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648B1 -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648B1
KR102231648B1 KR1020190151474A KR20190151474A KR102231648B1 KR 102231648 B1 KR102231648 B1 KR 102231648B1 KR 1020190151474 A KR1020190151474 A KR 1020190151474A KR 20190151474 A KR20190151474 A KR 20190151474A KR 102231648 B1 KR102231648 B1 KR 10223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firefighting
facility
firefighting facil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김예지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FIRE FIGHTING FACILITY}
본 발명은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로부터 소방 점검 적합여부를 판단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소방안전관리법에 따르면, 소방시설 점검은 소방시설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가 소방시설에 대해 정기적으로 자체 점검을 실시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점검하도록 하여 점검 결과를 관할 소방서에 보고하도록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소방 점검 결과는 사고 예방 대책을 수립하거나, 소방시설 관리사의 기술 인력을 등급화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 점검은, 소방 점검 요원들에 의하여 수기로 작성된 소방 점검 일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어 인력 및 시간 낭비가 막대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078758호(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서는 소방설비에 태그를 부착하여 상술한 태그와 안전점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안전점검 단말기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소방 점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에만 집중되어 있어, 소방 점검 수행에 따른 사후 조치 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소방시설의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는, 화재 사고 발생 시, 소방시설 미작동에 의하여 그 피해 규모가 대형화됨으로써, 심각한 2차 피해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즉각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은,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소방시설이 소방 점검에 대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방시설 관리 주체 단말에 부적합 요소에 따른 보수 정보를 제공하고, 기 설정된 조치 이행 기간 이내에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제공된 보수 정보에 따른 조치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모니터링 단계는,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조치 이행 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는, 점검 단말이 점검 주체 측에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로서 제공함에 따라서, 점검 주체로부터 소방시설에 대해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에 기반한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의 수행 전, 서버는, 소방시설의 기 설정된 점검 주기를 기초로, 점검 단말에 수집되어야 할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 생성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의 수행 후,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는,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모니터링부의 기능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술한 단계들은: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지에서도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즉각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명은 소방시설의 소방 점검 결과에 따른 보수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보수 정보에 대한 조치 결과를 관리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인 소방시설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방 점검을 수행하는 점검 단말이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서 구현하여 점검 주체 측에 점검 안내를 수행함에 따라서, 신뢰도 높은 점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을 기초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소방시설의 관리 취약점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함으로써, 소방 점검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중으로 하여금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된 점검 데이터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에 제공되는 보수 정보 및, 보수 정보 제공에 따라 관리 주체가 송신한 조치 결과 정보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 분석 하고, 사고 위험도 레벨 분석 결과에 따라 조치 이행 기간이 조정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 점검 이력에 따라 통계 데이터가 생성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즉각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목적을 갖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실시하기로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10 단계는, 상술한 점검 단말이 점검 주체 측에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로서 제공함에 따라서, 점검 주체로부터 소방시설에 대해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에 기반한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점검 단말은, 점검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소방시설의 객체 인식 수행이 완료될 시, 소방시설의 현실 객체 영상과, 이에 대응되어 해당 소방시설의 점검 프로세스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기 생성된 가상 객체 영상을 중첩하여 증강현실로서 점검 주체 측에 점검 프로세스를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소방시설의 객체 인식은, 점검 단말이 소방시설의 설치 현황 정보가 도시되어 있는 소방시설 도면을 수신한 후, 점검 단말에 구비된 GPS 모듈 및 지자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시설 도면에 대응되는 점검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파악하여, 파악된 실시간 위치 및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소방시설에 대한 가상 객체 영상을 매핑함으로써, 해당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 안내를 증강현실로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점검 단말이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술한 점검 단말은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방시설 도면 상의 소방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추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IC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실 객체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추출되는 특징점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로서, RGBD(RGB-Depth)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RGBD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RGBD 영상으로부터 상대 거리를 획득하여, 획득된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상대 거리로부터 소방시설 도면을 기초로, 소방시설물의 실내 위치를 추정하여, 소방시설물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S10 단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방시설 도면 상의 소방시설의 설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이를 기초로 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게 됨에 따라서, 더욱 신뢰도 높은 점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전, 서버는 소방시설마다 설정되어 있는 점검 주기를 기초로, 상술한 점검 단말에 수집되어야 할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 생성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비상경보설비에 대한 소방 점검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술한 점검 단말에 "비상경보설비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요청 메시지에는 점검 수행 기간에 대한 일자 정보가 