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478A -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478A
KR20130133478A KR1020120056755A KR20120056755A KR20130133478A KR 20130133478 A KR20130133478 A KR 20130133478A KR 1020120056755 A KR1020120056755 A KR 1020120056755A KR 20120056755 A KR20120056755 A KR 20120056755A KR 20130133478 A KR20130133478 A KR 2013013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augmented reality
inspec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964B1 (ko
Inventor
이연우
이영민
맹완석
Original Assignee
에이알비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알비전 (주) filed Critical 에이알비전 (주)
Priority to KR102012005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방점검 대상물 및 그 점검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구현하여,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와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을 통신 가능하도록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소방시설 점검 및 그 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위험도 높은 건물 내에서의 일반 사용자들에 대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 equipment inspection}
본 발명은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소방설비 점검 점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소방시설 점검 및 그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수용인원이 100인 이상인 시설물, 바닥면적이 지하층 또는 무창으로 제공되는 경우 500㎡ 이상, 그 밖의 층의 경우에는 1천 ㎡ 이상의 영화상영관 등에는 스프링쿨러 설치 시설물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판매시설 또는 영업시설의 경우 3층 이하인 건축물로서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바닥면적 합계가 6천㎡ 이상, 4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바닥면적 합계가 5천㎡ 이상의 경우에도 스프링쿨러 설비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 건물, 노유자시설 또는「정신보건법」 제3조 제2호에 따른 정신보건시설은 연면적 600㎡ 이상인 곳,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미터를 넘는 랙크식 창고로서 연면적 1천5백㎡ 이상인 경우는 스프링쿨러 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기준에 따라 소방 공무원 등은 화재관련 사건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각 소방 대상물의 소방용 설비의 설치 확인 및 그 작동 여부를 점검 및 관리하게 되며, 이로써 주민의 복지공간이나 시설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방시설의 점검 및 확인 작업은 관공서 및 부속 사용허가시설, 청소년복지 및 체육시설 등의 안전관리를 관장하면서 관리목적인 이용고객의 생명과 재산보호 및 삶의 질을 높여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요한 사항이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방시설의 점검 및 확인을 위해서는 각각의 소방 대상 건물에 대하여 소방 공무원이 직접 내방하여 개별적인 확인 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하므로, 점검 인력과 시간 등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바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제 현실 화면에 가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증강된 현실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실제의 물체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가상의 현실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술이며, 최근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819호(공개일자 2010.10.26)에 의하면, 모바일 환경에서 별도의 마커없이 위치 및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증강현실 시스템을 소방시설의 점검이나 확인 작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KR 10-2010-0114819 A 2010.10.26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그 점검상태 및 그 현황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소방설비 점검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소방시설 점검 및 그 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도 높은 건물 내에서의 일반 사용자들에 대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미리 설정된 또는 키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지정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증 대기하며 인증 대기후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거나 또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체크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는, GPS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현재 주소 정보를 검색하는 GPS 모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는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통신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 또는 WIFI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은,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2D, LBS, AR 데이터로 각각 저장하며 사용자 등록 및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 수신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가상정보는, 위치정보, 건물 개황정보, 시설물 정보, 도면정보, 점검 현황 및 이력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마커 정보를 더 저장하고, 가상 정보와 마커 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수신된 현장 이미지를 분석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부,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소방점검 대상물의 마커를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로부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트래킹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커 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의 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a) 관리 대상인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마커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연관지어 저장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회원 등록 및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b) 애플리케이션 구동과 동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위치정보 및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단말기 위치정보 및 이미지를 기준으로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에서의 (c) 단계는, (c1)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마커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커로부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c2)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c3) 수신된 이미지에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4)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에서의 (c3) 단계는,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로부터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체크하여, 점검 부재로 인한 위험도가 포함된 대상물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방 공무원용 또는 일반 사용자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소방 점검 대상 건물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해당 건물의 소방 시설에 대한 점검상태 및 그 현황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해줄 수 있게 되므로, 소방시설 점검 및 그 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위험도 높은 건물 내에서의 일반 사용자들에 대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처리방법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될 수 있는 각 경우의 예시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은,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 통신 네트워크(20), 및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미리 설정된 또는 키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지정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증 대기하며, 인증 대기후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는 GPS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현재 주소 정보를 검색하는 GPS 모듈(11),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12),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는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3), 및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을 통해 출력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표시모드의 선택에 따라 2D(2차원), LBS(위치기반서비스), AR(증강현실)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는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거나 또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20)는 3G 네트워크 또는 WIFI(wireless lan)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은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체크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특히 여기서 생성 및 전송되는 증강현실 기반정보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건물개황정보, 시설물정보,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이러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는 2D(2차원), LBS(위치기반서비스), AR(증강현실)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생성된다. 이러한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정보 송/수신부(120), 및 증강현실 브라우져(1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2D(2차원), LBS(위치기반서비스), AR(증강현실) 데이터로 각각 저장하며, 사용자 등록 및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가상정보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 개황정보, 시설물 정보, 도면정보, 점검 현황 및 이력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이 데이터베이스(110)는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마커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가상 정보와 마커 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송/수신부(120)는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증강현실 브라우져(130)는 수신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증강현실 브라우져(130)는 대상물 식별부(131), 트래킹 처리부(132), 및 렌더링 처리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상물 식별부(13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을 식별한다.
