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36B1 -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136B1
KR101932136B1 KR1020180079681A KR20180079681A KR101932136B1 KR 101932136 B1 KR101932136 B1 KR 101932136B1 KR 1020180079681 A KR1020180079681 A KR 1020180079681A KR 20180079681 A KR20180079681 A KR 20180079681A KR 101932136 B1 KR101932136 B1 KR 10193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ghting
information
facility
disaster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찬
Original Assignee
최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찬 filed Critical 최두찬
Priority to KR102018007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실내의 소방시설을 통합적이고 편리하게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포함된 소방시설들 중,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1 소방시설과,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만 제어 가능한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 소방시설 및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의 동작을 제어하는 테스트부; 및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시나리오별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TOTAL MONITORING OF FIR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특정 지역 내의 소방시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특정 지역 내에 설치된 소방시설들 중,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소방시설에 대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발생 가능한 재난에 대한 시나리오별로 소방시설의 작동 여부를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 소방시설의 유지 보수 상태 및 모니터링 대상 지역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서 재난 시나리오별로 대응 시나리오를 예측 및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홈 및 스마트 빌딩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내의 다양한 기기들을 하나의 단말에서 제어 및 관리하여, 유지 보수력 증가, 전력 절감 등의 효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IoT 기술 등이 결합된 실내 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은 단순한 기기 관리를 넘어서, 최근에는 소방 기술에 접목되어, 실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 발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10-1817341호 등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인접한 센서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서 소방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은 실내의 소방환경을 효율적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들이 게시되어 있는 반면, 실제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재난의 확산 방지 및 인명 대피를 위해서 실내에 설치되는 소방시설에 대해서 원격에서 점검하거나, 소방시설을 바탕으로 재난 발생시의 대응 또는 확산 방지에 대한 예측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술은 전무한 상태이다.
특히 소방시설은 실내에 화재 발생 시 소화를 위한 액체 발생 등이 이루어지는 등 물리적인 영향이 있어, 해당 소방시설에 대하여 동작을 점검하는 것은 실내의 거주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해당 소방시설의 모니터링에는 주의가 요구되며, 소방시설 자체가 원격 제어가 가능한 시설 및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시설로 나뉘어 있다는 점에서, 실내의 소방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실내의 소방시설을 통합적이고 편리하게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특히, 원격 제어가 가능한 소방시설과 불가능한 소방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소방시설의 관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재난 발생 시 각 재난마다 대응이 충분하도록 각 소방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각 재난 시나리오별로 소방시설의 관리 정보에 따라서 대응 시나리오를 예측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소방시설을 이용하여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포함된 소방시설들 중,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1 소방시설과,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만 제어 가능한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방시설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동작을 제어하는 테스트부; 및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소방시설은 전원 공급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구동식 소방시설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소방시설이며,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제1 테스트와, 상기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 시 상기 제1 소방시설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수행 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동작에 의해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물리적인 영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테스트를 우선 수행한 뒤,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제1 테스트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제1 소방시설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음을 알리는 제1 경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상기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제1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소방시설 중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물리적인 영향이 최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느 한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제2 테스트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제어 결과와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가 결합되어 상기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가장 최근의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2 소방시설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에 상기 관리자 단말이 연결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2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1 소방시설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에 상기 관리자 단말이 연결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각 소방시설의 교체 시점, 관리 평가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로 재난 발생 시의 피해 확산을 