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489A -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489A
KR20220130489A KR1020210035451A KR20210035451A KR20220130489A KR 20220130489 A KR20220130489 A KR 20220130489A KR 1020210035451 A KR1020210035451 A KR 1020210035451A KR 20210035451 A KR20210035451 A KR 20210035451A KR 20220130489 A KR20220130489 A KR 20220130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fighting
firefighting equipment
equipmen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863B1 (ko
Inventor
김인태
이두루나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8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반인이 증강현실 기술 및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설비의 등록 및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건물 입주자 등 일반인에게 실내에 배치되어야 할 소방설비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사고를 실제 거주자 측면에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그 관리 역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적어도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고 및 실내 도면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속성 정보, 기 저장된 소방규칙 정보, 및 기 저장된 실내에 설치 또는 배치되는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설비리스트 생성부; 설비리스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에 포함된 소방설비들 중,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 및 건물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산출된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별로 가공한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설치위치 추천부;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설비별로 관리하고, 외부 단말에 각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AND INSPECTION APPARATU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BUILDING PROPER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 및 건물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실내 소방설비의 관리 및 점검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동시에,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설비의 관리, 점검 및 등록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시설의 설계는 화재와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인허가 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고도화된 현대 사회에 있어서 소방 안전에 대한 수요는 무한히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소방시설의 설계뿐 아니라, 소방시설 및 설비 등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은, 소방 안전의 필수적인 요소로서, 최근 발생된 대형 화재 사고를 참조할 때, 그 원인이 소방설비 등에 대한 관리 부족에 있음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기존에는 소방설비의 구매, 설치 및 관리에 있어서, 각 건물이나 빌딩 등의 관리 인력이 일일이 각 실내를 방문하여 이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거나, 행정 기관에서 이를 직접 수행하여 왔다. 이에 따라서 점검 인력이 정확한 점검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상술한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 등 일반인이 소방설비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즉, 소방설비의 설치에 있어서는 각 실내의 용도, 면적, 층고 등에 따라서 그 설치에 대한 규정(법조항, 시행령 등)이 존재하고, 이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소방설비의 설치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소방설비의 관리에 있어서도 해당 소방설비의 사용법이나 관리법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일반인들에게 업무를 부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141219호 등에서는, 실내 공간의 설계도를 저장한 뒤 이에 기초하여, 컨벌루션 신경망에 입력하여 도출된 소방 방재 설치 및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한 뒤 이에 대한 설계자의 수정에 따라서 컨벌루션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보안성이 강화된 상태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소방 설비의 자동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 및 신규 설치 여부 등을 일반인이 이용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등의 관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없어,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소수의 인원만이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기술 및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일반인이 증강현실 기술 및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설비의 등록 및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건물 입주자 등 일반인에게 실내에 배치되어야 할 소방설비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사고를 실제 거주자 측면에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특히 전문적인 관리 지식이 필요한 소방설비들에 대해서 일반인도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관리 인터페이싱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적어도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고 및 실내 도면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속성 정보, 기 저장된 소방규칙 정보, 및 기 저장된 실내에 설치 또는 배치되는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설비리스트 생성부; 설비리스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에 포함된 소방설비들 중,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 및 건물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산출된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별로 가공한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설치위치 추천부;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설비별로 관리하고, 외부 단말에 각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외부 단말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출력 영역에, 각 소방설비를 촬영한 이미지가 위치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의 경계선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선 인근에, 소방설비에 대한 상기 점검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되, 소방설비별로 도출된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를 출력 시, 각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인접한 영역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가 출력되면서 각 구성 요소에 제1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고, 일 점검 포인트 또는 일 점검 포인트에 대한 구성 요소에 외부 단말의 입력 수단이 위치됨을 감지 시, 그 점검 포인트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상기 제1 시각적 효과와 다른 제2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소방설비가 위치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의 촬영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포인트 및 상기 점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 입력을 수신 후 상기 외부 단말에 의하여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이미지를 이후의 촬영 수단의 촬영 영역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실내 