트래킹 처리부(132)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의 마커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마커로부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마커 정보를 판독한다.
렌더링 처리부(133)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커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언급된 2D, LBS, AR 모드를 통해 선택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송/수신부(120) 및 네트워크(20)를 통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렌더링 처리부(133)는 상기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로부터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체크하여, 점검 부재로 인한 위험도가 포함된 대상물에 대해 차별화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위험도가 높은 대상물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른 색상의 증강현실 기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흐름을 예시하고 있다.
(a) 단계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를 통해 이루어지는 처리 단계로서, 관리 대상인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마커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연관지어 저장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회원 등록 및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S101)이다.
(b) 단계는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와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100)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이루어지는 처리 단계로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과 동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위치정보 및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02-S104)이다.
(c) 단계는 증강현실 브라우져(130)의 렌더링 처리부(133)에서 이루어지는 처리 단계로서, 상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위치정보 또는 현장 이미지를 기준으로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05-S112)이다. 이때 (c) 단계는 (c1)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S105), (c2)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 또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단계(S106,S107), (c3)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8-S111), 및 (c4)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c3) 단계는 상기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로부터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체크하여 점검 부재 또는 누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S109), 상기 판단 결과 점검 부재 또는 누락이 아닌 대상물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판단 결과 점검 부재 또는 누락으로 인한 위험도가 포함된 대상물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1)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점검 부재 등으로 인해 위험도가 높은 대상물 정보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담당자로 하여금 해당 사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c) 단계에서 증강현실 브라우져(130)의 렌더링 처리부(133)에 의해 생성되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D(2차원) 평면상에서 주변 소방점검 대상물의 위치를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2D 표시모드, AR(증강현실) 및 LBS(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위치를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LBS 표시모드, 및 AR(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을 인식하고 표시하는 AR 표시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시모드를 통해 제공된다. 이때 각각의 표시모드 상에는 현재의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소방점검 대상물의 검색을 위한 반경 및 카테고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검색모드, 카메라 영상에 표출되는 마커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모드, 내비게이션 맵을 통해 마커를 기반으로 소방점검 대상물의 위치를 표출하는 지도모드, 소방점검 대상물의 다양한 조회 조건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자료조회모드, 소방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마당모드, 대상물의 검사 일정을 달력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일정모드로의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메뉴바가 표시화면 하단에 함께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각 표시모드 상에는 각 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선택 메뉴바(2D,LBS,AR)가 화면 상단에 함께 제공된다.
특히, LBS 표시모드에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GPS 신호 및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의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출력신호를 체크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대상물 마커가 표시되고 그 상태에서 대상물 마커를 선택하였을 경우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 창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기가 수평으로 눕혀졌을 경우 나침반을 이용한 방향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LBS 표시모드에서는 대상물 마커를 선택하였을 경우 팝업창을 통해 해당 대상물의 상세정보가 제공되며, 아울러 해당 대상물에 대해 상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조회모드, 당해연도 소방검사 일정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검사일정모드, 및 대상물에 있는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도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 메뉴바가 팝업창의 화면 하단에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LBS 표시모드 상에서 도면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도면 모드 표시화면에서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동별 및 각 층별로 각각 구분되는 도면을 선택할 수 있는 도면 선택화면이 제공되며, 이때 표시되는 각각의 도면은 줌인/아웃,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이들 도면 표시화면에서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도면상에 다양한 소방 시설물에 대한 배치정보 및 그 부가정보를 추가 및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시설물은 마커 형태로 제공되어 마커 선택시 각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상세정보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2D 표시모드에서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를 이용한 줌인/아웃, 반경(m) 및 주용도 카테고리의 변경 및 검색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이 제공되고, 정보조회모드, 검사일정모드, 도면정보 모드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메뉴바가 표시화면상의 일측에 함께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AR 표시모드에서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며, 인식된 대상물을 선택하는 경우 건물개황, 동 현황, 층 현황, 점검 이력 정보가 평면 또는 큐브 형태의 정보박스로 제공된다. 