로겐기로는 불소기, 염소기, 브롬기, 요오드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사이클로옥틸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는 사이클로부테닐기, 사이클로펜테닐기, 사이클로헥세닐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는 하기 화학식 7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5
[화학식 10]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7에 있어서, R1, R2,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8에서, R5, R6, R7 및 b는 상기 화학식 2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는 1)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개시제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8
[화학식 2]
Figure pat00019
[화학식 3]
Figure pat00020
[화학식 4]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고,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상기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0 ~ 60 몰%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10 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에 충분한 내열성을 부여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60 몰%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의 분산성 및 현상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 ~ 20 몰%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1 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몰% 초과인 경우에는 가열되는 공정에서 황변되거나, 열분해로 인해 형성된 패턴에 돌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0 ~ 70 몰%인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10 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의 현상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70 몰%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0 ~ 70 몰%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10 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의 분산성 및 현상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70 몰%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에 충분한 내열성을 부여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추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을 통해 생성된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 ~ 20 몰%인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6에서, R22는 C1 ~ C10의 알킬기; 또는 C1 ~ C6의 알킬에스테르기이고, f는 몰 혼합비로서, f는 1 ~ 20이다.
또한 2) 상기 1) 단계의 생성물과 에폭시 그룹을 포함한 불포화 에틸렌성 모노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그룹을 포함한 불포화 에틸렌성 모노머는 아릴 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플로헥실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5-노보넨-2-메틸-2-카복실레이트(엔도, 엑소 혼합물), 1,2-에폭시-5-헥센 및 1,2-에폭시-9-데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에폭시 그룹을 포함한 불포화 에틸렌성 모노머는 1) 단계의 생성물 중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산기와 반응하여 불포화 에틸렌기를 부여한다.
상기 2) 단계의 생성물인 불포화 에틸렌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노광 시에 말단의 불포화 에틸렌기가 다른 중합 가능한 기와 함께 반응하게 된다. 이를 통해 패턴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패턴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기 2) 단계의 생성물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5]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5에서,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e는 몰 혼합비로서, e는 1 ~ 40이다.
이때, 상기 반응을 통해 생성된 고분자는 고분자 전체를 기준으로 함량이 1 ~ 40 몰%인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50,000이며, 필요에 따라, 5,000 내지 20,000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분자의 산가는 10 ~ 150 KOH mg/g 이며, 필요에 따라, 30 ~ 130 KOH mg/g 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 는 반복단위 간의 연결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고분자는 착색 조성물에서 착색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용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용 수지, 착색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 