공간의 입주자 정보, 이용 현황 정보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이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이용 정보 및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화재 사고 이력 정보와 비교하여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교체 및 신규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안 정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리뉴얼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이미지 출력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선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소방설비별로 설정된 점검 중요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3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하되, 상기 점검 중요도는, 상기 소방규칙 중 소방설비의 감리에 관한 법규칙, 및 상기 소방설비에 관하여 기 관리되는 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3 영역에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제1 영역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의 비교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소방설비별 점검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소방설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점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위치 추천부는,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 및 화재 사고 이력 정보를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한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와 화재 사고의 연관성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소방설비별 설치 중요도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설치 중요도 순으로 설치 순서에 대한 제안 정보를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 실내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소방설비 및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를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와 비교한 결과,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신규설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소방설비가 상기 설비 관리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설비 관리부에 의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소방설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상기 설비 관리부에 전송 가능한 설비인 경우, 실시간으로 소방설비의 구동 시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소방설비의 구동 원인이 되는 제어 명령, 소방 설비의 구동 시의 상태 정보 및 소방 설비의 구동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소방설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점검 정보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실내 설계 도면뿐 아니라, 화재 사고 발생 시의 피해 정도에 연관된 정보 및 소방설비의 설치에 대한 규정에 관련된 정보로서,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고를 함께 참조하여, 해당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각 설치 위치를 추천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설치 후 거주자가 소지한 단말 등 외부 단말로부터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설비별로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실내 공간의 거주자 등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소방설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공간에 규정에 적합하고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도의 소방설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등에 의하여, 각 소방설비별로 주요 점검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특히 소방설비를 촬영한 이미지에 이를 증강현실 기법을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소방설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소방설비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외부 단말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외부 단말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설비리스트 생성부(11), 설치위치 추천부(12) 및 설비 관리부(13)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그 관리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4)를 내부에 포함하거나 외부에 별도 단말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후술하는 바에서 외부 단말(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장치(10)와 외부 단말(20)은 별도의 단말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장치(10)는 외부 단말(20)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하나의 단말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라인을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의 장치(10)는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스 상의 기능적으로 외부 단말(20)과 구분될 수 있다.
외부 단말(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방법, 소방규칙, 시행령, 소방행정 등에 대한 데이터 관리 및 행정 실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관리 단말, 본 발명의 기능 적용의 대상이 되는 실내 공간의 관리 단말 또는 실내 공간의 거주자 단말 등, 본 발명의 장치(10)가 연결되어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각종 데이터를 제공 및 수신하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 따라서 본 ㅏ발명의 장치(10)가 포함될 수 있는, 즉 본 발명의 장치(10)가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또는 기능 구현을 위해서 접속 가능한 웹사이트 등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4)는 하드웨어적인 메모리 또는 클라우드 저장공간 등, 본 발명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로서, 소방규칙 등에 대한 데이터, 머신 러닝 등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유저 등 계정에 대한 데이터, 소방설비의 스펙 및 속성 정보에 대한 데이터, 외부 단말(20)로부터 기 수신한 실내 공간에 대한 속성 정보 및 실내 공간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도면 데이터 또는 모델링 데이터 등,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개념의 구성을 의미한다.
설비리스트 생성부(11)는 외부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적어도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고 및 실내 도면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속성 정보, 기 저장된 소방규칙 정보, 및 기 저장된 실내에 설치 또는 배치되는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비리스트 생성부(11)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함으로써, 일 실내 공간에 대하여 설치가 필요한 소방설비에 대한 초기 세팅을 구현하여, 이후 설치된 소방설비의 등록 등을 통해 해당 실내 공간에 소방설비가 설치된 후, 후술하는 설비 관리부(13)가 정확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건물 속성 정보는, 실내 공간을 갖는 건물의 외형 또는 실내 공간의 전체 또는 각 구획의 용도, 면적, 전체 층수 또는 각 실내 공간(구획)의 층수 등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2차원 또는 3차원 실내 도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본적으로 소방설비는 소방감리법 등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를 법제화한 규칙 등에 의하여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각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는, 건물 및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수, 형태 등에 따라서 구분되어 법제화된다.
