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08A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508A
KR20130134508A KR1020120058071A KR20120058071A KR20130134508A KR 20130134508 A KR20130134508 A KR 20130134508A KR 1020120058071 A KR1020120058071 A KR 1020120058071A KR 20120058071 A KR20120058071 A KR 20120058071A KR 20130134508 A KR20130134508 A KR 2013013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touch event
unlockable
scree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석
심상현
서보일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508A/ko
Priority to US13/588,198 priority patent/US20130326395A1/en
Publication of KR2013013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잠금 해제에 있어서 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터치 스크린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와 제1 터치 이벤트 종류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오작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Unlocking method using touch-screen and electr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음성 통화의 기능 이외에도, 카메라, MP3, 메모 등의 복합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 화면을 터치하면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잠금키를 구비하여 잠금키를 누른 경우에만 터치 스크린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의도하지 않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키가 눌려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이 아닌 다른 외부의 입력에 의해 오작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키가 눌려진 경우에 바로 터치 스크린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디스플레이에 터치 스크린 잠금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된 슬라이드바에 설정된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잠금을 해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추가적으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가 의도하지 않은 외부의 입력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머니에 넣고 이동시에 오작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오작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잠금 해제 방법이 필요하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70150842A1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잠금 해제에 있어서 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터치 스크린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와 제1 터치 이벤트 종료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오작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이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나도록 제어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은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포함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이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은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잠금 해제 단계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잠금 해제에 있어서 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터치 스크린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와 제1 터치 이벤트 종류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오작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 이벤트와 제2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여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10), 터치 스크린(12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130)을 표시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20)에 터치가 입력될 수 있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110),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및 감압식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면,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스크린 잠금 이전의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터치 이벤트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지속되고, 제2 터치 이벤트가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 또는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었으나 제2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는 전자 기기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제1 터치가 유효하게 입력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130)은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은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이 외의 영역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이 스크린 잠금 화면(13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이 사각형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원 또는 삼각형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은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영역이고,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은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영역을 말한다.
도 1에서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과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는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 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첩 또는 일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이 스크린 잠금 화면(13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1)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2)는 잠금 해제 가능 영역(140)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원 또는 삼각형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 이벤트와 제2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여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120)에 입력되는 제1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일 수 있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일 수 있다. 탭(tap)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한 점을 가볍게 한 번 눌렀다 띄는 동작을 의미하고, 드래그(drag)는 터치 스크린의 한 점을 누른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띄는 동작을 의미하고, 플릭킹(Flicking)은 터치 후 특정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으로서, 구체적으로 페이지를 넘기는 듯한 동작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의 한 점에 접해 있다. 좌측과 우측의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과 터치 스크린이 접하는 부분의 원의 크기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과 접해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좌측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의 한 점에 탭(tap) 입력에 해당하는 제1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고 있으며, 우측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의 한 점에 탭(tap) 입력에 해당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고 있다.
탭 입력에 해당하는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종료가 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탭 입력에 해당하는 제2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제어부가 감지하면 스크린 잠금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제1 터치 이벤트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어야 하나 제2 터치 이벤트는 시간의 지속과 관계없이 입력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시간은 터치 스크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탭 입력 보다는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탭 입력과 같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손가락 하나에 의한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터치(multi-touch)가 동시에 입력되어도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바닥 전체에 의한 터치 또한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과 우측의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과 터치 스크린에 접하는 부분의 원의 크기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과 접해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좌측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의 한 점에 탭(tap) 입력에 해당하는 제1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고 있으며, 우측 도면에서 사용자의 손이 터치 스크린에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에 해당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고 있다.
탭(tap) 입력에 해당하는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종료가 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에 해당하는 제2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제어부가 감지하면 터치 스크린 잠금 상태는 해제가 될 수 있다. 스크린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제어부는 스크린 잠금 이전의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2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하나에 의한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터치(multi-touch)가 동시에 입력되어도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바닥 전체에 의한 터치 또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자 기기(100)가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S49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100)는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130)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120)에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100)는 제1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0). 제1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기기(100)는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속되지 않은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제1 터치 이벤트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30). 제1 터치 이벤트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터치 이벤트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된 경우, 제1 터치 이벤트가 유효하게 입력되었음을 소리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해제 가능 영역,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단계(S420)에서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소리 또는 진동으로 제1 터치 이벤트가 유효하게 입력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440).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 제2 터치 이벤트가 제1 터치 이벤트 종료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50). 제2 터치 이벤트가 제1 터치 이벤트 종료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입력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터치 이벤트가 제1 터치 이벤트 종료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2 터치 이벤트가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60). 제2 터치 이벤트가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스크린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터치 이벤트가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2 터치 이벤트가 플릭킹 또는 드래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S470). 제2 터치 이벤트가 플릭킹 또는 드래그 중 하나가 아닌 탭(tap) 입력인 경우 스크린 잠금 해제를 하고 스크린 잠금 해제 이전의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490).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을 표시하거나,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다(S48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자 기기
110 : 디스플레이
120 : 터치 스크린
130 : 스크린 잠금 화면
140 : 잠금 해제 가능 영역
141 :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142 :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

