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665B1 -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665B1
KR102504665B1 KR1020220120538A KR20220120538A KR102504665B1 KR 102504665 B1 KR102504665 B1 KR 102504665B1 KR 1020220120538 A KR1020220120538 A KR 1020220120538A KR 20220120538 A KR20220120538 A KR 20220120538A KR 102504665 B1 KR102504665 B1 KR 10250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mplate
information
model
blue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주)창아디앤에스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아디앤에스, 김미경 filed Critical (주)창아디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12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도, 색상 정보를 입력받아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기반한 3D 모델을 생성하고,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템플릿을 만들고, 설계도, 색상 정보, 템플릿, 3D 모델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APARTMENT HOUSE 3D MODELING TEMPLATE AUTOMATIC GENERATION SOLUTION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설계도에 기반한 3D 모델 건축물을 설계하고,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3D 모델 건축물을 생성하고,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비아이엠 툴,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이 있다. 특허문헌 1 비아이엠 툴을 활용한 수량산출 자동화 시스템은 가상으로 건설공사 및 토목공사를 포함하는 건축예정구조물을 3D로 모델링하여 BIM 속성 원시데이터를 제작하는 BIM 툴과 연동하여 건축예정구조물을 이루는 길이, 면적, 개수 및 체적이 수치정보를 활용하여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소요되는 건설의 물량 및 수량의 산출을 자동연산한다. 또한, 특허문헌 2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BIM 모델링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건축물에 대한 BIM 모델을 작성하는 BIM 작성 단말에서 작성된 BIM 모델 파일을 로드하고, 로드된 BIM 모델의 각 객체의 속성에서 수량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객체별 속성 값을 코드 체계에 따라 추출하여 각 객체별 수량 산출을 수행하고, 수량 산출 결과를 3D 뷰어의 BIM 모델과 연계한다. 또한, 특허문헌 3 건축/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네크워크로 연결되고, 개발자 단말을 통해 등록된 설계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건축/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템플릿을 만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8022호 비아이엠 툴을 활용한 수량산출 자동화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1909996호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2272815호 건축/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설계도, 색상 정보를 입력받아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기반한 3D 모델을 생성하는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템플릿을 만드는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도, 색상 정보, 템플릿, 3D 모델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은, 입력장치의 조작을 입력받아 화면 처리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른 3D 모델(35)을 생성하는 단말기(6); 및 상기 단말기(6)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정보를 클라우드 DB(9)로 관리하는 클라우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6)는, 타자기의 자판과 유사한 모양새를 띤 컴퓨터의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시스템에 숫자,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가 시스템에 입력되는 키보드(21); 화면의 커서나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 커서 이동, 클릭, 스크롤을 포함하는 명령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마우스(22); 손으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입력 장치로, 키보드(21)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 특정 위치에 손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시스템에 입력하는 터치스크린(23); 상기 단말기(6)와 상기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되는 통신부(16); 상기 키보드(21), 상기 마우스(22), 상기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2D, 3D 화면 처리(31)를 수행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를 입력받아 템플릿(34)에 기반한 3D 모델(35)을 생성하는 제어부(5); 컴퓨터의 영상 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담당하고, 상기 제어부(5)의 그래픽 처리 작업을 도우며,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 상기 템플릿(34), 상기 3D 모델(35)의 그래픽 화면 구성을 실행하는 화면 처리(31);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하는 설계도(32);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되는 색상 정보(33);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지고, 2D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상기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34); 및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상기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생성되는 3D 모델(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12)는, 상기 단말기(6)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정보를 클라우드 DB(9)로 관리하는 제어부(5); 상기 단말기(6)와 상기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되는 통신부(16); 및 상기 단말기(6)의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 상기 템플릿(34), 상기 3D 모델(35)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DB(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하는 상기 설계도(32),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되는 상기 색상 정보(33)를 입력하는 설계도, 색상 정보 입력 단계(S201);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지고, 2D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상기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템플릿(34)을 선택하는 템플릿 선택 단계(S202); 및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상기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상기 3D 모델(35)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 단계(S203)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확률 분포의 차, 면적 차, 차 거리 누적을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계도, 색상 정보를 입력받아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기반한 3D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건축물 설계도에 기반한 3D 모델 건축물을 설계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템플릿을 만듦으로써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3D 모델 건축물을 생성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도, 색상 정보, 템플릿, 3D 모델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템플릿 생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6)는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 통신부(16), 제어부(5), 화면 처리(31),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을 포함하고, 클라우드(12)는 통신부(16), DB(9), 제어부(5)를 포함한다.
