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033A -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033A
KR20220099033A KR1020210001071A KR20210001071A KR20220099033A KR 20220099033 A KR20220099033 A KR 20220099033A KR 1020210001071 A KR1020210001071 A KR 1020210001071A KR 20210001071 A KR20210001071 A KR 20210001071A KR 20220099033 A KR20220099033 A KR 2022009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firefighting
firefighting equipmen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정
김만호
Original Assignee
서현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아이씨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현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033A/ko
Publication of KR2022009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를 수신하고, 보험사 서버로부터 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소방 설비 정보 및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하는 분석부와,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FIRE F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시설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알리고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 발생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재의 신속한 진압과 동시에 건물 등의 구조물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야 한다.
특수 건물의 경우 건물주는 화재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또한, 화재 보험의 의무 가입의 대상은 아니지만, 일반 건물이라도 경과실에 의한 실화에 대해서도 건물주가 주위 건물로 화재가 확대하여 생긴 피해에 대해서도 손해 배상 책임을 부담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재 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 보험료는 건물의 업종 별로 할인율을 책정하고 있지만, 소방 설비의 구축 상태 또는 관리 상태를 고려하여 할인율을 책정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소방 설비의 구축 상태 및 관리 상태가 양호한 건물에 대해 그렇지 않은 건물과 동일한 할인율을 책정하는 경우 형평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방 설비에 관한 자료를 살펴보면, 설치율은 99.3%에 이르나, 양호율은 수신기 항목이 53.7%, 감지기 항목이 75.9%, 발신기 항목이 80.9%, 관리 항목에서 30%에 불과하여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고 분석되어 있다.
종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관리 방법으로 건물주가 소방 점검 대행사와 계약을 체결하여 소방 점검 대행사에게 점검 비용을 지급하고 건물 내에 배치된 소방 설비의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소방 설비에 이상이 없는 경우까지 점검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의 사용자는 점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청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고,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를 수신하고, 보험사 서버로부터 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소방 설비 정보 및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하는 분석부와,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소방 설비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건물 내의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장치,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 장치,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의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환경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부는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 소방 관제 서버 및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는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소방 설비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로 송신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 및 소방 관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는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 산정 시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도입에 따른 기본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는 화재 설비의 이상 빈도수 및 화재 발생 빈도수를 기초로 상기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는 화재 감지 센서, 환경 감지 센서, 경보 장치, 소화 장치 및 대피 시설의 개수, 종류 및 위치를 기초로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방법으로서,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보험사 서버로부터 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방 설비 정보 및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센싱 정보를 기초로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소방 설비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로 송신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 및 소방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점검 대행사는 화재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화재 설비를 점검하기 때문에,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의 사용자는 점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가 건물 내에 배치된 화재 설비를 모니터링하여 화재 발생 시 이에 관한 정보를 소방청에 제공함에 따라, 소방청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가 건물 내에 배치된 화재 설비에 관한 정보와 화재 발생 시 이에 관한 정보를 화재 보험사에 제공하거나 이들 정보를 기초로 산정된 화재 보험료의 할인료를 제공에 따라, 화재 보험사는 화재 위험도가 낮은 건물의 사용자에 대한 화재 보험료를 할인해 줌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건물의 사용자는 소방 시설 관린 시스템을 적극 도입할 것이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방 시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방 시설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1)의 사용자(예컨대, 건물주)(10)는 소방 점검 대행사(50)와 계약을 체결하여 소방 점검 대행사(50)에게 점검 비용을 지급하고 소방 점검 대행사(50)가 소방 설비 이상 시 건물(1) 내에 배치된 소방 설비의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물(1)의 사용자(10)는 화재 보험사(40)와 계약을 체결하여 화재 보험사(40)에게 화재 보험료을 지급하고 화재로 인한 손해 발생 시 화재 보험사(40)에게 화재 보상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건물(1)의 사용자(10)는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자(20)와 계약을 체결하여 서비스 제공자(20)에게 관리 비용을 지급하고 서비스 제공자(20)로부터 화재 설비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20)는 건물(1) 내에 배치된 화재 설비를 모니터링하여 화재 설비 이상 시 이에 관한 정보를 점검 대행사(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점검 대행사(50)는 화재 설비의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 대행사(50)는 화재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화재 설비를 점검하기 때문에,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1)의 사용자(10)는 점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20)는 건물(1) 내에 배치된 화재 설비를 모니터링하여 화재 발생 시 이에 관한 정보를 소방청(3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소방청(30)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20)는 건물(1) 내에 배치된 화재 설비에 관한 정보와 화재 발생 시 이에 관한 정보를 화재 보험사(40)에 제공하거나 이들 정보를 기초로 산정된 화재 보험료의 할인료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화재 보험사(40)는 화재 위험도가 낮은 건물(1)의 사용자(10)에 대한 화재 보험료를 할인해 줌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건물(1)의 사용자(10)는 소방 시설 관린 시스템을 적극 도입할 것이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소방 시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소방 시설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은, 건물(1)의 사용자(10), 화재 보험사(40), 소방청(30) 및 소방 점검 대행사(50)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건물(1) 내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100),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 소방 관제 서버(300), 보험사 서버(400) 및 점검 