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34A -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534A
KR20130134534A KR1020120058114A KR20120058114A KR20130134534A KR 20130134534 A KR20130134534 A KR 20130134534A KR 1020120058114 A KR1020120058114 A KR 1020120058114A KR 20120058114 A KR20120058114 A KR 20120058114A KR 20130134534 A KR20130134534 A KR 2013013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display unit
state
record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신
Original Assignee
(주)월드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뷰 filed Critical (주)월드뷰
Priority to KR102012005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534A/ko
Publication of KR2013013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인설정부와, 상기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에 따른 구동여부를 상기 초기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초기화면에 영상화면, 재생화면, 긴급녹화, 녹화모드, 좌표보정 및 시스템설정 등을 표시하여 주는 메인설정부가 표시되고, 초기화면 하단에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의 구동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나, 사용자가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메인설정부에 의한 현재의 구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설정변경을 요하는 경우나, 설정상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상태표시부를 통한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설정 오류를 정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상황대처를 가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인설정부와, 상기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에 따른 구동여부를 상기 초기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초기화면에 영상화면, 재생화면, 긴급녹화, 녹화모드, 좌표보정 및 시스템설정 등을 표시하여 주는 메인설정부가 표시되고, 초기화면 하단에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의 구동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나, 사용자가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메인설정부에 의한 현재의 구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설정변경을 요하는 경우나, 설정상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상태표시부를 통한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설정 오류를 정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상황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및 사고발생시 당시 상황의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당시 정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는 미국, 유럽 등의 일부 국가에서 상용차를 중심으로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진행 중이며, 국내에도 오는 2010년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화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상황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해 단말기의 내, 외부에 카메라 및 마이크를 설치하고, 차량 운행 전 구간을 녹화하는 '상시녹화'와, 일정 충격을 받았을 때만 녹화할 수 있는 '충격녹화'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에는 다양한 설정모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하여 터치나, 클릭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고, 수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기능 설정을 위한 아이콘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화면에는 설정모드에서 현재 설정모드의 구동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도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설정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설정모드가 잘못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바로 인식하기 어려워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초기화면에 영상화면, 재생화면, 긴급녹화, 녹화모드, 좌표보정 및 시스템설정 등을 표시하여 주는 메인설정부가 표시되고, 초기화면 하단에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의 구동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나, 사용자가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메인설정부에 의한 현재의 구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설정부의 설정변경을 요하거나, 또는 설정상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상태표시부를 통한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설정 오류를 정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상황대처를 통한 구동상태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디스플레이의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인설정부; 및 상기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에 따른 구동여부를 상기 초기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태표시부는 마이크볼륨의 ON/OFF 표시부, 스피커볼륨의 ON/OFF 표시부, 주차모드표시부, 채널영상표시부, 녹화모드표시부 및 GPS의 ON/OFF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차모드표시부는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주차모드와,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on'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주차모드와, 물체의 동작 시에만, 녹화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주차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설정부는 영상설정부, 재생설정부, 긴급녹화설정부, 녹화모드설정부, 좌표보정설정부 및 시스템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초기화면에 영상화면, 재생화면, 긴급녹화, 녹화모드, 좌표보정 및 시스템설정 등을 표시하여 주는 메인설정부가 표시되고, 초기화면 하단에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의 구동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나, 사용자가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메인설정부에 의한 현재의 구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설정부의 설정변경을 요하거나, 또는 설정상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상태표시부를 통한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설정 오류를 정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상황대처를 통한 구동상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디스플레이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의 각 각종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에서 현재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상의 블랙박스는 차량, 항공기, 선박 등과 같이 운행 및 사고발생시 당시 상황의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당시 정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분석을 요하는 기술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디스플레이(D)의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인설정부(100); 및 상기 메인설정부(100)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구동상태를 상기 초기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상태표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촬영을 위해 차량의 전후방, 좌우측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내장되고, 각종 설정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본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어, 현재의 영상이나 녹화영상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화면에 각종 표시아이콘들이 표시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이나, 설정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D)의 초기화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들은 해당 표시아이콘으로 표시되는데,
상기 메인설정부(100)는 영상설정부(110), 재생설정부(120), 긴급녹화설정부(130), 녹화모드설정부(140), 좌표보정설정부(150) 및 시스템설정부(160) 등으로 구성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영상설정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화면(D)에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에 카메라에 의하여 현재 촬영 중인 전방, 후방, 전후방, 좌측, 우측 및 좌우측의 촬영영상들 중 일부 또는 다수 표시된다.