예측하고,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수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재난 발생 시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소방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 소방시설의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소방시설의 정상적인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 및 각 재난 시나리오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의 각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난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에 포함된 정보로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상으로 제어 가능한 제1 소방시설과, 제어가 불가능한 수동 작동 방식의 제2 소방시설을 다른 종류의 관리 정보로 관리하도록 하되, 해당 관리 정보는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실내의 모든 소방시설에 대한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소방시설의 동작 여부를 서로 다르게 점검하고 이에 따른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고 통합적으로 소방시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시설을 통한 실내 안전 관리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소방시설의 동작이 실내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일부의 동작 여부만을 테스트하거나 전력 공급만을 테스트하도록 함으로써, 제1 소방시설의 동작에 따른 실내의 물리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소방시설을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재난 시나리오별로 테스트가 수행되어 실질적인 재난 발생 시의 대응력의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재난 시나리오별로 대응 전략을 예측 및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방시설의 모니터링을 통한 재난 대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 및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제1 소방시설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소방시설의 관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모니터링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대응 전략이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소방시설의 이용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데이터베이스부(11), 테스트부(12) 및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난 정보 전송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과 연결되는 독립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거나, 도 1과 달리 관리자 단말(20)에 포함되어 후술하는 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부(11)는 모니터링 대상 지역(40)에 포함된 소방시설들 중, 관리자 단말(20)에 의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1 소방시설(41, 42)과,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만 제어 가능한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1)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모든 소방시설(41, 42, 43)의 관리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각 대상 지역(40) 및/또는 각 소방시설(41, 42, 43)별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 또는 시스템(10)의 다른 구성들에 의하여 대상 지역(40)에 관한 정보 또는 소방시설(41, 42, 43)에 관한 관리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1)는 이를 반영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소방시설(41, 42, 43)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재난 정보 송출부(14)에서 제공되는 모든 데이터 및 각 구성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역시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1)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모든 기능 수행을 위하거나 기능 수행을 통해서 생성, 수정, 삭제되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소방시설(41, 42)은,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실내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들 중, 관리자 단말(20) 또는 기타 유저 단말(3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20) 또는 유저 단말(30)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모든 소방시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소방시설(41, 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스프링 쿨러, 화재 발생 시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이 온(On)됨으로써, 실내에 위치한 대피자들이 대피 구역을 인지하도록 작동되는 비상등 등의 조명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에 의하여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작동하여 관련 시설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시설 등, 상술한 특징을 포함하여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고 해당 시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모든 소방시설이 제1 소방시설(41, 42)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2 소방시설(43)은 재난 발생 시 이에 대응하여 위해서 실내에 설치되는 소방사설들 중,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가 불가능한 설비로서, 사람이 직접 수동 작동하거나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사람이 직접 수취하여 작동해야 하는 모든 시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소방시설(43)은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소화전, 고층 건물의 대피용 로프 등 비상 계단의 개폐 도어 등 상술한 특징을 포함하는 모든 소방시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각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는, 소방시설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각 소방시설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제1 소방시설(41, 42)의 관리정보에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시설과 단말간의 억세스를 위한 어드레스 정보(IP 정보 및 기타 제품 시리얼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여, 제1 소방시설(41, 42)의 기능 및 스펙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를 통해 관리하기 위해서 각 제2 소방시설(43)마다 할당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후술하는 근거리 통신 수단(44)에 대한 어드레스 및 식별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여, 제1 소방시설(41, 42)과 유사하게 각 시설의 기능 및 스펙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에는, 제2 소방시설(43)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44)에 관리자 단말(20)이 연결된 후, 관리자 단말(20)에 출력된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2 