대행사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관제 서버(300)는 소방청(30)에 구비될 수 있고, 보험사 서버(400)는 화재 보험사(40)에 구비될 수 있고, 점검 대행사 서버(500)는 점검 대행사(5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방 설비(100)는 센서부(110), 경보 장치(120), 소화 장치(130) 및 대피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및 건물 내의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감지 센서는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열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환경 감지 센서는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건물 내부의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예컨대, CCTV)일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등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장치이고, 소화 장치(130)는 화재 발생 시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로서 스프링 쿨러 및 소화전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피 설비(140)는 화재 발생 시 건물 내의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설비로서, 제연 설비, 유도등 및 비상 조명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방 시설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분석부(220), 저장부(230) 및 송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건물(1)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100)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를 수신하고, 보험사 서버(400)로부터 건물(1)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방 설비(100) 및 소방 시설 관리 서버(200) 간 통신은 IoT(Internet of Things)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소방 설비(100)는, IoT 센서 자체이거나 IoT 센서를 구비하여, 자신의 소방 설비 정보와 IoT 센서가 센싱한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부(2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설비 정보는 소방 설비의 종류,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20)는 소방 설비 정보 및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부(220)는 센서부(110), 경보 장치(120), 소화 장치(130) 및 대피 시설(140)의 개수, 종류 및 위치를 기초로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220)는, 소방 설비(100)의 성능이 우수한 제품일수록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높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건물(1) 면적 대비 소방 설비(100)의 개수가 많을수록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높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소방 설비(100)의 위치 적합도가 높을수록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높게 산정할 수 있다.
이는 소방 설비(100)의 성능이 우수하고, 소방 설비(100)의 개수가 많고, 소방 설비(100)의 위치 적합도 높을수록 화재 위험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 소방 시설(100)의 이상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여 소방 시설 이상 시 점검 대행사(50)로 하여금 점검을 실시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소방 시설(100)이 정상 동작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청(30)에 이를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방청(30)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보험사(40)는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220)는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 산정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도입에 따른 기본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송신부(240)는 분석부(230)에 의해 산정된 보험료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보험사 서버(400)는 해당 건물(1)에 대해 기 책정된 화재 보험료에 송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보험료 할인율을 적용하여 화재 보험료를 할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송신부(240)는 화재 보험사 서버(400)로 소방 설비 정보를 송신하면, 화재 보험사 서버(400)가 수시한 소방 설비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 보험사(40)는 화재 위험도가 낮은 건물(1)의 사용자(10)에 대한 화재 보험료를 할인해 줌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건물(1)의 사용자(10)는 소방 시설 관린 시스템을 적극 도입할 것이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수신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환경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 정보는 연기 정보 및 열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센싱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20)는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220)는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센서부(110)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경보 장치(120), 소화 장치(130) 및 대피 설피(140)에는 이들 설비의 이상 유무를 센싱하기 위해 IoT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부(220)는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이들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정보는 소방 설비(100)의 동작이 정상 상태일 때 소방 설비(100)가 출력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부(220)는 소방 설비(1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제1 출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소방 설비(100)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정보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때 소방 설비(100)가 출력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부(220)는 소방 설비(1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제2 출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최근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석 및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여러 서비스에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공 지능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 지능 모델을 학습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분석부(220)는 전술한 인공 지능 기반으로 소방 설비(100)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220)는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학습한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이 학습 모델에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입력하여 소방 설비(100)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모델은 특정 입력에 대해 특정 출력이 출력되도록 학습된 모델로서,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는, 소방 설비(100)의 동작이 정상 상태 및 이상 상태 일 때 소방 설비(100)가 각각 출력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한 상태 및 그렇지 않은 상태 일 때 소방 설비(100)가 각각 출력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분석부(220)에 의해 생성된 분석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분석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설비의 이상 빈도수 및 화재 발생 빈도수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부(240)는 분석부(220)에 의해 생성된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400), 소방 관제 서버(300) 및 점검 대행사 서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240)는 소방 설비(100)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점검 대행사 서버(500)로 송신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400) 및 소방 관제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 대행사(50)는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화재 설비를 점검하기 때문에,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1)의 사용자(10)는 점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소방청(30)은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보험사(40)는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위험도가 낮은 건물(1)의 사용자(10)에 대한 화재 보험료를 할인해 줌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다.