이 경우 촬영영상이 하나씩 표시되는 경우, 예컨대,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촬영영상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화면(D)에 단일 창으로 표시되고,
복수의 촬영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예컨대, 전후방 또는 좌우측과 같이 복수의 촬영영상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분할 창(2분할 창)으로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D)의 하단 중앙에는 각 촬영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다음' 표시아이콘이 구비되고, 화면(D)의 하단 우측에는 이전 단계로 복귀하기 위한 '리턴(R)' 표시아이콘이 구비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전방, 후방, 전후방, 좌측, 우측 및 좌우측 촬영영상을 선택에 따라 다분할 창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재생설정부(120)는 이미 촬영된 녹화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녹화파일들이 순서대로 나열되고, 이들 녹화파일들에는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어 있어 확인하는 요하는 녹화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녹화파일이 화면(D)에 구현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긴급녹화설정부(130)는 차량의 외부 충격, 급제동, 급발진, 급회전 등과 같은 긴급녹화 상황 발생 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량에 G-센서(Gravity-sensor) 또는 3G 센서가 장착되어 전후방 충격 및 가감속(X축), 좌우측면으로부터의 충격(Y축), 상하방향의 충격(Z축)에 의한 급회전, 급제동, 충돌 및 추돌을 감지하여 이 상황에서의 영상을 녹화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긴급녹화설정부(130)가 구동되어 해당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긴급녹화설정부(130)가 구동되는 경우 하기할 상태표시부(200)의 녹화모드표시부(250)에서는 해당 표시아이콘을 점멸시켜 긴급 상태임이 보다 확실히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녹화모드설정부(140)는 영상녹화 시, 차량의 상태, 예컨대 주행 중인지, 주정차 중인지 여부에 따른 모드선택이나, 녹화영상의 화질이나, 녹화 중 소리, 또는 사고 발생 시의 촬영 민감도 등을 조절하고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녹화모드설정부(140)는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에 주차모드설정부(141), 화질설정부(142), 마이크볼륨의 설정부(143) 및 이벤트감도설정부(144) 등을 나타내는 표시아이콘과, 화면(D)의 하단 우측에는 '리턴(R)' 표시아이콘이 표시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모드설정부(141)는 차량의 주차 시, 물체의 동작여부에 따라 카메라에 의한 녹화촬영 상태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아이콘으로 구현된다.
즉 상기 주차모드설정부(141)는 표시아이콘으로 화면(D)의 상부에 구비되고,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주차모드(141A)와,
상기 제1 주차모드(141A) 하부 우측에 구비되고,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상시 'on'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주차모드(!41B)와,
그리고 상기 제1 주차모드(141A) 하부 좌측에 구비되고, 물체의 동작 시에만, 녹화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주차모드(141C)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모드설정부(141)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블랙박스의 특성상, 주행 중 일체의 영상이 촬영되어 메모리에 녹화파일로 저장되지만,
차량이 주차(또는 정차)되어 있는 경우에도 근접하여 지나가는 차량이나, 주차를 시도하는 다른 차량과의 충돌, 또는 지나가는 행인에 의한 가해 등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판별하기 위해 주차 중, 영상을 녹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 위험 지역에서는 상기 각 주차모드 중 제2 또는 제3 주차모드를 설정하여 줌으로써 주차 시, 발생하는 사고 영상을 녹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물체의 동작여부에 따라 녹화 진행여부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주차모드들 중에서 원하는 모드의 표시아이콘을 클릭한 후, 화면(D)의 하단 우측 '저장(S)'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된 모드를 저장하고, 이전 단계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질설정부(142)는 화면(D)에 표시되는 영상의 질감을 표시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질설정을 위해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의 상부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중, '상' 및 '하'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표시되고,
이때의 영상화질은 '상', '중' 및 '하'로 갈수록 해상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클릭한 후, 화면(D)의 하단 우측 '저장(S)'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된 화질 상태를 저장하고, 이전 단계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이 종료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볼륨의 설정부(143)는 영상의 녹화 시, 녹화소리를 녹음여부나, 녹화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이크볼륨설정을 위한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의 상부 좌측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음소거', '1', '2' 및 '3'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음소거' 표시아이콘은 영상 녹화 시, 소리가 녹음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1' 내지 '3' 표시아이콘은 영상 녹화 시, 녹음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 녹음소리는 숫자가 커질수록 큰 소리로 녹음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녹음되는 소리의 상태를 선택한 후,
화면(D)의 하단 우측 '저장(S)'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된 마이크볼륨 상태를 저장하고, 이전 단계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이 종료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감도설정부(144)는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 등과 같은 사고 발생 시, 상기한 바와 같은 G-센서나, 3G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0'에서부터 '8'까지 단계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이 구비되고, 이 경우 민감도는 숫자가 낮을수록(또는 숫자가 높을수록) 민감도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들 표시아이콘들 중에서 차량에 맞는 적절한 값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표시아이콘을 선택한 후,
화면(D)의 하단 우측 '저장(S)'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된 민감도를 저장하고, 이전 단계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이 종료된다.