소방시설(43)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해서도, 관리자가 직접 이에 접근하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소방시설(41, 42)의 관리정보에는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에 대한 예와 동일하게, 제1 소방시설(41, 42)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에 관리자 단말(20)이 연결된 후, 관리자 단말(20)에 출력된 제1 소방시설(41, 42)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1 소방시설(41, 42)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정보에는 상술하는 바와 유사하게 제1 소방시설(41, 42)과 제2 소방시설(43)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각 소방시설의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소방시설의 최근 테스트 일자(또는 점검 일자) 및 테스트 결과(또는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가 공통적으로 관리정보에 포함되어, 관리자 단말(20)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정보에는 후술하는 테스트부(12)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각 소방시설별로 데이터베이스부(11) 또는 테스트부(12) 등 다른 구성에 기 저장될 수 있는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각 재난 시나리오별로 해당 소방설비가 점검되거나 테스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해당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특정 재난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 시,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소방시설만이 해당하는 재난 시나리오에 대해서 테스트될 수 있도록 구분한다. 이는 특히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테스트 수행 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부(12)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제1 소방시설(41, 42) 및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를 이용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41, 42)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라 함은, 재난이 발생하는 지역 정보 및 재난의 종류 및 규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어디에서 어떤 재난이 어느 정도로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는 각 시나리오별로 기 설정되어 관리되거나, 재난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규모에 대한 연속적인 재난 발생 예상 데이터 또는 수식으로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시나리오에는 실내의 특정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정보와, 화재가 어느 요인으로 발생했는지, 및 해당 실내의 특정 위치에서의 특성에 따라서 어느 쪽으로 화재가 확산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발생 시의 피해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나리오는 재난 발생 시의 재난별 표준 확산 모델 또는 다양한 재난 모델 등을 활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에는, 실내의 재난 발생 가능 요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실내의 소방 환경, 실내 구조, 재난 발생 가능성에 대한 위험 평가 정보 등 재난 시나리오 정보의 관리를 위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시나리오가 생성되면, 해당 시나리오마다 재난 대응 프로토콜이 설정될 수 있다. 재난 대응 프로토콜이란, 특정 재난이 발생 시 해당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피 동선, 대피 전략, 소방기기 활용 전략 등이 설정된 일종의 대응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는, 상술한 재난 대응 프로토콜에 따라서 해당 위치 및 대피 동선에 구비된 소방시설들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소방시설들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특정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 제1 소방시설(41, 42)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작동하도록 하거나, 제2 소방시설(43)의 구비 정보에 따라서 재난 발생 지역에 위치한 사람들이 제2 소방시설(43)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그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는 상술한 소방시설들의 기능 정보를 포함해서, 각 실내별 또는 상활별로 행정기관 및 관리시설에 구비된 온라인 대응 전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거나, 정부 등에서 미리 설정한 표준 대응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부(12)는 상술한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테스트가 가능한 소방시설, 즉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재난 발생 시 대응 전략의 완벽한 수행을 위해서 제1 소방시설(41, 42)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때 제1 소방시설(41, 42)의 테스트는 제1 소방시설(41, 42)의 특성에 따라서 각각 서로 독립적인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거나, 제2 소방시설(43)과의 연관 정보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41, 42)의 작동 가능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부(12)가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제1 소방시설(41, 4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기술하고 있으나, 테스트 목적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41, 42)의 동작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는 테스트부(12)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41, 42)의 정상 동작 여부 및 테스트가 불가능한 제2 소방시설(43)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시나리오별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점검 이력 관리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결과는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소방시설(41, 42)은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구동식 소방시설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소방시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프링 쿨러와 같은 제1 소방시설(41)의 경우, 테스트부(12)에 의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기능 수행 결과 물리적인 영향이 대상 지역(40)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테스트에 의하여 대상 지역(40)에 설치된 가구 등의 객체와 존재하는 사람에게 피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부(12)는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테스트에 있어서, 해당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제1 테스트와,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전력 공급 시, 즉 제1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통과될 시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직접 테스트하는 제2 테스트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테스트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테스트 