더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이에 따라서, 점검 단말을 이용하는 점검 주체는, 일일이 점검 대상 소방시설의 항목을 살펴보지 않더라도 상술한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방 점검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소방 점검에 대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S10 단계에서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에 대한 비교 기준이 되는 상술한 화재 안전 관리 기준은, 소방 기본법 및,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 관리에 대한 법률에서 정한 기준이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100에서는 수집된 점검 데이터에 소방 점검 적합 여부가 수행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시설에는 적합 혹은 부적합으로 소방 점검 결과가 모니터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각각의 점검 항목에 대하여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점검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결과, 소방시설이 상술한 화재 안전 관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부적합한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단말에는, 부적합 요소에 따른 보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보수 정보에는, 부적합 요소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치 이행 기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조치 이행 기간은, 부적합 요소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가 관할 기관 단말로 제출되는 시점에 대한 임계 기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조치 이행 기간 이내에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조치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에 제공되는 보수 정보 및, 보수 정보 제공에 따라 관리 주체가 송신한 조치 결과 정보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에서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측으로 제공된 보수 정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적합 판정된 소방시설이 피난설비의 유도등이라고 가정해 볼 때, 부적합 판정된 소방시설의 이미지 정보와 함께, 부적합 요소의 상세 근거(유도등 파손 및 비정상 점등)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보수 정보에는, 부적합 판정 소방시설에 대한 사후 조치에 대한 안내 정보(유도등 교체 권고)를 보수 정보를 관리 주체 단말에 더 제공함에 따라서, 관리 주체의 보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의 210에서는, 보수 정보를 제공받은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보수 작업이 완료됨을 증빙하기 위한 조치 결과 정보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210은, 200의 보수 정보에 대응하여, 조치 내역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로서 수신하여 조치 내역을 원격지에서도 면밀히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조치 결과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보수 정보 제공 및 조치 결과 정보 수신에 의하여, 소방점검 활동 관리는 물론이고, 소방 점검 결과에 따른 사후 조치 결과를 관리하여 체계적인 소방시설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보수 정보에 포함되는 조치 이행 기간은,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을 분석하여, 분석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사고 위험도 레벨은,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시에 부적합 요소에 의한 사고 피해 규모를 예측한 값에 따라 설정되는 값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 분석 하고, 사고 위험도 레벨 분석 결과에 따라 조치 이행 기간이 조정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300 및 310을 참조하면, 부적합 판정 소방시설에 따라 예측된 사고 위험도 레벨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조치 이행 기간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00에 도시된 피난기구의 부착 방법 불량에 대해서는, 조치 이행 기간이 소방점검 수행일로부터 10일로 설정된 것에 비하여, 310의 감지기 작동 불량에 대해서는 조치 이행 기간이 소방점검 수행일로부터 3일로 설정되어 비교적 짧은 조치 이행 기간이 주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는 각각의 소방시설에 예측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비교적 사고 위험도가 낮은 소방시설에는 상대적으로 긴 조치 이행 기간이 설정되고, 사고 위험도가 높은 소방시설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조치 이행 기간이 설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소방 점검 부적합 판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신속한 보수를 도모하면서도, 조치 이행 기간에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소방 점검에 대한 실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S20 단계에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 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상술한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관할 기관 단말은 관할 소방서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3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소방시설 점검에 대한 대한 객관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통계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테이블, 피벗 테이블 및, 그래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되어 소방시설의 점검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취약점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의 수행 후에는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는, 통계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저장된 통계 데이터를 언제든 이용 가능하도록 구축된 서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를 서비스 이용 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공공 클라우드 서버로 구축하여, 누구나 통계 데이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소방 점검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중으로 하여금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지에서도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즉각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명은 소방시설의 소방 점검 결과에 따른 보수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보수 정보에 대한 조치 결과를 관리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인 소방시설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방 점검을 수행하는 점검 단말이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서 구현하여 점검 주체 측에 점검 프로세스를 안내함에 따라서, 더욱 신뢰도 높은 점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을 기초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소방시설의 관리 취약점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함으로써, 소방 점검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중으로 하여금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10)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10)는, 점검 데이터 수집부(11), 모니터링부(12) 및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점검 데이터 수집부(11)는, 점검 단말(20)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점검 데이터는, 점검 주체가,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서 안내하는 증강 단말을 기초로, 소방시설에 소방 점검을 수행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점검 단말(20) 및 관할 기관 단말(30)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점검 데이터 수집부(11)는, 앞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로 구현된 점검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소방시설에 수행된 점검 데이터가 수집됨으로써, 신뢰도 높은 점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모니터링부(12)는, 상술한 점검 데이터 수집부(11)에 의해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모니터링부(12)는, 모니터링 수행 결과에 따라 부적합 판단된 소방시설에 대한 보수 정보를 해당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측에 