단말기(6)는 입력장치의 조작을 입력받아 화면 처리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른 3D 모델(35)을 생성한다. 템플릿(34)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진다. 템플릿(34)은 2D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템플릿(34)은 사진 DB(9)를 가질 수 있다.
키보드(21)는 타자기의 자판과 유사한 모양새를 띤 컴퓨터의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시스템에 숫자,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가 시스템에 입력된다.
마우스(22)는 화면의 커서나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 커서 이동, 클릭, 스크롤을 포함하는 명령을 시스템에 입력한다.
터치스크린(23)은 손으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입력 장치로, 키보드(21)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 특정 위치에 손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시스템에 입력한다.
통신부(16)는 단말기(6)와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는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2D, 3D 화면 처리(31)를 수행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를 입력받아 템플릿(34)에 기반한 3D 모델(35)을 생성한다.
화면 처리(31)는 컴퓨터의 영상 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담당하고, 제어부(5)의 그래픽 처리 작업을 도우며,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의 그래픽 화면 구성을 실행한다.
설계도(32)는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한다.
색상 정보(33)는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된다.
템플릿(34)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진다. 템플릿(34)은 2D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템플릿(34)은 사진 DB(9)를 가질 수 있다.
3D 모델(35)은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생성된다. 3D 모델(35)은 DB(9)로 관리되고, 템플릿(34)에 피드백되어 새로운 템플릿(34) 생성에 기여한다.
클라우드(12)의 제어부(5)는 단말기(6)와 통신하여 단말기(6)의 정보를 클라우드 DB(9)로 관리한다.
통신부(16)는 단말기(6)와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될 수 있다.
DB(9)는 단말기(6)의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한다.
도 2는 도 1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템플릿 생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템플릿 생성은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을 포함한다.
설계도(32)는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한다.
색상 정보(33)는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된다.
템플릿(34)은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진다. 템플릿(34)은 2D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템플릿(34)은 사진 DB(9)를 가질 수 있다.
3D 모델(35)은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생성된다. 3D 모델(35)은 DB(9)로 관리되고, 템플릿(34)에 피드백되어 새로운 템플릿(34) 생성에 기여한다.
도 3은 본 발명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는 설계도, 색상 정보 입력 단계(S201), 템플릿 선택 단계(S202), 3D 모델 생성 단계(S203)를 수행한다.
단계(S201)는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하는 설계도(32),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되는 색상 정보(33)를 입력한다.
단계(S202)는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트렌드, 수요,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지고, 2D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34)을 선택한다.
단계(S203)는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3D 모델(35)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확률 분포의 차, 면적 차, 차 거리 누적을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S102). 제어부(5)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대응하거나 제어부(5)가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샘플링 데이터는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의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 오류를 검증한다.
제어부(5)는 일정 시간 동안 마다 각각의 확률 분포 추이를 보고, 확률 분포 중 특이 현상 이상을 예측하고, 이상 사고에 대응하고, 확률 분포에 대해 데이터 변화가 일정하면 정상 동작을 외부에 알린다. 또한, 제어부(5)는 일정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데이터 변화율을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화율이 크면 일정 시간 간격을 늘리고, 데이터 변화율이 작으면 일정 시간 간격을 줄인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운영체제(4), 제어부(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s), GPU(Graphic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NPU(Neural Processing Unit)로서, 메모리(2)에 탑재된 운영체제(4), 제어부(5)의 실행 코드를 수행한다.
메모리(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3)는 입력 장치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4)는 윈도우, 리눅스, IOS, 가상 머신, 웹브라우저, 인터프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태스크, 쓰레드, 타이머 실행,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래픽, 폰트 처리, 통신 등을 지원한다.