예를 들어, 소화 설비로서 소화기구는, 연면적 33제곱미터 이상의 대상물에 대하여 필수 설치 설비로 규정되어 있고, 스프링 쿨러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 등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경보 설비로서 비상경보설비는 연면적 400제곱미터 이상이거나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소방법, 소방감리법을 포함하여 소방설비의 설치 기준을 제시하는 모든 법적 규정에 따라서 필요시되는 소방설비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리스트 생성부(11)는 필요시되는 소방설비를 결정학 위해서 상술한 건물 속성 정보를 외부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소방규칙, 즉 상술한 소방설비의 설치 기준을 제시하는 모든 법적 규정과,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정보로서, 기 저장된 실내에 설치 또는 배치 가능한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건물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20)이 해당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속성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에 따라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수행하여 유저 인터페이스가 외부 단말(20)에 출력될 수 있다. 그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120)을 참조하면, 각 건물 또는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메뉴(12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가 소방설비의 설치 근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관련 규정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122),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는 그 자체, 즉 리스트 형태로 외부 단말(20)로서 예를 들어 해당 실내 공간의 관리자 단말 또는 실내 공간을 이용하는 거주자 또는 이용자의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소방설비의 리스트 및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 등이 외부 단말(20)에 출력됨은, 외부 단말(20)에서 본 발명의 각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의 접속에 의하여 외부 단말(20)에서 구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해당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한편 건물 속성 정보의 경우 외부 단말(20)로서 건물의 설계자 또는 건설 담당자 단말, 건물의 관리자 단말, 행정 기관 단말 등 상술한 건물 속성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말에서 수신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4)에 기 저장되는 소방 규칙 정보 및 설비 정보는,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행정 기관, 소방 설비 제조 및 납품 업체 단말 등으로부터 미리/주기적/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될 수 있다.
설비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소방설비를 구분 또는 식별할 수 있는 소방설비의 종류 및 식별정보(ex) 시리얼 넘버 등)와, 해당 소방설비의 스펙 정보를 포함한다. 소방설비의 종류는 소화기, 화재 감지 센서, 스프링쿨러 등 소방설비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서 기능하기 위한 개념이다. 스펙 정보는, 해당 소방설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의 경우 화재 감지가 되는 컨디션(온도 등)에 대한 정보, 스프링 쿨러는 동작 조건 및 소화액의 분사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소방설비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설치위치 추천부(12)는 설비리스트 생성부(11)에 의하여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에 포함된 소방설비들 중, 외부 단말(20)에 의하여 선택된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 및 건물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산출된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별로 가공한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방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외부 단말(20)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소방설비에 대한 관리의 권리 또는 의무가 있는 건물 관리자 또는 건물 거주자 단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외부 단말(20)에 의하여 특정 소방설비가 선택되면, 설치위치 추천부(12)는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등 인공지능 학습 기술(머신 러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추천하기 위해서는 실내 도면 정보와, 필요한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소방설비의 스펙에 대한 정보가 입력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소방설비의 스펙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해당 소방설비가 실내 도면 상에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 사고 발생 시 해당 사고에 대한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쿨러의 경우, 스펙 정보로서 소화액의 분사 범위에 대한 정보가 사용되고, 실내 도면 상에 이를 반영하여 소화액이 분사되지 않는 범위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설치 위치가 복수개 선택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 등의 경우에도 동일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소화기, 비상알림장치 등은, 실내 도면 및 건물의 용도에 따라서 상술한 머신 러닝 기술을 통해서, 최적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설비 관리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이미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소방설비가 존재 시, 상술한 설비리스트 생성부(11) 및 설치위치 추천부(12)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도출된 소방설비의 리스트 및 각 소방설비의 추천 설치 위치에서 해당 위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에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정보는 소방설비의 리스트 및 위치별 설치가 추천되는 소방설비의 정보에서 제외되거나, 설치되어야 할 소방설비의 리스트 및 각 추천 설치 위치에 대한 출력 시 기 설치된 소방설비가 다른 소방설비와 구분되도록 하는 시각적 효과를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러닝 기술의 적용 시 관리자 및 거주자 등, 소방설비에 대한 중요도 및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소방설비의 설치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설치위치 추천부(12)는,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 및 화재 사고 이력 정보를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한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와 화재 사고의 연관성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소방설비별 설치 중요도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설치 중요도 순으로 설치 순서에 대한 제안 정보를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에 포함하여 외부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화면(150)은 후술하는 도 6의 화면(1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화면을 의미한다. 이때 도 8의 화면(130)에는 실내 도면 이미지가 출력되며, 해당 이미지 상에 기 설치된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 정보(151)와, 설치가 추천되는 소방설비(D1, D2)에 대한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152)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설치 중요도 정보(153)는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별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에 대해서 상술한 설치 중요도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현재 해당 실내 공간에 대한 소방설비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어떤 소방설비를 우선적으로 설치해야 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 및 후술하는 설명에서, 특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20)에 제공하는 기능, 외부 단말(20)이 특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 등은, 해당 데이터가 외부 단말(20)에서 출력되어 유저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 단말(20)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단말(2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해당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가공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을 의미한다.
