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52B1 - 소방관리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관리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52B1
KR101879252B1 KR1020160098804A KR20160098804A KR101879252B1 KR 101879252 B1 KR101879252 B1 KR 101879252B1 KR 1020160098804 A KR1020160098804 A KR 1020160098804A KR 20160098804 A KR20160098804 A KR 20160098804A KR 101879252 B1 KR101879252 B1 KR 10187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building
fire
inspectio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373A (ko
Inventor
우희석
Original Assignee
우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희석 filed Critical 우희석
Priority to KR102016009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안전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로 관리되며, 업무상 필요한 부분만 확인 또는 수정 할 수 있도록 각 부서별로 볼 수 있는 현황이 나누어지며, 최종관리자가 각 부서별 현황을 모두 볼 수 있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긴급출동 관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소방안전점검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점검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를 정확하게 하고 소방업무의 법적 점검시기 및 불량사항에 대한 내역을 담당자가 쉽게 파악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 비용, 소방안전관 수선, 보수, 기타 화재 안전사고 등의 재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약, 관리, 점검, 총무, 및 회계업무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관리통합시스템 { fire management integration system }
본 발명은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안전 점검을 위한 통합적으로 총무, 회계, 계약, 관리, 점검에 필요한 정보를 접수하여 점검한 후, 점검결과를 비롯한 대상처의 이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서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소방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종래로부터 많이 개발되어 왔으며,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0980호에는 건물 내에 설비되어 있는 각종 소방장비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할 수 있는 입력모듈부가 내부 혹은 일측에 구비되는 수신기;상기 입력모듈부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 받은 데이터중 비정상적인 데이터는 송수신부로 송신하고 정상적인 데이터는 저장토록 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저장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셋톱박스; 및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팝업창 등으로 디스플레이화 함과 동시에 반대로 관리자가 접속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셋톱박스에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터미널제어기와, 구축되는 각종 건물의 위치 및 건물 내부 약도 등의 히스토리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관리자가 터미널제어기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주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관로의 수압 압력수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입력모듈부로 전송할 수 있는 압력검출센서부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입력모듈부에는 상기 압력검출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측정값을 디지털화하는 연산장치가 구비되어서 셋톱박스로 실시간 전송토록 하여 소방장비는 물론이고 관로의 이상유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된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74317호에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주상복합아파트나 오피스텔, 쇼핑몰, 스포츠 센터, 게임센터, 배수 펌프장, 상.하수도 처리장, 공장, 하천 등의 시설물로부터 시설물의 가동상태나 점검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온도나 습도, 압력, 조명, 가동시간 등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주상복합아파트나 오피스텔, 쇼핑몰, 스포츠 센터, 게임센터, 배수 펌프장, 상.하수도 처리장, 공장, 하천 등의 시설물을 가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나 습도, 압력, 조명, 가동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현장 관리 서버;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온도나 습도, 압력, 조명, 가동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주상복합아파트나 오피스텔, 쇼핑몰, 스포츠 센터, 게임센터, 배수 펌프장, 상.하수도 처리장, 공장, 하천 등의 시설물의 가동상태나 점검시기를 판단하고 이상 발생시 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자체 대형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 알리는 한편 SMS 전송 서버(Short Message Service server)를 통해 시공업체나 관리업체 담당자의 휴대 전화에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정보 통신망을 통해 시공업체나 관리업체 담당자에게 음성 메시지나 전자메일 메시지로 전송하는 위험관리 통합관제 서버; 를 포함하고 또한, 실제 위험상황이 아닌 시스템 오류나 기타상황 등으로 인한 경우 소방본부나 경찰서 등에 연락이 취해지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공업체, 관리업체 담당자에게 위험상황이 알려지고 담당자의 승인이 있을 시에 소방본부나 경찰서로 연락이 취해지게 되어 인력낭비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관리 통합 관제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을 포함한 기존의 소방관리 방식은 점검 실시 후 점검결과 내역서에 기록한 많은 양의 기록들을 체크하여 담당자의 확인을 받는 수동적인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은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수동으로 실시하고, 점검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지 않아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가 정확하지 않고 불확실하였다. 