송신부(240)는 소방 설비(100)의 이상으로 판단되거나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건물(1)의 사용자(10)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로 분석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10)로 하여금 소방 설비(100)의 이상 또는 화재 발생 사실을 인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은,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방법이다.
먼저,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건물(1)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100)로 소방 설비 정보를 요청하면(S10), 소방 설비(100)가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로 소방 설비 정보를 전송한다(S20).
다음,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보험사 서버(400)에 화재 보험료 정보를 요청하면, 보험사 서버(400)가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로 건물(1)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수신한 소방 설비 정보 및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한다(S30). 이와 달리,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보험사 서버(400)로 소방 설비 정보를 전송하면 보험사 서버(400)가 수신한 소방 설비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할 수도 있다.
다음,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한다(S40).
다음, 소방 설비(100)가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로 센싱 정보를 전송한다(S50).
다음, 소방 설비 관리 서버(200)가 수신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센싱 정보를 기초로 소방 설비(100)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S60)
다음, 소방 설비(100)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점검 대행사 서버(500)로 전송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분석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400) 및 소방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S71~S73).
이에 따라, 점검 대행사(50)는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화재 설비를 점검하기 때문에, 점검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건물(1)의 사용자(10)는 점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소방청(30)은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보험사(40)는 수신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위험도가 낮은 건물(1)의 사용자(10)에 대한 화재 보험료를 할인해 줌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소방 설비
200: 소방 설비 관리 서버
300: 소방 관제 서버
400: 보험사 서버
500: 점검사 서버

Claims (10)

  1.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를 수신하고, 보험사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소방 설비 정보 및 상기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화재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설비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건물 내의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장치,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 장치,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의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시설을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경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분석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소방 시설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화재 보험사 서버, 소방 관제 서버 및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소방 시설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소방 설비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화재 보험사 서버 및 소방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 산정 시 상기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도입에 따른 기본 할인율을 적용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화재 설비의 이상 빈도수 및 상기 화재 발생 빈도수를 기초로 상기 할인율을 산정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 상기 환경 감지 센서, 상기 경보 장치, 상기 소화 장치 및 상기 대피 시설의 개수, 종류 및 위치를 기초로 상기 할인율을 산정하는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10. 건물의 사용자, 화재 보험사, 소방청 및 소방 점검 대행사에 소방 설비 관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소방 설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소방 설비로부터 소방 설비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보험사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보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방 설비 정보 및 상기 화재 보험료 정보를 기초로 화재 보험료의 할인율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할인율에 관한 할인율 정보를 상기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와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방 설비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소방 점검 대행사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화재 보험사 서버 및 소방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관리 방법.
KR1020210001071A 2021-01-05 2021-01-05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9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1A KR20220099033A (ko) 2021-01-05 2021-01-05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1A KR20220099033A (ko) 2021-01-05 2021-01-05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033A true KR20220099033A (ko) 2022-07-12

Family

ID=8241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71A KR20220099033A (ko) 2021-01-05 2021-01-05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8987C (en) Fire detection system
JP5893376B2 (ja) 健康管理及びプラント保全のために有毒ガスへの暴露のコンプライアンス及び警告を提供し有毒ガスへの暴露を警告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111199349A (zh) 一种基于智能消防安全评估的火灾保险商业方法及系统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92028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층별 재난대응시스템
CN108346253A (zh) 智慧消防管理、应急系统及方法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N112044006A (zh) 一种楼宇用监控消防系统
US20210248900A1 (en) Monitoring control panels of a fire control system
US20230020380A1 (en) Alarm and first respond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20210097500A (ko)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시스템
Frank et al. Uncertainty in estimating the fire control effectiveness of sprinklers from New Zealand fire incident reports
KR102181819B1 (ko) Iot 화재수신기 정보변환장치
KR20200134651A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27804B (zh) 一种消防火灾分级推送的方法及其系统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9033A (ko) 소방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852A (ko) 영상기반의 화재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전파 장치
CN116959197A (zh) 用于确认火灾的自测试火灾感测设备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101634336B1 (ko) 함정내 손상통제 시스템 및 손상통제 방법
CN112990660B (zh) 石油化工灭火救援辅助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