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217B1 -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17B1
KR102571217B1 KR1020220153155A KR20220153155A KR102571217B1 KR 102571217 B1 KR102571217 B1 KR 102571217B1 KR 1020220153155 A KR1020220153155 A KR 1020220153155A KR 20220153155 A KR20220153155 A KR 20220153155A KR 102571217 B1 KR102571217 B1 KR 10257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erminal
clue
information
exp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15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을 수집하는 3D 영상부와;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앱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와; 상기 3D 영상부,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스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감식자 단말기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과 상기 정보들을 상기 앱에 표시한 후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사건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사건 분석 시스템은 사건 감식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의 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현장 조사관의 경험과 자문위원의 전문지식이 더해져 사건 분석에 대한 공신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Incident analysis system using metaverse in which incident site status information is recorded}
본 발명은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교통사고, 강력범죄와 같은 사건을 분석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들 사건 중 특히, 화재 사건에 대해 살펴보면, 화재조사는 화재 원인 및 화재 또는 소화로 인해 생긴 피해에 대한 조사활동으로써 일반적으로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 2가지로 나누어진다.
화재원인조사는 화재에 의한 피해를 알리고 유사화재 방지와 피해의 경감에 도움을 주고, 발화원인을 규명하고 화재예방대책상 자료, 연소확대 및 원인을 규명하여 화재 예방 및 진압대책상 자료, 사상자 발생원인과 방화관리상황을 규명하여 화재 예방 및 진압대책상 자료, 화재 발생상황, 원인, 손해상황 등을 통계화하여 소방 정보를 수집하고 행정시책 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재는 법률관계를 수반하는 사건이며 그 실황식별행위는 사법적 관점에 입각한 증거보전행위로 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원인조사가 이루어진다.
화재원인조사는 단순히 발화원을 밝혀내는 것이 아니다. 화재를 발생시킨 원인부터 시작, 화재진압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밝히고 출화원인 및 연소확대요인, 사상자 발생 원인 등을 규명하는 것이다.
"출화원인조사"는 출화건물·부위를 판정하며 출화부위에 존재했던 발화원을 규명, 어떤 경로로 착화하였는가 하는 화재발생 과정을 과학적으로 입증한다.
"연소확대의 원인조사"는 출화부터 시작하여 성장과정, 수평·수직 방향으로의 연소확대를 가능케 한 방화문, 내장재 등을 포함한 건축구조, 방화관리, 지리적 요건 등 인적·물적·자연적 조건을 밝혀내는 것이다.
"사상자 발생원인의 조사"는 건축재료, 피난 방법 등 물적·인적 환경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으로 사상자 발생이 출화원인, 연소확대의 원인과 관련된다.
화재피해조사는 화재 발생 장소의 손실정도를 정확히 조사평가하고 금액으로 환산하여 화재로 인한 손실 정도를 일별, 월별, 연간 및 지난 기간과의 대비 등을 통해 지방 및 국가적인 경제손실을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화재피해 정도를 국민들에게 불조심 등과 같은 홍보를 통해 유사화재 방지와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화재조사체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면 소방기본법 제29조에서 정하는 바에 의해 소방관서장은 화재가 발생한 때에는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해서 조사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조사의 방법 및 전담부서의 설치·운영 등 필요한 사항을 소방기본법시행규칙 제11조 및 제12조에서 정하고 있다. 그리고 관계 장소에 출입·조사할 수 있도록 소방기본법 제30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경찰 및 관계보험회사와도 협력도 소방법 제32조 및 제33조에 규정되어 있다.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2장을 보면 '조사업무의 체계'를 조사책임, 조사전담부서의 설치, 조사본부의 설치운영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법령 및 규정을 통해 화재조사체계의 개념을 정리하자면, "화재조사체계"란『화재발생시 화재원인과 피해를 과학적으로 신속·정확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 인력·장비·자원 등 모든 요소를 화재현장에 출동시켜 조사하도록 하는 일련의 조사활동과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활용이 과학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연계된 조직체계』라고 할 수 있다.