제공하여, 보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상술한 모니터링부(12)는, 관리 주체 측에 제공된 보수 정보에 따른 조치 결과 정보를 기 설정된 조치 이행 기간 내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부적합 판단된 소방시설에 대한 즉각적인 사후 조치가 수행되도록 관리되도록 기능하게 됨으로써,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술한 모니터링부(12)는, 앞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모니터링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체계적인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가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13)는, 모니터링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30), 예를 들어 관할 소방서 단말에 송신하되, 상술한 결과 데이터를 관할 기관 단말(30)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40)에 갱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13)는 앞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소방시설 점검에 대한 대한 객관적 데이터베이스(40)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10)는, 통계 데이터 생성부 및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통계 데이터 생성부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40)에 누적된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통계 데이터 생성부는,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통계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취약점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공유부는, 통계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공유부는 앞서 도 1의 공유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통계부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게 됨으로써, 소방 점검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중으로 하여금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점검 단말에서 수행된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즉각적인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소방시설의 관리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명은 소방시설의 소방 점검 결과에 따른 보수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보수 정보에 대한 조치 결과를 관리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인 소방시설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방 점검을 수행하는 점검 단말이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서 구현하여 점검 주체 측에 점검 안내를 수행함에 따라서, 신뢰도 높은 점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을 기초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소방시설의 관리 취약점을 도출하여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함으로써, 소방 점검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중으로 하여금 소방시설의 안전 관리 의식을 고취시키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소방시설이 상기 소방 점검에 대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단말에 부적합 요소에 따른 보수 정보를 상기부적합 요소의 상세 근거 및 사후 조치 안내 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조치 이행 기간 이내에 상기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제공된 보수 정보에 따른 조치 결과 정보를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로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상기 조치 이행 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는,
    상기 점검 단말이 점검 주체 측에 상기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로서 제공함에 따라서, 상기 점검 주체로부터 상기 소방시설에 대해 상기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에 기반한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점검 단말이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ICP 알고리즘 기반으로 소방시설 도면 상의 소방시설의 설치 위치를 추정하여 추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되,
    현실 객체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추출되는 특징점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로서 RGBD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RGBD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RGBD 영상으로부터 상대 거리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획득된 상대 거리로부터 소방시설의 실내 위치를 추정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의 수행 전,
    서버는, 상기 소방시설의 기 설정된 점검 주기를 기초로, 소방 점검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점검 단말에 수집되어야 할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 생성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점검 수행 기간에 대한 일자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서비스 이용 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공공 클라우드 서버이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는 상기 누적된 소방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마다의 관리 취약점이 도출되어 있고,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소방시설의 조치 현황에 대한 누적 결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의 기능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의 수행 결과,
    상기 소방시설이 상기 소방 점검에 대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단말에 부적합 요소에 따른 보수 정보를 상기부적합 요소의 상세 근거 및 사후 조치 안내 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조치 이행 기간 이내에 상기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제공된 보수 정보에 따른 조치 결과 정보를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로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상기 조치 이행 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점검 단말이 점검 주체 측에 상기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로서 제공함에 따라서, 상기 점검 주체로부터 상기 소방시설에 대해 상기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에 기반한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점검 단말이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ICP 알고리즘 기반으로 소방시설 도면 상의 소방시설의 설치 위치를 추정하여 추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되,
    현실 객체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추출되는 특징점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로서 RGBD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RGBD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RGBD 영상으로부터 상대 거리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획득된 상대 거리로부터 소방시설의 실내 위치를 추정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부의 기능 수행 전,
    서버는, 상기 소방시설의 기 설정된 점검 주기를 기초로, 소방 점검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점검 단말에 수집되어야 할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 생성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점검 수행 기간에 대한 일자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소방 점검 이력 갱신부의 기능 수행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부; 및,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서비스 이용 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공공 클라우드 서버이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는 상기 누적된 소방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마다의 관리 취약점이 도출되어 있고,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소방시설의 조치 현황에 대한 누적 결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장치.