제어부(5)는 운영체제(4)의 지원하에 입출력장치(3)의 센서, 키, 터치, 마우스 입력에 의한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병렬 수행 루틴으로 타이머, 쓰레드에 의한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입출력장치(3)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인증 구성은 제어부(5)를 포함하는 단말기(6), 인증 서버(7)를 포함한다.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6)는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인증 서버(7)에 요청한다. 단말기(6)의 킷값은 컴퓨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기(6)는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서버(7)는 인증 결과를 단말기(6)로 전송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말기(6)의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로 인해 킷값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사용자 정보의 히스토리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일관성, 변화를 비교 판단한다. 히스토리 분석에서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변화를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변조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
인증 서버(7)는 일관성, 변화, 빈도, 빈도 추이, 빈도가 높음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 조합으로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빈도의 임계치가 초과하면 초과 누적수에 비례하여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장시간에 걸쳐 접근 시도하는 사용자를 인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추가 인증을 요청한다.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단말기(6)는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증 서버(7)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단말기(6)를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6)에는 시스템이 탑재되고, 단말기(6)는 인증 단말 수단이 되고, 인증 서버(7)는 인증 서버 수단이 된다.
클라우드(12)는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통신부(6)를 관리하는 운영체제(4)의 지원 하에 컨테이너(7)의 모듈화로, 웹(8), DB(9), 프로토콜(10), 라이브러리(11)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어부(5)는 컨테이너(7)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컨테이너(7)라고 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관련 구성 파일, 라이브러리(11) 및 앱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함께 번들로 제공한다.
클라우드(12)는 다수의 단말기(6)를 통합 제어하고, 단말기(6)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6)의 동작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6)로 알리고, 제어 대상인 단말기(6)를 스위칭 제어한다.
신경망 학습은 온도, 고도, 지문 등 각종 센서, 이미지, 적외선 등 카메라, 라이더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특징량 선택, 알고리즘 선택을 통해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 성능 검증 과정에 의한 반복 시행 착오를 거쳐 모델 선택을 반복한다. 성능 검증이 마치면 인공지능 모델이 선택된다.
제어부(5)는 센서값 판단에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신경망 학습에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험 데이터로 신경망 성능을 검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프로세서
2: 메모리
3: 입출력장치
4: 운영체제
5: 제어부
6: 단말기
7: 인증 서버
8: 웹
9: DB
11: 라이브러리
12: 클라우드
14: 컨테이너
16: 통신부
21: 키보드
22: 마우스
23: 터치스크린
31: 화면 처리
32: 설계도
33: 색상 정보
34: 템플릿
35: 3D 모델

Claims (3)

  1. 입력장치의 조작을 입력받아 화면 처리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템플릿(34)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른 3D 모델(35)을 생성하는 단말기(6); 및
    상기 단말기(6)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정보를 클라우드 DB(9)로 관리하는 클라우드(12);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6)는,
    타자기의 자판 모양새를 띤 컴퓨터의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시스템에 숫자,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가 시스템에 입력되는 키보드(21);
    화면의 커서나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 커서 이동, 클릭, 스크롤을 포함하는 명령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마우스(22);
    손으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입력 장치로, 키보드(21)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 특정 위치에 손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시스템에 입력하는 터치스크린(23);
    상기 단말기(6)와 상기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되는 통신부(16);
    상기 키보드(21), 상기 마우스(22), 상기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2D, 3D 화면 처리(31)를 수행하고, 설계도(32), 색상 정보(33)를 입력받아 템플릿(34)에 기반한 3D 모델(35)을 생성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12)는,
    상기 단말기(6)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정보를 클라우드 DB(9)로 관리하는 제어부(5);
    상기 단말기(6)와 상기 클라우드(12)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동 통신망, 인터넷이 사용되는 통신부(16); 및
    상기 단말기(6)의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 상기 템플릿(34), 상기 3D 모델(35)을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DB(9);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는, 건축물에서 기능, 구조, 배치를 그린 그림으로 도면이라 불리고, 2D 평면도, 측면도를 포함하는 상기 설계도(32),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며, 보통 빨강, 파랑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되는 상기 색상 정보(33)를 입력하는 설계도, 색상 정보 입력 단계(S201);
    주거 형태, 예상 거주민, 커뮤니티 시설, 조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만들어지고, 2D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기본 구성 형식과 디자인 양식으로, 상기 3D 모델(35)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템플릿(34)을 선택하는 템플릿 선택 단계(S202); 및
