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43A -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543A
KR20130134543A KR1020120058132A KR20120058132A KR20130134543A KR 20130134543 A KR20130134543 A KR 20130134543A KR 1020120058132 A KR1020120058132 A KR 1020120058132A KR 20120058132 A KR20120058132 A KR 20120058132A KR 20130134543 A KR20130134543 A KR 20130134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present
cover
dust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052B1 (ko
Inventor
강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0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더스트커버의 착탈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후면의 돌출부에 다수의 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만큼 더스트커버의 폭이 커져서 협소한 엔진룸내에서의 공간확보가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벌브의 커넥터를 보호하면서 램프하우징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체결되는 더스트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벌브의 커넥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몸체(500)의 후면돌출부(520) 높이 및 직경범위 내에서 테두리(521) 내측으로 손잡이홈부(530)를 다수 형성하여 엔진룸의 램프하우징 주변 공간 확보가 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손잡이홈부(530)가 후면돌출부(520)에서 돌출되지 않아 커버몸체(500)의 폭(W₂)이 종전보다 줄어들어 공간이 협소한 엔진룸내에서 더스트커버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Dust cover of headlam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더스트커버의 폭을 줄여 공간이 협소한 엔진룸 내에서의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헤드램프와, 자동차의 진행방향 등을 알리기 위한 방향 지시등과 실내조명용의 룸 램프와 차량의 후진을 알리기 위한 후진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램프류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헤드램프는 본닛과 범퍼 사이의 공간 양측에 위치한 전조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대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를 현혹하지 않도록 상향등 및 하향등으로 상하 절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안전기준에는 상향등 일때 전방 100m 하향등 일때 40m의 전방을 식별할 수 있는 밝기의 라이트장비가 필요하며 등화의 색깔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램프(10)를 장착하는 헤드램프하우징(20)과 헤드램프(10)내부에 설치되는 벌브(30)와 이 벌브(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벌브고정부(40), 헤드램프하우징(20)후미에 장착되는 더스트커버(50)와 더스트커버(50)에 끼워지어 헤드램프(10)의 내부의 기밀을 책임지는 오링(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더스트커버(50)는 헤드램프하우징(20)의 후미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엔진룸내에서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램프(10)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며 헤드램프(10)의 벌브(30)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더스트커버(50)를 헤드램프하우징(20)으로 부터 분리하여 벌브(30)를 교환하고 벌브(30)의 교환이 끝나면 다시 더스트커버(50)를 헤드램프하우징(20)에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더스트커버(50)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더스트커버(50)는 헤드램프하우징(20)에 체결시 벌브(30)의 후미 커넥터(3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에 돌출부(51)를 형성하여 커넥터(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돌출부(51)주연에는 더스트커버(50)를 회전시 보다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부(52)를 형성하였다.
이에따라 작업자가 더스트커버(50)를 회전시킬 때에는 돌기부(52)를 잡은 상태에서 더스트커버(50)를 힘들이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돌기부(52)를 돌출부(51)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다 보니 그만큼 더스트커버(50)의 폭(W₁)이 커지기 때문에 협소한 엔진룸 내에서 공간확보가 어려워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스트커버의 폭을 짧게 하여 엔진룸 내에서의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벌브의 커넥터를 보호하면서 램프하우징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체결되는 더스트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벌브의 커넥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몸체의 후면돌출부 높이 및 직경범위 내에서 테두리 내측으로 손잡이홈부를 다수 형성하여 엔진룸의 램프하우징 주변 공간 확보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커버몸체의 후면돌출부에 내측으로 손잡이홈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커버몸체의 폭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 엔진룸내에서 더스트커버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헤드램프를 도시한 요부 도면.
도 2 는 종래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종래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벌브의 커넥터를 보호하면서 램프하우징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체결되는 더스트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벌브의 커넥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몸체(500)의 후면돌출부(520) 높이 및 직경범위 내에서 테두리(521) 내측으로 손잡이홈부(530)를 다수 형성하여 엔진룸의 램프하우징 주변 공간 확보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W₂)는 커버몸체의 폭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를 램프하우징(도면중 미도시)에 체결시 벌브(도면중 미도시)의 커넥터(도면중 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커버몸체(500)에 후면돌출부(520)를 형성되게 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더스트커버를 보다 편리하게 착탈하기 위하여 후면돌출부(520)에 손잡이홈부(530)를 다수 형성하되 그 손잡이홈부(530)가 후면돌출부(5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그만큼 커버몸체(500)의 폭(W₂)을 종래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커버몸체(500)의 테두리(510)내측으로 후면돌출부(520)의 높이및 직경범위내에서 다수의 손잡이홈부(53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손잡이홈부(530)가 후면돌출부(520)에서 튀어 나오지 않아 커버몸체(500)의 폭(W₂)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더스트커버를 착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잡이홈부(530)에 손가락을 집어 넣고 커버몸체(500)를 회전시키면 이역시 종전과 마찬가지로 더스트커버를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손잡이홈부(530)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531)를 다수 형성하였기 때문에 손가락을 손잡이홈부(530)에 집어 넣고 커버몸체(500)를 회전 시 미끄러질 우려가 극히 적어 더욱 힘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커버몸체(500)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면돌출부(520)의 테두리(521) 외주면에는, 후면돌출부(520)와 동일 높이의 보강리브(540)를 커버몸체(500)의 테두리(510)까지 형성하여 커버몸체(500)의 강성이 보강되게 하여 장기간 동안 커버몸체(500)를 착탈 하더라도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500 : 커버몸체 510,521 : 테두리
520 : 후면돌출부 530 : 손잡이홈부
531 : 돌기 540 : 보강리브