화재조사체계의 구성요소는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의 관계인, 목격자 및 증거물, 화재조사관 및 조사자, 화재조사장비, 화재조사 관련기관 등 소방관서에서 화재조사시 필요한 모든 것들이라 할 수 있다. 그 주요 구성요소로는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 관계인 및 화재조사 관계지역, 목격자 및 증거물, 화재 조사관 및 조사자, 화재조사장비, 화재조사 관련기관이 있다.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 관계인 및 화재조사 관계지역은 소방기본법 제2조(정의)에 의하면 "소방대상물"이라 함은 건축물, 차량, 선박(선박법 제1조의2의 규정에 따른 선박으로서 항구안에 매어둔 선박에 한함), 선박건조구조물, 산림 그 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을 말하며, "관계인" 이라 함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관리자·점유자를 말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 관계인"이라 함은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의 소유자·관리자·점유자와 화재 발견자, 통보자, 초기 소화자, 방·실화자 및 기타 조사 참고인』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 원인 및 피해 등을 조사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요구하고 질문을 하는데 필요한 사람들이다. "화재조사 관계지역"이라 함은 소방기본법 제2조(정의)의 "관계지역"과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2조에 있는 용어의 정의와 연관지어 볼 때 『화재가 발생한 장소 및 그 이웃 지역으로서 화재조사에 필요한 지역. 즉, 발화지점, 발화장소, 화재현장, 방·실화자가 있는 장소 등』이라 정리할 수 있다.
목격자 및 증거물은 화재조사체계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목격자와 증거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재발생 당시 최초 목격자는 화재원인조사의 열쇠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재현장에 도착 즉시 최초 목격자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증거물 또한 화재 발생 원인을 증명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목격자로부터의 진술을 들었어도 그 진술을 토대로 한 증거물이 확보되지 않으면 원인을 단정짓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증거물은 최초 화재를 일으킨 것인 최초 착화물, 발화관련기기, 동력원, 연소확대물뿐 아니라 CCTV 등 화재원인을 밝히는데 증거로 채택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화재조사관 및 조사자는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2조(정의)에 정하고 있는 바를 보면 "조사관"이라 함은 화재조사업무를 총괄하는 간부급 소방공무원을 말하며, "조사자"라 함은 화재조사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을 말한다. 화재조사관 및 조사자는 화재조사를 함에 있어 주체라고 할 수 있다.
화재조사장비는 화재조사를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래서 소방기본법시행규칙 제12조제4항 별표 6에 규정, 화재조사전담부서에 갖추어야 할 장비를 70종으로 구분, 이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다.
화재조사 관련기관은 소방기본법 제32조 및 제33조에 규정되어 있다. 주로 경찰과 보험회사를 지칭하며 이들과의 협력을 규정하고 있다. 이외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도 화재조사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기관들인데 이러한 기관들 역시 화재조사 관련기관으로 볼 수 있다.
아래의 표1과 같이 지난 날의 화재발생 현황을 보면 재산피해는 점점 증가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고, 화재건수와 인명피해 역시 일정 범위내에서 지속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007년 이후 국가화재분류체계 혁신안이 시행되면서 이전에 재산피해가 없는 경우 건수에 포함되지 않았던 화재들이 포함되고 통계분석이 체계화됨에 따라 이전 통계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
<표1> 화재발생 현황(1996 ~ 2015)
<표2> 발화요인별 화재발생 현황(2011 ~ 2015)
발화요인별로 화재발생 현황을 보면 부주의가 평균 47.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전기적요인이 23.6%로 그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원인 미상으로 밝혀내지 못한 비율이 9.6%로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화재 감식이 현장에서 화재가 일어난 후 결과물을 보고 추적, 유추해야 하는 분야이기에 밝혀내기가 쉽지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원인 미상으로 밝혀내지 못한 비율을 낮출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1923호(공개일자 2006년01월06일) 등록특허공보 제10-0361595호(공고일자 2002년11월1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교통사고, 강력범죄와 같은 사건 현장의 상태 정보인 현장 영상, 3D 스캔 영상, 상기 영상들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는 사실관계 코멘트, 단서, 증언 등을 이용하여 메타버스에서 다수의 전문가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사건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은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을 수집하는 3D 영상부;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앱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 상기 3D 영상부,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스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감식자 단말기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과 상기 정보들을 상기 앱에 표시한 후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사건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감식자 단말기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서수집부; 상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상기 스캔 영상에 표시하는 단서표시부; 상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에 표시하는 전문가 의견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문가 의견은 복수의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의견일 수 있다.