  8.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점검 단말로부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는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점검 데이터를 소방시설별 화재 안전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소방 점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방 점검이 수행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관할 기관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할 기관 단말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소방시설에 대한 소방 점검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소방시설이 상기 소방 점검에 대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소방시설의 관리 주체 단말에 부적합 요소에 따른 보수 정보를 상기부적합 요소의 상세 근거 및 사후 조치 안내 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조치 이행 기간 이내에 상기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 제공된 보수 정보에 따른 조치 결과 정보를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로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소방 점검 이력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소방시설의 부적합 요소에 대한 사고 위험도 레벨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고 위험도 레벨에 따라 상기 조치 이행 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정되도록 하되,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는,
    상기 점검 단말이 점검 주체 측에 상기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로서 제공함에 따라서, 상기 점검 주체로부터 상기 소방시설에 대해 상기 증강현실 형태의 안내 정보에 기반한 소방 점검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점검 단말이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ICP 알고리즘 기반으로 소방시설 도면 상의 소방시설의 설치 위치를 추정하여 추정된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되,
    현실 객체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추출되는 특징점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로서 RGBD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RGBD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RGBD 영상으로부터 상대 거리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점검 단말의 이동 거리 및 획득된 상대 거리로부터 소방시설의 실내 위치를 추정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점검 프로세스를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점검 데이터 수집 단계의 수행 전,
    서버는, 상기 소방시설의 기 설정된 점검 주기를 기초로, 소방 점검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점검 단말에 수집되어야 할 소방시설의 점검 데이터 생성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점검 수행 기간에 대한 일자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소방 점검 이력 갱신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소방 점검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의 설치 대상, 소방시설 종류, 소방시설의 사용 연수 및, 소방 점검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공유하는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서비스 이용 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공공 클라우드 서버이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는 상기 누적된 소방 이력 정보를 기초로 소방시설마다의 관리 취약점이 도출되어 있고,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소방시설의 조치 현황에 대한 누적 결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151474A 2019-11-22 2019-11-22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3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4A KR102231648B1 (ko) 2019-11-22 2019-11-22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4A KR102231648B1 (ko) 2019-11-22 2019-11-22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648B1 true KR102231648B1 (ko) 2021-03-25

Family

ID=7522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74A KR102231648B1 (ko) 2019-11-22 2019-11-22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17B1 (ko) * 2022-11-16 2023-08-29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KR102647789B1 (ko) * 2023-04-04 2024-03-13 정주영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830A (ko) * 2008-12-02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기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1972957B1 (ko) * 2018-11-21 2019-08-2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830A (ko) * 2008-12-02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기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1972957B1 (ko) * 2018-11-21 2019-08-2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17B1 (ko) * 2022-11-16 2023-08-29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WO2024106736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KR102647789B1 (ko) * 2023-04-04 2024-03-13 정주영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7722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alarms
US20170364818A1 (en) Automatic condition monitoring and anomaly detection for predictive maintenance
CN110163485A (zh) 一种机房巡检系统
JP2021121956A (ja) 故障予測方法、装置、電子設備、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09583711B (zh) 一种安全风险评估全过程管理系统
US20210406764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field device
KR101094195B1 (ko)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EP3627264B1 (en) Plant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essment method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30509B1 (ko) 화재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는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475758B2 (en) Monitoring control panels of a fire control system
CN215376365U (zh) 一种基于bim的楼宇管理系统
CN114398354A (zh) 数据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65906A (ko) 수배전반 원격감시 및 고장예보 관리 시스템
CN11423833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07626A (ko) 위해도 평가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807228A (zh) 停车事件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3017715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machine learning-based observation level measurement using server system log and performing risk calculation using the same
CN114553725B (zh) 一种机房监控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90660B (zh) 石油化工灭火救援辅助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
Artemyev et al. Probabilistic methods and technologies of risks prediction and rationale of preventive measures by using “smart systems”. Applications to coal branch for increasing Industrial safety of enterprises
KR102046072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 위험도 진단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