수지는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이외에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분산용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색 조성물에서 착색제는 발색을 위해 방향족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착색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용 수지는 방향족기를 포함하고 있는 착색제와 친화력을 높여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향족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분산용 수지의 방향족기는 착색제를 통한 고유의 색을 변색시킬 수 있으며, 가열되는 공정에서 열분해되거나 이를 통해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분산용 수지는 방향족기인 아릴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최소한으로 포함하고,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방족 환기인 사이클로알킬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소수성을 띄므로 현상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산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기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는 현상성뿐 아니라 분산용 수지의 분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알칼리 수용액으로 현상시 패턴의 뜯김이 덜하게 된다. 이는 사이클로알킬기의 소수성으로 인해 현상 공정시 현상액의 패턴 내 침투가 어려워져 패턴 손상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상기 착색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분산용 수지의 함량은 1 ~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색 특성에 따라서 레드 안료, 바이올렛 안료, 블루 안료, 그린 안료, 옐로우 안료, 오렌지 안료, 흑색 안료, 카본 블랙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레드 안료로는 나프톨계 레드 안료인 Pig.Red #1 (C.I.12070), Pig.Red #2 (C.I.12310), Pig.Red #3 (C.I.12120), Pig.Red #4(C.I.12085), Pig.Red #5 (C.I.12490), Pig.Red #6 (C.I.12090), Pig.Red #7(C.I.12420), Pig.Red #8 (C.I.12355), Pig.Red #9 (C.I.12460), Pig.Red #10 (C.I.12440), Pig.Red #11 (C.I.12430), Pig.Red #12(C.I.12385), Pig.Red #13(C.I.12395), Pig.Red #14(C.I.12380), Pig.Red #15(C.I.12465), Pig.Red #16(12500), Pig.Red #17(C.I.12390), Pig.Red #18(C.I.12350), Pig.Red #21(C.I.12300), Pig.Red #22(C.I.12315), Pig.Red #23(C.I.12355), Pig.Red #31(12360), Pig.Red #32(12320), Pig.Red #95(C.I.15897), Pig.Red #112(C.I.12370), Pig.Red #114(C.I.12351), Pig.Red #119(C.I.12469), Pig.Red #146(C.I.12485), Pig.Red #147(C.I.12433), Pig.Red #148(C.I.12369), Pig.Red #150(C.I.12290), Pig.Red #151(C.I.15890), Pig.Red #184(C.I.12487), Pig.Red #187(C.I.12486), Pig.Red #188(C.I.12467), Pig.Red #210(C.I.12474), Pig.Red #245(C.I.12317), Pig.Red #253(C.I.12375), Pig.Red #258(C.I.12318), Pig.Red #261(C.I.12468); 나프톨계와 금속 복합체인 Pig.Red #49(C.I.15630), Pig.Red #49:1(C.I.15630:1), Pig.Red #49:2(C.I.15630:2), Pig.Red #49:3(C.I.15630:3), Pig.Red #50:1(C.I.15500:1), Pig.Red #51:1(C.I.15580:1), Pig.Red #53(C.I.15585), Pig.Red #53:1(C.I.15585:1), Pig.Red #68(C.I.15525), Pig.Red #243(C.I.15910), Pig.Red #247(C.I.15915); 디스아조피라졸론계인 Pig.Red #37(C.I.21205), Pig.Red #38(C.I.21210), Pig.Red #41(C.I.21200); 디스아조계 축합물인 Pig.Red #144(C.I.20735), Pig.Red #166(C.I.20035), Pig.Red #220(C.I.20055), Pig.Red #221(C.I.20065), Pig.Red #242(C.I.20067); 2-히드록시-3-나프토익산계 금속 복합체인 Pig.Red #48:1(C.I.15865:1), Pig.Red #48:2(C.I.15865:2), Pig.Red #48:3(C.I.15865:3), Pig.Red #48:4(C.I.15865:4), Pig.Red #48:5(C.I.15865:5), Pig.Red #52:1(C.I.15860:1), Pig.Red #52:2(C.I.15860:2), Pig.Red #57:1(C.I.15850:1), Pig.Red #58:2(C.I.15825:2), Pig.Red #58:4(C.I.15825:4), Pig.Red #63:1(C.I.15880:1), Pig.Red #63:2(C.I.15880:2), Pig.Red #64(C.I.15800), Pig.Red #64:1(C.I.15800:1), Pig.Red #200(C.I.15867); 나프탈렌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Red #60:1(C.I.16105:1), Pig.Red #66(C.I.18000:1), Pig.Red #67(C.I.18025:1);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Red #81:1(C.I.45160:1), Pig.Red #81:3(C.I.45160:3), Pig.Red #169(C.I.45160:2); 안트라퀴논계인 Pig.Red #89(C.I.60745), Pig.Red #177(65300); 시오인디고계인 Pig.Red #88(C.I.73312), Pig.Red #181(C.I.73360); 퀴나크리돈계인 