상기 3D 영상부는 레이저 스캔방식으로 수집한 스캔 영상과, 광적외선 3D 센서 스캔방식으로 수집한 스캔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사건 분석 시스템은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은 범죄 또는 화재 사각지대를 최우선으로 포함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서버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영역에 배치되는 사물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서버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역과 대응되게 스캔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과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에서 각 영역에 배치된 사물과 잔해물의 비교 영상을 감식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서 메모 정보는 증인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물건의 배치 정보, 사건 현장에 있었던 인원수, 각 인원의 인적사항, 각 인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서 메모 정보는 특정시간의 전자기기 작동여부, 체액, 유전자 감식, 혈흔 반응 위치, 감식자가 사건 현장에서 획득한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사건 발견 시점을 기준으로 한 특정 시점의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서 메모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요기관(소방청, 소방본부, 소방관서, 보험사 등)의 고정 보고서와 동일한 양식, 또는 상이한 양식으로 시스템에 감식결과보고를 입력하고 등록할 수 있도록 단서 메모 기록부와는 별도로 보고서 기록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식활동 전주기에 타기관의 전문가들이 전문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수평적인 참여가 가능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결과 도출의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물의 특정 지점을 좌표로 변환하고 해당 지점에 감식의견을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감식의견에 다른 사용자의 의견이 댓글 형태로 달리고 추천을 받아 감식의견에 대한 신뢰성 및 최종의사결정지원의 보조적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건 감식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의 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현장 조사관의 경험과 자문위원의 전문지식이 더해져 사건 분석에 대한 공신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의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건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3D 영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건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건 분석 시스템의 분석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재, 교통사고, 강력범죄와 같은 사건 현장의 상태 정보인 현장 영상, 3D 스캔 영상, 상기 영상들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는 사실관계 코멘트, 단서, 증언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전문가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사건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하, 사건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화재 현장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건 분석 시스템은 3D 영상부(10), 감식자 단말기(20), 전문가 단말기(40), 통신망(40) 및 서버(5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건 분석 시스템은 도 4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D 영상부(10)는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을 수집하는 구성으로, 도 3과 같이 레이저(11) 스캔방식과 광적외선 3D 센서(12) 스캔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11) 스캔방식은 긴 촬영시간(원 포인트 2 ~ 5분), 높은 정밀도 0.1mm ~ 2.0mm(10m 기준), 광범위한 스캔거리(130m ~ 300m), 실내외 모두 스캔이 가능한 특징이 있고, 광적외선 3D 센서(12) 스캔방식은 짧은 촬영시간(원 포인트 20초), 낮은 정밀도 300mm(3m 기준), 좁은 스캔거리(3m), 실내만 스캔 가능한 특징이 있어, 상호 장단점을 보완한다.
감식자 단말기(20)는 화재 조사관 및 화재 조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하고, 전문가 단말기(30)는 소방청, 소방연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에 소속된 화재 조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감식자 단말기(20)와 전문가 단말기(30)는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통신망(40)을 통해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감식자 단말기(20)와 전문가 단말기(30)는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앱' 또는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앱 또는 프로그램은 서버(50)에서 제공하는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받도록 감식자 단말기(20) 및 전문가 단말기(30)에 설치되거나, 웹기반 서비스로 제공된다.
앱 또는 프로그램은 3D 영상부(10)에서 수집한 스캔 영상을 감식자 단말기(20)와 전문가 단말기(30)에 보여줄 수 있고, 감식자 단말기(20)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여 스캔 영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기(30)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스캔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망(40)은 감식자 단말기(20), 전문가 단말기(30) 및 서버(5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2000)(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50)는 상기 통신망(40)과 연결되어 상기 스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감식자 단말기(20)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과 상기 정보들을 상기 앱에 표시한 후 전문가 단말기(30)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사건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서버(50)는 도 2와 같이 단서수집부(51), 단서표시부(52), 의견 표시부(53)를 포함한다. 단서수집부(51)는 상기 감식자 단말기(20)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한다. 단서표시부(52)는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스캔 영상에 표시한다. 의견 표시부(53)는 전문가 단말기(30)의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스캔 영상에 표시한다. 전문가 의견은 복수의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의견이고, 사건 분석 결과는 복수의 전문가 의견 중 공통되며 다수를 차지하는 의견일 수 있다.
단서 위치 정보는 주의 깊게 살펴볼 화재 단서가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는 화재 전의 집구조이고, 도 6은 화재 후의 집구조이다.