수행 시 제1 소방시설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링 대상 지역(40)에 물리적인 영향이 있는 경우 제1 테스트를 우선 수행한 뒤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2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는, 제1 테스트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20)에 상기 제1 소방시설(41, 42)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음을 알리는 제1 경고 정보를 전송하고, 제1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소방시설(41, 42)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즉 제2 테스트를 생략하고 제1 소방시설(41, 42)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 결과를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테스트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재난 발생 시 제1 소방시설(41, 42)이 완전이 동작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결과는 제1 소방시설(41, 42)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테스트로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함은, 예를 들어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 경로에 설치된 자동 화재 방지 장치에 있어서, 해당 방지 장치는 재난이 지진인 경우 동작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 장치는 전력이 제대로 공급되는지 여부만 판단하면 되는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재난 시나리오에 따라서 해당 대상 지역(40)에 대한 소방시설들을 자동으로 점검하되, 기능 수행 시 대상 지역(40)에 물리적인 영향을 가하여 시설물 등에 피해가 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반드시 동작을 테스트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만을 테스트하여, 잠재적인 위험만을 예측하도록 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테스트에 따른 물적 또는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소방시설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제2 테스트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1 소방시설(41, 42)을 가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소방시설 가동에 따른 물적 또는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상 지역(40)에 설치된 제1 소방시설 중 물리적인 영향이 최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느 한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제2 테스트만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쿨러의 동작을 반드시 테스트해야 하는 화재 재난에 있어서, 스프링 쿨러의 유지 보수에 따라서 동작이 반드시 테스트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대상 지역(40)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들 중, 물적 객체가 가장 적게 구비된 포인트의 스프링 쿨러를 대상 지역(40)의 관찰에 따라서 미리 설정한 뒤, 해당 스프링 쿨러만을 동작하도록 하여, 이후 스프링 쿨러에서 방수된 소화재가 최소한으로 방사되도록 하여, 이후 최소한의 피해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술한 어느 한 제1 소방시설(41, 42)은 물적 객체의 배치 여부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그 소방시설의 동작을 테스트해야 하는 경우 미리 실내 방송 등을 통해서 해당 지역에 소방시설의 동작하여 물리적인 영향이 대상 지역(40)에 가해질 수 있음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테스트가 수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는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41, 42)의 대응 정보와,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를 결합하여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즉, 제1 소방시설(41, 42)의 경우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서 정상적이거나, 관리가 필요하거나, 즉시 유지보수가 수행되어야 하는 등의 모니터링 결과를 도출하고, 제2 소방시설(43)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가장 최근의 제2 소방시설(43)에 대한 관리정보가 제2 소방시설(43)의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방시설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재난 대응 시나리오별로 해당 재난에 대해서 소방시설들의 기능 수행에 의해서 대응이 정상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포함하여, 대응이 정상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경우 어떤 소방시설을 보수, 교체,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는 테스트부(12)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41, 42)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1)에 의하여 누적되는 경우, 해당 관리정보들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각 소방시설들의 교체 시점, 관리 평가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에 의해서, 재난 대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두 평가되는 경우라도, 제1 소방시설(41, 42)에 대한 테스트 결과 및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의 히스토리를 파악하게 되면, 각 소방시설의 기능 저하 속도 등이 예측될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설비더라도 그 설비의 기능이 시간에 따라서 저하됨에 따라서 해당 설비의 비정상 동작 시점이 예측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소방시설들의 교체 시점, 관리 평가 정보 및 유지 보수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20)에 전송하여, 굳이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특정 소방설비의 관리를 직감적으로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잇는 재난 정보 전송부(14)는 상술한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실내에 거주하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재난 발생에 따라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재난 정보 전송부(14)는 테스트부(12)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41, 42)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제2 소방시설(43)의 관리정보에 따라서, 재난 시나리오별로 재난 발생 시 상술한 재난별 표준 확산 모델 등을 이용하여 피해 확산을 예측하고,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 상술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뒤 관리자 단말(20)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역(40)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수의 유저 단말(3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소방시설을 이용하는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서, 재난 정보 전송부(14)는 재난 발생 시 관리정보 및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소방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 소방시설, 바람직하게는 제2 소방시설(43)에 대한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20, 30)들에 제공한다.