한편 설비 관리부(13)는,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외부 단말(20)로부터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설비별로 관리하고, 외부 단말(20)에 각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설비 관리부(13)는 각 실내 공간에 대한 소방설비의 설치 정보의 관리, 소방설비별로 점검 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의 관리, 소방설비에 대해서 관리자 또는 거주자가 수행하여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하여 입력된 점검 정보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인 설비 관리부(13)의 각 기능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설비 관리부(13)는 점검 기능의 수행 및 이를 위한 점검 방법에 대한 안내 등이 외부 단말(20)의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증강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점검을 안내받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설비 관리부(13)는 외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외부 단말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출력 영역에, 각 소방설비를 촬영한 이미지가 위치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의 경계선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선 인근에, 소방설비에 대한 상기 점검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방설비별로 도출된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를 출력 시, 각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인접한 영역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가 출력되면서 각 구성 요소에 제1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고, 일 점검 포인트 또는 일 점검 포인트에 대한 구성 요소에 외부 단말의 입력 수단이 위치됨을 감지 시, 그 점검 포인트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상기 제1 시각적 효과와 다른 제2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100)은 소방설비의 신규 등록 또는 점검을 위해서 소방설비를 촬영하기 위한 메뉴에 대응되는 화면의 예이다. 해당 화면(100)에서, 유저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의 경계선(101)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화면(100) 전체는 외부 단말(20)의 촬영 수단을 통해서 촬영되는 실시간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인식하기 메뉴(102) 및 경계선(101)은 증강현실 효과가 적용되어 촬영되는 실시간 화면에 증강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2의 이미지(200)는 정적이거나 동적인 촬영된 결과 생성된 이미지가 아닌, 현재 실시간으로 촬영 수단을 통해서 촬영되고 있는 화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도 2의 화면(100)은 효과가 적용된 도 3의 화면(110)과 같이 가공될 수 있다. 도 3의 화면(110) 역시 촬영 수단을 통해서 촬영되는 실시간 화면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실시간 화면을 출력하고 해당 화면 상에 증강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우, 유저가 해당 촬영 이미지를 유지해야 하여 외부 단말(20)을 특정 소방 설비를 향하는 위치로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의 화면(110) 등 도 2의 화면(100)의 예에서 제1 영역에 소방설비(200)가 위치된 후, 인식하기 메뉴(102)를 선택하는 등의 액션이 감지되는 경우, 즉 제1 영역에 소방설비가 위치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의 촬영 입력을 수신 시 설비 관리부(13)는 외부 단말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포인트 및 상기 점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입력을 수신 후 외부 단말(20)에 의하여 촬영된 결과 생성된 소방설비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이후의 촬영 수단의 촬영 영역의 변동에 관계없이 제1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의 화면(110) 등에서 출력되는 이미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틸컷 촬영 결과에 따라서 생성되는 정적인 이미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실시간 화면 상의 이미지(200)는 카메라 기술을 예로 들 때, 뷰 파인더(View Finder) 등에 의하여 인식되는 촬영될 수 있는 실시간 이미지를 의미하며, 이미지(210)는 촬영 결과 생성된 스틸 컷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제1 영역의 경계선(111) 역시 도 2의 경계선(101)과 다르게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현재 촬영된 이후의 기능이 수행됨을 유저가 인식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점검 포인트(말풍선 '커버', '센서' 등)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설비의 점검 대상이 되는 각 구성 요소(112, 113)마다 이에 인접한 영역으로서 경계선(111) 인근에 출력될 수 있으며, 점검 포인트가 되는 구성 요소(112, 113)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점선 등 제1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유저가 직관적으로 해당 소방설비에 대해서 점검해야 하는 구성요소 및 점검 포인트(114)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점검 포인트(114)는 각 구성 요소마다 다를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소방설비에 대한 이미지(210) 상에 있어서, 외부 단말(20)의 입력 수단(116)이 위치되는 점검 포인트 또는 그 점검 포인트에 대한 구성 요소(113)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 요소(112)와 시각적 효과가 다르도록 제2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저는 자신이 점검하고자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점검 포인트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서 매우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시각적 효과 및 제2 시각적 효과 이외에, 현재 상태에 따라서 점검이 우선시되는 구성 요소 또는 소방설비 들에 대해서 이와 구분되는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하여 더욱 직관적인고 안전을 위한 우선적인 점검이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설비 관리부(13)는 제1 영역의 경계선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소방설비별로 설정된 점검 중요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3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점검 중요도는, 소방규칙 중 소방설비의 감리에 관한 법규칙, 및 소방설비에 관하여 기 관리되는 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법규칙을 이용하여는 필수적인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주기, 점검 요소, 위험요소 등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고, 