그 결과 소방안전관리 인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했고, 소방대상물의 법적 점검시기 및 불량사항에 대한 내역을 담당자가 쉽게 파악하지 못하여 유지관리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기타 화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자동으로 소방안전관리를 하더라도 시스템이 복잡하며, 동작속도가 느리게 설계되어 있으며, 고장이 잦다는 단점이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소방안전점검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점검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를 정확하게 하고 소방업무의 법적 점검시기 및 불량사항에 대한 내역을 담당자가 쉽게 파악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 비용, 소방안전관 수선, 보수, 기타 화재 안전사고 등의 재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약, 관리, 점검, 총무, 및 회계업무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방안전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로 관리되며, 업무상 필요한 부분만 확인 또는 수정 할 수 있도록 각 부서별로 볼 수 있는 현황이 나누어지며, 최종관리자가 각 부서별 현황을 모두 볼 수 있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긴급출동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방안전점검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점검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를 정확하게 하고 소방업무의 법적 점검시기 및 불량사항에 대한 내역을 담당자가 쉽게 파악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 비용, 소방안전관 수선, 보수, 기타 화재 안전사고 등의 재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약, 관리, 점검, 총무, 및 회계업무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대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소방안전 관리일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긴급출동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배치신고, 자체신고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배치신청확인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층별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작동 보고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종합 보고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월소방안전 종합현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대상처 이력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설비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소방안전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로 관리되며, 업무상 필요한 부분만 확인 또는 수정 할 수 있도록 각 부서별로 권한이 나누어지며, 최종관리자가 각 부서별 현황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긴급출동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통합으로 점검, 관리, 총무, 회계, 또는 계약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리시스템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각각의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의 관리 업무는 계약에 대한 의뢰가 들어오면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건축물 대장과; 건축물에 대한 담당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건축물 담당자 관리와; 배치신고 후 내역을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치신고 관리와; 상기 배치신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신청확인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의 점검 업무는 월마다 소방안전 점검 후 담당자가 관리일지를 작성하는 소방안전 관리일지와; 건축물을 층별로 관리하여 보고하는 층별 관리와;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작동점검 관리와; 상기 작동점검 관리에서 작성된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관리 할 수 있는 종합점검 관리와; 각각의 관리 현황을 사업소, 연도, 및 월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과; 선택한 대상처에 이력을 조회하는 대상처 이력관리와; 대상처에 대한 소방설비를 관리하여 점검보고서에 반영하는 설비관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급출동 관리는 최상단의 조건 검색 열에는 연도, 월, 사업소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박스의 우측에는 선택된 사항을 조회할 수 있는 조회 버튼과, 상기 조회버튼에는 조회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긴급출동 관리의 조건 검색 열 아래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순번, 사업소, 건축물, 일자, 내용, 연락처, 및 비고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대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소방안전 관리일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긴급출동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배치신고, 자체신고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배치신청확인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리 업무 중에서 건축물 층별 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작동 보고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종합 보고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월소방안전 종합현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대상처 이력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점검 업무 중에서 설비관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소방안전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로 관리되며, 업무상 필요한 부분만 확인 또는 수정 할 수 있도록 각 부서별로 권한이 나누어지며, 최종관리자가 각 부서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긴급출동 관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통합으로 점검, 관리, 총무, 회계, 또는 계약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리시스템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각각의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부에서 요청된 메시지가 통합관리시스템에 전달되면 해당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는 요청된 데이터를 조회한 후, 조회한 데이터를 요청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은 각 부서별로 볼 수 있는 현황을 나누기 위해, 부서별로 각각 권한을 부여하고, 최종관리자에게는 모든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 부서별로 권한을 나누기 위해, 부서별로 각각의 권한이 다른 아이디를 제공하고, 상기 부서별로 각각 권한이 다른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을 하여 최종관리자에 비해 제한된 권한을 사용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긴급출동 관리는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상기 긴급출동 관리에는 최상단의 조건 검색 열에는 연도, 월, 사업소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가 형성된다.
상기 체크박스의 우측에는 선택된 사항을 조회할 수 있는 조회 버튼과, 상기 조회버튼에는 조회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버튼이 형성된다.