또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좌표보정설정부(150)는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를 받게 되는데,
이 좌표는 현재의 날씨, 지형, 주변 건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좌표보정 설정부에 의한 좌표 보정을 통하여 정확한 현재의 좌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설정부(100)의 시스템설정부(16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설정정보 이외에 설정정보를 변경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시스템설정부(160)에 해당하는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SD카드 포맷여부 설정부(161), 시간설정부(162), 스피커볼륨의 설정부(163) 및 LCD ON/OFF 설정부(164)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D카드 포맷여부 설정부(161)는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예' 및 '아니오' 표시아이콘이 표시되며,
이때 상기 '예' 표시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SD카드가 포맷되어 저장되어 있던 데어터가 모두 삭제된다.
이 경우 SD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실수나, 오동작으로 인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면(D)에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그래도 포맷 하시겠습니까?'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어 데이터의 삭제여부를 다시 확인함으로써 실수나, 오동작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예' 표시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SD카드의 포맷이 진행되고, 포맷 진행되는 동안 포맷이 진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아니오' 표시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SD카드 포맷을 수행하지 않게 되고,
이 때 화면(D)의 하단 좌측에 '저장(S)' 표시아이콘을 선택하여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이전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을 종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간설정부(162)는 해당 표시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년, 월, 일, 시, 분 및 초를 설정할 수 있도록 화면(D)에 시간조절부가 표시되어 정확한 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볼륨의 설정부(163)는 차량 내부에서 기기에 의하여 안내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피커볼륨설정을 위해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상부 좌측에서 시계방향으로 '음소거', '1', '2' 및 '3' 표시아이콘이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표시아이콘을 선택한 후, 화면(D)의 하단 좌측 '저장(S)'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된 마이크 볼륨 상태를 저장하고, 이전 단계로 이동함으로써 설정이 종료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D ON/OFF 설정부(164)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설정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최종적으로 클릭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아무런 클릭동작이 없는 경우 LCD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LCD ON/OFF 설정을 위해 해당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의 상부에 'OFF' 표시아이콘과, 'OFF' 표시아이콘 하부에 'ON' 표시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OFF'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이 꺼지게 되며,
반대로 상기 'ON'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나타나게 된다.
즉 상기 'ON' 표시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D)의 상부 좌측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LCD 설정', '항상 ON', '5초', '10초', '30초' 및 '60초' 표시아이콘이 표시된다.
우선 상기 'LCD 설정' 표시아이콘인 선택한 상태에서, 나머지 표시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LCD가 항상 켜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시간들 중에서 클릭동작이 최종적으로 수행된 때로부터 선택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CD 화면이 꺼지게 되어 화면을 보호하게 된다.
특히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핵심 기술로 상태표시부(200)는 구비되는데,
상기 상태표시부(200)는 상기 메인설정부(100)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에 따른 구동여부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운전자나, 사용자가 초기화면에 표시된 상태표시부(200)를 통하여 현재의 구동상태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설정부의 설정변경을 요하는 경우나, 설정상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상태표시부(200)를 통한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설정을 변경하거나, 설정 오류를 정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상황대처를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는 마이크볼륨의 ON/OFF 표시부(210), 스피커볼륨의 ON/OFF 표시부(220), 주차모드표시부(230), 채널영상표시부(240), 녹화모드표시부(250) 및 GPS의 ON/OFF 표시부(260) 등으로 구성된다.
우선 초기화면의 하단 좌측에는 현재의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고,
초기화면의 하단 우측에는 상기 상태표시부에 의하여 장치의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들이 구현된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마이크볼륨의 ON/OFF 표시부(210)는
상태표시부(200)의 제일 좌측에 배열되어 마이크볼륨의 'ON'된 상태나, '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해당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표시된다.
또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스피커볼륨의 ON/OFF 표시부(220)는
상기 마이크볼륨의 ON/OFF 표시부(210)의 우측에 배열되어 스피커볼륨이 'ON'된 상태나, '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해당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표시된다.
아울러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주차모드표시부(230)는
상기 스피커볼륨의 ON/OFF 표시부(220)의 우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1 주차모드(141A)나, 또는 상기 제2 주차모드(141B), 또는 상기 제3 주차모드(141C)에 해당하는 표시아이콘 중에서 현재 구동 중인 상태의 표시아이콘이 화면(D)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채널영상표시부(240)는
상기 주차모드표시부(230)의 우측에 배열되어 있어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수에 따라, 카메라가 1개이면 1채널, 카메라가 2개이면 2채널 등과 같이 표시아이콘이 '1채널 영상' 또는 '2채널 영상' 등으로 화면(D)에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녹화모드표시부(250)는
상기 채널영상표시부(240) 우측에 배열되어 상시 녹화중인지 여부, 주차모드 녹화중인지 여부 및 긴급모드 녹화중인지 여부를 해당 표시아이콘으로 화면(D)에 표시하게 된다.