이러한 AR 표시모드는 인식된 대상물이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건물일 경우 각 층별 해당 시설물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3D 형태로 증강되어 표시되고, 그 증강된 대상물에 대한 좌우 회전모드가 지원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검색모드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의 거리별 검색 범위를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반경 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소방 대상물에 대한 카테고리의 검색 범위를 건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 근린생활, 복합건축물, 노유자 시설, 공장 그리고 기타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목록모드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 화면에 표출된 마커 목록을 표 형태로 제공하며, 멀티터치를 이용하여 썸네일 형태로 변경 후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도록 제공되고, 선택시 상세정보 기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지도모드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용 2D 형태의 맵으로 제공되며, 대상물 위치를 2D 형태의 맵 상에 마커를 기반으로 표출하고, 마커 선택시 해당 소방점검 대상물의 상세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자료조회모드는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의 목록 전체를 검색할 수 있는 전체 조회모드가 제공되고, 도면 정보, 소방검사서, 검사일정, 미디어, 건물 동현황, 관계자, 경방계획, 소방시설 정비, 작성자, 건물 층현황, 건물 층설비, 건물 층시설 세부 항목이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마당모드는 도 1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방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컨텐츠는 멀티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줌인/아웃 가능한 소방관계법규, 소방검사서 작성요령, 소방검사 직무매뉴얼로서, 도 1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장 소방검사에 필요한 소방 관계 법규를 분류별로 제공하는 소방 관계법규 메뉴, 도 1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장 소방공무원이 수행하는 소방검사서에 대한 작성요령을 제공하는 소방검사서 작성요령메뉴, 도 1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검사에 대한 직무매뉴얼 전체를 제공하는 소방검사 직무 매뉴얼 메뉴가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 마당을 통해 제공되는 소방 관계 법규 및 직무 매뉴얼 등을 이용하는 경우 현장에서 소방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관련 법규 및 직무 매뉴얼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소방 점검 업무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일정모드는 도 1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 공무원이 관할하는 소방 대상물들의 당해연도 주요 검사일정을 달력 형태로 제공하며, 일정 선택을 위한 상세정보가 제공되되, 도 1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러 소방공무원의 소방검사 일정을 달력 형태로 제공하는 일정검색 메뉴, 이전달의 소방 검사일정을 검색할 수 있는 이전달 검색메뉴, 해당년도 및 월을 선택창을 통해 변경 가능한 월변경 메뉴, 다음달의 소방 검사일정을 검색할 수 있는 다음달 검색메뉴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표시된 일정을 선택하였을 경우 도 1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일자에 등록되어 있는 대상목록을 보여주고, 대상목록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세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일정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현장에서 소방점검을 위한 일정 선택을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므로, 소방 시설 점검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자료조회모드에서의 소방점검 대상물 목록은 도 1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소방 공무원이 소속된 지역의 대상물 목록으로 제공하며, 대상물을 조건에 따라 검색할 수 있는 검색분류 조건 선택창이 제공된다. 이때 검색분류 조건 선택시 도 1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체, 대상물명, 주소, 반경(m) 및 주용도를 조건으로 검색 가능한 메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상세정보는 도 17c 및 도 17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검사시 주로 이용하는 기능(검사서, 미디어, 검사일정)이 빠른 메뉴로 제공되며, 선택한 대상물에 대한 다양한 부가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부가정보 검색 메뉴, 도면정보, 소방검사서, 검사일정, 미디어, 건물 동현황, 관계자 정보로의 즉시 이동이 가능한 바로가기 메뉴, 및 주변 대상물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뷰 플립 메뉴가 제공된다. 이러한 소방점검 대상물 목록을 이용하는 경우 소방 공무원은 현위치에서 그 주변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대상물로의 이동시간을 줄여 대상물 사이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소방 공무원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방 설비의 점검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자료조회모드에서의 도면정보 목록은, 도면정보 바로가기 메뉴가 선택되면 도면이 있을 경우 도 1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층별 도면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목록으로 제공되고, 각 층별 도면 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도 1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층의 도면 상세정보와 함께 도면 이미지가 표출되고, 층시설 버튼으로 세부 시설물 정보가 제공되며, 터치를 통한 원본 이미지의 확인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도면 정보 목록을 이용하는 경우 현장에서 소방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해 동간 또는 층간 이동하는 소방 공무원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방 설비의 점검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자료조회모드에서의 소방 검사서 목록은, 소방점검 대상물에서 소방검사서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도 1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서면으로 작성중인 소방검사서 양식과 동일한 양식의 소방검사서를 작성할 수 있는 메뉴로 제공된다. 이때 소방 검사서는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가지 탭으로 구성되는 순차적인 입력 절차에 따라 필수정보(점검결과와 관계인)와 서명의 입력에 의해 작성 완료되어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계자료를 입력 가능하도록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방 검사서 목록을 이용하게 되면 현장에서 근무하는 소방 공무원 등은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방 점검 대상물의 점검과 동시에 현장에서 즉시 소방 검사서의 작성이 가능하게 되므로, 현장과 사무실을 반복적으로 오가며 번거롭게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2D, LBS, 및 AR 표시모드에서 제공되는 자료조회모드에서의 미디어 목록은, 도 2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의 기 등록된 미디어 목록이 제공되며 검색 또는 입력 버튼의 선택을 통해 음성, 사진, 동영상의 신규 미디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목록 메뉴,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의 기 등록된 미디어의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조건 목록이 제공되며 설명에 따른 검색, 분류에 따른 검색, 및 등록 기간에 따른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검색 메뉴, 도 2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방점검 대상물의 점검내용이 담긴 미디어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미디어 종류 선택 목록이 제공되며 미디어의 종류를 음성, 사진, 동영상, 부가설명으로 구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입력메뉴가 제공된다. 