도 5와 같이 침실1(S1), 화장실(S2), 다이닝룸(S3), 거실(S4), 현관(S5), 침실2(S6), 침실3(S7) 등에 침대(101), 무드등(102), TV(103)가 배치된 상태에서, 화재 후 도 6과 같은 상태이면, 침실1(S1)의 침대(101)는 전소된 경우이므로, 단서 위치 정보는 침대의 위치에 부여된 P1의 표식일 수 있다. 또한 다이닝룸(S3)의 다이닝 탁자 전소된 경우는 다이닝 탁자 위치에 부여된 P2의 표식일 수 있다. 또한 거실(S4)의 소파, 카페트가 전소된 경우는 소파, 카페트가 있었던 위치에 부여된 P3의 표식일 수 있다. 또한 특이점이 있는 곳에 부여된 P4의 표식일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식에 참고할만한 곳에 부여된 P5,P7의 표식일 수 있다.
단서 메모 정보는 단서 위치 정보에 기록된 메모로서 화재 조사관 또는 화재 조사자가 화재 감식 시점에 알게된 사실을 기록한 정보이다. 도 7과 같이 P1은 '침대가 전소됨', '침실1(S1)의 화재감지기는 두번째로 작동됨', P2는 '다이닝 탁자 전소됨', P3는 '소파, 카페트 전소됨', '거실(S4)의 화재감지기가 첫번째로 작동됨', P4는 'TV 브라켓에 백화현상이 집중적으로 관찰됨', '퓨즈 상태 정상', P5는 '그을음이 북쪽 방향을 향함'이 기록되고, P6는 '그을음이 동쪽 방향을 향함', P7은 '물품 피해는 없고 그을음만 있음', '화재감지기가 작동되지 않음' 등의 기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서 메모 정보는 화재 감식 시점에 알게된 사실들이며, 그 밖에 증인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물건의 배치 정보, 증인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사건 현장에 있었던 인원수, 각 인원의 인적사항, 각 인원의 위치 정보, 특정시간의 전자기기 작동여부, 체액, 유전자 감식, 혈흔 반응 위치 정보, 감식자가 사건 현장에서 획득한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50)가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건 발견 시점을 기준으로 한 특정 시점의 날씨 정보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 및 사건 현장이 담긴 스캔 영상 등을 참고하여 화재 원인 및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를 분석하고 기록한다.
그리고 사건 분석 결과는 복수의 전문가들의 의견 중 공통되며 다수를 차지하는 의견으로 결정되어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사건 분석 시스템이 도 4와 같이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서버(50)는 관리자 단말기(70)로부터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은 범죄 또는 화재 사각지대를 최우선으로 포함하고, 관리자 단말기(7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배치되는 사물은 관리자 단말기(70)에 의해 기록된다. 또한 서버(50)는 상기 영역을 대응되는 스캔 영상에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과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에서 각 영역에 배치된 사물과 잔해물의 비교 영상을 감식자 단말기(20)와 전문가 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다.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은 특급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과, 1급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을 포함한다. 특급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은 50층 이상(지하층은 제외) 또는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아파트, 30층 이상(지하층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것(아파트 제외), 연면적이 20만제곱미터 이상(아파트 제외)인 것이고, 1급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은 특급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하고, 30층 이상(지하층 제외)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아파트, 연면적 1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 제외), 가연성 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취급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대상물은 사전 촬영하여 화재 예방, 현장 대응에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소방안전관리자가 판단하기에 화재 사각지대를 최우선으로 촬영하여 서버(5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된 영상은 서버(50)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마다 배치되는 사물을 기록한다. 기록된 자료는 화재 사건 발생시 현장대응 및 사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3D 영상부
11: 레이저
12: 광적외선 3D 센서
20: 감식자 단말기
30: 전문가 단말기
40: 통신망
50: 서버
51: 단서 수집부
52: 단서 표시부
53: 의견 표시부
7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3)

  1. 레이저 스캔방식과, 광적외선 3D 센서 스캔방식으로 화재 현장의 스캔 영상을 수집하는 3D 영상부;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앱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
    상기 3D 영상부, 감식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스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감식자 단말기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과 상기 정보들을 상기 앱에 표시한 후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사건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감식자 단말기로부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서수집부와, 상기 단서 위치 정보와 단서 메모 정보를 상기 스캔 영상에 표시하는 단서표시부와, 상기 전문가 의견을 수신하여 상기 스캔 영상에 표시하는 전문가 의견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서 메모 정보는 증인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물건의 배치 정보와, 사건 현장에 있었던 인원수, 각 인원의 인적사항, 각 인원의 위치 정보와, 특정시간의 전자기기 작동여부, 체액, 유전자 감식, 혈흔 반응 위치 정보와, 감식자가 사건 현장에서 획득한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사건 발견 시점을 기준으로 한 특정 시점의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서 메모 정보에 기록하며,