상기 긴급출동 관리의 조건 검색 열 아래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순번, 사업소, 건축물, 일자, 내용, 연락처, 및 비고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긴급출동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및 삭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선택된 하나의 열은 편집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띄게 되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는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페이지번호와 좌,우측 화살표가 표시되며, 상기 좌,우측 화살표 또는 페이지번호를 누르면 해당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의 관리 업무는 계약에 대한 의뢰가 들어오면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건축물 대장과; 건축물에 대한 담당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건축물 담당자 관리와; 배치신고 후 내역을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치신고 관리와; 상기 배치신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신청확인서;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건축물 대장은 계약에 대한 의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상기 건축물 대장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중 상단의 제목 열(row)에는 신규, 건축물 코드, 사업소, 대상명, 기본정보, 기타정보, 및 방재시설물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건축물 코드는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상기 기본정보는 계약, 팀, 특이사항, 주소, 지번주소, 승인일, 종합시기, 작동시기, 연면적, 소방서, 바닥면적, 급수, 건물용도, 지상, 지하, 및 동수를 포함한다.
상기 종합시기 또는 작동시기는 하지 않을 경우 미정으로 입력한다.
상기 기타정보는 아파트에 관한 정보로 총세대, 이하, 및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방재시설물은 스프링쿨러, 제연, 및 물분무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 대장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삭제, 및 보조인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선택된 하나의 열은 편집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띄게 되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는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페이지번호와 좌,우측 화살표가 표시되며, 상기 좌,우측 화살표 또는 페이지번호를 누르면 해당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담당자 관리는 해당 대상처의 담당자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상기 건축물 담당자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건축물, 사업소, 담당명, 순번,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시작일시, 종료일시, 전화번호, 휴대번호, 비고, 주소, 및 팩스번호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담당명의 정보는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안전보조관리사, 건물관리자 중에서 택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순번은 높을수록 최근 관리자이다.
상기 건축물 담당자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삭제, 및 보조인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선택된 하나의 열은 편집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띄게 되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는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페이지번호와 좌,우측 화살표가 표시되며, 상기 좌,우측 화살표 또는 페이지번호를 누르면 해당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배치신고 관리는 배치신고 후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상기 배치신고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단의 조건 검색 열에는 해당연월과 시작일자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다른 연도와 일자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건검색 열 바로 아래의 제목 열에는 신규, 배치번호, 제목, 구분, 배치면적, 관리사, 보조인력, 종합, 작동, 종료일자, 보고서제출일자, 및 지적내역전달일자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구분은 대상처와의 계약형태인 것으로, 월방과 일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종합은 종합점검이며, 작동은 작동점검으로, 점검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치신고 관리에서 자체신고를 할 경우, 관리사와 보조인력은 입력하지 않는다.
상기 배치신고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생성된 열은 해당연월과, 상기 해당연월에 해당하는 시작일자 별로 구분되어 출력되며,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삭제, 및 보조인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에서 시작일자로 각각 구분되어 묶인 열들의 상단에는 해당 시작일자가 표시되도록 열이 더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치면적의 합계가 나타나도록 하나의 열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에서 해당연월로 묶인 열들의 상단에는 해당연월이 나타나고, 하단에는 생성된 열의 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횟수를 나타내는 열이 나타난다.
상기 배치신청확인서는 배치신고자료에 사업소 및 년도별로 폴더를 구분하고, 사업소 및 년도별로 구분된 폴더 내부에 월별로 폴더를 구분한 것으로, 월별로 구분된 각각의 폴더 내에는 배치확인신청서를 파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업로드 된 파일은 서버에 등록되며, 데이터베이스가 파일의 업로드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이후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의 점검 업무는 월마다 소방안전 점검 후 담당자가 관리일지를 작성하는 소방안전 관리일지와; 건축물을 층별로 관리하여 보고하는 층별 관리와;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작동점검 관리와; 상기 작동점검 관리에서 작성된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관리 할 수 있는 종합점검 관리와; 각각의 관리 현황을 사업소, 연도, 및 월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과; 선택한 대상처에 이력을 조회하는 대상처 이력관리와; 대상처에 대한 소방설비를 관리하여 점검보고서에 반영하는 설비관리;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소방안전 관리일지는 월소방안전 점검 이후 관리일지를 작성하는 화면이다.