Pig.Red #122(C.I.73915), Pig.Red #207(C.I.73900), Pig.Red #209(C.I.73905); 페릴렌계인 Pig.Red #123(C.I.71145), Pig.Red #149(C.I.71137), Pig.Red #178(C.I.71155), Pig.Red #179(C.I.71130), Pig.Red #190(C.I.71140), Pig.Red #194(C.I.71100), Pig.Red #224(C.I.71127); 밴즈이미다졸론계인 Pig.Red #171(C.I.12512), Pig.Red #175(C.I.12513), Pig.Red #176(C.I.12515), Pig.Red #185(C.I.12516), Pig.Red #208(C.I.12514); 피란스론계인 Pig.Red #216(C.I.59710); 디케토피롤로피롤계인 Pig.Red #254(C.I.56110); 및 이소인돌린계인 Pig.Red #260(C.I.56295)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이올렛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Violet#1(C.I.45170:2), Pig.Violet#2(C.I.45175:1), Pig.Violet#3(C.I.42535:2), Pig.Violet#27(C.I.42535:3), Pig.Violet#39(C.I.42555:2); 안스라퀴논계인 Pig.Violet#5:1(C.I.58055:1); 나프톨계인 Pig.Violet#25(C.I.12321), Pig.Violet#50(C.I.12322); 퀴나크리돈계인 Pig.Violet#19(C.I.73900); 디옥사진계인 Pig.Violet#23(C.I.51319), Pig.Violet#37(C.I.51345); 페릴렌계인 Pig.Violet#29(C.I.71129); 및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Violet#32(C.I.12517)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블루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 Blue #15:6, Pig.Blue#1(C.I.42595:2), Pig.Blue#2(C.I.44045:2), Pig.Blue#9(C.I.42025:1), Pig.Blue#10(C.I.44040:2), Pig.Blue#14(C.I.42600:1), Pig.Blue#18(C.I.42770:1), Pig.Blue#19(C.I.42750), Pig.Blue#56(C.I.42800), Pig.Blue#62(C.I.44084); Cu 프탈로시아닌계인 Pig.Blue#15(C.I.74160), Pig.Blue#15:1(C.I.74160); 메탈프리 프탈로시아닌계인 Pig.Blue#16(C.I.74100); 인단스론계인 Pig.Blue#60(C.I.69800), Pig.Blue#64(C.I.69825); 및 인디고계인 Pig.Blue#66(C.I.73000), Pig.Blue#63(C.I.73015:x)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린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Green#1(C.I.42040:1), Pig.Green#2(C.I.42040:1), Pig.Green#4(C.I.42000:2); Cu 프탈로시아닌계인 Pig.Green#7(C.I.74260), Pig.Green#36(C.I.74265); 아연 복합체인 Pig.Green#58 및 메탈 복합체인 Pig.Green#8(C.I.10006), Pig.Green#10(C.I.12775)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옐로우 안료로는 모노아조계인 Pig.Yellow#1(C.I.11680), Pig.Yellow#2(C.I.11730), Pig.Yellow#3(C.I.11710), Pig.Yellow#5(C.I.11660), Pig.Yellow#6(C.I.11670), Pig.Yellow#10(C.I.12710), Pig.Yellow#49(C.I.11765), Pig.Yellow#65(C.I.11740), Pig.Yellow#73(C.I.11738), Pig.Yellow#74(C.I.11741), Pig.Yellow#75(C.I.11770), Pig.Yellow#97(C.I.11767), Pig.Yellow#98(C.I.11727), Pig.Yellow#111(C.I.11745), Pig.Yellow#116(C.I.11790), Pig.Yellow#167(C.I.11737); 모노아조계 금속 복합체인 Pig.Yellow#61(C.I.13880), Pig.Yellow#62:1(C.I.13940:1), Pig.Yellow#100(C.I.19140:1), Pig.Yellow#168(C.I.13960), Pig.Yellow#169(C.I.13955), Pig.Yellow#183(C.I.18792); 비스아세토아세트아릴라이드계인 Pig.Yellow#16(C.I.20040); 디아릴라이드계인 Pig.Yellow#12(C.I.21090), Pig.Yellow#13(C.I.21100), Pig.Yellow#14(C.I.21095), Pig.Yellow#17(C.I.21105), Pig.Yellow#55(C.I.21096), Pig.Yellow#63(C.I.21091), Pig.Yellow#81(C.I.21127), Pig.Yellow#83(C.I.21108), Pig.Yellow#87(C.I.21107:1), Pig.Yellow#113(C.I.21126), Pig.Yellow#114(C.I.21092), Pig.Yellow#124(C.I.21107), Pig.Yellow#126(C.I.21101), Pig.Yellow#127(21102), Pig.Yellow#152(C.I.21111), Pig.Yellow#170(C.I.21104), Pig.Yellow#171(C.I.21106), Pig.Yellow#172(C.I.21109), Pig.Yellow#174(C.I.21098); 플라반스론계인 Pig.Yellow#24(C.I.70600); 디아조계 축합물인 Pig.Yellow#93(C.I.20710), Pig.Yellow#94(C.I.20038), Pig.Yellow#95(C.I.20034), Pig.Yellow#128(C.I.20037), Pig.Yellow#166(C.I.20035); 안스라퀴논계인 Pig.Yellow#123(C.I.65049), Pig.Yellow#147(C.I.60645); 알다진계인 Pig.Yellow#101(C.I.48052); 나프탈렌 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Yellow#104(C.I.15985:1); 안스라피리미딘계인 Pig.Yellow#108(C.I.68420); 이소인돌리논계인 