이러한 미디어 목록을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는 음성, 사진, 동영상의 신규 미디어를 입력하거나 또는 기 등록된 미디어를 검색하거나 또는 기록 업무에 참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방 공무원용 또는 일반 사용자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소방시설이 있는 건물을 촬영하여 전송하게 되면, 관리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의 정보를 2D, LBS, A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시화면을 통해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시설에 대한 점검현황 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존 소방시설 점검 업무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며, 위험도가 높은 소방시설에 대해서는 소방시설의 점검상태 및 현황을 색상으로 표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점검 부재 또는 누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 11 : GPS 모듈
12 : 송수신모듈 13 : 카메라 모듈
14 : 디스플레이 모듈 20 : 네트워크
100 :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정보 송/수신부 130 : 대상물 식별부
140 : 트래킹 처리부 150 : 렌더링 처리부

Claims (13)

  1.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미리 설정된 또는 키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지정된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 대기하며, 인증 대기후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
    상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체크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현장의 촬영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기반정보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건물개황정보, 시설물정보,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는,
    GPS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현재 주소 정보를 검색하는 GPS 모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는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 관리시스템은,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2D, LBS, AR 데이터로 각각 저장하며, 사용자 등록 및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및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브라우져;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의 마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마커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트래킹 처리부;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커 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의 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시스템.
  6. (a) 관리 대상인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가상정보를 마커 정보 또는 위치 정보와 연관지어 저장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회원 등록 및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b) 애플리케이션 구동과 동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위치정보 및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단말기 위치정보 및 이미지를 기준으로 소방점검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현장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데이터베이스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에 대한 마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마커로부터 상기 소방점검 대상물의 종류 및 상기 마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c2) 상기 판독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c3)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상기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를 반영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4)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상기 독출된 소방점검 대상물의 가상정보로부터 점검현황 및 이력정보를 체크하여, 점검 부재로 인한 위험도가 포함된 대상물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색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점검 대상물 정보는,
    2D(2차원) 평면상에서 주변 소방점검 대상물의 위치를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2D 표시모드;
    AR(증강현실) 및 LBS(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의 위치를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LBS 표시모드; 및
    AR(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소방점검 대상물을 인식하고 표시하는 AR 표시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시모드를 통해 제공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BS 표시모드는,
    대상물 마커를 선택하였을 경우 팝업창을 통해 상세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대상물에 대해 상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조회모드, 당해연도 소방검사 일정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검사일정모드, 및 대상물에 있는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이동 가능한 도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 메뉴바와 함께 제공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모드는,
    각 층별 도면으로 구분하여 제공되며, 각각의 도면은 줌인/아웃,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각 도면상에는 다양한 소방 시설물에 대한 배치정보 및 그 부가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시설물은 마커 형태로 제공되어 마커 선택시 상세정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R 모드는,
    소방점검 대상물과 그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며, 인식된 대상물을 선택하는 경우 건물개황, 동 현황, 층 현황, 점검 이력 정보를 평면 또는 큐브 형태의 정보박스로 제공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R 모드는,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건물일 경우 해당 시설물을 3D 형태로 증강하여 표시하고, 그 증강된 대상물에 대한 좌우 회전모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처리방법.