    상기 설계도(32), 상기 색상 정보(33)에 대응한 상기 템플릿(34)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34)에 따라 상기 3D 모델(35)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 단계(S203)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5)는, 설계도(32), 색상 정보(33), 템플릿(34), 3D 모델(35)의 정보를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제1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제2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제1,제2확률 분포의 면적 차를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인증 서버(7)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7)로 전송하고,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상기 인증 서버(7)에 요청하고,
    상기 인증 서버(7)는 상기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빈도 추이가 높음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 조합으로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빈도의 임계치가 초과하면 초과 누적수에 비례하여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20538A 2022-09-23 2022-09-23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KR10250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538A KR102504665B1 (ko) 2022-09-23 2022-09-23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538A KR102504665B1 (ko) 2022-09-23 2022-09-23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665B1 true KR102504665B1 (ko) 2023-03-02

Family

ID=8550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538A KR102504665B1 (ko) 2022-09-23 2022-09-23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2444A (zh) * 2023-08-04 2023-10-20 深圳市固有色数码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元宇宙模型生成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022A (ko)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글로텍 비아이엠 툴을 활용한 수량산출 자동화 시스템
KR101641831B1 (ko) * 2015-04-29 2016-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식정보기반 건축 설계 지원 시스템 프레임워크
KR101909996B1 (ko) 2017-08-22 2018-12-28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2815B1 (ko) 2020-11-17 2021-07-05 (주)넥시빌 건축/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022A (ko)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글로텍 비아이엠 툴을 활용한 수량산출 자동화 시스템
KR101641831B1 (ko) * 2015-04-29 2016-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식정보기반 건축 설계 지원 시스템 프레임워크
KR101909996B1 (ko) 2017-08-22 2018-12-28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2815B1 (ko) 2020-11-17 2021-07-05 (주)넥시빌 건축/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설계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2444A (zh) * 2023-08-04 2023-10-20 深圳市固有色数码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元宇宙模型生成系统及方法
CN116912444B (zh) * 2023-08-04 2024-02-23 深圳市固有色数码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元宇宙模型生成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842A1 (en) Techniques for service execution and monitoring for run-time service composition
US20230324894A1 (en) Collaboration tools
US11036696B2 (en) Resource allocation for database provisioning
US10942900B2 (en) Techniques for tenant controlled visualizations and management of files in cloud storage systems
US20200374292A1 (en) Intelligent device security
KR102504665B1 (ko) 공동주택 3d 모델링 템플릿 자동 생성 솔루션 제공 장치
WO2018119589A1 (zh) 账户管理方法、装置及账户管理系统
KR102051568B1 (ko)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051543B1 (ko)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JP2023531196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10203739A1 (en) Data aggreg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unified governance platform with a plurality of intensive computing solutions
CN110851802A (zh) 权限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10303773A1 (en) Automatic layout of elements in a process flow on a 2-d canvas based on representations of flow logic
US2023026005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enabled air quality control
CN114518815B (zh) 建筑图纸的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2520169B1 (ko)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88000B1 (ko) 수요 예측 기반 알루미늄 재료 공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3712B1 (ko) 원전 제어 계통의 가상 모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82423B1 (ko)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마켓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KR102593715B1 (ko) 증강 현실 사진 출력 키오스크 앱 뷰어 시스템
RU278378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повещениями
US20240020741A1 (en) Catalog service replication
KR102537141B1 (ko)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연계를 통한 뷰티 및 라이프스타일 제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561667B2 (en) Semi-virtualized portable command center
Telenyk et al. On reliability modeling and evaluating in cloud services system