상기 소방안전 관리일지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점검번호, 계약내용, 사번, 계약구분, 점검일자, 종합여부, 작동여부, 점검완료여부, 및 점검내용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계약구분에는 월방을 선택할 수 있으며, 대상처가 당월에 종합 또는 작동일 경우 해당 여부에 체크해야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완료여부에 체크하면 점검내역에 점검완료가 자동으로 기입된다.
상기 소방안전 관리일지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및 삭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선택된 하나의 열은 편집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띄게 되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는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페이지번호와 좌,우측 화살표가 표시되며, 상기 좌,우측 화살표 또는 페이지번호를 누르면 해당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층별 관리는 보고서 작성 전 해당 대상처의 설비 내역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상기 층별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건축물, 순번, 구분, 층별, 구조, 용도, 및 면적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층별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또는 삭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 양식 창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편집 양식 창은 선택한 열이 생성될 시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각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작동점검 관리는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작성하는 화면이며, 상기 종합점검 관리는 작성된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특히, 상기 종합점검 관리에서는 모든 부서의 관리 내역을 모두 확인 및 작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점검 관리 또는 종합점검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배치번호, 계약 건물명, 구분, 배치면적, 종합여부, 관리사, 작성여부, 및 작성일자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작동점검 관리 또는 종합점검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업데이트를 선택하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작성 또는 삭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성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문서의 양식을 다운받거나, 작성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거나, 또는 문서 출력 및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문서작성 창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문서작성 창은 선택한 열에 대한 문서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문서작성 창에는 양식다운로드 버튼이 나타나며, 상기 양식다운로드 우측에는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찾아보기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찾아보기 버튼의 우측에는 업로드한 문서를 출력하거나 또는 다운받을 수 있는 문서 출력 및 다운로드 버튼이 형성된다.
상기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은 사업소별, 연도별, 월별로 선택하여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버튼이 형성된 화면이다.
상기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에는 각각의 관리 화면에서 등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소별, 연도별, 및 월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은 상단의 열에 해당하는 사업소, 연도, 월에 따른 제목이 표시되고, 상기 제목의 아래에는 테이블이 형성되어 종합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종합정보는 순번, 대상명, 주소, 승인일, 용도, 연면적, 월별 방문일자 및 종합/작동, 자체점검, 연락처, 및 급수를 표시한다.
상기 월별 방문일자 및 종합/작동은 월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자체점검은 소방, 점검, 종합배치일자, 종합제출일자, 작동배치일자, 및 작동제출일자를 포함한다.
상기 연락처는 담당자, 소방담당, 및 연락처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처 이력관리는 한 대상처에 대한 건축물대장, 담당자, 계약, 및 점검에 대한 이력 조회할 수 있는 조회버튼이 형성된 화면이다.
상기 대상처 이력관리는 건축물대장을 선택한 후 조회할 수 있는 조회버튼이 형성된 조회테이블과, 상기 조회테이블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신청한 건축물대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대장 조회정보테이블과, 상기 조회정보테이블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점검 현황을 년도 및 월 단위로 나타내는 점검현황과, 상기 점검현황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점검일자와 점검내역을 나타내는 점검내역과, 상기 점검내역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계약을 한 내역을 신규일자, 사업소, 계약구분, 종합, 작동, 계약금액, 및 계약기간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계약내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비관리는 대상처에 대한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및 기타설비에 체크할 수 있는 체크박스와 점검보고서에 반영하도록 저장하는 저장버튼이 형성된 화면이다.
상기 설비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및 기타설비에 해당하는 각 세부구성들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미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청정제소화설비, 분멸소화설비, 화재조기진압용, 강화액소화설비 등의 각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경보설비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시각경보기, 통합감지시설, 자동화재속보설비, 누전경보기,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기 등의 각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피난설비는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유도등, 유도표지, 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등의 각 세부구성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하용수설비는 상수도소화용수설비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활동설비는 제연설비, 특별피난계단, 연결소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등의 각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기타설비는 다중이용업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점검 관리 또는 종합점검 관리에 나타나는 테이블에서 제목 열(row)에서 신규를 선택하면 바로 아래 정보 입력 열이 나타나며, 상기 정보입력 열에는 각 컬럼에 해당하는 체크를 선택할 수 있는 컬럼(column)이 나타나며, 각 칸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열의 아래에는 새로운 열(row)이 생성된다.