또한, 실질적인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 소방시설의 정상적인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 즉 관리정보 또는 테스트 정보 및 재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 유저 단말(30)의 위치 정보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각 단말(20, 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론 재난 정보 전송부(14)는 재난 시나리오에 포함된 정보로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제어 가능한 제1 소방시설(41, 42)과, 제어가 불가능한 수동 작동 방식의 제2 소방시설(43)을 다른 종류의 관리정보로 관리하도록 하되, 해당 관리 정보는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실내의 모든 소방시설에 대한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소방시설의 동작 여부를 서로 다르게 점검하고 이에 따른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편리하고 통합적으로 소방시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시설을 통한 실내 안전 관리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소방시설(41, 42)의 동작이 실내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1 테스트 및 제2 테스트로 구분하고, 일부의 동작 여부만을 테스트하거나 전력 공급만을 테스트하도록 함으로써, 제1 소방시설(41, 42)의 동작에 따른 실내의 물리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소방시설을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재난 시나리오별로 테스트가 수행되어 실질적인 재난 발생 시의 대응력의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재난 시나리오별로 대응 전략을 예측 및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소방시설의 모니터링을 통한 재난 대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 있는 설명들 중 불필요한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이를 생략하도록 하나, 해당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기재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생략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소방시설 및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100)는 예를 들어 상술한 테스트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100)는 참조하면, 각 소방시설의 식별 정보(S11, S12) 및 해당 소방시설에 대해서 상술한 스펙 정보(xxx, yyy)와 함께 테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S11 설비에 대해서는 제1 테스트만이 수행되었고, S12 설비에 대해서는 제1 테스트와 제2 테스트가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110)를 참조하면,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100)와 유사하게, 소방시설의 식별 정보(S21, S22) 및 해당 소방시설에 대해서 상술한 스펙 정보(aaa, bbb)가 포함될 수 있으나,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100)와 달리 최근 점검일자 및 점검 결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제1 소방시설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지역에 다수의 제1 소방시설(411, 412, 42)가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 배치된 물건(50)의 배치 정보 역시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쿨러(411)는 동작 시 물건(50)에 피해를 가할 수 있고, 스프링 쿨러(412)의 경우 동작 시 물건(50)에는 피해를 가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쿨러(411, 412)에 대한 제2 테스트가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하는 경우, 테스트부는 스프링 쿨러(412)만의 동작을 실제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비상등(42)의 경우 전력 공급 및 동작 여부, 즉 제1 및 제2 테스트를 모두 수행하여도 물건(50)이나 사람들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제2 테스트까지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소방시설의 관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제2 소방시설(43)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배치된 소방시설에 따라서 각 제2 소방시설(43)에 근거리 통신 수단(44)이 부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수단(44)은 간편한 관리를 위해서 해당 소방시설의 식별 정보만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는 NFC, 비컨, RFID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20, 바람직하게는 휴대성이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을 근거리 통신 수단(44)에 근접하도록 하여 양 장비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어 근거리 통신 수단(44)에 저장된 제2 소방시설(43)에 대한 식별 정보가 관리자 단말(20)에 전송되고, 이에 의하여 관리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2 소방시설(43)이 식별되면,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해당 소방시설의 관리정보가 출력되는 동시에 관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들이 출력된다.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함으로써 제2 소방시설(43)에 대한 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부(11)는 관리정보를 갱신 또는 누적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모니터링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5의 화면(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소방시설(S11)의 관리정보(테스트 정보)의 히스토리를 분석한 결과의 예이다. 화면(130)을 통해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소방시설(S11)의 교체 시점, 관리 평가 및 유지 보수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화면(130)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에 출력 가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대응 전략이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6의 화면(140)을 참조하면, 특정 지역(F1)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의 재난 시나리오의 예에 대한 대응 전략이 출력되는 화면(140)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지역(F1)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소방시설로서 스프링 쿨러(A1) 및 정상적으로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관리정보가 입력된 제2 소방시설로서 소화기(A2)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대피해야 하는 경로(l1)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대피 경로들 중,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1 소방시설로서 스프링 쿨러(A1) 및 정상적으로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관리정보가 입력된 제2 소방시설로서 소화기(A2)가 설치된 것으로 파악된 경로(l2)는 사람들에게 해당 경로로 대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소방시설의 이용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의 화면(150)을 참조하면, 해당 화면(150)에서는 사용자가 각 소방시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맵 상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아이콘(451)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소방시설(451)의 이용 방법을 함께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소방시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미리 해당 소방시설(451)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이용 방법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 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포함된 소방시설들 중,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1 소방시설과,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만 제어 가능한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소방시설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동작을 제어하는 테스트부; 및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방시설은 전원 공급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구동식 소방시설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소방시설이며,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제1 