KR1020120056755A 2012-05-29 2012-05-29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55A KR101409964B1 (ko) 2012-05-29 2012-05-29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55A KR101409964B1 (ko) 2012-05-29 2012-05-29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78A true KR20130133478A (ko) 2013-12-09
KR101409964B1 KR101409964B1 (ko) 2014-06-20

Family

ID=4998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755A KR101409964B1 (ko) 2012-05-29 2012-05-29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964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70B1 (ko) * 2015-02-25 2016-08-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내진설계 여부 확인 방법
KR101656499B1 (ko) * 2015-11-30 2016-09-22 한동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949934B1 (ko) * 2017-11-30 2019-02-19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증강현실 이미지를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5300A (ko) * 2018-07-06 2020-01-15 김영대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KR20200072972A (ko) * 2018-12-13 2020-06-23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20205968A1 (en) * 2019-04-01 2020-10-08 Fire Solutions Group Providing a simulation of fire protection features and hazards to aid the fire industry
CN111937051A (zh) * 2018-06-15 2020-11-13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KR102203173B1 (ko) * 2019-11-22 2021-01-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10059443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테스앤테스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KR102383777B1 (ko) * 2020-10-27 2022-04-07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308773B2 (en) 2017-11-16 2022-04-19 Carrier Corporation Virtual assistant based emergency evacuation guiding system
KR20220063049A (ko) * 2020-11-09 2022-05-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r기술을 활용한 소방안전 점검 교육 시스템
KR20220130489A (ko) * 2021-03-18 2022-09-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102538056B1 (ko)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WO202318261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소방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7129B2 (en) * 2015-09-24 2019-05-21 Tyco Fire & Security Gmbh Fire/security service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KR101879252B1 (ko) * 2016-08-03 2018-07-17 우희석 소방관리통합시스템
WO2020131185A2 (en) 2018-09-26 2020-06-25 Dvorchak Enterprises Llc One component uv cur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200410764A1 (en) * 2019-06-28 2020-12-31 Snap Inc. Real-time augmented-reality costuming
KR102378997B1 (ko) 2020-08-11 2022-03-24 나기성 시설 감리ㆍ점검 보고 시스템
WO2024106599A1 (ko) * 2022-11-15 2024-05-23 주식회사정평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76B1 (ko) * 2009-06-29 2011-07-01 주식회사 아이디폰 휴대단말을 이용한 현장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3333B1 (ko) * 2010-05-27 2012-01-11 한창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상교통정보 제공방법
KR101135774B1 (ko) * 2010-09-29 2012-04-16 한국전력공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력량계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70B1 (ko) * 2015-02-25 2016-08-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내진설계 여부 확인 방법
KR101656499B1 (ko) * 2015-11-30 2016-09-22 한동현 시설물 관리 시스템
US11308773B2 (en) 2017-11-16 2022-04-19 Carrier Corporation Virtual assistant based emergency evacuation guiding system
KR101949934B1 (ko) * 2017-11-30 2019-02-19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증강현실 이미지를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1937051A (zh) * 2018-06-15 2020-11-13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US11593999B2 (en) 2018-06-15 2023-02-28 Google Llc Smart-home device placement and installation using augmented-reality visualizations
KR20200005300A (ko) * 2018-07-06 2020-01-15 김영대 현장 동영상 기반의 건물 소방안전관리 통제 방법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2972A (ko) * 2018-12-13 2020-06-23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20205968A1 (en) * 2019-04-01 2020-10-08 Fire Solutions Group Providing a simulation of fire protection features and hazards to aid the fire industry
KR20210059443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테스앤테스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KR102203173B1 (ko) * 2019-11-22 2021-01-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83777B1 (ko) * 2020-10-27 2022-04-07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63049A (ko) * 2020-11-09 2022-05-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r기술을 활용한 소방안전 점검 교육 시스템
KR20220130489A (ko) * 2021-03-18 2022-09-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102538056B1 (ko)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WO202318261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소방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964B1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964B1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ES2705848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proporcionar recursos de emergencia
US7634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WO2017072923A1 (ja) デジタルセフテイ・サポート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8972B1 (ko)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42338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WO2018067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graphical objects
US20160187310A1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KR10224576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67197B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0301B2 (ja) 防災支援システム
KR102159966B1 (ko) 스마트 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소화기 관리시스템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WO2020174634A1 (ja) デジタルアキュレ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2964A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7174252A (ja) 防災支援システム
KR101515434B1 (ko) 재난 신고 시스템
CN103345722A (zh) 一种消防地理信息系统及其实现方法
KR20200112560A (ko) 현장 통합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9203B1 (ko)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JP6796000B2 (ja) 監視支援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20160099932A (ko)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Li Intelligent Science Empowers: Building Fire Pro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