Pig.Yellow#109(C.I.56284), Pig.Yellow#110(C.I.56280), Pig.Yellow#139(C.I.56298), Pig.Yellow#185(C.I.56290);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Yellow#123(C.I.11783), Pig.Yellow#154(C.I.13980), Pig.Yellow#175(C.I.11784), Pig.Yellow#180(C.I.21290), Pig.Yellow#181(C.I.11777); 및 퀴노프탈론계인 Pig.Yellow#138(C.I.56300); 금속복합체인 Pig.Yellow#117(C.I.48043), Pig.Yellow#129(C.I.48042), Pig.Yellow#150(C.I.12764), Pig.Yellow#153(C.I.48545), Pig.Yellow#177(C.I.48120), Pig.Yellow#179(C.I.48125)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밖에 오렌지 안료로는 모노아조계인 Pig.Orange#1(C.I.11725), Pig.Orange#6(C.I.12730); 나프톨계인 Pig.Orange#2(C.I.12060), Pig.Orange#5(C.I.12075), Pig.Orange#22(C.I.12470), Pig.Orange#24(C.I.12305), Pig.Orange#38(C.I.12367); 나프톨 금속 복합체인 Pig.Orange#17(C.I.15510:1 Pig.Orange#17:1(15510:2), Pig.Orange#46(C.I.15602); 디스아조피라졸론계인 Pig.Orange#13(C.I.21110), Pig.Orange#34(C.I.21115); 디아릴라이드계인 Pig.Orange#15(C.I.21130), Pig.Orange#16(C.I.21160); 나프탈렌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Orange#19(C.I.15990); 디스아조계 축합물인 Pig.Orange#31(C.I.20050);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Orange#36(C.I.11780), Pig.Orange#60(C.I.11782); 피란스론계인 Pig.Orange#40(C.I.59700); 페리논계인 Pig.Orange#43(C.I.71105); 퀴나크리돈계인 Pig.Orange#48(C.I.73900); 및 이소인돌린계인 Pig.Orange#61(C.I.11265), Pig.Orange#66(C.I.48210), Pig.Orange#69(C.I.56292)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는 카본 블랙과 2 이상의 착색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으로는 동해카본(주)의 시스토 5HIISAF-HS, 시스토 KH, 시스토 3HHAF-HS, 시스토 NH, 시스토 3M, 시스토 300HAF-LS, 시스토 116HMMAF-HS, 시스토 116MAF, 시스토 FMFEF-HS, 시스토 SOFEF, 시스토 VGPF, 시스토 SVHSRF-HS, 및 시스토 SSRF; 미쯔비시화학(주)의 다이어그램 블랙 Ⅱ, 다이어그램 블랙 N339, 다이어그램 블랙 SH, 다이어그램 블랙 H, 다이어그램 LH, 다이어그램 HA, 다이어그램 SF, 다이어그램 N550M, 다이어그램 M, 다이어그램 E, 다이어그램 G, 다이어그램 R, 다이어그램 N760M, 다이어그램 LR, #2700, #2600, #2400, #2350, #2300, #2200, #1000, #980, #900, MCF88, #52, #50, #47, #45, #45L, #25, #CF9, #95, #3030, #3050, MA7, MA77, MA8, MA11, OIL7B, OIL9B, OIL11B, OIL30B, 및 OIL31B; 대구사(주)의 PRINTEX-U, PRINTEX-V, PRINTEX-140U, PRINTEX-140V, PRINTEX-95, PRINTEX-85, PRINTEX-75, PRINTEX-55, PRINTEX-45, PRINTEX-300, PRINTEX-35, PRINTEX-25, PRINTEX-200, PRINTEX-40, PRINTEX-30, PRINTEX-3, PRINTEX-A, SPECIAL BLACK-550, SPECIAL BLACK-350, SPECIAL BLACK-250, SPECIAL BLACK-100, 및 LAMP BLACK-101; 및 콜롬비아 카본(주)의 RAVEN-1100ULTRA, RAVEN-1080ULTRA, RAVEN-1060ULTRA, RAVEN-1040, RAVEN-1035, RAVEN-1020, RAVEN-1000, RAVEN-890H, RAVEN-890, RAVEN-880ULTRA, RAVEN-860ULTRA, RAVEN-850, RAVEN-820, RAVEN-790ULTRA, RAVEN-780ULTRA, RAVEN-760ULTRA, RAVEN-520, RAVEN-500, RAVEN-460, RAVEN-450, RAVEN-430ULTRA, RAVEN-420, RAVEN-410, RAVEN-2500ULTRA, RAVEN-2000, RAVEN-1500, RAVEN-1255, RAVEN-1250, RAVEN-1200, RAVEN-1190ULTRA 및 RAVEN-1170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과 혼합하여 사용가능한 착색제로는 카민 6B(C.I.12490), 프탈로시아닌 그린(C.I. 74260), 프탈로시아닌 블루(C.I. 74160), 미쓰비시 카본 블랙 MA100, 페릴렌 블랙(BASF K0084. K0086), 시아닌 블랙, 리놀옐로우(C.I.21090), 리놀 옐로우GRO(C.I. 21090), 벤지딘 옐로우4T-564D, 미쓰비시 카본 블랙 MA-40, 빅토리아 퓨어 블루(C.I.42595), C.I. PIGMENT RED97, 122, 149, 168, 177, 180, 192, 215, C.I. PIGMENT GREEN 7, 36, C.I. PIGMENT 15:1, 15:4, 15:6, 22, 60, 64, C.I. PIGMENT 83, 139 또는 C.I. PIGMENT VIOLET 23 등이 있으며, 이 밖에 백색 안료 또는 형광안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착색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5 ~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텐, 헥산, 헵탄, 옥탄,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부탄올,t-부탄올,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펠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착색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용매의 함량은 20 ~ 70 중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착색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색 