테스트와, 상기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전력 공급 시 상기 제1 소방시설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수행 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동작에 의해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물리적인 영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테스트를 우선 수행한 뒤,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제1 테스트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제1 소방시설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음을 알리는 제1 경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상기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제1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상기 제2 테스트의 수행 여부를 서로 다르게 결정하고 상기 제2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소방시설 중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물리적인 영향이 최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느 한 제1 소방시설에 대한 제2 테스트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로 재난 발생 시의 피해 확산을 예측하는 동시에 적어도 유저의 위치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지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수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별 대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제어 결과와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가 결합되어 상기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가장 최근의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소방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2 소방시설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에 상기 관리자 단말이 연결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2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1 소방시설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에 상기 관리자 단말이 연결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된 상기 제1 소방시설의 관리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로서, 적어도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테스트 시점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송출부는,
    상기 테스트부의 제어 결과에 따른 상기 제1 소방시설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상기 제2 소방시설의 관리정보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각 소방시설의 교체 시점, 관리 평가 및 유지 보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재난 발생 시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소방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 소방시설의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소방시설의 정상적인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 및 각 재난 시나리오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의 각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른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재난 시나리오에 포함된 정보로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에 따라서 재난 발생 시의 대응 전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079681A 2018-07-10 2018-07-10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81A KR101932136B1 (ko) 2018-07-10 2018-07-10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81A KR101932136B1 (ko) 2018-07-10 2018-07-10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136B1 true KR101932136B1 (ko) 2018-12-24

Family

ID=6501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81A KR101932136B1 (ko) 2018-07-10 2018-07-10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1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64B1 (ko) * 2019-01-11 2019-06-27 김종배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541994A (zh) * 2020-04-21 2020-08-14 深圳万骅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火警逃生路径导航提示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23759A (ko) 2022-02-17 2023-08-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실내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18261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소방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17B1 (ko) *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01455B1 (ko) * 2016-06-22 2017-02-06 (주)태양유니스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17B1 (ko) *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01455B1 (ko) * 2016-06-22 2017-02-06 (주)태양유니스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64B1 (ko) * 2019-01-11 2019-06-27 김종배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541994A (zh) * 2020-04-21 2020-08-14 深圳万骅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火警逃生路径导航提示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23759A (ko) 2022-02-17 2023-08-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실내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18261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소방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US9613523B2 (en) Integrated hazard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system
JP4634207B2 (ja) 防災情報管理システム
US8077026B2 (en) Technicia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US8289161B2 (en) Inexpensive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20070241879A1 (e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US112351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building conditions based on wireless signal degradation
KR102275989B1 (ko) 화재 및 화재의 예상 전개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예측 시스템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US11210928B2 (en) Fire control panel configuration
US20210248900A1 (en) Monitoring control panels of a fire control system
CN107158631A (zh) 一种复合式广域多级消防炮灭火系统
CN206867565U (zh) 一种复合式广域多级消防炮灭火系统
Frank et al. Uncertainty in estimating the fire control effectiveness of sprinklers from New Zealand fire incident reports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AU2018354716A1 (en) Fire detection system, automatic data capture, remote testing,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s
US20070241877A1 (en) Communications or Reporting for Automated Protection Systems
KR20200049420A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2059579B1 (ko)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46072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 위험도 진단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6956845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606850B1 (ko) 재난대응장치 및 방법
KR20220099033A (ko)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