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43A -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43A
KR20210059443A KR1020190146905A KR20190146905A KR20210059443A KR 20210059443 A KR20210059443 A KR 20210059443A KR 1020190146905 A KR1020190146905 A KR 1020190146905A KR 20190146905 A KR20190146905 A KR 20190146905A KR 20210059443 A KR20210059443 A KR 2021005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fighting
augmented reality
firefighting facility
faci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468B1 (ko
Inventor
박상인
최두리
최대수
허은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테스앤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테스앤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테스앤테스
Priority to KR102019014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현 소방시설 점검에 투입되는 비용(인건비, 시간 등) 감소, 비전문가 점검이 가능하여 점검의 지연ㆍ누락을 피할 수 있음, 시설물 배치 및 이력관리 정확도 상승에 의한 안전지수 상승, 정확한 시설점검 체계정립을 통한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기대상승, 소방 & ICT 융합을 통한 미래 재난안전 기술개발 발전방향 도모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Augmented reality-based firefighting facility history management device that can check the layout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generate the drawings of firefighting facilities using space recogni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수용인원이 100인 이상인 시설물, 바닥면적이 지하층 또는 무창으로 제공되는 경우 500㎡ 이상, 그 밖의 층의 경우에는 1천 ㎡ 이상의 영화상영관 등에는 스프링쿨러 설치 시설물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판매시설 또는 영업시설의 경우 3층 이하인 건축물로서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바닥면적 합계가 6천㎡ 이상, 4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의 바닥면적 합계가 5천㎡ 이상의 경우에도 스프링쿨러 설비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 건물, 노유자 시설 또는「정신보건법」 제3조 제2호에 따른 정신보건시설은 연면적 600㎡ 이상인 곳,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미터를 넘는 랙크식 창고로서 연면적 1천5백㎡ 이상인 경우는 스프링쿨러 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기준에 따라 소방 공무원 등은 화재관련 사건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각 소방 대상물의 소방용 설비의 설치 확인 및 그 작동 여부를 점검 및 관리하게 되며, 이로써 주민의 복지공간이나 시설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방시설의 점검 및 확인 작업은 관공서 및 부속 사용허가시설, 청소년복지 및 체육시설 등의 안전관리를 관장하면서 관리목적인 이용고객의 생명과 재산보호 및 삶의 질을 높여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요한 사항이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방시설의 점검 및 확인을 위해서는 각각의 소방 대상 건물에 대하여 소방 공무원이 직접 내방하여 개별적인 확인 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하므로, 점검 인력과 시간 등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자면, 현 소방시설 점검에 대한 검증이 예전 방식(아날로그)의 형태로 여전히 진행되고 있으며, 소방점검자가 직접 줄자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반경을 측정하거나 법규 준수 여부 판단을 수행하므로 오류 발생의 여지가 있고 가정집의 경우 방문이 어려워 점검이 지연, 누락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적시에 정밀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간, 추가비용의 부담 및 위험 방치에 따른 인사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소화기 및 기타 소방시설에 대한 이력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비전문가가도 자가 측정이 가능한 소방시설의 점검 및 이력관리용 장치 및 체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바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제 현실 화면에 가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증강된 현실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실제의 물체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가상의 현실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술이며, 최근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819호(2010.10.26)에 의하면, 모바일 환경에서 별도의 마커없이 위치 및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증강현실 시스템을 소방시설의 도면 작업화 혹은 점검이나 확인 작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14819호(2010.10.26)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0284호(2019.06.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는,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어플을 탑재하며, 상기 증강현실어플의 구동을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1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필수 소방시설-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함으로써, 전문가 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도 자가 측정이 가능한 소방시설의 점검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고, 증강 현실로 생성된 공간에 법령에 따라 설정된 소방시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추후 소방시설에 대한 도면 작업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요약하자면, 현 소방시설 점검에 투입되는 비용(인건비, 시간 등) 감소, 비전문가 점검이 가능하여 점검의 지연ㆍ누락을 피할 수 있음, 시설물 배치 및 이력관리 정확도 상승에 의한 안전지수 상승, 정확한 시설점검 체계정립을 통한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기대상승, 소방 & ICT 융합을 통한 미래 재난안전 기술개발 발전방향 도모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스마트단말기(100)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스마트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 블록도이다.