조성물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착색 조성물 이외에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착색 조성물, 안료 또는 염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조성물의 함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 8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 수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광개시제 및 용매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 이외에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인더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에폭시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한 모노머;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단량체류, 불포화 에테르류, N-비닐 3차 아민류, 및 불포화 이미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산기를 함유한 모노머; 및 산 무수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한 모노머로는 알릴 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5-노보넨-2-메틸-2-카복실레이트(엔도, 엑소 혼합물), 1,2-에폭시-5-헥센 및 1,2-에폭시-9-데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m,p)-비닐 톨루엔, (o,m,p)-메톡시 스티렌, 및 (o,m,p)-클로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 에테르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에틸 에테르, 및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비닐 3차 아민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바졸, 및 N-비닐 모폴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 이미드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N-페닐 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4-히드록시페닐) 말레이미드, 및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기를 함유한 모노머는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5-노보넨-2-카복실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 무수물로는 무수 말레인산, 무수 메틸 말레인산, 테트라하이드로 프탈산 무수물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 ~ 2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 14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기의 수가 2 ∼ 14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콜을 α, 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과 다가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 3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 프로판산 등의 트리아진 화합물;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벤조인메틸 에테르, 벤조인에틸 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 에테르, 벤조인부틸 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4,6-트리메틸아미노벤조페논,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9-플로레논, 2-클로로-9-플로레논, 2-메틸-9-플로레논 등의 플로레논계 화합물; 티옥산톤,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필옥시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크산톤, 2-메틸크산톤 등의 크산톤계 화합물; 안트라퀴논, 2-메틸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t-부틸 안트라퀴논, 2,6-디클로로-9,10-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9-페닐아크리딘,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1,5-비스(9-아크리디닐)펜탄, 1,3-비스(9-아크리디닐)프로판 등의 아크리딘계 화합물; 벤질, 1,7,7-트리메틸-비스클로[2,2,1]헵탄-2,3-디온, 9,10-펜안트렌퀴논 등의 디카르보닐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n-부톡시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5-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펜타논, 2,6-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헥사논,2,6-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4-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의 아민계 시너지스트;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4-디에틸아미노 칼콘, 4-아지드벤잘아세토페논 등의 칼콘 화합물; 2-벤조일메틸렌,및 3-메틸-β-나프토티아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텐, 헥산, 헵탄, 옥탄,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부탄올,t-부탄올,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펠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 9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분산제, 경화촉진제, 