생성되는 열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각의 생성된 열의 좌측에는 편집 또는 삭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집을 누를 시, 해당하는 열을 체크박스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방안전점검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점검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를 정확하게 하고 소방업무의 법적 점검시기 및 불량사항에 대한 내역을 담당자가 쉽게 파악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 비용, 소방안전관 수선, 보수, 기타 화재 안전사고 등의 재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약, 관리, 점검, 총무, 및 회계업무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방안전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로 관리되며, 업무상 필요한 부분만 확인 또는 수정 할 수 있도록 각 부서별로 볼 수 있는 현황이 나누어지며, 최종관리자가 각 부서별 현황을 모두 볼 수 있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긴급출동에 대한 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긴급출동 관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긴급출동 관리는 최상단의 조건 검색 열에는 연도, 월, 사업소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박스의 우측에는 선택된 사항을 조회할 수 있는 조회 버튼과, 상기 조회버튼에는 조회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긴급출동 관리의 조건 검색 열 아래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순번, 사업소, 건축물, 일자, 내용, 연락처, 및 비고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소방관리통합시스템은 통합으로 점검 업무, 관리 업무, 총무 업무, 회계 업무, 또는 계약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관리시스템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각각의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부에서 요청된 메시지가 통합관리시스템에 전달되면, 통합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을 수신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는 요청된 데이터를 조회한 후, 조회한 데이터를 요청한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며,
    관리 업무는 계약에 대한 의뢰가 들어오면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건축물 대장과; 건축물에 대한 담당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건축물 담당자 관리와; 배치신고 후 내역을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치신고 관리와; 상기 배치신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신청확인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축물 대장은 계약에 대한 의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건축물 대장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 중 상단의 제목 열(row)에는 신규, 건축물 코드, 사업소, 대상명, 기본정보, 기타정보, 및 방재시설물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건축물 담당자 관리는 해당 대상처의 담당자를 관리하는 화면으로, 건축물 담당자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건축물, 사업소, 담당명, 순번,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시작일시, 종료일시, 전화번호, 휴대번호, 비고, 주소, 및 팩스번호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배치신고 관리는 배치신고 후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배치신고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단의 조건 검색 열에는 해당연월과 시작일자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고, 버튼을 누르면 다른 연도와 일자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조건검색 열 바로 아래의 제목 열에는 신규, 배치번호, 제목, 구분, 배치면적, 관리사, 보조인력, 종합, 작동, 종료일자, 보고서제출일자, 및 지적내역전달일자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배치신청확인서는 배치신고자료에 사업소 및 년도별로 폴더를 구분하고, 사업소 및 년도별로 구분된 폴더 내부에 월별로 폴더를 구분한 것이며,
    점검 업무는 월마다 소방안전 점검 후 담당자가 관리일지를 작성하는 소방안전 관리일지와; 건축물을 층별로 관리하여 보고하는 층별 관리와;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작동점검 관리와; 상기 작동점검 관리에서 작성된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관리 할 수 있는 종합점검 관리와; 각각의 관리 현황을 사업소, 연도, 및 월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과; 선택한 대상처에 이력을 조회하는 대상처 이력관리와; 대상처에 대한 소방설비를 관리하여 점검보고서에 반영하는 설비관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방안전 관리일지는 월소방안전 점검 이후 관리일지를 작성하는 화면으로, 소방안전 관리일지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점검번호, 계약내용, 사번, 계약구분, 점검일자, 종합여부, 작동여부, 점검완료여부, 및 점검내용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층별 관리는 보고서 작성 전 해당 대상처의 설비 내역을 입력하는 화면으로, 층별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신규, 건축물, 순번, 구분, 층별, 구조, 용도, 및 면적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점검 관리는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작성하는 화면이며, 상기 종합점검 관리는 작성된 종합 및 작동 보고서를 관리하는 화면으로, 종합점검 관리에서는 모든 부서의 관리 내역을 모두 확인 및 작성할 수 있고, 작동점검 관리 또는 종합점검 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배치번호, 계약 건물명, 구분, 배치면적, 종합여부, 관리사, 작성여부, 및 작성일자가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은 