본 발명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는,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어플을 탑재하며, 상기 증강현실어플의 구동을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1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방시설은,
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시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는 크게, 스마트단말기(100)와,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 통신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스마트단말기(100)는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어플을 탑재하며, 상기 증강현실어플의 구동을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100)와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에 대한 구성요소와 이들간의 유기적인 동작 관계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스마트단말기(100)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단말기(100)는,
GPS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현재 주소 정보를 검색하는 GPS 모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모듈, 소방점검 대상물을 포함하는 현장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가상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반의 공간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간 정보를 사용자에 의한 표시모드의 선택에 따라 2D(2차원), LBS(위치기반서비스), AR(증강현실)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100)는,
특정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 해당 촬영된 이미지들을 카메라모듈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촬영이미지추출부(110);와
상기 추출된 특정 공간에 대한 촬영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증강현실공간정보생성부(120);와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와 고유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 송출하기 위한 증강현실정보송출부(130);와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소방설비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며, 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 송출하기 위한 특정위치소방설비지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촬영이미지추출부(110)를 통해 특정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 해당 촬영된 이미지들을 카메라모듈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방설비 점검자가 특정 장소를 방문하여 소방안전법령에 따라 현장 점검을 수행하고자 할 때, 줄자를 가지고 벽면으로부터 특정 위치까지 눈대중으로 맞추어서 해당 위치에 소방설비인 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가 존재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신규 건물에 대하여 소방설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소방안전법령에 따라 소방설비를 특정 위치마다 설치 구성하고, 이에 따른 소방시설 도면을 작성하여 이를 공공기관에 제출하거나, 별도로 관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동 방식으로 작성되거나, 소방 설비를 점검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공간정보생성부(120)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증강현실공간정보생성부(120)는 상기 추출된 특정 공간에 대한 촬영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점검자가 특정 공간에 위치할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를 가지고, 주변을 360도 회전하면서 촬영하게 된다.
이때, 촬영된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자가 특정 공간을 360도 회전하게 되면 해당 공간에 대한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증강현실정보송출부(13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와 고유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부터 해당 공간을 기반으로 판단된 소방설비들이 설치되어야 하는 특정 위치에 소방설비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특정위치소방설비지정부(140)에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소방설비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벽면으로부터 80cm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스프링쿨러 이미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정보와 함께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점검자가 해당 선택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의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증강현실공간정보획득부(210);와
공간별 설치 구성될 소방설비 종류와 소방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소방법령DB(220);와
상기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획득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 상에 소방시설(필수 소방시설-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소방시설위치지정부(230);와
상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정요청이벤트정보제공부(240);와
상기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화처리부(250);와
상기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화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증강현실공간정보획득부(210)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소방법령DB(220)에는 공간별 설치 구성될 소방설비 종류와 소방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예를 들어, 30평의 아파트의 경우, 벽면으로부터 80cm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해야 한다는 공간별 소방설비의 종류와 해당 소방설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소방시설위치지정부(230)는 상기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획득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 상에 소방시설, 예를 들어, 필수 소방시설인 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 등의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때, 해당 위치에 소방시설이 존재하여야 하며, 존재하게 되면 이력관리DB에 점검자의 정보와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만약, 존재하지 않게 된다면, 지정요청이벤트정보제공부(240)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지정 요청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해당 생성된 정보를 해당 스마트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점검자에 의해 해당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지정하라는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이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는 해당 위치에 설치 구성될 소방시설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소방시설리스트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해당 위치에 스프링쿨러, 화재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을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단말기로 제공하게 되면 점검자가 해당 위치에 스프링쿨러 혹은 화재감지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후,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화처리부(250)는 상기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증강현실 시스템을 소방시설의 도면 작업화에 도입하여 예를 들어, 신축 건물에 대한 소방시설 설치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소방 법령에 맞는 위치에 소방시설을 설치하거나, 설치 요청할 경우에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260)에는 