열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충전제 및 접착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미리 안료를 표면 처리하는 형태로 안료에 내부 첨가시키는 방법, 또는 안료에 외부 첨가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형,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설폰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염, 알킬아미드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알킬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촉진제로는, 예컨대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및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억제제로는 예컨대 p-아니솔, 히드로퀴논, 피로카테콜(pyrocatechol), t-부틸카테콜(t-butyl catechol),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암모늄염,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시아민 알루미늄염 및 페노티아진(phenothiaz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불소계 계면활성제이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BYK-Chemie 사의 BYK-077, BYK-085, BYK-300, BYK-301, BYK-302, BYK-306, BYK-307, BYK-310, BYK-320, BYK-322, BYK-323, BYK-325, BYK-330, BYK-331, BYK-333, BYK-335, BYK-341v344, BYK-345v346, BYK-348, BYK-354, BYK-355, BYK-356, BYK-358, BYK-361, BYK-370, BYK-371, BYK-375, BYK-380, BYK-39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불소계 계면활성제로는 DIC(DaiNippon Ink & Chemicals) 사의 F-114, F-177, F-410, F-411, F-450, F-493, F-494, F-443, F-444, F-445, F-446, F-470, F-471, F-472SF, F-474, F-475, F-477, F-478, F-479, F-480SF, F-482, F-483, F-484, F-486, F-487, F-172D, MCF-350SF, TF-1025SF, TF-1117SF, TF-1026SF, TF-1128, TF-1127, TF-1129, TF-1126, TF-1130, TF-1116SF, TF-1131, TF1132, TF1027SF, TF-1441, TF-144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증감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충전제 등도 종래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 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롤 코터(roll coater), 커튼 코터(curtain coater), 스핀 코터(spin coater), 슬롯 다이 코터, 각종 인쇄, 침적 등에 사용되며, 금속, 종이, 유리 플라스틱 기판 등의 지지체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등의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기타 지지체 상에 전사하거나 제1의 지지체에 도포한 후 블랭킷 등에 전사, 다시 제2의 지지체에 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적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광원으로는, 예컨대 파장이 250 내지 450㎚의 광을 발산하는 수은 증기 아크(arc), 탄소 아크, Xe 아크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광도 및 현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테이퍼 각도가 높고 접착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감광재로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LCD용 컬러 필터 패턴의 제조시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내열성 및 황변 방지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필름 상에 돌기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필름, 박막, 패턴 등에 돌기의 발생을 감소시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TFT LCD 컬러필터 제조용 안료분산형 감광재, TFT LCD 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블랙 매트릭스 형성용 감광재, 오버코트층 형성용 감광재, 컬럼 스페이서 감광재에 사용될 수 있으며, 광경화성 도료, 광경화성 잉크, 광경화성 접착제, 인쇄판, 인쇄배선반용 감광재, 기타 투명 감광재, 및 PDP 제조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제한을 특별히 두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감광재로 제조된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오버코트층, 컬럼스페이서 및 인쇄배선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일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합성예 1>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메타크릴산을 60/12/28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0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100이었다.
<합성예 2>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47/8/9/28/8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98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500이었다.
