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923A -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923A
KR20060001923A KR1020050124404A KR20050124404A KR20060001923A KR 20060001923 A KR20060001923 A KR 20060001923A KR 1020050124404 A KR1020050124404 A KR 1020050124404A KR 20050124404 A KR20050124404 A KR 20050124404A KR 20060001923 A KR20060001923 A KR 20060001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use diagnosis
base
cause
r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현
김성철
이종호
Original Assignee
김두현
이종호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현, 이종호, 김성철 filed Critical 김두현
Priority to KR102005012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1923A/ko
Publication of KR200600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 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화재 원인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거나 전기화재감식에 대한 연구 및 전문가들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퍼지 로직를 적용한 규칙베이스와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징후들을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사례베이스를 통하여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시하여, 전기에 관한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쉽게 전기화재원인진단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요구수준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산화된 지능형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례베이스, 규칙베이스, 퍼지, 전기화재원인진단

Description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electrical fire cause diagnosis system combined case base and rule base using fuzzy logic}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하는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현장에 전기설비가 통전중이었나를 질문에 대한, 사용자는 화재현장을 파악하여 예/아니오를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규칙베이스 및 사례베이스 중 선택여부를 입력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화원을 선택하는 해당설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례베이스에 대한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규칙베이스에 대한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전기화재원인진단 분야에 있어 일선 소방서 및 유관기관에서 활용함으로써 원인진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력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며 부정확한 원인 진단으로 인한 시비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퍼지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과 사례베이스를 혼합하여 구현한다. 퍼지 로직을 적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하여 각 화재원인에 대한 지식과 규칙 및 유사한 과거 사례를 조회하여 원인의 진단에 활용한다.
종래에는 현재 전기화재사고의 조사는 감식, 감정을 위한 전문가의 부족으로 짧은 기간에 감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목격자의 진술과 조사자의 주관적 경험에 근거한 지식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정확한 화재원인의 판정이 애매한 경우에는 전기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전기화재라는 전재 하에서 단락이나 누전으로 인한 화재사건으로 종결처리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에 관한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쉽게 전기화재원인진단을 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던 전기화재원인진단법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요구수준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산화된 지능형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 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은 전기화재에 대한 기존의 통계, 전기화재조사기법, 화재발생종합보고서 등의 자료에서 원인진단에 필요한 항목들을 도출한 원인진단 분류체계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징후들을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사례베이스와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거나 전기화재감식에 대한 연구 및 전문가들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규칙베이스를 연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사례 베이스와 퍼지개념을 도입한 규칙베이스를 통합하여 주변환경 조건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용되어 전기화재원인진단에 과학적이고 적합한 추론을 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 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에 있어서 전기화재에 대한 기존의 통계, 전기화재조사기법, 화재발생종합보고서 등의 자료에서 원인진단에 필요한 항목들을 도출한 원인진단 분류체계를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연계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을 통해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징후들을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사례베이스와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거나 전기화재감식에 대한 연구 및 전문가들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규칙베이스를 연계하는 제 2 수단 ; 상기 제 2 수단의 사례 베이스와 퍼지개념을 도입한 규칙베이스를 통합하여 주변환경 조건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용되어 전기화재원인진단에 과학적이고 적합한 추론을 하는 제 3 수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 원인진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소방서의 화재발생종합보고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전기화재감식자료, 산자부의 전기통계자료등의 화재조사자료(100)와 사례베이스(101)는 새로운 화재원인과 일치하는 과거의 원인을 적용하거나 새로운 상황을 설명하는 사례로부터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 기존의 사례를 기반으로 진단하는 것으로 이를 전산화하기 위해 사례DB(103)을 구축하고 사례원인진단모듈(105)로 패턴 인식으로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시한다.
상기 퍼지개념을 도입한 규칙베이스는 주변환경 조건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용되어 추론 규칙(102)은 전문가의 지식과 관련문헌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규칙을 생성하는데 생성규칙은 " If 전건부 Then 후건부"의 형태로 기억되며 정성적인 언어로 표현된다. 또한 [표 1] 내지 [표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 관련문헌을 통하여 화재징후를 분류하여, 화재징후들을 퍼지추론(107)을 연계한 규칙베이스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이러한 규칙 조건들과 결과들은 각각 복수개의 퍼지 변수들로 적용시켜 퍼지함수로써 규칙원인진단모듈(106)을 적용한 것으로, 보통 여러 개의 입·출력 조건문들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 시스템의 전체 감식 과정은 다음과 같은 4단계로 분류하여 설명되어 진다.
첫 번째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화재현장에 전기설비가 통전중이었나를 질문에 대한, 사용자는 화재현장을 파악하여 예/아니오를 입력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도 3의 방법으로 전기화재원인감식에 있어서 화재현장의 적용을 하는 단계로 규칙베이스 및 사례베이스 중 두 경우에 대한 선택여부를 질문하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도 4의 방법으로 발화원을 선택하는 단계로 전기설비를 전기장치, 전열기기, 전기기기, 배선 및 배선기구로 분류하고 세부설비를 74가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중에서 해당설비를 선택하면 이 설비가 통전 중이었나를 예/아니오 를 입력을 하게 된다. "예"에 해당할 경우 해당설비에 대해 전기화재 원인진단을 실시하게 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다시 해당설비를 선정한다.
네번째 단계는 선택된 전기설비에 대해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시하는 단계로 사례베이스의 경우, 도 5의 입력화면에서 전기화재 징후들 중 발화원, 배선상태, 화재인자, 차단기 작동유무의 4가지 징후를 선택하여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규칙베이스로 리스트에 각각의 전기설비에 해당되는 전기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징후들을 나열하여 해당 징후들에 퍼지값을 부여하여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행하면 각각의 징후에 대한 화재가능성을 계산하여 전기화재원인과 가능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하기 [표1]은 규칙베이스의 화재징후와 소속함수를 나타낸다.
[표1]
Figure 112005514998409-PAT00001
하기 [표2]은 규칙베이스의 퍼지함수를 이용한 규칙원인진단을 나타낸다.
[표2]
Figure 112005514998409-PAT0000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기화재의 원인진단을 수행하는 일선 소방서 및 유관기관에서 활용함으로써 원인진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력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며 부정확한 원인진단으로 인한 시비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축적되어 있는 다양한 전기화재 통계자료 및 정확한 원인분석을 통하여 전기화재 통계 및 분석업무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정확한 기화재의 원인진단 및 합리적 대책의 수립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화재 발생건부 감소 및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컴퓨터를 이용하여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방법에 있어서, 전기화재에 대한 기존의 통계, 전기화재조사기법, 화재발생종합보고서 등의 자료에서 원인진단에 필요한 항목들을 도출한 원인진단 분류체계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화재 현장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징후들을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사례베이스와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거나 전기화재감식에 대한 연구 및 전문가들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규칙베이스를 연계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사례 베이스와 퍼지개념을 도입한 규칙베이스를 통합하여 주변환경 조건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용되어 전기화재원인진단에 과학적이고 적합한 추론을 하는 제 3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사례베이스와 규칙베이스에서 자동적으로 전기화재원인진단을 실행하여 화재가능성 및 화재원인을 진단하는 방법
KR1020050124404A 2005-12-16 2005-12-16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KR20060001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04A KR20060001923A (ko) 2005-12-16 2005-12-16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404A KR20060001923A (ko) 2005-12-16 2005-12-16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23A true KR20060001923A (ko) 2006-01-06