상기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화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점검자의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점검자 정보, 점검 내용 정보 점검 일자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스마트단말기의 아이디를 식별자로 하여 상기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260)에 갱신 저장 처리하기 위한 점검이력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11월 10일 오전 10시, 점검자- 홍길동, 점검장소- 대전광역시 서구 정부대전청사 1층 101호, 점검내용- 스프링쿨러, 화재감지기 정기 점검 등의 정보를 스마트단말기로부터 획득하여 이를 아이디별로 저장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방 시설들에 대한 점검 이력 관리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촬영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은 3차원 스캐닝에 의한 공간 인식 기술을 활용하게 되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비전문가인 특정 공간의 관리자 혹은 사용자도 자가 점검이 가능한 소방시설의 점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안방에서 사용하게 되면 안방의 증강 현싱 공간 상에 스프링쿨러의 위치가 제대로 설치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추후 점검자에 의한 설비 점검시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 지를 동시에 체크할 수 있어 객관적인 증거 자료가 될 수 있어 법적 분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함으로써, 전문가 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도 자가 측정이 가능한 소방시설의 점검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고, 증강 현실로 생성된 공간에 법령에 따라 설정된 소방시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추후 소방시설에 대한 도면 작업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스마트단말기
200 :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

Claims (2)

  1.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에 있어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어플을 탑재하며, 상기 증강현실어플의 구동을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해당 공간의 가상 정보가 반영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1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생성된 증강 현실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소방법령DB를 참조하여 소방시설의 위치를 지정하며, 지정된 위치에 소방설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단말기로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지정 요청 이벤트 정보에 대한 지정 결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용 소방시설 도면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DB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용소방시설도면자동생성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시설은,
    화재감지기, 스프링쿨러, 소화기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시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KR1020190146905A 2019-11-15 2019-11-15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KR10236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05A KR102364468B1 (ko) 2019-11-15 2019-11-15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05A KR102364468B1 (ko) 2019-11-15 2019-11-15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43A true KR20210059443A (ko) 2021-05-25
KR102364468B1 KR102364468B1 (ko) 2022-02-18

Family

ID=7614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05A KR102364468B1 (ko) 2019-11-15 2019-11-15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4899A (zh) * 2024-03-11 2024-04-12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874899B (zh) * 2024-03-11 2024-06-04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819A (ko)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JP2017062606A (ja) * 2015-09-24 2017-03-30 関東防災工業株式会社 消防用設備の点検システム
KR101990284B1 (ko) 2018-12-13 2019-06-18 주식회사 버넥트 음성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인지기술기반 증강현실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819A (ko)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JP2017062606A (ja) * 2015-09-24 2017-03-30 関東防災工業株式会社 消防用設備の点検システム
KR101990284B1 (ko) 2018-12-13 2019-06-18 주식회사 버넥트 음성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인지기술기반 증강현실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4899A (zh) * 2024-03-11 2024-04-12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874899B (zh) * 2024-03-11 2024-06-04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468B1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964B1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9317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virtual objects on a mobile device
JP6321134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JP6896688B2 (ja) 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位置算出方法、及びコンテンツ付加システム
US7634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US20080055554A1 (en) Full Scale Plan Projection
US20210118271A1 (en)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system,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3509665A (ja) 3次元および2次元デジタル画像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38193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WO2020202164A2 (en) Construction project tracking
KR20150066930A (ko) 다면 상영관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관리 장치
JP2014078150A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不審者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567697B (zh) 智慧型疏散系統及其控制方法
KR102364468B1 (ko) 공간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시설 배치 검사 및 소방시설 도면 생성이 가능한 증강현실기반 소방시설 이력관리 장치
WO2019231463A1 (en) Boundary map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KR101686797B1 (ko) 3차원 지형 지물을 고려한 cctv 가시권 분석방법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US1153206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door navigation for emergency services
KR20160099932A (ko)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TWI670693B (zh) 消防資訊整合系統
KR102157330B1 (ko) 렌티큘러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위치정보 제공 방법
JP2003186969A (ja) 不動産情報提供システム
JP2024035633A (ja) 統合システム、監視統合システム、設備管理統合システム、外部連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統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8901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7296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site insp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