    상기 전문가 의견은 복수의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의견이며, 상기 사건 분석 결과는 복수의 전문가 의견 중 공통되며 다수를 차지하는 의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수신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은 범죄 또는 화재 사각지대를 최우선으로 포함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서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각 영역에 배치되는 사물을 기록하도록 사물 배치 기록부를 제공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역을 대응되는 스캔 영상에 중첩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1급 이상 소방 안전 관리 대상물의 영상과 사건 현장의 스캔 영상에서 각 영역에 배치된 사물과 잔해물의 비교 영상을 감식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건 분석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153155A 2022-11-16 2022-11-16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KR10257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155A KR102571217B1 (ko) 2022-11-16 2022-11-16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155A KR102571217B1 (ko) 2022-11-16 2022-11-16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217B1 true KR102571217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155A KR102571217B1 (ko) 2022-11-16 2022-11-16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595B1 (ko) 2000-04-29 2002-11-18 추연경 전기화재 감식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060001923A (ko) 2005-12-16 2006-01-06 김두현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JP2006092530A (ja) * 2004-08-26 2006-04-06 Ihc:Kk 認証システム
KR20160127526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55165A (ko) * 2018-11-02 2020-05-21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전문가 긴급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10086860A (ko) * 2019-12-31 2021-07-09 (주)익스트리플 스페셜 매핑 기능을 활용한 실시간 공간 스캔 및 3d공간 모델링을 통한 3차원 보건안전환경(hse) 점검관리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4020B1 (ko) * 2021-06-04 2022-02-17 대한민국 화재 현장 영상을 활용한 화재 분석 방법
KR102464640B1 (ko) *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595B1 (ko) 2000-04-29 2002-11-18 추연경 전기화재 감식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06092530A (ja) * 2004-08-26 2006-04-06 Ihc:Kk 認証システム
KR20060001923A (ko) 2005-12-16 2006-01-06 김두현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KR20160127526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55165A (ko) * 2018-11-02 2020-05-21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전문가 긴급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10086860A (ko) * 2019-12-31 2021-07-09 (주)익스트리플 스페셜 매핑 기능을 활용한 실시간 공간 스캔 및 3d공간 모델링을 통한 3차원 보건안전환경(hse) 점검관리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4020B1 (ko) * 2021-06-04 2022-02-17 대한민국 화재 현장 영상을 활용한 화재 분석 방법
KR102464640B1 (ko) *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1266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US7245223B2 (en) Anti terrorist and homeland security public safety warning system
US115797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data analysis and display
CN111612113A (zh) 防疫管控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以及处理器
US20060224797A1 (en) Command and Control Architecture
US2015010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arly status
Corcoran et al. Fire incidence in metropolitan areas: A comparative study of Brisbane (Australia) and Cardiff (United Kingdom)
Green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use of security technologies in US schools: a guide for schools and law enforcement agencies.
CN111563833A (zh) 一种智慧社区的云平台服务系统
Wells et al. Crime and CCTV in Australia: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Ratcliffe et al. A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study of violence and disorder impacts of urban CCTV camera clusters
Robin et al. How do close-circuit television cameras impact crimes and clearances? An evaluation of the Milwaukee police department’s public surveillance system
KR102571217B1 (ko)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US20080071392A1 (en) Building safety system and method
KR101936390B1 (ko) Cctv 기반의 트래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Gupta et al. CCTV as an efficient surveillance system? An assessment from 24 academic libraries of India
Newell et al. Video surveillance in public libraries: a case of unintended consequences?
Thornton et al. Distraction burglary amongst older adults and ethnic minority communities
Ways et al. Assessing the usefulness of CCTV in Baltimore City, Maryland
Jua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burglaries and urban environments in Taipei City: a data mining approach
Githimi et al. Private security services and crime control in Karen location, Nairobi County, Kenya
LaBerge et al. Police dispatch times: The effects of neighborhood structural disadvantage
Akpinar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ies in crime analysis and crime mapping
Balahadia et al. Development of Fire Report Management Portal with Mapping of Fire Hotspot, Data Mining, and Prescription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Ways A GIS Analysis of the Impact on Crime in Baltimore Resulting From CCTV Instal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