Claims (18)

  1.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이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탭(tap) 입력,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나도록 제어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은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10.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스크린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제1 터치 이벤트 및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제2 터치 이벤트를 포함하면,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는 탭 입력이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는 탭 입력,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발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및 플릭킹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터치 이벤트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은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1 터치 이벤트 및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은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잠금 해제 단계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1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에서 제2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잠금 해제 가능 영역 및 상기 제2 잠금 해제 가능 영역이 상기 스크린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KR1020120058071A 2012-05-31 2012-05-31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KR20130134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71A KR20130134508A (ko) 2012-05-31 2012-05-31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US13/588,198 US20130326395A1 (en) 2012-05-31 2012-08-17 Method of unlocking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71A KR20130134508A (ko) 2012-05-31 2012-05-31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08A true KR20130134508A (ko) 2013-12-10

Family

ID=4967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71A KR20130134508A (ko) 2012-05-31 2012-05-31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326395A1 (ko)
KR (1) KR201301345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0345B2 (ja) 2012-06-21 2016-04-27 富士通株式会社 文字入力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JP2014235612A (ja) * 2013-06-03 2014-12-15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補正方法および補正プログラム
KR102115186B1 (ko) * 2013-11-22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TWI502479B (zh) * 2013-12-24 2015-10-01 Acer Inc 解鎖方法與電子裝置
KR20150098115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62513B2 (en) 2014-02-21 2018-12-25 Groupo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item relevance based on consumer interactions
CN104980562A (zh) * 2014-04-04 2015-10-14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移动终端
CN105183332A (zh) * 2014-06-12 2015-12-23 上海电机学院 触控式电子设备的屏幕解锁方法
CN105426091B (zh) 2014-09-19 2021-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黑屏手势处理的方法及终端
KR20160099397A (ko)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한된 실행 환경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391021B (zh) 2017-07-28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黑屏手势的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7483721B (zh) * 2017-07-28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黑屏手势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554815B (zh) * 2018-05-30 2021-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标唤醒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DE102019208903A1 (de) 2019-06-12 2020-12-17 Siemens Healthcare Gmbh Bereitstellen eines Ausgabesignals mittels einer berührungssensitiven Eingabeeinheit und Bereitstellen einer trainierten Funk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346A (ja) * 1996-08-28 1998-03-10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I20021655A (fi) * 2002-06-19 2003-12-20 Nokia Corp Menetelmä lukituksen avaamiseksi ja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100087230A1 (en) * 2008-09-25 2010-04-08 Garmin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interface
US9197738B2 (en) *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US20100146437A1 (en) * 2008-12-04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Glanceable animated notifications on a locked device
US8924893B2 (en) * 2009-10-14 2014-12-30 At&T Mobility Ii Llc Locking and unlock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loped lock track
US9424444B2 (en) * 2009-10-14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KR20120055872A (ko) * 2010-11-24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TW201227393A (en) * 2010-12-31 2012-07-01 Acer Inc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TW201232383A (en) * 2011-01-28 2012-08-01 Hon Hai Prec Ind Co Ltd Method for unlocking a locking interface on screen
US20130033436A1 (en) * 2011-02-17 2013-02-07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6395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508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
JP20112216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21827A5 (ko)
JP201551967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誤操作防止方法、タッチスクリーン、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001031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81881A1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3182090A1 (zh) 一种桌面图标显示位置的控制方法及系统
KR20130090138A (ko) 다중 터치 패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5094499A (zh) 一种智能移动终端及其应用程序窗口处理方法
KR101399145B1 (ko)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폰의 안전한 파지 및 조작을 위한 gui 위젯
CN102681785A (zh) 解锁方式及移动设备
CN103019572A (zh) 电子设备和控制状态的方法
US20150193139A1 (en) Touchscreen device operation
TWM470311U (zh) 暫態切換觸控模式之系統及相關電子裝置
WO2017197860A1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和操作装置
JP2014086090A (ja) タッチスクリーン情報機器の選択的なロック方法
CN108700990A (zh)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CN103440100A (zh) 用于具有触摸屏的电子设备的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03631499B (zh) 一种模式切换方法及电子设备
JP58410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6780242B2 (ja) キー入力装置
KR101223527B1 (ko) 터치스크린 입력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JP2024053570A (ja) 電子機器及びタッチ操作方法
US10921894B2 (en) User interface device
JP69043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