점검 주기가 가까워지는 소방설비, 위험요소가 크거나 화재 사고 발생 시 가장 빈번하거나 중요하게 사용되는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중요도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관리되는 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는, 점검이 수행된 일자가 오래 경과된 소방설비, 고장 이력이 있는 소방설비, 화재 사고 발생 이력이 있는 실내 공간의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중요도가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화면(110)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 또는 소방설비별로 인근에 제3 시각적 효과(115) 등이 출력되도록 하여, 해당 시각적 효과를 예로 들면 별의 개수가 많은 소방설비가 점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소방설비들에 대한 상술한 점검 인터페이스의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술한 화면(110, 100) 등에서, 유저들은 점검 인터페이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 실행 결과 도 7의 인터페이스 화면(140)이 출력될 수 있다. 해당 화면(140)에서 유저들은, 경계선(101)을 통해 제1 영역을 인지하고 그 내부의 이미지(210)를 통해서 점검 대상이 되는 소방설비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점검 정보 입력 메뉴(141)로서 각 선택 메뉴(142)을 선택하여, 일 소방설비에 대하여 각 구성요소를 점검한 점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점검 정보 입력 메뉴(141)를 참조하면, 각 소방설비별로 해당 설비에 대한 점검이 가능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설비 관리부(13)는 소방설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점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그 기준으로서 소방설비를 식별하는 것은, 상술한 예에서 유추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방설비에 대한 촬영 및 인식 결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들은 외부 단말(20)의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소방설비를 촬영할 수 있고, 설비 관리부(13)는 이에 따른 실시간 촬영 이미지(200) 또는 촬영된 이미지(210)를 영상 분석한다. 즉, 제1 영역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의 비교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소방설비별 점검 인터페이스에 적용함으로써 소방설비별로 서로 다른 점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소방설비의 이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편리하게 각 소방설비를 인지하고, 이에 따른 서로 다른 점검 방식을 매우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알 수 있어, 정확한 점검 및 전문가가 아닌 거주자 및 관리자 등에 의한 점검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해서 화재 사고 발생 이력이나, 다른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사고 발생 이력 및 그 피해 결과(대응 결과)에 따라서 특정 소방설비의 교체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는 실내 공간의 이용 용도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소방설비에 대한 교체가 필요시될 수 잇다. 즉, 초기 설계에도 불구하고 화재 발생 시 피해가 크게 발생한 경우나, 초기 설계 시에 비하여 해당 실내 공간의 사용 용도가 변경된 경우, 이에 대한 후속 대처로서, 더욱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정 소방설비에 대한 교체를 제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비 관리부(13)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실내 공간의 입주자 정보, 이용 현황 정보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이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이용 정보 및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화재 사고 이력 정보와 비교하여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교체 및 신규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안 정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리뉴얼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단말(200)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이미지 출력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2 영역은 점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소방설비의 이미지(210) 등이 출력되는 상술한 제1 영역과 동시에 출력되거나, 도 6의 화면(130)과 같이 제1 영역과 다른 탭(Tab)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화면에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소방설비 하나가 아닌, 실내 도면 이미지에 기 설치된 소방설비가 출력되거나 상술한 설치위치 추천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출력되는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 위치가 출력되는 화면(131)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설비의 설치 위치(134), 기 설치된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132) 이외에, 기 설치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교체될 필요가 있는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133)가 각각 출력될 수 있고, 신규 설비의 설치 위치(134)에는 해당 위치에 직관적으로 어느 소방설비가 설치되는 것이 추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추천설비 보기 메뉴(135)가 출력되어, 유저가 이를 선택 시 해당 위치에 설치가 추천되는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교체될 필요가 있는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133)의 출력에 있어서 신규 설비와 유사하게, 해당 위치에 직관적으로 어느 소방설비가 교체 설치되는 것이 추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추천설비 보기 메뉴(136)가 출력되어, 유저가 이를 선택 시 해당 위치에 교체 설치가 추천되는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설비 관리부(13)는 상술한 점검 및 유지 보수의 관리 이외에, 특정 소방설비가 설치되는 경우, 해당 소방설비에 대한 상술한 기 설치된 소방설비로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들이 더욱 편리하게 소방설비의 실내 공간에 대한 설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설비 관리부(13)는, 외부 단말(20)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 실내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소방설비 및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를 식별한다. 이는, 상술한 소방설비의 객체 식별 기능의 수행과 함께, 영상 분석을 통한 객체 식별, 배경색 식별, 지자기 센서를 통한 촬영 방향 분석,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삼각 신호량 계측 등을 통해서 구현 가능하다.