<합성예 3>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49/8/10/25/8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5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이었다.
<합성예 4>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46/14/28/12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5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500이었다.
<합성예 5>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메타크릴산을 59/18/23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99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이었다.
<합성예 6>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메타크릴산을 39/8/53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수지 용액에 열중합 금지제와 촉매를 첨가한 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0.32 g을 공기 분위기에서 투입하여 11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5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500이었다.
<합성예 7>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32/5/6/52/5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수지 용액에 열중합 금지제와 촉매를 첨가한 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2.33 g을 공기 분위기에서 투입하여 11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10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9,900이었다.
<비교합성예 1>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벤질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을 55/9/11/25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0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300이었다.
<비교합성예 2>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벤질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48/8/10/26/8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2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8,600이었다.
<비교합성예 3>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 V-65 2.17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벤질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메타크릴산/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32/5/6/52/5의 몰%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수지 용액에 열중합 금지제와 촉매를 첨가한 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2.00 g을 공기 분위기에서 투입하여 110℃를 유지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제조된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108 KOH mg/g,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200이었다.
<실시예 1>
안료로서 5.08 중량부인 피그먼트 Green 58, 0.85 중량부인 피그먼트 yellow 150,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 아크릴계 분산제 3.62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3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4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5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6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합성예 7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비교합성예 2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대신 상기 비교합성예 3에서 제조된 고분자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착색 조성물 11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화합물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8 중량부, 바인더 수지로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1.8 중량부, 광개시제로 2,4-크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0.3 중량부, 접착촉진제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계면활성제로 F-475 (DaiNippon Ink & Chemicals) 0.04 중량부, 용매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8.8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3에서 얻어진 착색 조성물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착색 조성물을 유리에 스핀 코팅(spin coating)하고, 약 100℃에서 2분 전열 처리(prebake)하여 필름을 형성시킨다. 그 후 색도계로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필름을 이후 230℃에서 약 30분간 후열처리(postbake)한 후 다시 색도계로 휘도를 측정하여 휘도 감소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24
<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8 ~ 11 및 비교예 4 ~ 6에서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유리에 스핀 코팅(spin coating)하고, 약 90 ℃에서 100초 전열 처리(prebake)하여 필름을 형성시킨다. 상기 필름을 투과율이 100%이고 선폭 90㎛ 로 패턴되어 있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압 수은 램프 하에서 20mJ/cm2 로 노광시킨 후, 패턴을 pH11.3 ∼ 11.7의 KOH 알칼리 수용액으로 0.2Mpa 의 압력으로 80초 현상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이를 230℃에서 약 20분간 후열 처리하여 패턴을 형성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패턴의 가장 자리가 현상액에 의해 뜯겨 있는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패턴 뜯김의 좋고 나쁨을 다음 표 2 에 나타냈다. 뜯김이 없는 경우를 1, 가장 가리의 뜯김이 보이는 경우를 2, 패턴 중앙부가 떨어진 경우를 3으로 나타내었다. 수치가 1 에서 3으로 갈수록 현상시 패턴 뜯김이 나빠지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25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학식 1]
    Figure pat00026

    [화학식 2]
    Figure pat00027

    [화학식 3]
    Figure pat00028

    [화학식 4]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고,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고,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5 및 6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화학식 5]
    Figure pat00030

    [화학식 6]
    Figure pat00031

    상기 화학식 5 내지 6에서,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22는 C1 ~ C10의 알킬기; 또는 C1 ~ C6의 알킬에스테르기이고,
    e 및 f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e는 1 ~ 40, f는 1 ~ 20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7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화학식 7]
    Figure pat00032

    [화학식 10]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7 및 10에 있어서, R1, R2, R3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화학식 8]
    Figure pat00034

    상기 화학식 8에서, R5, R6, R7 및 b는 상기 화학식 2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5. 1)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개시제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분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35

    [화학식 2]
    Figure pat00036

    [화학식 3]
    Figure pat00037

    [화학식 4]
    Figure pat00038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R2, R3,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 R1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R4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4 ~ C20의 사이클로알케닐기이고,
    R8은 할로겐기 및 C1 ~ C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이며,
    R15는 C3 ~ C30의 알킬기이며,
    a, b, c 및 d는 각각 몰 혼합비로서, a는 10 ~ 60, b는 1 ~ 20, c는 10 ~ 70, d는 1 ~ 20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추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인 고분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6]
    Figure pat00039

    상기 화학식 6에서,
    R22는 C1 ~ C10의 알킬기; 또는 C1 ~ C6의 알킬에스테르기이고,
    f는 몰 혼합비로서, f는 1 ~ 20이다.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2) 상기 1) 단계의 생성물과 에폭시 그룹을 포함한 불포화 에틸렌성 모노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생성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pat00040

    상기 화학식 5에서,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10의 알킬기이며,
    e는 몰 혼합비로서, e는 1 ~ 40이다.