특히 긴급모드 녹화중인 경우에는 해당 표시아이콘이 점멸되도록 구성하여 긴급 상태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표시부(200)에서 상기 GPS의 ON/OFF 표시부(260)는
상기 녹화모드표시부(250)의 우측, 즉 상태표시부(200)의 맨 우측에 배열되어 GPS의 수신 상태여부를 해당 표시아이콘으로 화면(D)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설정부들에 의한 설정모드에서 각종 표시아이콘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콘은 다른 나머지 아이콘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첨부된 도면에서는 명암이 짙은 것으로 표시되어 있음),
또는 선택된 아이콘이 돌출된 형태로 부가시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별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설정부(100)에 의한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화면(D)의 하단 우측에는 '리턴(R)' 표시아이콘이 구비되어 있어 각 설정모드에서 변경 없이 이전 단계로 이동하기 위해서 '리턴(R)' 표시아이콘을 클릭하여 설정 변경 없이 현재의 화면(D)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데이터 송수신 및 디스플레이 등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은 공지된 기술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당업자 수준에서 예측할 수 있는 변형이나 변경을 통하여 채용이 가능하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디스플레이(화면)
S : 저장 R : 리턴
100 : 메인설정부
110 : 영상설정부
120 : 재생설정부
130 : 긴급녹화설정부
140 : 녹화모드설정부
141 : 주차모드설정부 141A : 제1 주차모드
141B : 제2 주차모드 141C : 제3 주차모드
150 : 좌표보정설정부
160 : 시스템설정부
161 : SD 카드 포맷여부 설정부 162 : 시간설정부
163 : 스피커볼률의 설정부 164 : LCD ON/OFF 설정부
200 : 상태표시부
210 : 마이크볼률의 ON/OFF 표시부
220 : 스피커볼륭의 ON/OFF 표시부
230 : 주차모드표시부
240 : 채널영상표시부
250 : 녹화모드표시부
260 : GPS의 ON/OFF 표시부

Claims (4)

  1. 디스플레이의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인설정부; 및
    상기 메인설정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설정상태에 따른 구동여부를 상기 초기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마이크볼륨의 ON/OFF 표시부, 스피커볼륨의 ON/OFF 표시부, 주차모드표시부, 채널영상표시부, 녹화모드표시부 및 GPS의 ON/OFF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모드표시부는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주차모드와,
    물체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녹화가 'on'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주차모드와,
    물체의 동작 시에만, 녹화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주차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설정부는
    영상설정부, 재생설정부, 긴급녹화설정부, 녹화모드설정부, 좌표보정설정부 및 시스템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20058114A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블랙박스 KR20130134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14A KR20130134534A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14A KR20130134534A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34A true KR20130134534A (ko) 2013-12-10

Family

ID=4998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114A KR20130134534A (ko) 2012-05-31 2012-05-31 차량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5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KR101498074B1 (ko) * 2014-03-13 2015-03-03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2B1 (ko) * 2013-12-26 2014-06-27 오충록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KR101498074B1 (ko) * 2014-03-13 2015-03-03 (주)지란지교소프트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1734B2 (ja) 車載用の警告システム
EP2804152A1 (en) Event detection and recording methods and systems
JP3182941U (ja) 車載用映像記録装置
WO2020129279A1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JP6142338B2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6451959B2 (ja) 運行管理システム
EP3806045B1 (en) Record/play device, record/play method, and program
JP2012064126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US9952431B2 (en) Head-up display device with driving video recorder
JP2022140530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
KR20100081283A (ko) 차량용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 통합장치
JPWO2013084446A1 (ja) ドライブレコーダ、および表示装置
JP2018205845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KR20130134534A (ko) 차량용 블랙박스
JP201109166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1327A (ja) 自動車用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
JP4382780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プログラム、及び運転支援方法
KR102035314B1 (ko)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878325A (zh) 确定泊车系统重新标定时机的方法、装置及自动标定系统
JP6929146B2 (ja) 閾値設定装置、閾値設定方法、及び閾値設定プログラム
JP7084253B2 (ja) 車載カメラ設定方法および車載システム
KR102020143B1 (ko) 차량 충격 확인 장치
JP6110617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10000807U (ko) 차량용 전자기기 통합형 룸미러
JP2011195032A (ja) 車両後方監視装置および車両後方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