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143B1 - 차량 충격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격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43B1
KR102020143B1 KR1020180014091A KR20180014091A KR102020143B1 KR 102020143 B1 KR102020143 B1 KR 102020143B1 KR 1020180014091 A KR1020180014091 A KR 1020180014091A KR 20180014091 A KR20180014091 A KR 20180014091A KR 102020143 B1 KR102020143 B1 KR 10202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vehicle
display unit
imp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666A (ko
Inventor
최규
Original Assignee
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 filed Critical 최규
Priority to KR102018001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충격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에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충격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 유닛; 및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보를 기초로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부를 포함하는 표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은 차량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압력,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격 정보로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충격 확인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vehicle impact}
본 발명은 차량 충격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충격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에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 충격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된 블랙박스는 주차 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도난이나 파손에 대비할 수 있도록 주차 중에도 감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영상이 사고 당시의 상황을 재연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감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05257호(2009.10.07. 공개)(발명의 명칭: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본체에 전방과 후방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듀얼 카메라 본체 일체형 타입으로서, 본체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영상(forward view)과 내부영상(interior view) 및 측면/후방영상(side view)을 수집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메모리 타입을 채용하여 착탈식 외부 메모리에 직접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 상황에서도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의 보존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외부 메모리를 탈착하여 개인용 컴퓨터(PC)에서 해당 영상을 확인함은 물론 필요한 영상의 보관이 손쉬운 영상기록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저장된 영상의 재생은 차량 내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텔레비전, 컴퓨터 [0005]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출력수단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재생하여 일반 동영상 파일과 동일하게 재생을 하게 되고, 저장된 영상의 탐색은 시간, GPS, G-센서 정보에 의존하여 탐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주행 중 발생하는 추돌 사고 등과 같은 이벤트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이벤트 발생 시 차량에 있으므로 이벤트 영상의 녹화 여부 및 이벤트 발생 시점 등을 확인할 수 있으나, 주차 시와 같은 운전자 부재 시 발생한 타인의 차량에 의한 접촉 사고 등과 같은 이벤트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본인의 차량에 긁힌 흔적을 확인하지 않는 한 주차지 발생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해당 이벤트 영상이 녹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도 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메모리의 저장 용량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러한 메모리의 저장 용량의 한계로 상시 녹화 중 메모리의 최대 저장 용량의 한계에 다다르면 신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기저장된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운전자가 추후 차량의 긁힘 등을 확인하여 관련된 사고 관련 이벤트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여도 이미 이벤트 영상이 삭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105257호(2009.10.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충격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에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충격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충격 확인 장치는, 차량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 유닛; 및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보를 기초로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부를 포함하는 표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은 차량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압력,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격 정보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는 감지된 충격 정보의 세기 또는 감지 횟수에 따라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부터 설정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에 차량의 앞 유리창 등에 부착된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보고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매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에는 주차 중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충격 여부와 관계없이 직접 차량을 둘러보면서 육안으로 일일이 차량 상태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소자의 상태만을 보고 실제 충격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제 충격이 있을 때만 차량을 둘러보고 상태를 확인한 후 필요 시 블랙박스로 증거를 수집하는 등 조치를 취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알지 못하는 일명 주차 중 문콕 등으로 인한 차량 스크래치 등의 각종 충격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의 발생 현장에서 즉시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전화번호를 즉시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고 시 긴급히 연락해야 할 전화 번호 등을 설정하여 놓으면 사고 발생 즉시 해당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을 통해 표시할 긴급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별도의 키보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해당 장치가 경박단소화 됨과 아울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격 확인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표시 유닛의 블록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표시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는 표시 유닛의 전면도이고, 도 4는 표시 유닛의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이나 하나 이상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격 확인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감지 유닛(1) 및 표시 유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유닛(1)은 차량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각종 상태 변화 정보를 충격 정보로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진동, 압력,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격 정보로 감지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유닛(1)은, 예를 들어, G센서 등과 같은 진동 감지 센서, 압전소자 등과 같은 압력 감지 센서, 마이크 등을 포함한 소리 감지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변화, 압력 변화, 또는 소리 변화 등을 충격 정보로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유닛(2)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표시 유닛(2)의 외관을 나타낸 전면도 및 후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유닛(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21), 제2 표시부(23), 및 리셋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유닛(2)은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양면(전면 및 후면)을 가진 직사각의 패널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21)는 충격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2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2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의 전면에 드러나도록 위치되고, 표시 유닛(2)의 제1 표시부(21)는 충격 감지 유닛(1)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보를 기초로 발광 소자(21a)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감지된 충격 정보의 세기 또는 감지 횟수에 따라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3)는 기 설정된 긴급 전화 번호 등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3a)과 도 4에 도시된 표시 버튼(2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3a)은,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데,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의 후면에 표시되도록 설치하거나, 또 다른 예로 표시 유닛(2)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표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버튼(23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의 후면부 일측상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표시 버튼(23b)을 누름 방식으로 선택할 경우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가 표시 패널(23a)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23)는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부터 설정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을 통해 표시할 긴급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 시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셋부(2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표시부(21) 또는 제2 표시부(23)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리셋(reset)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의 후면부 일측상에 형성된 리셋 버튼(25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셋부(25)의 리셋 버튼(25a)을 누름 방식으로 선택할 경우 제1 표시부(21)의 발광 소자(21a)를 통해 표시된 발광 세기 정도 또는 발광 색깔을 리셋 하여 초기 상태(예를 들어, 점멸된 상태)로 만들거나, 제2 표시부(23)의 표시 패널(23a)을 통해 표시된 긴급 전화번호를 초기 상태(예컨대, 긴급 전화번호가 표시되지 않은 무표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일 예로, 충격 감지 유닛(1)은 주차 중 문콕 이벤트 등이 자주 발생하는 차량의 도어 등에 설치하고, 표시 유닛(2)은 외부에서 가장 눈에 잘 보이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할 수 있도록 충격 감지 유닛(1)과 별개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충격 감지 유닛(1)은 표시 유닛(2)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충격 감지 유닛(1)과 표시 유닛(2)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확인 장치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또는 별도의 배터리 등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된 표시 유닛(2)의 발광 소자(21a)를 통해 차량의 충격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에 차량의 앞 유리창 등에 부착된 발광 소자(21a)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보고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매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주차 중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충격 여부와 관계없이 직접 차량을 둘러보면서 육안으로 일일이 차량 상태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21a)의 상태만을 보고 실제 충격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제 충격이 있을 때만 차량을 둘러보고 상태를 확인한 후 필요 시 블랙박스로 증거를 수집하는 등 조치를 취하면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알지 못하는 일명 주차 중 문콕 등으로 인한 차량 스크래치 등의 각종 충격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의 발생 현장에서 즉시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 버튼(23b)을 눌러 선택할 경우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를 표시 유닛(2)의 표시 패널(23a)을 통해 즉시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고 시 긴급히 연락해야 할 전화 번호 등을 설정하여 놓으면 사고 발생 즉시 해당 번호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을 통해 표시할 긴급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별도의 키보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해당 장치가 경박단소화 됨과 아울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충격 감지 유닛
2: 표시 유닛
21: 제1 표시부
21a: 발광 소자
23: 제2 표시부
23a: 표시 패널
23b: 표시 버튼
25: 리셋부
25a: 리셋 버튼