이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와 비교한 결과,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신규설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치 위치에 대한 자동 식별 기능이 없는 경우라면, 유저들은 유저 인터페이스 중, 실내 도면 이미지가 출력되는 메뉴 및 신규 소방설비 등록 메뉴가 동시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실내 도면 이미지 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이후 해당 위치에 대한 신규 소방설비 등록 요청을 입력하여, 신규 소방설비에 대한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등록 요청은, 상술한 소방설비에 대한 이미지 촬영 등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의 인터페이스 화면(160)에 있어서 경계선(101) 내부에 특정 소방설비(211)가 위치되는 경우, 설비 관리부(13)는 해당 영상 분석 및 객체 인식을 통해 소방설비(211)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유저들에게 신규 소방설비가 감지되었음을 안내한다. 이때 유저는 인터페이스 화면(160)에 출력되는 등록하기 메뉴(161)를 통해서 신규 소방설비를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자동 위치 인식 또는 실내 도면 이미지 출력 및 위치 선택 등의 수동 위치 입력 등에 의하여 등록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부 단말(20)을 통한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더하여, 설비 관리부(13)는 소방설비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제어 및 관리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설비인 경우, 외부 단말(20)로부터의 점검 정보에 대한 수신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해당 설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해당 실시예는 소방설비가 설비 관리부(13)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설비 관리부(13), 외부 단말(20) 및/또는 기타 관리 단말 등에 의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소방설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설비 관리부(13) 외부 단말(20) 및/또는 기타 관리 단말에 전송 가능한 설비인 경우에 구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 설비 관리부(13)는 실시간으로 소방설비의 구동 시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소방설비의 구동 원인이 되는 제어 명령, 소방 설비의 구동 시의 상태 정보 및 소방 설비의 구동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소방설비로부터 수신하여, 점검 정보에 포함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20)이 전송하는 각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정보 이외에, 소방설비로부터 해당 소방설비의 동작 시 또는 평소 자동 점검 기능이 있는 소방설비가 점검에 따라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 해당 소방설비의 구동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통합적인 소방설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로서 적어도 실내 공간의 용도, 면적, 층고 및 실내 도면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속성 정보, 기 저장된 소방규칙 정보, 및 기 저장된 실내에 설치 또는 배치되는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 및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설비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설비리스트 생성부;
    설비리스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소방설비의 리스트에 포함된 소방설비들 중,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소방설비에 대한 실내 공간의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의 설비 정보 및 건물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산출된 설치 위치를 소방설비별로 가공한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설치위치 추천부;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설비별로 관리하고, 외부 단말에 각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외부 단말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출력 영역에, 각 소방설비를 촬영한 이미지가 위치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의 경계선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선 인근에, 소방설비에 대한 상기 점검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되,
    소방설비별로 도출된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를 출력 시, 각 소방설비의 각 구성 요소에 인접한 영역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검 포인트가 출력되면서 각 구성 요소에 제1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고, 일 점검 포인트에 대한 외부 단말의 입력 수단이 위치됨을 감지 시, 점검 포인트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부여된 제1 시각적 효과와 다른 제2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소방설비가 위치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의 촬영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외부 단말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포인트 및 상기 점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 입력을 수신 후 상기 외부 단말에 의하여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이미지를 이후의 촬영 수단의 촬영 영역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실내 공간의 입주자 정보, 이용 현황 정보 및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이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이용 정보 및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화재 사고 이력 정보와 비교하여 기 설치된 소방설비에 대한 교체 및 신규 소방설비에 대한 설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안 정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리뉴얼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이미지 출력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선 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소방설비별로 설정된 점검 중요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3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도록 하되,
    상기 점검 중요도는,
    상기 소방규칙 중 소방설비의 감리에 관한 법규칙, 및 상기 소방설비에 관하여 기 관리되는 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설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3 영역에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점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제1 영역에 촬영된 소방설비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의 비교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소방설비별 점검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소방설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점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위치 추천부는,