사업소별, 연도별, 월별로 선택하여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버튼이 형성된 화면으로, 월 소방안전 종합현황에는 각각의 관리 화면에서 등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소별, 연도별, 및 월별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대상처 이력관리는 한 대상처에 대한 건축물대장, 담당자, 계약, 및 점검에 대한 이력 조회할 수 있는 조회버튼이 형성된 화면으로, 건축물대장을 선택한 후 조회할 수 있는 조회버튼이 형성된 조회테이블과, 조회테이블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신청한 건축물대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대장 조회정보테이블과, 조회정보테이블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점검 현황을 년도 및 월 단위로 나타내는 점검현황과, 점검현황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점검일자와 점검내역을 나타내는 점검내역과, 점검내역 아래에 형성되되 조회테이블의 조회버튼을 통해 조회를 요청한 건축물대장의 계약을 한 내역을 신규일자, 사업소, 계약구분, 종합, 작동, 계약금액, 및 계약기간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계약내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설비관리는 대상처에 대한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및 기타설비에 체크할 수 있는 체크박스와 점검보고서에 반영하도록 저장하는 저장버튼이 형성된 화면으로, 설비관리에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테이블 상단의 제목 열에는 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및 기타설비에 해당하는 각 세부구성들이 각 칸으로 나누어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관리통합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98804A 2016-08-03 2016-08-03 소방관리통합시스템 KR10187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04A KR101879252B1 (ko) 2016-08-03 2016-08-03 소방관리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04A KR101879252B1 (ko) 2016-08-03 2016-08-03 소방관리통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73A KR20180015373A (ko) 2018-02-13
KR101879252B1 true KR101879252B1 (ko) 2018-07-17

Family

ID=6123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04A KR101879252B1 (ko) 2016-08-03 2016-08-03 소방관리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599A1 (ko) * 2022-11-15 2024-05-23 주식회사정평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439A (ja) * 2000-07-12 2002-01-25 Rokko Denki Co Ltd 会員制出張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126836A (ja) * 2002-10-01 2004-04-22 Hitachi Ltd 消防査察システムおよび消防査察端末
KR100930980B1 (ko) * 2007-11-26 2009-12-10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362400B1 (ko) * 2012-09-04 2014-02-14 나라방재 주식회사 통합소방제어시스템
KR101409964B1 (ko) * 2012-05-29 2014-06-20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439A (ja) * 2000-07-12 2002-01-25 Rokko Denki Co Ltd 会員制出張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126836A (ja) * 2002-10-01 2004-04-22 Hitachi Ltd 消防査察システムおよび消防査察端末
KR100930980B1 (ko) * 2007-11-26 2009-12-10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409964B1 (ko) * 2012-05-29 2014-06-20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1362400B1 (ko) * 2012-09-04 2014-02-14 나라방재 주식회사 통합소방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599A1 (ko) * 2022-11-15 2024-05-23 주식회사정평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73A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9006B (zh) 一种社区消防动态管控系统及管控方法
KR101602482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00202471A1 (en) Personalized display of real-time safety information of an industrial environment
US6748400B2 (en) Data access system and method
US20190156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U201920359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operty management
CN106527309A (zh) 一种消防物联网系统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1837664B1 (ko) 하천 스마트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403440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normal event response planning
KR20230004405A (ko) 중대재해 예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879252B1 (ko) 소방관리통합시스템
CN111260507A (zh) 一种消防安全一站式托管服务系统及其处理方法
JP4601280B2 (ja) 災害情報ネットワーク
JP2005122562A (ja) 災害時支援システムおよび災害時支援方法
KR20180112951A (ko)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62400B1 (ko) 통합소방제어시스템
KR20090074317A (ko) 위험관리 통합 관제시스템
JP7024969B2 (ja) 被害調査システム
JP4539094B2 (ja) 修理結果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50125770A (ko) 공동주택 하자코드 분류를 이용한 입주민-관리자-시공사간 연계 관리 기능
GB2527778A (en) Combined data exchange and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