Family

ID=3710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404A KR20060001923A (ko) 2005-12-16 2005-12-16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192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3B1 (ko) * 2009-02-25 2011-06-10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설비 사고원인 자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003B1 (ko) * 2009-12-29 2012-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재해 판단을 위한 퍼지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CN112084220A (zh) * 2020-09-21 2020-12-15 国网重庆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能计量装置异常诊断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712664A (zh) * 2020-12-28 2021-04-27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气火灾预警方法和系统
KR20210091941A (ko) * 2020-01-15 2021-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발화 진단 방법 및 그 프로그램
CN113643495A (zh) * 2021-07-29 2021-11-12 宜宾市消防救援支队 一种用于火灾原因调查的智能辅助分析系统及方法
KR102571217B1 (ko) 2022-11-16 2023-08-29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3B1 (ko) * 2009-02-25 2011-06-10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설비 사고원인 자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003B1 (ko) * 2009-12-29 2012-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재해 판단을 위한 퍼지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1941A (ko) * 2020-01-15 2021-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발화 진단 방법 및 그 프로그램
CN112084220A (zh) * 2020-09-21 2020-12-15 国网重庆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能计量装置异常诊断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084220B (zh) * 2020-09-21 2024-05-14 国网重庆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能计量装置异常诊断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712664A (zh) * 2020-12-28 2021-04-27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气火灾预警方法和系统
CN113643495A (zh) * 2021-07-29 2021-11-12 宜宾市消防救援支队 一种用于火灾原因调查的智能辅助分析系统及方法
CN113643495B (zh) * 2021-07-29 2022-08-26 宜宾市消防救援支队 一种用于火灾原因调查的智能辅助分析系统及方法
KR102571217B1 (ko) 2022-11-16 2023-08-29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사건 현장 상태 정보가 기록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사건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1923A (ko) 퍼지 로직을 이용한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지능형 전기화재원인진단 시스템 구축 방법
Gebus et al. Knowledge acquisition for decision support systems on an electronic assembly line
CN101243322A (zh) 用于定量评估计算系统配置的复杂度的系统和方法
CN111368064B (zh) 调查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hoshgoftaar et al. Data mining for predictors of software quality
Chen et al. A patent time series processing component for technology intelligence by trend identification functionality
Khalajzadeh et al. A survey of current end-user data analytics tool support
Oliveira et al. Automated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of electric power substations using deep learning
Milani et al. Criteria and heuristics for business process model decomposition: review and comparative evaluation
Anjomshoae et al. Context-based image explanations for deep neural networks
JP2003044123A (ja) プラント診断装置
Sun et al. Human reliability assessment of intelligent coal mine hoist system based on Bayesian network
Alda Development of a Mobile-Based Student Grade Processing Application Using the Waterfall Method
Viana et al. An Interface Design Catalog for Interactive Labeling Systems.
CN113642820B (zh) 一种基于大数据对人员数据信息评估管理的方法及系统
Cyra et al. Extending GQM by argument structures
Danbatta et al. Predicting student’s final graduation CGPA using data mining and regression methods: a case study of Kano informatics institute
Constantin et al. How Do Algorithmic Fairness Metrics Align with Human Judgement? A Mixed-Initiative System for Contextualized Fairness Assessment
Vandeville et al. A structured approximate reasoning‐based approach for gathering “lessons learned” information from system development projects
Mesmer Validation framework for assuring adaptive and learning-enabled systems
Morgan Forensic science
Schiopu Kratina et al. Survey questionnaires and graphs
Voicu et al. Clutter modeling in infrared images using genetic programming
Hall et al. Visual programming environment for multisensor data fusion
JPH0962309A (ja) 工場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