Claims (3)

  1. 벌브의 커넥터를 보호하면서 램프하우징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체결되는 더스트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벌브의 커넥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몸체(500)의 후면돌출부(520) 높이 및 직경범위 내에서 테두리(521) 내측으로 손잡이홈부(530)를 다수 형성하여
    엔진룸의 램프하우징 주변 공간 확보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홈부(530)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531)를 다수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돌출부(520)의 테두리(521) 외주면에는,
    후면돌출부(520)와 동일 높이의 보강리브(540)을 커버몸체(500)의 테두리(510)까지 형성하여 커버몸체(500)의 강성이 보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KR1020120058132A 2012-05-31 2012-05-3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KR10138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32A KR101381052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32A KR101381052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43A true KR20130134543A (ko) 2013-12-10
KR101381052B1 KR101381052B1 (ko) 2014-04-04

Family

ID=4998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132A KR101381052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12A (ko) * 2015-10-14 2017-04-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09798487A (zh) * 2019-03-12 2019-05-24 芜湖安瑞光电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干燥剂的车灯
EP3572277A1 (en) * 2018-05-22 2019-11-27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ular la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313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 전조등의 커버구조
KR0131018Y1 (ko) * 1995-12-30 1998-12-15 전성원 해드램프의 수밀방지용 더스트캡의 구조
JP2000294011A (ja) * 1999-04-07 2000-10-20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灯具
KR20080112529A (ko) * 2007-06-21 2008-1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12A (ko) * 2015-10-14 2017-04-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EP3572277A1 (en) * 2018-05-22 2019-11-27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ular lamp
US10821876B2 (en) 2018-05-22 2020-11-03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ular lamp
CN109798487A (zh) * 2019-03-12 2019-05-24 芜湖安瑞光电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干燥剂的车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052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05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US20120170301A1 (en) Vehicle exterior lamp
KR101389218B1 (ko) 차량의 자가발전 조명장치
JP2005319907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80112529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KR20080003991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120018995A (ko) 헤드램프용 흡습제 장착 구조
KR10123013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4420836B2 (ja) 車両用テールランプ
JP2010228504A (ja) 車両用灯具
KR102330382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CN106958787A (zh) 方便维修的led雾灯
US10400980B2 (en) Multifunctional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2472850A (en) Antiglare lens structure for headlights and the like
KR20160104383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결합구조
KR200337372Y1 (ko) 차량의 사이드램프용 커넥터
JP2019104305A (ja) 車両の灯具取付部構造
KR102394974B1 (ko) 차량용 램프
KR101637913B1 (ko) 차량용 램프
US10821876B2 (en) Vehicular lamp
JP2015069788A (ja) 車両用ランプ構造
CN215259368U (zh) 一种卡车顶灯
US10953786B2 (en) Vehicle with headlamp assembly
CN210284057U (zh) 一种尾灯
JP5832841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