  9.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용 수지, 착색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착색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분산용 수지의 함량은 1 ~ 30 중량%이고,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5 ~ 50 중량%이며, 상기 용매의 함량은 20 ~ 70 중량%인 착색 조성물.
  11. 청구항 9에 따른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13. 청구항 12에 따른 감광재로 제조된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오버코트층, 컬럼스페이서 및 인쇄배선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0051862A 2012-05-31 2013-05-08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KR10147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17912A TWI513718B (zh) 2012-05-31 2013-05-21 新穎聚合物及包含其之著色組成物
JP2013108173A JP5774054B2 (ja) 2012-05-31 2013-05-22 新規な高分子およびこれを含む着色組成物
CN201310214461.4A CN103450389B (zh) 2012-05-31 2013-05-31 聚合物和包含其的着色组合物
JP2015095073A JP2015166469A (ja) 2012-05-31 2015-05-07 新規な高分子およびこれを含む着色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877 2012-05-31
KR20120058877 2012-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66A true KR20130135066A (ko) 2013-12-10
KR101473094B1 KR101473094B1 (ko) 2014-12-16

Family

ID=4998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862A KR101473094B1 (ko) 2012-05-31 2013-05-08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166469A (ko)
KR (1) KR101473094B1 (ko)
TW (1) TWI5137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3395A (zh) * 2015-07-31 2018-01-0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触摸屏光吸收层
JP7016738B2 (ja) * 2018-03-19 2022-02-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ラジカル重合性共重合体、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420536B1 (ko) * 2019-03-27 202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칼리 가용성,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을 갖는 공중합체,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수지 필름, 및 컬러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36002A (en) 2006-12-19 2008-09-01 Cheil Ind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organic insulating film produced using the same
JP2009229979A (ja) * 2008-03-25 2009-10-08 Jsr Corp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WO2011114846A1 (ja) * 2010-03-18 2013-06-27 東レ株式会社 感光性導電ペーストおよび導電パター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66469A (ja) 2015-09-24
TW201404790A (zh) 2014-02-01
KR101473094B1 (ko) 2014-12-16
TWI513718B (zh)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054B2 (ja) 新規な高分子およびこれを含む着色組成物
KR101403791B1 (ko)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I486710B (zh) 光阻樹脂組成物及包含使用該光阻樹脂組成物所製造之擋板圖案之觸控面板或顯示裝置
CN104768925B (zh) 基于苯乙烯基的化合物及其在着色材料、光敏树脂、光阻材料、滤色器和显示器件的应用
KR102067858B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473094B1 (ko)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
CN111032713B (zh) 粘合剂树脂、感光性树脂组合物、感光材料、滤色器和显示装置
KR20120000278A (ko)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273140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101603845B1 (ko)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5062B1 (ko)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0741A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35077A (ko) 신규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30135010A (ko) 아크릴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40147056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5067B1 (ko) 바인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609901B1 (ko)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1460B1 (ko) 현상 잔사 저감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648146B1 (ko) 색재 조성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I761701B (zh) 著色劑組成物、光阻、彩色濾光片以及顯示裝置
KR101445906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60001037A (ko)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KR20130135418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재
KR101624775B1 (ko)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30135135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감광재,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감광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