Claims (3)

  1. 차량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 유닛; 및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충격 정보를 기초로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부를 포함하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은 차량에 가해진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압력,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격 정보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감지된 충격 정보의 세기 또는 감지 횟수에 따라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확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부터 설정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격 확인 장치.
KR1020180014091A 2018-02-05 2018-02-05 차량 충격 확인 장치 KR10202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91A KR102020143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 충격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91A KR102020143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 충격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66A KR20190094666A (ko) 2019-08-14
KR102020143B1 true KR102020143B1 (ko) 2019-09-09

Family

ID=6762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91A KR102020143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 충격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306B1 (ko) * 2019-12-22 2021-08-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영유아 보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804Y1 (ko) * 1997-12-30 2003-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돌 표시 시스템
KR20000074070A (ko) * 1999-05-18 2000-12-05 김영환 차량의 사고 기록장치
KR20080082074A (ko) * 2007-03-07 2008-09-11 서경하이텍 주식회사 주차 표시 장치
KR100936014B1 (ko) 2008-04-02 2010-01-11 (주)에이직뱅크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66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1178T3 (es) Método y sistema para registro de comportamiento de vehículo
JP4677364B2 (ja) 車両監視装置
KR100936014B1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KR101735116B1 (ko) 건설중장비의 운행정보 기록장치
KR20110004529A (ko) 무선 스위치 트리거링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2006352391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US9952431B2 (en) Head-up display device with driving video recorder
EP3195273A1 (en) System for the recording of sudden events in motor vehicles or the like
KR20100076472A (ko) 자동차용 운행정보 기록장치
KR102020143B1 (ko) 차량 충격 확인 장치
KR20150108961A (ko) 터치 스크린 정보 디스플레이 겸용 차량용 룸미러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US20220048502A1 (en) Event detection system for analyzing and storing real-time other-user vehicle speed and distance
JP4382780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プログラム、及び運転支援方法
KR100791523B1 (ko)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
JP7326719B2 (ja) 記録再生制御装置、記録再生制御方法、および記録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2021073571A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45599A (ja) 車載用運転レコーダ
KR20150025391A (ko) 충격방향을 감지하고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200936A (ja) カメラ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205202880U (zh) 一种行车记录仪
JP7373841B2 (ja) システム等
KR20130134534A (ko) 차량용 블랙박스
KR101412616B1 (ko) 차량에서의 이벤트 알림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399700Y1 (ko) 다기능 차량용 주차메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