    다른 실내 공간에 대한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 및 화재 사고 이력 정보를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한 결과 도출된 소방설비와 화재 사고의 연관성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소방설비별 설치 중요도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설치 중요도 순으로 설치 순서에 대한 제안 정보를 추천 설비 설치 위치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외부 단말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객체 분석을 통해 인식된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방설비별 모델링 데이터, 실내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소방설비 및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를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와 비교한 결과,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식별된 설치 위치에 식별된 소방설비가 신규설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 공간 별 기 설치된 소방설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부는,
    상기 소방설비가 상기 설비 관리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설비 관리부에 의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소방설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상기 설비 관리부에 전송 가능한 설비인 경우, 실시간으로 소방설비의 구동 시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소방설비의 구동 원인이 되는 제어 명령, 소방 설비의 구동 시의 상태 정보 및 소방 설비의 구동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소방설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점검 정보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1020210035451A 2021-03-18 2021-03-18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10258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51A KR102584863B1 (ko) 2021-03-18 2021-03-18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51A KR102584863B1 (ko) 2021-03-18 2021-03-18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489A true KR20220130489A (ko) 2022-09-27
KR102584863B1 KR102584863B1 (ko) 2023-10-05

Family

ID=8345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451A KR102584863B1 (ko) 2021-03-18 2021-03-18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4899A (zh) * 2024-03-11 2024-04-12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6662A (ko) * 2017-06-15 2018-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 영역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5748A (ko) * 2018-09-27 2020-04-06 이기배 지능형 소방 법률 서비스 시스템
KR102141219B1 (ko) * 2019-12-26 2020-08-04 서정성 소방 방재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0170280A (ja) * 2019-04-02 2020-10-15 ニッタン株式会社 設備情報作成装置、モデル作成装置及び設備情報作成方法
KR102203173B1 (ko) * 2019-11-22 2021-01-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478A (ko)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6662A (ko) * 2017-06-15 2018-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 영역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5748A (ko) * 2018-09-27 2020-04-06 이기배 지능형 소방 법률 서비스 시스템
KR102011342B1 (ko) * 2018-11-12 2019-08-14 주식회사 리퓨어유니맥스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JP2020170280A (ja) * 2019-04-02 2020-10-15 ニッタン株式会社 設備情報作成装置、モデル作成装置及び設備情報作成方法
KR102203173B1 (ko) * 2019-11-22 2021-01-1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41219B1 (ko) * 2019-12-26 2020-08-04 서정성 소방 방재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4899A (zh) * 2024-03-11 2024-04-12 合肥坤颐建筑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消防系统输入输出模块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863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3653B2 (en) Proximity-based personnel safety system and method
US10692339B2 (en) Personalized emergency evacuation plan
KR101972957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KR102030509B1 (ko) 화재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는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238711B2 (en) Fire detection system-fire smart signalling for fire equipment
US20210248282A1 (en) Fire detection system - method for auto placement of fire equipment
US11511142B2 (en) Fire detection system—end-to-end solution for fire detection design framework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Izadi Moud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proximity risks associated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onstruction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KR102157702B1 (ko)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보수작업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302151B1 (ko) 소방설비 분야의 설계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0895864B (zh) 用于火灾设备的与约束一致的放置的火灾探测系统工具
US20160266556A1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Installed Devices
US20210248281A1 (en) Floorplan based fire threat-modeling system
KR10220317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소방시설 점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60059243A (ko)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통합관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504665B1 (ko)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KR102551829B1 (ko) 스마트 중재 서버, 층간소음을 중재하는 스마트 중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46072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 위험도 진단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465619B1 (ko) 디지털 마커를 이용한 판넬 내부 공간 별 화재예측 시스템
CN111902849A (zh) 在图像上叠加传感器及其检测区域的虚拟表示
KR20160059246A (ko) 통합관제를 위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KR101774505B1 (ko) 설계서버, 이를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 설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